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펼치기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패션광고에서의 고령여성모델이미지 기호학적 분석 -해외패션브랜드를 중심으로-

        임민정 ( Im Min Jung ) 한국기초조형학회 2016 기초조형학연구 Vol.17 No.4

        광고 속 여성모델이미지는 이상화된 미적가치를 제시하며 독자들에게 감성과 욕망을 자극하여 자연스럽게 소비의 이데올로기를 형성한다. 이 연구는 고령화에 따른 패션전략을 위해 패션잡지에서의 고령여성모델이미지를 기호학적으로 분석하였다. 고령여성을 모델로 한 패션잡지광고를 수집하여 롤랑바르트의 기호학적 분석으로 광고의 외연적 의미와 함축적 의미를 분석한 후, FGI를 수행하고 플로슈의 소비가치유형으로 분류하여 고령여성의 이미지와 스타일을 도출하였다. 연구 결과 패션광고에서 고령의 여성은 독자와 동일시 대상으로서의 미화된 이상적 모델의 이미지가 아닌 현실적인 노인의 실제 모습으로 표현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소비가치유형에 따른 고령여성모델이미지 특성을 요약하면 실존적 가치 유형으로 분류된 모델의 이미지는 고령여성을 사회적 성공이나 전문성의 이미지로 표현하여 사회적 경험과 연륜 있는 고급스럽고, 세련되고, 보수적이며 권위적인 이미지로 표현하고 있다. 실용적 가치유형으로 분류된 모델의 이미지는 편안하고 자연스러운 이미지로 표현, 실용적 디자인과 스타일을 제안하고 나이와 상관없는 활동적인 캐주얼한 여성의 이미지를 표현하고 있다. 비판적 가치유형으로 분류된 모델의 이미지는 세련되고 지적인 이미지로 제시되며 실용적이며 동시에 세련된 도시적 스타일을 제안하고 있으며, 유희적 가치유형으로 분류된 모델의 이미지는 자신의 세계를 추구하는 적극적이고, 자신감 넘치는 개성적 이미지로 섹시하고 도발적 스타일을 표현하고 있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Female model images in fashion advertisements naturally forms an ideology of consumption as they present idealized aesthetic values and stimulate readers`` sensitivity and desire. In this respect, this study makes a semiotic analysis of the aged female models`` images in fashion magazines to identify fashion strategy in line with the aging society. It collects fashion magazine ads where aged female appears as a model and analyzes the denotative and connotative meaning of ads by using Roland Barthes`` semiotic analysis and then carries out FGI (focus group interview), sorts the results out into Jean-marie Floch``s consumption value model, and draws the images and styles of aged females. As a result, it is found that the aged females in fashion advertisements are expressed as realistic old women as they are, rather than idealized model who are identified with readers. To summarize the characteristics of aged female model images depending on the type of consumption value, the model image classified as existential value type expresses aged females as socially successful or professional image, that is to say, luxurious, sophisticated, conservative, and authoritative image with years of social experience; the model image classified as practical value type expresses aged females as comfortable and natural image, that is to say, energetic and casual female image regardless of age who proposes practical designs and styles; the model image classified as critical value type expresses aged females as sophisticated and intellectual image, that is to say, the image with practical and sophisticated urban style; and the model image classified as playful value type expresses aged females as the image with highly individual style who pursues her unique world and is very active and full of confidence, that is to say, sexy and provocative image.

      • KCI등재

        모델체형, 모델제시유형, 자기신체이미지가 20대 여성의 자기위협, 광고태도 및 시각적 주의에 미치는 영향

        김지호,윤원정 한국소비자·광고심리학회 2024 한국심리학회지 소비자·광고 Vol.25 No.1

        본 연구는 이상적 체형의 모델 사용이 확산됨에 따라 이상적 체형의 모델이 소비자에게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일반적으로 자기신체이미지가 부정적인 개인에게 이상적 체형의 모델이 노출되면 자기위협이 발생하게 되고, 이러한 자기위협은 이상적 체형의 모델이 등장하는 광고에도 부정적인 반응을 유발한다. 이에 본 연구는 자기위협을 완화할 수 있는 광고방식을 모색하고자하였다. 실험은 2(자기신체이미지: 긍정적 vs. 부정적) × 2(모델체형: 이상적 vs. 현실적) × 2(모델제시유형: 실상 vs. 실루엣) 참가자 간 설계로 구성하였으며 자기위협과 광고태도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고 모델의 복부를 향한 시각적 주의를 측정하였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모델이 실상으로 제시될 경우, 자기신체이미지가 부정적일 때 자기위협을 더 많이 받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자기신체이미지가 부정적이고, 모델의 이미지가 실상으로 제시되는 각각의 조건에서 광고태도가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모델 복부를 향한 시각적 주의는 현실적 체형의 모델 복부를 향한 최초응시까지의 시간이 더 빠르고, 응시횟수가 더 많은 것을 확인하였다. 본 연구는 이상적 체형의 모델로 인해 유발될 수 있는 자기위협을 완화하기 위해 실루엣이라는 새로운 변인을 사용했다는 점, 자기신체이미지, 모델체형, 모델제시유형에 따라 시각적 주의를 측정하여 기존의 연구들과 동일한 결과를 도출했다는 점에서 이론적 함의가 있다. 또한 이상적 체형의 모델이 자기위협을 높이지만 광고태도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실증적으로 확인하여, 이상적 체형을 지닌 모델의 사용에 대한 이점을 제공한다는 점에서 실무적 함의를 가진다. This study investigated the effect of the ideal model body on consumers as the spreading usage of the ideal model body. In general, self-threat occurs when an ideal body type of the model is exposed to an individual with a negative self-body image, and this self-threat causes a negative reaction to advertisements in which the ideal model appears. Therefore, this study attempted to find an advertising method that can alleviate self-threat. In a 2 (self body image: positive vs. negative) × 2 (model body type: ideal vs. realistic) x 2 (model presentation type: reality vs. silhouette) between-subject design, we tested the effects of these factors on self-threat and advertising attitudes, and measured visual attention to the model’s abdomen. The results of the study follow. First, when the model is presented in reality, it was found that when the self-body image is negative, self-threat increases. Second, it was found that the advertising attitude was higher under each negative self-body image condition, and in the condition in which the image of the model was presented as reality. Third, the visual attention to the model’s abdomen confirmed a faster entry time, more fixation count towards the target region. This study’s theoretical implication is that it used a new variable called silhouette to alleviate self-threat that can be caused by models of ideal body types, and measures visual attention according to self-body image, model body type, and model presentation type, which yield the same results as existing studies. In addition, it has practical implications in that it provides the advantage of using models of ideal body types by empirically confirming that models of ideal body types increase self-threat but have a positive effect on attitude toward advertising.

      • KCI등재

        DM-Font와 이미지 스타일 트랜스퍼 모델을 활용한 한글 글꼴 생성 연구

        정지은,변혁 한국영상학회 2022 한국영상학회 논문집 Vol.20 No.1

        This study focuses on the generation of Korean fonts using an image style transfer model. Image Style Transfer using artificial intelligence technology is an artificial intelligence-based image conversion and generation technology that allows content and style images to be input into models, respectively, with the images that constitute the content remaining unchanged and with only style applicable to and learned in various images. This study aims to create a new font based on the image of Yook-sa Lee's handwriting by applying this image style transfer technology to the generation of Korean fonts. In order to proceed, the study utilizes a basic image style transfer model, in this case the pix2pix model, and a dual-memory-augmented font-generation network model, useful when the absolute amount of font data required for learning is insufficient. The stud uses the DM-Font model to learn the handwritten image of a poet with a very small amount of handwriting data and finally to generate 736 target letters. It discusses the problems and future complementary points of the model application. 본 연구는 이미지 스타일 트랜스퍼 모델을 활용한 한글 글꼴 생성에 대한 연구이다. 인공지능 기술을 활용한 이미지 스타일 트랜스퍼(Image Style Transfer)는 콘텐츠(Content) 이미지와 스타일(Style) 이미지를 각각 모델에 입력하여 내용을 구성하는 이미지는 변하지 않고 스타일만 다양한 이미지로 적용 및 학습이 가능한 인공지능 기반 이미지 변환 및 생성 기술이다. 본 연구는 이러한 이미지 스타일 트랜스퍼 기술을 한글 글꼴 생성에 적용하여 시인 이육사의 친필 이미지를 바탕으로 새로운 글꼴을 생성하는 것을 목표로 진행되었다. 연구를 진행하기 위해서 기본적인 이미지 스타일 트랜스퍼 모델인 pix2pix 모델과 학습에 필요한 글꼴 데이터의 절대량이 부족한 경우 유용한 DM-Font 모델(Dual Memory-augmented Font Generation Network 모델)을 활용하였다. 본 논문은 DM-Font 모델을 사용하여 실제 남아있는 필체 데이터의 양이 매우 적은 이육사 시인의 친필 이미지를 학습시켜 최종적으로 목적글자 736자를 생성하기까지의 과정을 기술하였는데 이미지 데이터 전처리로부터 변환 이후의 후처리까지 전 과정의 자세한 기술과 함께 모델 적용 시 발생된 문제점과 향후 보완점에 대해 논하며 모델 활용 개선 방안을 제시하였다.

      • KCI등재

        스타 광고모델의 이미지가 브랜드 이미지와 구매행동에 미치는 영향 - 아웃도어 브랜드를 중심으로 -

        김지원,오희선 한국일러스아트학회 2015 조형미디어학 Vol.18 No.4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impact of star advertisement model’s image on the outdoor brand image and the purchasing behavior. Survey was conducted with male and female college students from which 232 valid questionnaires were analyzed. Frequency analysis, chi square test, factor analysis, reliability test,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was done with the collected data was using SPSS 17.0 for Windows program. The findings are as follows: First, analysis on the impact of star advertisement model’s image on brand image showed that trust, hardiness, familiarity and specialty factors of model image have significant effect on the specialty, practicality and familiarity factors of brand image. However, the attractiveness factor is not significantly related to brand image. Second, analysis on the impact of star advertisement model’s image on purchasing behavior showed that all factors of model image, which are trust, hardiness, familiarity, specialty, attractiveness have significant effect on likability, attention, purchasing intention factors of purchasing behavior. Third, analysis on the impact of brand image on purchasing behavior showed that trend, specialty, trust factors of brand image have significant effect on likability, attention, purchasing intention factors of purchasing behavior. On the other hand, the effect of practicality, familiarity factors of brand image on purchasing behavior was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 본 연구는 아웃도어 브랜드의 스타 광고모델 이미지가 브랜드 이미지와 구매행동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해 진행 되었다. 본 연구는 부산시내 거주하는 남녀대학생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하여 232부를 최종분석 하였다. 분석에는 SPSS 17.0 for window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빈도분석, χ2검정, 요인분석, 신뢰도, 다중회귀분석이 사용되었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스타 광고모델 이미지가 브랜드 이미지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한 결과, 스타 광고모델 이미지를 구성하는 차원 중 신뢰성, 강인성, 친근성, 전문성 요인은 브랜드 이미지의 전문성, 실용성, 친근성 요인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광고모델 이미지의 매력성 요인은 브랜드 이미지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스타 광고모델 이미지가 구매행동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한 결과, 스타 광고모델 이미지를 구성하는 차원인 신뢰성, 강인성, 친근성, 전문성, 매력성 모두의 요인이 구매행동의 요인인 호감, 관심, 구매의도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브랜드 이미지가 구매행동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한 결과, 브랜드 이미지를 구성하는 차원 중 유행성, 전문성, 신뢰성 요인은 구매행동의 요인인 호감, 관심, 구매의도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브랜드 이미지의 실용성, 친근성 요인은 구매행동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 KCI등재

        비접근 지역에 대한 SPOT 위성영상의 Pseudo영상 구성 및 센서모델 분석

        방기인 ( Ki In Bang ),조우석 ( Woo Sug Cho ) 大韓遠隔探査學會 2001 大韓遠隔探査學會誌 Vol.17 No.1

        본 논문은 지상기준점의 취득이 어려운 비접근 지역에 대한 위성영상에서 지형정보를 획득하기 위한 방법을 제시하였다. 먼저, 공선조건식을 기반으로 10개의 위성센서모델을 개발하고, 개발된 센서모델의 거동을 분석하기 위하여 Space Resection 및 Space Intersection을 통해 각각의 센서모델에 대한 적합성을 실험하였다. 이를 바탕으로 비접근 지역에 대한 지형정보를 취득하기 위하여 영상을 재구성하거냐 Pseudo영상을 제작하고, 이에 대한 센서모델의 거동 및 정확도를 분석·제시하였다. 공선조건식을 이용한 Pushbroom 위성영상의 센서모텔은 투영중심의 위치와 회전요소에 대한 6개의 외부표정요소를 영상의 행에 대한 1차, 2차 함수 또는 3차 함수로 구성하였으며, 또한 외부표정요소의 위치요소와 상관도가 높은 회전요소(ω, φ)를 고정된 값으로 사용하는 센서모델을 개발하였다. 비접근 지역을 위한 영상의 재구성은 동일 패스의 지장기준점이 있는 영상과 비접근 지역의 영상을 연결시켜 하나의 영상으로 재구성하거나, 지상기준점이 있는 영상과 비접근 지역의 영상으로부터 Pseudo영상을 임의로 제작하여 패스내에서 중복영역을 갖도록 구성하였다. 본 연구에서 이용한 인공위성 데이터는 서로 다른 패스에서 동일한 지역을 촬영한 SPOT 영상이며, 각각의 패스에서 두장의 연속된 영상을 이용하였다. 개발된 10개의 센서모델과 5가지의 영상 재구성 방법에 따라 비접근 지역에서의 정확도는 다르게 나타냈으며, 그 중 투영중심의 위치 및 회전요소 κ를 1차 함수로 표현하고 회전요소 ω, φ를 고정시킨 센서모델과 Pseudo영상을 이용한 방법이 비접근 지역 30km, 60km지점의 검사점에서 각각 최대오차 30m, 60m의 결과를 보였다. The paper presents several satellite sensor models and satellite image decomposition methods for inaccessible area where ground control points can hardly acquired in conventional ways. First, 10 different satellite sensor models, which were extended from collinearity condition equations, were developed and then the behavior of each sensor model was investigated. Secondly, satellite images were decomposed and also pseudo images were generated. The satellite sensor model extended from collinearity equations was represented by the six exterior orientation parameters in 1st, 2nd and 3rd order function of satellite image row. Among them, the rotational angle parameters such as ω(omega) and φ(phi) correlated highly with positional parameters could be assigned to constant values. For inaccessible area, satellite images were decomposed, which means that two consecutive images were combined as one image. The combined image consists of one satellite image with ground control points and the other without ground control points. In addition, a pseudo image which is an imaginary image, was prepared from one satellite image with ground control points and the other without ground control points. In other words, the pseudo image is an arbitrary image bridging two consecutive images. For the experiments, SPOT satellite images exposed to the similar area in different pass were used. Conclusively, it was found that 10 different satellite sensor models and 5 different decomposed methods delivered different levels of accuracy. Among them, the satellite camera model with 1st order function of image row for positional orientation parameters and rotational angle parameter of kappa, and constant rotational angle parameter omega and phi provided the best 60m maximum error at check point with pseudo images arrangement.

      • KCI등재

        미술관 이미지저작권 아카이브 모델 연구

        남현우(Nam, Hyun Woo),정성인(Jeong, Seong In) 한국전시산업융합연구원 2016 한국과학예술융합학회 Vol.23 No.-

        본 연구의 배경 및 목적은 다음과 같다. 미술관에서 생성되는 미술 콘텐츠 생명주기 전반에 걸친 저작권 서비스 연구개발의 필요성과 창조산업에서 이미지저작권 콘텐츠 유통시장 활성화와 저작권 서비스 관리체계 수립의 필요성에 의해, 이미지저작권 보호 및 이용 활성화를 위한 미술관 이미지저작권 아카이브 모델을 설정하기 위해 다학제적으로 진행된 융복합 연구이다. 본 연구의 연구방법 및 내용, 결과는 다음과 같다. 국내 1,000여개의 뮤지엄(박물관, 미술관, 전시관 등)의 저작권료에 대한 산정, 분배, 정산, 모니터링에 대한 기준체계를 제안하여 이미지 저작물의 이용 활성화 및 재활용을 통한 미술콘텐츠 생태계 투명화 및 효율성 향상화를 위해서 다양한 제안이 이루어졌다. 우선, 이미지저작권 아카이브 모델의 내용설계 및 구조설계를 제안하였으며, 프로토타입 시뮬레이션, 실현 시뮬레이션, 모델 가동 시뮬레이션을 위하여, 미술관 미술콘텐츠 유통 서비스 플랫폼을 제안하여, 미술 콘텐츠 저작권료 프로세스 모델을 설정하였다. 미술관 소장품 및 미술작품 유통 과금 기술 개발과 저작권 자동분배 및 정산 엔진 개발은 이미지 콘텐츠에 대한 과금 체계 및 기술 개발이 미약하기 때문에 기본 프레임워크는 기존 콘텐츠 과금 프레임워크를 모델로 사용하였다. 궁극적으로는 미술작가, 미술관 학예사, 유통업체 등이 사용가능한 이미지저작권 아카이브 모델을 제안하였다. 사업화 전략에서는 미술관 이미지저작권 아카이브 모델의 틈새시장 침투전략(Niche penetration strategy)을 제안하였다. 판매확대 전략에서는 미술관 아카이브 시스템의 유동적 연결을 통하여, B2B, B2G, B2C, C2B 형태의 이미지 거래를 효율적으로 진행되게 하며, 이미지 저작물의 관리가 통제 가능한 비즈니스 모델이 수립되었다. 향후 혹은 앞으로의 과제는 미술관에서 소장하고 있는 소장품 및 신규 창작 작품의 미술 콘텐츠 분쟁예방 및 유통 및 활용에 대한 정보 제공을 통해, 미술작품에 대한 이미지저작권자와 소유자간의 분쟁 등을 최소화하고, 미술품 저작물의 관리성이 향상될 것으로 기대된다. 또한 미술관의 소장품 및 신규작품에 대한 아카이브에 대한 가이드라인이 제공되어, 이미지저작권 등록 증대가 예상되며, 이미지저작권 유통 서비스에 대한 저작권료, 과금, 분배, 정산 등 다양한 융합적 비즈니스 활용이 가능해 질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multi-disciplinary convergent study is to establish Image Copyright Archive Model for Museums to protect image copyright and vitalize the use of images out of necessity of research and development on copyright services over the life cycle of art contents created by the museums and out of the necessity to vitalize distribution market of image copyright contents in creative industry and to formulate management system of copyright services. This study made various suggestions for enhancement of transparency and efficiency of art contents ecosystem through vitalization of use and recycling of image copyright materials by proposing standard system for calculation, distribution, settlement and monitoring of copyright royalty of 1,000 domestic museums, galleries and exhibit halls. First, this study proposed contents and structure design of image copyright archive model and, by proposing art contents distribution service platform for prototype simulation, execution simulation and model operation simulation, established art contents copyright royalty process model. As billing system and technological development for image contents are still in incipient stage, this study used the existing contents billing framework as basic model for the development of billing technology for distribution of museum collections and artworks and automatic division and calculation engine for copyright royalty. Ultimately, study suggested image copyright archive model which can be used by artists, curators and distributors. In business strategy, study suggested niche market penetration of museum image copyright archive model. In sales expansion strategy, study established a business model in which effective process of image transaction can be conducted in the form of B2B, B2G, B2C and C2B through flexible connection of museum archive system and controllable management of image copyright materials can be possible. This study is expected to minimize disputes between copyright holder of artwork images and their owners and enhance manageability of copyrighted artworks through prevention of such disputes and provision of information on distribution and utilization of art contents (of collections and new creations) owned by the museums. In addition, by providing a guideline for archives of collections of museums and new creations, this study is expected to increase registration of image copyright and to make various convergent businesses possible such as billing, division and settlement of copyright royalty for image copyright distribution service.

      • KCI등재

        외식 프랜차이즈의 광고 모델 특성이 모델 만족도, 브랜드 이미지 그리고 구매 의도에 미치는 영향

        송혜선(Hae-Sun SONG),고기현(Ki-Hyun KO) 한국프랜차이즈경영학회 2021 프랜차이즈경영연구 Vol.12 No.4

        Purpose: Marketing communication with customers is essential for companies to survive and grow in a fiercely competitive environment. Advertising is one of the most readily accepted marketing communications by consumers. Unlike a company that owns a distribution network, advertising is vital for a franchise. In general, many advertising models select celebrities. Celebrities are more likely to attract audience attention and influence consumers purchase intentions. Customers satisfied with advertising are more likely to stay loyal and buy again when the company launches a new product. In addition, customers form a brand image through advertisements. Therefore, in this study, the effect of the characteristics of the foodservice franchise advertising model characteristics on model satisfaction, brand image, and purchase intention. Research design, data, and methodology: The survey of this study was conducted among consumers over the age of 20 who had seen a restaurant franchise advertisement and visited a store within the last 2 months. 305 copies were collected for 7 days during the survey period, from October 21 to October 27, 2021. Among the collected questionnaires, 12 insincere questionnaires were excluded, and 293 were used for analysis. SPSS 25.0 and Smart PLS 3.0 were used as data collected to test the hypothesis. Result: As a result of the study, among the advertising model characteristics of a foodservice franchise, reliability, attractiveness, expertise, and closeness all had a significant positive (+) effect on model satisfaction. In addition, reliability and closeness were found to have a significantly positive (+) effect on brand satisfaction, but attractive and expertise did not significantly affect brand image. Finally, model satisfaction was found to have a significant positive (+) effect on brand image and purchase intention. Brand image also appeared to have a significant positive effect on purchase intention. Conclusions: Research Results First, this study verified the effect of a restaurant franchise advertising model using celebrities by using the characteristics of the advertising model. Second, this study developed a conceptual structure for model characteristics - model satisfaction - brand image - purchase intention. Third, the restaurant franchise marketer needs to select a model in consideration of the privacy of the advertising model. Fourth, consumers tend to equate advertising models with advertising Keywords : Franchise’s Advertising, Model characteristic, Satisfaction, Brand image, Purchase

      • KCI등재

        스포츠 스타 모델 이미지와 메시지 프레이밍간의 지각된 적합성이 수용자의 광고태도에 미치는 영향

        이하 ( Xia Li ),허종호 ( Jong Ho Huh ) 한국스포츠산업경영학회 2015 한국스포츠산업경영학회지 Vol.20 No.4

        이 연구에서는 스포츠 스타 모델 이미지와 메시지 프레이밍간의 지각된 적합성이 수용자의 광고태도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살펴보았다. 이를 위해 스포츠 스타 모델의 이미지는 향상 이미지와 예방 이미지의 2가지 유형으로, 메시지 프레이밍은 개선효능 소구 메시지와 예방효능 소구 메시지의 2가지 유형으로 구분한 후 2 x 2 집단간 실험설계(between-subjects factorial design)를 적용하였다. 표본추출은 편의표본추출법(convenience sampling method)을 적용하여 유효 표본으로 총 120부의 설문지를 회수하였으며, 연구분석은 SPSS/PC+ for Window와 R version 3.1.0 통계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기술통계, t-검증, 신뢰도분석, 분산분석(ANOVA), 소벨검증(Sobel test)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밝혀낸 분석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비타민 주스 제품의 소구 메시지를 크게 긍정적인 결과를 촉진하는 개선효능 소구 메시지(예: 활력충전 비타민 주스, 집중력 향상, 신진대사 촉진, 체력증진 등)와 부정적인 결과를 방지하는 예방효능 소구 메시지(예: 건강 지킴이 비타민 주스, 안티 에이징, 비만예방, 항암효과 등)로 구분했을 때, 개선효능 소구 메시지는 이상, 희망, 열망, 도전, 성취 등의 향상 이미지를 보유한 스포츠 스타 모델이 전달했을 때 수용자의 광고태도가 더 호의적이었던 반면에 예방효능 소구 메시지는 의무, 책무, 책임감, 방어, 당위 등의 예방 이미지를 보유한 스포츠 스타 모델이 전달했을 때 수용자의 광고태도가 더 호의적이었다. 둘째, 스포츠 스타 모델 이미지와 메시지 프레이밍간의 조합이 수용자의 광고태도에 미치는 영향에 있어서 스포츠 스타 모델 이미지와 메시지 프레이밍간의 지각된 적합성이 매개역할을 하고 있음을 통계적으로 확인하였다. This research investigated the influence of perceived fit between image of sports star model and message framing in advertisement on audience`s advertising attitude. In proving the hypothesis, this research applied a between-subjects factorial design targeting 2(image of sports star model: promotion image vs. prevention image) X 2(message framing: improvement effect appeal message vs. prevention effect appeal message). By convenient sampling method, total 120 valid samples were used as final data. For data analysis SPSS PC+ for windows and R version 3.1.0 were used, and it was analyzed through descriptive statistical analysis, t-test, reliability analysis, analysis of variance(ANOVA), and Sobel test.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the audience`s advertising attitude was proven more favorable when the sports star model who has promotion image such as ideal, challenge, hope, and achievement delivers the improvement effect appeal messages like supplementary vitamins to increase metabolism, enhance concentration ability, and improve stamina than the sports star model who has prevention image did. Whereas, the audience`s advertising attitude was proven more favorable when the sports star model who has prevention image such as responsibility, duty, and, defense delivers the prevention effect appeal messages like anti-aging vitamins, anti-cancer products, and obesity prevention product than the sports star model who has promotion image did. Second, it was concluded that the perceived fit between image of sports star model and message framing acts as a mediation role in the realm of audience`s advertising attitude.

      • KCI등재

        Brand Name의 현지화, 광고모델 이미지 및 원산지 이미지가 중국소비자의 한국산 화장품 제품평가에 미치는 영향

        김보영,정근,박종민 한국기업경영학회 2016 기업경영연구 Vol.23 No.3

        Rapid growth of Chinese cosmetic market led to global big market next to U.S market. Foreign brands consist of 80% of the Chinese cosmetic market, while made-in-Korea cosmetics’ market share remains at 5%. With Korean cosmetic amicable image of country-of-origin by the rise of ‘Korean wave’, Korean cosmetic firms may need to develop and carry out more strategic and effective marketing plans about celebrity advertising models and localized chinese brand names to tailor Chinese consumers’ taste and preference and to enlarge the their products’ market size. The purposes of this study are to analyze 1) the effects of localized brand names, images of Korean advertising celebrity models and country-of-origin image on Chinese consumers’ choice behaviors 2) whether Korean country-of-origin image has moderating effects each with localized brand names and advertising celebrity model image. Analysis results show that each of four differentiated localized brand name, images of advertising celebrity model image and Korea’s country origin image has significantly positive effects on Chinese consumers’ product evaluation. In addition, image of Korean country-of-origin image has moderating effects with images of advertising celebrity models on Chinese consumers’ choice behaviors. 중국의 화장품 시장이 급성장하여 최근에는 미국에 이어 세계 제2위의 시장으로 발전하였다. 중국시장에서 해외 브랜드가 80% 내외의 시장점유율을 차지하는 반면, 한국 화장품 브랜드의 시장 점유율은 5% 의 미미한 수준을 기록하고 있다. 이에 따라 한류 열풍 등에 의해 형성된 우호적인 원산지 이미지와 함께 광고모델이나 현지화 된 중국어 Brand Name 등의 효과적인 마케팅전략을 수립하고 실행함으로써 한국 화장품의 제품평가도를 높여 수출시장을 확대해야할 필요성이 크다. 이 연구는 1) 한국 화장품의 Brand Name 현지화 방식, 화장품 광고모델 이미지 및 한국 원산지 이미지가 중국소비자의 제품평가에 미치는 영향 2) 한국 원산지 이미지가 Brand Name 현지화 방식과 광고모델의 이미지와 함께 제품평가에 있어서 조절효과를 가지는지에 대하여 분석하고자 한다. 연구 결과, 한국 화장품의 음역식, 직역식, 의역식, 결합식의 4가지 방식의 중국어 Brand Name에 대한 소비자 인지가 제품평가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고 있으며, 광고모델 이미지와 원산지 이미지 역시 긍정적인 영향을 나타내고 있다. 원산지 이미지와 화장품 광고모델 이미지는 조절효과를 가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 KCI등재

        물체 표면에 광택을 가진 이미지를 활용한 3D 재구성 연구

        장가오허,김기홍,후정동,리펑휘 사단법인 한국융합기술연구학회 2023 아시아태평양융합연구교류논문지 Vol.9 No.1

        Image-based modeling and rendering technology is characterized by its low cost, high efficiency, and simple operation compared to other modeling methods, but it still has certain limitations. Image-based modeling and rendering techniques, also known as image modeling, are the task of taking tens or hundreds of photographs and then reconstructing a 3D model of a subject with a related software processing system using mathematical methods. However, during the reconstruction process, if a portion of the object is too glossy on the surface, a mirror reflection phenomenon will exist. When a digital camera photographs the surface of a high-gloss object obscured by mirror reflection, the original color and texture information of the digital image is lost, which may result in a deviation in the model in reconstruction operations that image.Thus, addressing the effects of glossiness on information on the surface of objects in digital images in an effective manner has significance in the field of image modeling. This paper studied the principle of image modeling technology. After measuring the glossiness of an object using a gloss meter, a reconstruction experiment was conducted to confirm the effect of the glossiness of the object on the image modeling technology. For image modeling, the data were referenced and various methods of removing gloss information were compared through experiments.We also present a method for restoring and identifying reflected light points (highlights) on the surface of a high-gloss object using the gray scale information of the image. This method can significantly improve the reconstruction effect of high-gloss objects in certain environments, and the results of the experiment show that the reconstructed image after the highlight was restored increased by 14% compared to the pre-restored imag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