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우수등재

        관광자의 기억에 남는 관광경험(MTE) 공유개념도 분석: 잘트만의 은유추출기법(ZMET) 적용

        한관희,이계희 한국관광학회 2022 관광학연구 Vol.46 No.8

        In an increasingly competitive tourism market, creating long-lasting tourism experiences is critical. In this study, we use Zaltman's Metaphor Extraction Technique (ZMET), one of the visual qualitative research methods, to discover the essence of tourist experiences that tourists have long remembered and to find the universal thought structure shared by tourist groups as a shared conceptual diagram. ZMET believes that most human communication is nonverbal, and that figurative thinking is primarily expressed through images rather than language. In this study, ZMET, an effective methodology for identifying and surfacing invisible empirical thoughts, emotions, thoughts, and motives, was used to analyze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constituent concepts and sub-components based on the memorable tourism experience and to determine the common value and final purpose of tourists. As a result, the concept commonly recognized by the tourist group was 1) Self examination and Self-finding 2) Novelty and Heterogeneity 3) Interaction with locals 4) Interaction with companion 5) Natural scenery 6) Serendipity 7) Locality 8) Escape from daily life 9) Healing 10) New knowledge and learning. Based on the findings of this study, it is important to broaden the academic base of the tourism field by developing a shared concept map shared by tourists and using it as basic data for marketing strategies and efficient decision-making, such as the planning and development of tourism contents and products. 갈수록 치열해지는 관광시장에서 관광자들에게 오랜 기간 기억되는 경험을 만들어주는 것은 매우 중요하다. 이 연구는 시각적 질적 연구 방법의 하나인 잘트만의 은유추출기법(ZMET)을 적용하여 오랜 기간 관광자 내면에 기억되는 관광경험의 요체를 알아보고 관광자 집단이 공통으로 공유하는 보편적 사고구조를 공유개념도로 나타내고자 하였다. ZMET은 대부분 인간의 의사소통은 비언어적이고, 사고의 근본적인 요소는 은유로 언어보다는 이미지로 생각하는 경향이 있다는 점을 전제한다. 이 연구에서는 겉으로 드러나지 않은 경험적 사고와 감정, 생각, 동기 등을 파악하고 표면화하는 데 효과적인 방법론인 ZMET을 활용하여 기억에 남는 관광경험에 따른 구성개념 및 하위 구성요소들과의 연계성에 대한 분석과 더불어 여행객들이 추구하는 공통 가치와 최종 목적을 알아보기 위하여 공유개념도를 제시하였다. 그 결과 관광자 집단이 공통적으로 인식한 개념은 1) 자기성찰과 자기발견 2) 신기성과 이질성 3) 현지인과의 교제 4) 가족유대 및 동행과의 교제 5) 자연경관 6) 우연성 7) 현지문화 체험 8) 탈일상성 9) 힐링 10) 새로운 지식과 배움으로 이것들이 MTE를 구성하는 중요 가치임을 확인해내었다. 이 연구 결과를 토대로 관광자들이 공동으로 공유하는 합의 지도인 공유개념도를 도출해냄으로써 관광학 분야의 학문적 저변을 확대하고 이를 토대로 관광콘텐츠 및 관광상품의 기획⋅개발 등 마케팅 전략 및 효율적인 의사결정에 기초자료로 활용할 수 있다는 데 의의가 있다.

      • KCI등재

        기억에 남을 만한 관광경험(MTE)이 관광 참여자 행동의도에 미치는 영향: 제주지역 농촌체험마을을 중심으로

        신현철,이연우 경성대학교 산업개발연구소 2024 산업혁신연구 Vol.40 No.1

        본 본 연구의 목적은 목적지 이미지, 방문객 인게이지먼트, 진정성이 기억에 남을만한 관광경험(MTE)에 영향을 미치는지, 기억에 남을만한 관광경험이 관광객 행동의도에 영향을 미치는지, 목적지 이미지, 방문객 인게이지먼트, 진정성이 관광객 행동의도에 영향을 미치는지를 알아보았다. 본 연구는 제주도 농촌마을에서 관광체험을 한 내국인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으며 최종적으로 301부가 실증분석에 사용되었다. SPSS 25.0 프로그램을 활용하여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하여 각 요인과의 인과관계를 규명하였다. 분석결과를 보면 목적지 이미지, 진정성은 회복경험, 참신성 경험, 의미 경험, 쾌락주의 경험, 지역문화 경험에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나타났다. 회복, 참신성, 쾌락주의, 지역문화 경험은 재방문의도와 온라인구전효과에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나타났으며 또한 방문객 인게이지먼트, 진정성은 재방문의도와 온라인구전효과에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나타났음을 증명하였다. 제주지역의 농촌체험마을 발전을 위해 방문객의 인게이지먼트와 진정성있는 경험을 창출하는 것도 중요하지만 장기적인 관점에서 적정 시장규모가 형성되었을 때 해당마을에 대한 이미지를 포지셔닝하고 브랜딩 해나가는 마케팅 관점도 필요하다고 사료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whether destination image, tourist engagement, and authenticity influence Memorable Tourism Experiences(MTE), and whether MTE affects tourists' behavioral intentions. Additionally, this study aimed to investigate the influence of destination image, tourist engagement, and authenticity on tourists' behavioral intentions. Conducted among domestic tourists who experienced rural tourism in Jeju Island, the survey included 301 participants for empirical analysis.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using SPSS 25.0 revealed significant relationships between destination image, authenticity, and various types of experiences such as refreshment, novelty, meaningfulness, hedonism, and local cultural experiences. Furthermore, refreshment, novelty, hedonism, and local cultural experiences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predictors of revisit intention and eWOM intention effect. The study underscores the importance of creating engaging and authentic experiences for visitors to rural tourism villages in Jeju Island, along with the necessity of marketing strategies focusing on positioning and branding the village image once an appropriate market size is established in the long run.

      • KCI등재

        스마트관광 정보기술과 기억에 남는 관광경험(MTE)이지속적 사용의도에 미치는 영향: 기술수용모델(TAM)을 활용하여

        석윤지,윤병국 한국관광연구학회 2022 관광연구저널 Vol.36 No.3

        본 연구는 스마트관광의 중요성이 강조되는 현 시대에 그 기반이 되는 정보기술의 속성에 대해 탐구하고, 관광객의 스마트관광 정보기술에 대한 지속적 사용의도, 그리고 그 사용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태도에 MTE가 어떠한 영향관계로 작용하는가에 대해 실증을 통해, 스마트관광 정보기술의 사용을 통해 여행의 편리를 더하고, 그 기억을 풍부하게 하며, 그러한 기술의 지속적 사용을 통해 추천, 재방문의도를 높이는 콘텐츠 구축에 대한 이론적 기초를 마련하는 데 목적이 있다. 본 연구의 가설검증을 위해 스마트기기를 사용하는 일반인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하였으며, 총 300부의 설문지를 배포하여 그중 유효표본 277부를 채택하여 연구에 활용하였다. 분석결과, 선행연구를 통해 도출한 스마트관광 정보기술 속성인 접근성, 정보성, 개인화는 지각된 용이성과 지각된 유용성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지각된 용이성은 지각된 유용성에, 또한, 지각된 용이성과 유용성은 태도에, 태도는 지속적 사용의도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고, MTE의 요소 중 즐거운 경험, 독특하고 이국적인 경험, 자아발견 경험이 태도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스마트관광 정보기술 속성의 구성 여부와 그 결과를 재확인하고, 스마트관광 정보기술의 지속적 사용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태도와 MTE 간 영향관계를 살펴 기존의 스마트관광과 관광경험 관련 연구와 차별점이 있으며, 관광객의 기억에 남는 경험을 한층 높이는 측면의 연구라는 점에서 중요한 시사점을 가진다.

      • KCI등재

        잘트만의 은유추출기법을 활용한 관광자의 기억에 남는 관광경험 도출 연구

        한관희,유재호,이계희 한국호텔외식관광경영학회 2022 호텔경영학연구 Vol.31 No.3

        관광경험은 일상에서의 경험과 비교해 비일상적인 특별한 경험으로 관광 연구자들은 관광자의 기억에 남는 관광경험의 제공에 많은 관심을 기울였다. 그 결과 ‘기억에 남는 관광경험(Memorable Tourism Experience (MTE)’을 개념화하고 이에 대한 구성요소를 식별하고자 하는 연구들이 다수 진행되었으나 근본 적으로 오랜 기간 기억되며 자아에 영향을 미쳐 삶의 전반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여행의 구성개념을 깊이 있게 이해하기 위한 체계적이고 포괄적인 연구가 필요하다고 판단하였다. 이에 본 연구는 시각적 질적 연구방법의 하나인 잘트만의 은유추출기법(Zaltman’s Metaphor Elicitation Technique, ZMET)을 활용하여 MTE 구성개념 도출 연구를 진행하였다. MTE의 구성개념 구분 및 채택을 위하여 근거이론을 적용한 3단계 의 코딩 과정을 거쳤다. 1단계의 개방 코딩을 적용하여 의미 있는 단어 및 어구 3,067개를 선정하였으며, 이 중 MTE와 관련된 표현 442개로 정리하였다. 2단계의 축 코딩을 통하여 31개의 범주와 105개의 하위 구조로 압축하였으며, 마지막 3단계로 선택 코딩을 거쳐 최종적으로 10개의 범주와 58개의 하위구조를 밝혀 내었다. 본 연구는 기존 연구와 비교해 ‘자기성찰과 자기발견’이 새롭게 도출되어 기존 연구와의 차별성을 지닌다. 또한 시각적 질적연구방법의 하나인 ZMET을 활용한 최초의 MTE 구성개념 도출 연구로 관광자의 무의식적 사고 구조를 의식의 차원으로 이끌어냄으로써 MTE를 도출해내었다는 점에서 학술적 의의가 있 다. 추후 관광 프로그램의 개발 및 마케팅 전략 수립 시 본 연구에서 도출된 10개의 구성개념과 하위 구성요 소에 노력을 집중하고 자원을 효과적으로 할당한다면 보다 유의미한 결과를 얻을 수 있을 것이다.

      • KCI등재

        기억에 남는 관광경험이 관광만족과 온라인 구전에 미치는 영향 연구

        배승현(Bae, Seung Hyun) 대구과학대학교 국방안보연구소 2021 사회융합연구 Vol.5 No.6

        본 연구에서는 기억에 남는 관광 경험을 구성하는 요인을 파악하고 기억에 남는 관광 경험, 관광 만족도와 온라인 구전 간의 영향 관계를 확인하고자 하였다. 연구 범위는 해외 관광 경험이 있는 한국인을 대상으로 하였으며, 조사 방법은 전문기관을 통한 인터넷 조사를 통해 425부를 수집한 설문을 분석에 활용하였다. 탐색적 요인분석을 통해 요인을 도출하고, 신뢰도 분석과 타당성 분석을 실시하였으며, 회귀분석을 통해 요인 간의 영향관계를 검증하였다. 연구 결과 기억에 남는 관광 경험 5요인 (현지 가이드경험, 인프라 경험, 이국적 경험, 자기 유익경험, 동반자 유대경험) 모두 관광 만족도에 유의한 영향을 미친 반면, 온라인 구전과 기억에 남는 관광 경험 요인 중 자기 유익 경험만이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를 바탕으로 학문적, 실무적 시사점을 제시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the factors that make up the memorable travel experience and to verify the impact relationship between the memorable travel experience and tourism satisfaction and Online Word-of-Mouth(eWOM). The scope of the study was aimed at Koreans with overseas tourism experience within the last 5 years. The investigation method demonstrated 425 copies of the data collected by conducting an Internet survey through a specialized institution. The factors were derived from exploratory factor analysis, reliability analysis and feasibility analysis were conducted, and the influence relationship between the factors was verified through regression analysis. As a result of the study, the five factors of memorable tourism experience (local guide experience, infrastructure experience, exotic experience, self-benefit experience, and companionship experience) all had a significant effect on tourism satisfaction. On the other hand, it was found that only self-benefit experience had a significant effect on the relationship with online word of mouth among memorable tourism experience factors. Based on this, academic and practical implications were provided.

      • KCI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