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만당음악학의 국제성 지향 재조명

        김희선 ( Hee Sun Kim ) 한국음악사학회 2015 한국음악사학보 Vol.55 No.-

        한국음악학의 효시인 만당 이혜구의 업적은 초기부터 한국음악학의 국제성을 지향하고 있음을 보여주고 있다. 이 연구는 만당의 정치적 행위로서의 국제적 행보와 학문적 행위의 두 측면을 통해 만당 한국음악학의 국제성 지향의 성격을 재조명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1909년 식민지 조선에서 태어난 만당은 식민지 서구식 음악교육을 받고 바이올린을 연주하였으며 경성제국대학의 영문과를 졸업하였다. 어린 시절 바이올린의 학습과 영문학 전공의 사회문화적 배경은 이후 만당 음악학의 국제성의 향방을 제시해 주었다고 보여진다. 만당의 국제성 지향은 1950년대 구미에서 구성되기 시작한 두 개의 국제학회(International Council for Traditional Music, Soceity for Ethnomusicology)의 회원으로 적극적으로 활동하면서 맺게 된 주요 학자들과의 교류로 시작된다. 만당은 다양한 정치적 행보를 통해 한국전통음악을 해외학계에 소개하고 한국음악학의 존재를 해외에 드러내는 매개자의 역할을 감당하였을 뿐 아니라 본인 또한 해외 학계의 주요학자로 활동하였다. 또한 만당은 해외학계의 동향을 국내 학계에 보고 함으로서 한국음악학계에 국제성 지향을 촉구하기도 하였다. 또한 만당은 대중매체의 지면을 통해서도 한국음악학의 국제성과 현대화 작업의 필연성을 지속적으로 주장하는가 하면 이에 대한 대중적 관심을 불러일으키고자 하였다. 만당은 1960년대부터 자신이 능통했던 영어와 일본어로 논문발표, 저서, 논문출판, 번역에 걸친 활발한 학술활동을 펼쳤다. 만당의 영어저작물의 주제는 한국음악의 개괄적 소개, 이론, 역사 악기, 장르, 창작음악을 망라하여 한국음악 전반을 영어권 독자에게 소개하고자 하였는데, 이들 연구물은 기본적으로는 자신의 연구물의 영어번역물의 성격을 지니고 있었다. 만당의 영어저작물은 대부분은 해당 분야 혹은 장르의 최초의 영문저작물로 이후 해외 한국음악학 연구자들에게 한국음악연구의 입문의 단초를 제공하여 해외 한국음악학의 발전에 결정적인 영향을 끼쳤다고 할 수 있다. 만당의 정치적, 학문적 행보는 이후 국제 음악학계의 형성과정에서 음악인류학계의 역사음악학 분과의 존립 및 아시아 음악학의 성립에 중요한 역할을 하였으며, 더 나아가 해외 한국음악학의 성립, 성장, 위상향상에 중요한 역할을 하였다. From early stages, writings of the late Lee Hye-ku 李惠求 [Yi Hye-gu] (1909-2010), pioneer in Korean musicology, aims for internationalism of Korean music. This study attempts to reinvestigate such international aspect of Mandang’s 晩堂 works, focusing both on his political/international activities and on his academic achievements. Mandang was born in 1909, while Korea was under the Japanese colonial period. He received Western music education, learned to play the violin and played at the Western orchestra and graduated from Keijo Imperial University 京城帝國大學 majoring in English Literature. Such socio-cultural background seems to have formed the foundation for his international tendency inherent in his later works as a musicologist. His internationalism became even more evident as he, as a member of two international organizations; ICTM (International Council for Traditional Music) and SEM (Society for Ethnomusicology), began interacting with other renowned international music scholars. Through political venue Mandang introduces Korean traditional music to foreign scholars and worked as a intermediary for Korean traditional music, while continuing to focus on his personal research activities. He also discussed international academic issues with scholars within Korean musicology, motivating Korean scholars to ‘view the larger picture.’ Also by means of popular media and magazines, he continued to pursue and bring general attention to the goal of modernizing and internationalizing Korean musicology. From the 1960s Mandang produced various writings in English and in Japanese, as well as many translating works, to be published in various journals and books. His writings in English usually dealt with general introduction and history of Korean music, as well as general theory, musical instruments, and modern compositions to be introduced to English-speaking readers. Mostly translated from his former research written in Korean, his English writings were the first in introducing respective Korean musical genres, and played a crucial role in providing basic research material for international scholars interested in Korean music. Mandang’s political and academic activities played an important role in both strengthening the position of historical musicology within ethnomusicology and developing Asian music studies in general, not to mention his contribution in nurturing and in raising the position of Korean musicology in the field of ethnomusicology.

      • KCI등재

        만당음악학의 국제성 지향 재조명

        김희선 한국음악사학회 2015 한국음악사학보 Vol.55 No.-

        한국음악학의 효시인 만당 이혜구의 업적은 초기부터 한국음악학의 국제성을 지향하고 있음을 보여주고 있다. 이 연구는 만당의 정치적 행위로서의 국제적 행보와 학문적 행위의 두 측면을 통해 만당 한국음악학의 국제성 지향의 성격을 재조명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1909년 식민지 조선에서 태어난 만당은 식민지 서구식 음악교육을 받고 바이올린을 연주하였으며 경성제국대학의 영문과를 졸업하였다. 어린 시절 바이올린의 학습과 영문학 전공의 사회문화적 배경은 이후 만당 음악학의 국제성의 향방을 제시해 주었다고 보여진다. 만당의 국제성 지향은 1950년대 구미에서 구성되기 시작한 두 개의 국제학회(International Council for Traditional Music, Soceity for Ethnomusicology)의 회원으로 적극적으로 활동하면서 맺게 된 주요 학자들과의 교류로 시작된다. 만당은 다양한 정치적 행보를 통해 한국전통음악을 해외학계에 소개하고 한국음악학의 존재를 해외에 드러내는 매개자의 역할을 감당하였을 뿐 아니라 본인 또한 해외 학계의 주요학자로 활동하였다. 또한 만당은 해외학계의 동향을 국내 학계에 보고함으로서 한국음악학계에 국제성 지향을 촉구하기도 하였다. 또한 만당은 대중매체의 지면을 통해서도 한국음악학의 국제성과 현대화 작업의 필연성을 지속적으로 주장하는가 하면 이에 대한 대중적 관심을 불러일으키고자 하였다. 만당은 1960년대부터 자신이 능통했던 영어와 일본어로 논문발표, 저서, 논문출판, 번역에 걸친 활발한 학술활동을 펼쳤다. 만당의 영어저작물의 주제는 한국음악의 개괄적 소개, 이론, 역사 악기, 장르, 창작음악을 망라하여 한국음악 전반을 영어권 독자에게 소개하고자 하였는데, 이들 연구물은 기본적으로는 자신의 연구물의 영어번역물의 성격을 지니고 있었다. 만당의 영어저작물은 대부분은 해당 분야 혹은 장르의 최초의 영문저작물로 이후 해외 한국음악학 연구자들에게 한국음악연구의 입문의 단초를 제공하여 해외 한국음악학의 발전에 결정적인 영향을 끼쳤다고 할 수 있다. 만당의 정치적, 학문적 행보는 이후 국제 음악학계의 형성과정에서 음악인류학계의 역사음악학 분과의 존립 및 아시아 음악학의 성립에 중요한 역할을 하였으며, 더 나아가 해외 한국음악학의 성립, 성장, 위상향상에 중요한 역할을 하였다. From early stages, writings of the late Lee Hye-ku 李惠求 [Yi Hye-gu] (1909-2010), pioneer in Korean musicology, aims for internationalism of Korean music. This study attempts to reinvestigate such international aspect of Mandang’s 晩堂 works, focusing both on his political/international activities and on his academic achievements. Mandang was born in 1909, while Korea was under the Japanese colonial period. He received Western music education, learned to play the violin and played at the Western orchestra and graduated from Keijō Imperial University 京城帝國大學 majoring in English Literature. Such socio-cultural background seems to have formed the foundation for his international tendency inherent in his later works as a musicologist. His internationalism became even more evident as he, as a member of two international organizations; ICTM (International Council for Traditional Music) and SEM (Society for Ethnomusicology), began interacting with other renowned international music scholars. Through political venue Mandang introduces Korean traditional music to foreign scholars and worked as a intermediary for Korean traditional music, while continuing to focus on his personal research activities. He also discussed international academic issues with scholars within Korean musicology, motivating Korean scholars to ‘view the larger picture.’ Also by means of popular media and magazines, he continued to pursue and bring general attention to the goal of modernizing and internationalizing Korean musicology. From the 1960s Mandang produced various writings in English and in Japanese, as well as many translating works, to be published in various journals and books. His writings in English usually dealt with general introduction and history of Korean music, as well as general theory, musical instruments, and modern compositions to be introduced to English-speaking readers. Mostly translated from his former research written in Korean, his English writings were the first in introducing respective Korean musical genres, and played a crucial role in providing basic research material for international scholars interested in Korean music. Mandang’s political and academic activities played an important role in both strengthening the position of historical musicology within ethnomusicology and developing Asian music studies in general, not to mention his contribution in nurturing and in raising the position of Korean musicology in the field of ethnomusicology.

      • KCI등재

        만당 이혜구(1909~2010)의 음악사학

        신대철 한국국악학회 2015 한국음악연구 Vol.58 No.-

        1943년 「양금신보 4조」로부터 출발한 만당 이혜구 선생님의 우리 음악사학 관련 연구는 일부 민속음악을 제외한다면 한국인에 의한 서양음악을 포함하여 거의 모든 갈래의 우리음악을 대상으로 한 실증적 음악사 연구를 통해 큰 성과를 거두었다. 고대로부터 20세기 전반에 이르는 역사적 유물이나 악보 및 기록이 있는 모든 갈래의 음악과 그 주변 상황이 보다 바람직한 우리 음악사학 정립을 위한 선생님의 연구대상이 되었다. 선생님의 4회에 걸친 우리 음악사 서술, 3회에 걸친 악학궤범의 역주, 정간보를 비롯한 여러 옛 악보집에 담긴 음악실체와 그 해독 방법에 관한 연구결과들은 특별히 이 방면의 우리 음악사학 정립에 지대한 영향을 주면서 후학들을 위한 바른 지침이 되는 성과를 거두고 있다. 선생님은 1943년에서 1985년에 이르는 선생님의 모든 연구 여정을 대략 10년을 주기로 하여 모두 네 이정표로 나누었으나, 2005년에 이르는 지속된 선생님의 연구여정은 여기에 두 이정표를 더할 수 있게 하였다. 이후 생의 마지막 순간까지도 문제 해결을 위한 학문적 산을 넘는 선생님의 연구 여정은 쉼이 없었다. 이와 같은 쉼 없는 학문적 여정에서 선생님의 강한 지행(知行)의 실증적인 긍정적 연구태도는 끊임없이 실존의 생명력을 발휘하였고, 바로 이러한 점은 선생님 음악사학의 큰 특징이 된다. 선생님에 의하면 우리의 음악사학은 주로 역사적 악보와 유물을 가진 과거의 우리음악을 연구대상으로 하는 역사적 음악학에 해당되기 때문에 우리의 음악사학은 증명을 중시하여야 하며, 연구방법보다는 연구주제를 중시하여야 하고, 가설에서 출발하는 연역방법보다는 비교방법을 통해서 같음이 아닌 다름의 의미를 연구하고, 그 결과를 바른 용어를 사용하여 설명하는 학문이어야 한다. 선생님은 음악사학적으로 풀어야 문제의식의 확보와 문인의 음악활동사 시도를 중요한 과제로 보면서 단편적인 음악사학적인 점을 선으로 연결하는 작업을 보다 시급한 과제로 보았다. 바로 선생님의 이러한 모습에서 현재의 음악사학자와 과거 사실과의 중단 없는 대화를 통한 소통적 음악사학관과 어려운 상황의 도전에 불굴의 정신으로 응전하는 강한 지행(知行)의 긍정적 음악사학관이 읽혀진다. 선생님은 이와 같은 우리음악을 바라보는 음악사학관에 바탕 하여 일관되게 실증적 방법으로 우리의 음악사와 관련된 제반 사안들을 삶의 마지막 순간이 이르기까지 중단 없이 논구하여 우리 음악사학의 미래를 여는 새 길을 개척하였고, 후학들이 그 길을 편하게 갈 수 있도록 하였다. Lee Hye-Ku’s studies on Korean historico-musicology, which started in 1943, include almost all genres and periods of Korean traditional music and Western music composed by Korean composers under the rule of Japanese imperialism except for some Korean folk music. Positively conducted his all studies were rewarded with good fruits. Historical remains from the antiquity to the first half of the 20th Century, musical pieces in old musical anthologies, and literally recorded music of all genres and surrounded situations of it were his study themes for the establishment of Korean historico-musicology. Of all his studies, especially his four separated writings on Korean music history, three annotated translations of Akhak-gwebeom (canon of music) and all study results on musical pieces and the way of interpretation of those music in old anthologies of music including square musical notation have influenced the establishment of Korean historico-musicology based on these fields and have been crowned with great success of becoming a right guide for younger scholars of next generations. He roughly marked his all study results from 1943 to 1985 as four periodical milestones based on about ten years; however, he had not stopped his study since then so that we can add another two more periodical milestones considering his study until 2005 based on about ten years as well. It goes without saying that he had not stop to study for solving the problems and crossing academic mountains since 2005. His positive and affirmative studying attitudes based on strong knowledge and conduct had continually demonstrated viable existential power, and this power is a distinguished characteristic of his historico-musicology. According to him, Korean historico-musicology should lay stress on verification, study theme than study method and study the meaning of difference through comparative way than deductive way which started from hypothesis. Finally it should be a science which explains the study results using right terminology because Korean historico-musicology is corresponded to historical musicology focused mainly on historic musical notations and remains of the past according to him, too. Considering of securing the cognitive faculty of academic problem and studying the history of Joseon literati music as two of the most important tasks, he thought of the work for connecting some bits of dot like information on music history with line as more important and urgent thing for his study of music history to solve. We can read his strong affirmative philosophy of music history based on knowledge and conduct challenging the worst difficulty with an indomitable spirit in upper mentioned his thought which shows communication between a present music historian and the musical facts of the past without interrupting. He had continually studied almost all subjects concerned on Korean music history until his death without any discontinuation using positive way based on the upper mentioned his philosophy of music history. He had blazed a trail in a new way of opening the future of Korean historico-musicology, and paved a highway for younger scholars to come.

      • KCI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