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펼치기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중국 고대의 ‘사랑’ 개념과 사랑시의 주제 ― 先秦에서 唐代까지의 사랑시를 중심으로

        金俊淵 ( Kim Joonyoun ) 중국어문연구회 2022 中國語文論叢 Vol.- No.111

        This paper attempted to analyze love poetry in China and investigate the concept of love in ancient China, the main themes of love poetry, and the typicality and emotions of love poetry by period. For this, a representative poems were selected and a topic modeling study was conducted by analyzing the TF-IDF index. Topic modeling is a statistical model for identifying the subject of a particular text. TF-IDF is a method of approaching the subject of poetry by analyzing the frequency of poetic words. Since there are no separate documents collected only from ancient Chinese love poems, this paper selected 164 love poems several documents by period and made separate documents for TF index analysis. The documents for IDF index analysis were made into 942 poems contained in three documents containing about 300 poems by period. For these poems, I secured a list of the top 50 TF-IDF indices for topic modeling. In ancient China, love is a concept closely related to the social system of marriage. Therefore, it is difficult to explain with modern love theory that values only the emotional aspect. As the theme of ancient Chinese love poems shifted from Pre-Chin(先秦) to Tang(唐) Dynasty, the theme of ‘breakup’ was strengthened rather than ‘passionate love’. Overall, ‘思’ which means ‘missing’, was found to represent the characteristic aspect of ancient Chinese love poetry. Sub-topics of love poetry include ‘Breakup’ and ‘Worry’. This is not because the concept of love has changed, but rather because the perception that love poetry should also be the result of intellectual actions has become stronger. The typicality of love poetry of each period was explored by dividing 164 love poems by period and examining the TF-IDF index. Pre-Chin’s love poems are characterized by many works that sing pure love, and female speakers are the mainstream. Although women appear as the main characters in the love poems of Han-Wei and Six Dynasties, it is evaluated that indirectness or figurativeity has increased in that most of the poets were men. The breakup quickly emerged as a major theme and the description became more delicate. In love poetry of the time, the ingredient of resentment was strengthened, and the theme of betrayal was often mentioned. It is also noteworthy that ‘tears’ was frequently used. Among the top 50 words in the TF-IDF index, those that do not overlap with each period were analyzed to see how the expression representing the emotions of love poetry changed. As a result, the role of ‘heartache(傷)’ in the Pre-Chin, ‘worry(憂)’ in the Han-Wei and Six Dynasties, and ‘resentment(恨)’ in Tang dynasty stood out. Pre-Chin’s love poems often expressed heartbreaking emotions that he/she could not be with his/her beloved. The love poems of Han-Wei and Six Dynasties dealt with the worries of the wife or husband who were engaged in staying alone due to separation or bereavement. The love poems of the Tang dynasty have been embodied several times in which they resent and lament the situation in which love is difficult to achieve amicably.

      • KCI등재

        키에르케고어의 사랑론과 나르시시즘 그리고 교육

        김동규 중앙대학교 중앙철학연구소 2023 철학탐구 Vol.72 No.-

        이 글의 목적은 키에르케고어의 사랑론을 간결하게 요약하고, 그것의 정수가 성스러운 나르시시즘임을 입증하는 데 있다. 그러는 과정에서 본 논문은 그의 사랑론이 예수의 언행에 기초를 둔 대표적인 헤브라이즘적 사랑론임을 밝힐 것이다. 이 작업은 플라톤 사랑론과의 선명한 비교를 통해서 진행될 것이다. 마지막으로 사랑에 내재한 교육학적 차원이 맹목적인 사랑, 그 정열의 파고(波高)를 헤쳐 나가는 나침반 역할을 하고 있음을 보여줄 것이다. 키에르케고어에 따르면, 진정한 사랑이란 자기 부정과 희생을 통해 확보되는 이웃 사랑이다. 이 사랑은 신 앞에서 평등한 사랑이다. 반면 우리가 통상 사랑이라 부르는 것, 곧 에로틱한 사랑이나 우정의 본질은 편애다. 여기서 사랑의 대상은 또 다른 ‘나’에 불과하다. 편애를 통해서 궁극적으로는 자기를 사랑하는 것이다. 한편 사랑관계는 3자관계로서 사랑하는 사람, 사랑받는 사람, 그리고 사랑으로 구성된다. 여기서 중간항으로서의 사랑이 바로 키에르케고어가 이해했던 신(神)이기도 하다. 아름다운 사람만을 사랑의 대상으로 선택하는 플라토닉 러브와는 반대로, 키에르케고어는 못나고 추한 사람을 사랑해야만 한다고 주장한다. 못난 이웃이더라도 피조물에 내재한 신성(신과의 유사성), 즉 사랑의 씨앗이 감춰져 있기 때문이다. 이 점에서 그의 사랑관은 사랑(신과 자기 속의 신성)이 사랑(타인 속의 신성)을 사랑하는 동어반복적인 절대적 나르시시즘이다. 이렇듯 키에르케고어가 사랑을 절대화한 까닭은 ‘성장해야한다’라는 당위 때문이라고 해석할 수 있다. 그에게 교육의 당위는 사랑에 힘입어 무조건적이고 절대적인 것이며, 교육적 정향(Orientation)으로 말미암아 사랑은 맹신으로부터 거리를 둘 수 있게 되었다. This paper aims to concisely summarise Kierkegaard’s theory of love and demonstrate that its essence is absolute narcissism. The paper will compare Plato’s theory of love to Kierkegaard’s and show that the latter is derived from Hebraic traditions and is based on Jesus’s teachings. Finally, it will be shown that education is deployed as a device to prevent love, which occupies the highest ontological position, from falling into dogma and blind faith. Kierkegaard posits that neighbourly love, which involves self-denial and sacrifice, is the embodiment of true love. Thus, it is a love that emphasizes equality in the sight of God. However, the fundamental nature of what we commonly refer to as love, encompassing both erotic love and friendship, is based on personal preference. In this context, the object of love is another ‘self.’ Ultimately, in such relationships, one loves oneself. A loving relationship constitutes of three entities: the lover, the beloved and the love shared between them. Kierkegaard believes that God, as perceived by him, is represented by the concept of love as an intermediary. In contrast to platonic love, which chooses only what is good and beautiful to love, Kierkegaard argues that we should also love the ugly. This is because even an unattractive neighbor contains the seed of love by being a creature that resembles God. Thus, one can conclude that Kierkegaard’s view of love is the absolute narcissism, in which the divine in me loves the divine in others. Kierkegaard deifies love in this way because of the pedagogical imperative to grow up. For him, the pedagogical imperative is unconditional and absolute, driven by love, and the value of education helps to protect love from blind faith.

      • KCI등재

        사랑의 점화와 지각편향

        신홍임,김민식 한국사회및성격심리학회 2012 한국심리학회지 사회 및 성격 Vol.26 No.4

        사랑은 대상의 지각에 어떤 영향을 주는가? 본 연구에서는 긍정적인 정서가 대상의 전체 지각을 촉진한다는 선행연구들을 토대로 긍정적인 정서의 한 예로 볼 수 있는 사랑의 점화가 전체지각을 수월하게 하는지를 살펴보고자 하였다. 또한 한 개인이 추구하는 사랑의 유형에 따라 전체/부분지각에서 자기조절과정의 초점이 달라지는지를 탐색해보고자 하였다. 실험 1에서는 사랑의 점화조건에서 통제조건에 비해 전체지각이 부분지각보다 빨라지는 경향이 나타났다. 이 결과는 사랑의 점화가 무의식적으로 전체지각에 영향을 주는 것으로 해석할 수 있다. 실험 2에서는 현재 이성친구와 교제를 하는 대학생들을 대상으로 이성친구의 이름으로 사랑을 점화하고, 전체/부분 지각과제를 수행하도록 했다. 그 후 질문지를 실시하여, 낭만적 사랑과 우애적 사랑의 유형으로 구분하고, 사랑의 유형에 따라 전체 지각과 부분 지각의 반응시간에서 차이가 나타나는지를 비교하였다. 그 결과, 낭만적인 사랑의 유형에서는 전체지각이 부분지각보다 더 빨리 진행되었으나, 우애적 사랑의 유형에서는 전체지각과 부분지각 간에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이 결과는 사랑이 점화되는 유사한 상황에서도 개인이 현재 추구하는 사랑의 상이한 유형이 전체 또는 부분지각에 다른 영향을 주게 되는 것으로 해석할 수 있다. 논의에서는 후속연구의 진행방향과 지각의 자기조절과정에 영향을 줄 수 있는 변인들을 다루었다. On the basis of previous research showing that positive emotion like love facilitates global perception, two experiments were carried out to answer, whether the love priming always has a positive impact on global processing, and whether global versus local perception varies with the self-regulatory focus associated with love styles. In Experiment 1, participants were primed by either imagining a walk with a person they were in love with (love priming condition) or a walk alone (control condition). Then, they were shown large letters made of small letters and decided if either of two specific letters appeared on the screen. In contrast to this, in Experiment 2, love was primed subliminally with the name of the loved person and the participants had to do the letter task as in the previous experiment. In addition, they had to fill out the love style scales and were divided into two groups (romantic love and companionate love). Experiment 1 showed that the love priming condition reduced the reaction time for the global perception compared to the control condition. In Experiment 2, love priming also facilitated global perception in the group of romantic love. However, in the group of companionate love, global processing benefits decreased after the love priming trials. The results implicated that various love styles could be differentiated in regard to different goals which might have an impact on the self-regulatory focus in perception.

      • KCI등재

        사랑, 사랑의 신학 그리고 한국인의 정 -몰트만의 사랑의 하나님 이해를 중심으로

        김정두 ( Jung Doo Kim ) 한국조직신학회 2014 한국조직신학논총 Vol.40 No.-

        이 논문은 사랑의 신학의 관점과 방법론을 바탕으로, 새로운 구성적 사랑론과 세계의 현대 위기 상황 속에서 정의와 평화를 위한 기독교 신학과 실천의 새로운 방향을 모색한다. 신학은 하나님의 사랑을 드러내고 나누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하는 학문이다. 이해를 추구하는 사랑으로서의 사랑의 신학은 개념이나 추상보다는 사랑의 경험과 실천과 함께 출발하는 신학이다. 사랑이 지식을 선행하고 사랑이 지식을 가져오는 것이라는 이해를 바탕으로, 사랑의 인식론이 사랑의 신학의 토대로 제안된다. 본 논문은 몰트만의 신학을 현대 세계를 위한 사랑의 신학의 관점에서 해석하고 제시한다. 그의 신학은 희망의 신학으로 특징 지워진다. 그러나 그는 그 자신의 사랑의 신학을 발전시키고 있음을 발견할 수 있다. 그에게 사랑은 삼위일체적 상호순환침투적 사귐, 신적인 선의 자기 소통, 세계 속에 있는 각각의 자아 안에서 혹은 자아를 통해서 흐르고 있는 우주적 쉐키나의 여정 혹은 흐름, 그리고 자기 제한으로서의 케노시스이다. 그의 사랑론에서 가장 독특한 주제들 중 하나는 하나님이 세계와 함께 고통을 당한다는 것이다. 몰트만은 하나님이 사랑의 하나님 혹은 공감의 하나님임을 논하고 강조한다. 인간에게 있어서는 하나님의 사랑에 대한 응답과 참여가 요청된다. 그의 사랑 이해에서 서양 전통의 담론들에서의 아가페와 에로스의 이원성 혹은 이항대립성이 해체되고 극복되고 있다. 몰트만은 근대철학이 주장했던 분리된 주체들 대신에 간주체성의 관점에서 주체들을 이해한다. 이와 같은 방식으로 몰트만은 새로운 사랑 이해를 발전시킨다. 한국인의 정 개념은 몰트만의 사랑론과 깊고 큰 공명함을 가지고 있음을 발견할 수 있다. 정은 독특한 한국인의 사랑 개념이다. 그것은 아가페, 에로스 그리고 기타 다른 사랑의 형식들을 포괄하는 개념이다. 그것은 가족적인 끈끈한 관계성이다. 그것은 주체와 객체, 애정과 미움, 또는 억압자와 피억압자 간의 분리와 경계를 넘어서 타자에게 열려있는 상호의존적이고 상호침투적인 주체들 사이에서 형성되는 것이다. 정은 특정한 시간과 공간 속에서 함께 존재하며 기쁨도 고난도 나누면서 고운정과 미운정을 통하여 깊어진다. 이것은 신체화된, 성육화된, 그리고 케노시스적 사랑이다. 이 사랑 속에서 한국적 사랑의 신학의 가능성을 발견해 낼 수 있다. Based on the perspective and method of a theology of love, this article seeks a constructive notion of love and a new direction of Christian theology and practice for justice and peace in the contemporary context of the crisis of the world. Theology is a dis- cipline whose purpose is to disclose and share the love of God. A theology of love as love seeking understanding is that which be- gins with the experience and practice of love rather than a concept and abstraction. Based on the idea that love precedes and brings knowledge, the epistemology of love is suggested as grounds for the theology of love. This essay interprets and presents Moltmann’s theology as a theology of love for the contemporary world. His theology is cha- racterized by a theology of hope. However, one can find he deve- lops his own theology of love. For him, love is a trinitarian peri- choretic fellowship; God’s self-communication of the good; the odyssey or stream of the cosmic Shekinah within or through each self in the world; and kenosis as self-limitation. One of the most distinctive theses in his notion of love is that God suffers with the world. Moltmann argues and highlights that God is the compas- sionate God. For human beings, the response to and participation in God’s love is required. In his understanding of love, the dicho- tomy or binarity of agape and eros in the Western traditional dis- courses is deconstructed and overcome. Moltmann understands subjects from the perspective of intersubjectivity instead of the separated subjects that modern philosophy has assumed. In this way, Moltmann unfolds a new understanding of love. One can find that the Korean concept of jeong has deep and great resonance with Moltmann’s notion of love. Jeong is a unique Korean concept of love. It entails the dimensions of agape, eros, and other forms of love. It is a familial, sticky relationality which is formulated among interdependent and interpenetrating subjects who are open to the other beyond the separation and boundary bet- ween subject and object, affection and hate, or the oppressor and the oppressed. Jeong is deepened through go-eun jeong and mi-eun jeong while existing together in a certain time and place and sha- ring joy and suffering. It is an embodied, incarnated, and kenotic love. In this love of jeong, one can discern the potentiality of a Korean theology of love.

      • [서평]에리히 프롬(Erich Fromm)의 『사랑의 기술』 : 사랑은 배워야 할 기술이다

        김선영(Sun-young Kim) 통섭인문학회 2022 통섭인문학 Vol.1 No.1

        사랑은 인간의 삶에서 빠질 수 없는 주제이기에 우리는 태어나서 죽을 때까지 사랑이란 화두를 놓고 끊임없이 ‘진정한 사랑’에 대해 알고자 한다. 필자 또한 사랑이란 무엇이며, 어떻게 진심으로 타인을 사랑할 수 있을까를 고민해 왔다. 성숙한 사랑을 하기 위해서 무엇을 깨달아야하고, 무엇을 행해야 하는지를 에리히 프롬(Erich Fromm)의 저서 『사랑의 기술』(The Art of Loving, 1956) 을 통해 이해하는 계기가 되었다. 지금까지 사랑을 수동적인 감정으로 생각하며 상대방에게 사랑을 주기보다는 받으려고 더 많이 노력해 왔던 필자에게 이 책은 사랑의 의미를 재정의할 수 있는 계기를 마련해 주었다. 또한 사랑은 사랑할 줄 아는 기술을 습득하고 끊임없이 훈련하는 과정에서 성숙해짐을 깨닫는다. Since love is an indispensable subject in human life, we constantly want to know about 'true love' with the topic of love from birth to death. I have also been thinking about what love is and how to truly love others. Through Erich Fromm's book The Art of Love , it became an opportunity to understand what to realize and what to do in order to have mature love. This book provided an opportunity to redefine the meaning of love for me, who had thought of love as a passive emotion and tried harder to receive love than to give it to the other person. In addition, I realize that love matures in the process of acquiring art to love and constantly training.

      • KCI등재

        A Political Value of Love in Shakespeare's Antony and Cleopatra, against the Regime og Brothers

        장선영 한국중세근세영문학회 2008 고전·르네상스 영문학 Vol.17 No.1

        Shakespeare's Antony and Cleopatra shows how love could give an alternative value against the regime of brothers in Shakespeare's Antony and Cleopatra. This trial to find a new political value in love accompanies a critical perspective on the serious harm the western civilization has brought out. In the play, the regime of brothers consisted of the Roman triumvirate, Caesar, Antony, and Lepidus, though representing the ideal of Roman empire, is closely associated with imperialism, nationalism, and racism. Freud, in his Group Psychology and the Analysis of the Ego, defining the group as the constitution of group members under the ideal or transcendental leader, points out that this group lies in conflict with love. Freud also states that group includes in it the cruel hostility against others, whereas love shows a creative power that could cross the national and racial boundaries. As love is closely related with women group alienates women first. Therefore, thinking of women in the political realm means embracing not only the first others, woman but also other political sense of others, national and racial strangers. This hostile relationship between the regime of brothers and love can be each compared to the masculine and the feminine side in Lacan's sexuation. If the regime of brothers is related with the masculine subjectivity that assumes a certain exception, love is connected to the feminine subjectivity, its inconsistency or not-wholeness, which does not include an exception. In Antony and Cleopatra, Cleopatra consistently shows the feminine side's not-all subjectivity through her masquerade. Antony undergoes a subjective transformation which is affected by his love with Cleopatra, from the external division between his love and duty, to the internal division that indicates a shame about his being, his split subjectivity. In psychoanalysis, love, founded on a non-imaginary, non-natural, and non-human theory of sexual difference, is to mark a sexual impossibility, not the sexual fantasy of harmony. Antony and Cleopatra's not-all subjectivities and their love confirm this love that exceeds the sexual fantasy. This love provides a new political value against Caesar's imperial conquest.

      • KCI등재

        홍대용(洪大容)의 범애(汎愛)의미 연구

        신정근 ( Jeong Keun Shin ) 동양철학연구회 2015 東洋哲學硏究 Vol.82 No.-

        孔子는 “사람을 사랑하라”는 仁의 덕목을 강조했다. 이로써 사랑이 중국철학의 주제로 등장했다. 墨子는 보편적인 사랑[兼愛]과 차별적인 사랑[別愛]으로 구분했다. 별애가 세상을 끊임없는 대립과 투쟁의 상태로 이끌고 겸애야말로 세상의 무질서와 혼란을 극복할 수 있다고 주장했다. 그는 공자의 인이 가족적 유대에 바탕을 두고 있으므로 별애에 해당된다고 보았다. 孟子는 묵자의 겸애가 ‘아버지가 없는 상태’[無父]를 초래한다고 비판했다. 맹자의 비판 이후에 유학 철학에서 겸애를 찬성하기가 쉽지 않았다. 조선 후기 洪大容은 汎愛개념을 통해서 兼愛의 금기를 깨뜨리려고했다. 나아가 그는 華夷一과 人物均의 주장을 펼쳤다. 이전에 맹자는 성선의 평등을 말하지만 성선의 실현에 따른 방법론적인 차등을 주장했다. 이것은 군자가 소인을 계몽하고 지배해야 한다는 사회 질서를 반영한것이다. 홍대용은 사랑에 대한 맹자의 모순을 해결하고자 했다. 그 결과그는 한 사회의 신분과 국제 관계의 우열 등을 뛰어넘는 새로운 지평을 개척할 수 있었다. Kongzi emphasized virtue of humanity(仁) that “take care of man.” Now love became the subject of chinese philosophy. Mozi divided love into indiscriminate love or universal love(兼愛) and graded love(別愛). Partial love make society result in endless opposition and struggle. But universal love make society overcome disorder and confusion. He insisted that Kongzi’s humanity(仁) based on family bond lead to graded love. Mengzi criticized that Mozi’ universal love bring out the state without father(無父). After the bitter criticism of Mengzi, no one dare to speak the justification of universal love. Through love for everyone, Hong Dae-yong(洪大容, 1731~1783) intended to break taboo of universal love in the later Joseon. Further he asserted equality of Chinese and foreigner, equality of human and things. Prior to Hong Dae-yong, Mengzi adhered to equality of the goodness of human nature(性善) but methodological discrimination of it’s realization. Because he believed the social order that exemplary person(君子) enlighten and control ordinary person(小人). Hong Dae-yong intended to solve the contradiction of Mengzi’ thought. Therefore he can develop the new horizon that overcome the social rank and international degree.

      • KCI등재

        『사랑의 헛수고』에 대한 통과의례적 해석

        홍기영(Ki-young Hong) 한국셰익스피어학회 2004 셰익스피어 비평 Vol.40 No.2

        Love's Labour's Lost has been regarded as one of the most difficult and obscure comedies of Shakespeare. As the tittle of this comedy implies, love's labour is so full of word play and abstract talking that it seems to be lost. But love's labour is won after a long trial and endurance at the end of the play. The great amount of word play which caused some difficulty to approach this comedy is another merit to make the audience come back to the stage and readers to the text. In this paper, I tried to analyze the actions of the main men characters in Love's Labour's Lost by applying the rite of passage of anthropology. The period of separation, transition and incorporation can be traced through the actions of the main men characters. I pointed out that the four young men go through the long period of hardship and penance, but arrive at the last step of love achievement at the end of the play. The four young men of Navarre who swear to fast and study for three years take the course of the three steps of the rite of passage. The four young men are forced to break their vows by falling in love with the four young women from France. But the way of courting between the lovers of Love's Labour's Lost is very different from the other Shakespeare's romantic comedies. Especially the youthful King of Navarre with three other courtiers acts in a group, so there is no personal talk or action with his love partner. The love among the young men is implied in the word plays such as quibbling, jokes and punning or in writhing love poems. So the four young men seek their love only in the form of abstraction. The four young women make fun of their partners by way of testing their love. The four young men who are confined in the house of abstract study and fanciful love are driven and tested by their partners. At the end of the play, Shakespeare shows another aspect of treating with the final of his romantic comedies by making the Lord of Marcade appear with the news of the sudden death. By this abrupt ending, Shakespeare reassures the unreality of the merry courting of the young men before they are fully accepted by their partners. And by postponing love commitment for twelve months, Shakespeare emphasizes that the young men should be more trained to be in the state of maturity and incorporation.

      • KCI등재

        동서양 사랑시를 통해 본 사랑의 개념 차이 연구

        정수현,정경조 한국사상문화학회 2014 韓國思想과 文化 Vol.72 No.-

        The emotion of Love is universal but each society has each way to understand and interpret it. Though love has general desire beyond time, space and culture, it is a historical thing affected by life condition, ruling ideology, and viewpoint of each era and the theme of love can be the critical criterion of spiritual and cultural ways. But, in Korean culture history, love was degraded as private section or women's affairs , couldn't an academic subject, and was regarded as the part of theme. The analysis object of this thesis is the literature, essence of love expression, especially love poems. Love is universal and essential problem and one of main themes in literature. Although it can vary in personal characteristics, conditions and communities experiences, it has existed in all ages and cultures. It has been reborn in spite of the changes of era and art convention because of the lasting desire of love. The distinct difference of Oriental and Occidental love is self-actualization and others-realization, egocentrism and altruism. Self-actualization and egocentrism is that the selfish desire is based upon the premise of reciprocality and others-realization and altruism is that love is oriented to organic communities. To put it in another way, social order or custom can be the object of conflict in Occident but the object of obedience in Orient. Therefore, it must be ruled by social control. The ‘Korean Love’ is different in each era, but it must be molded primarily by Confucian order. Confucius recommends praises the harmony of husband and wife but disdains and oppresses the love of unmarried couples. In Korean traditional narration, the love between men and women had not been thought of as instinct or pleasure but moral value and religious belief. Most of Korean love poems have made the poetic narrator heroine and expressed the love and longing for her beloved regardless of their authors sex because when an author chooses a poetic narrator, it can be affected by his unique type of creation and traditional system. There are two reason to stifle this lovely emotion in Korea. First of all, they think that the more oppressed, the more innocent and strong. Secondly, that's because they put the solicitude of others before themselves. 사랑은 인류보편의 정서지만 그것을 이해하고 해석하고 풀어내는 감각은 사회마다 다르다. 사랑은 시간과 공간, 문화를 초월하는 인간의 보편적 욕망을 담고 있지만 각 시대의 삶의 조건이나 지배 이념, 가치관에 영향을 받는 역사적인 것이어서 사랑주제는 한 시대의 정신적 문화적 양식을 보여줄 수 있는 중요 척도로 사용될 수 있다. 그러나 한국 문화사에서 사랑은 사적(私的) 영역으로 치부되거나 여성의 일로 폄하된 채, 진지한 학문적 탐색 대상이 되지 못했고 다른 주제의 일부분으로 다룬 정도에 불과하였다. 본 연구의 분석대상이 되는 주요 자료는 시대마다 양산된 사랑 표현의 결정체라고 할 수 있는 문학, 그 중에서도 사랑시를 그 대상으로 삼으려 한다. 사랑은 보편적이고 근원적인 인간문제로서 문학의 주요주제 중 하나이다. 사랑에 있어서의 그 정조나 색조가 사람됨에 따라 또한 시대 변동의 조건에 따라, 한 집단의 공동체적 경험에 따라 다양하지만, 동서고금을 가릴 것 없이 특히 남녀 간의 사랑에 대한 문학적인 표현은 엄연히 주류로서 항상 존재해 왔다. 비록 시대가 변하고 예술의 형식이 변했을 지라도 사랑을 향한 인간의 욕구는 변하지 않았기 때문에, 문학속의 사랑은 언제나 새로 태어나면서 이어져 왔다. 동서양의 사랑관의 가장 뚜렷한 특징 또는 차이점은 ‘자기실현’과 ‘타자실현’, ‘개인 중심’과 ‘사회 중심’으로 요약할 수 있다. 자기실현과 개인중심은 자신의 궁핍한 욕망을 채우려는 이기심(利己心)이 항상 주는 만큼 받으려는 상호성을 전제로 하고 있다는 것이고, 타자실현과 사회중심의 사랑관은 개인이 속한 사회 전체를 유기체로 보고 그 안에서 개인의 욕망실현을 고려하는 지극히 이타주의적인 사고를 말하는 것이다. 따라서 서양식 사랑관에서의 사회적 질서나 관습은 극복과 투쟁의 대상이었지만 동양식 사랑관에서는 순응과 수용의 대상이었기 때문에 인간의 본성인 사랑의 감정도 사회의 통제를 피할 수 없었던 것이다. ‘한국인의 사랑’은 시대에 따라 그 모습을 달리했으나 한국인의 사랑 개념을 주로 형성한 것은 유교의 질서이다. 유교는 자손의 번영을 전제로 하는 부부사이의 화합을 용인하고 또 그것을 찬미한다. 하지만 미혼남녀의 교제는 결코 인정하지 않았으며 결혼 전에 발생하는 사랑의 감정은 철저하게 억압당했다. 한국 전통서사에서는 남녀의 성 또는 사랑을 단순히 인간의 본능이나 쾌락의 차원에서만 생각하지 않았다. 그것에 윤리적 가치를 부여하기도 하고 숭고한 마음을 담기도 했으며 주술적 종교적 믿음을 바치기도 했던 것이다. 한 작가가 시 창작을 할 때 시적 화자를 선택하는 일은 작가 자신의 고유한 창작 방법에 의해 결정되기도 하지만 전통과 같은 제도에 영향을 받기 때문에 한국의 애정시가는 대부분 작가의 성별과 무관하게 여성 화자를 내세워 임에 대한 사랑과 그리움을 표현한다. 한국인들이 이처럼 애정표현을 억제하는 이유는 크게 두 가지로 생각해 볼 수 있다. 우선 감정은 억제할수록 순수하고 강해진다는 생각에서 비롯된다. 그래서 한국 전통사회에서는 적극적이고 노골적인 자기표현보다는 공유된 경험과 분위기를 통해 말없이 은근슬쩍 속내를 내비치는 무언의 커뮤니케이션이 발달했다. 두 번째는 자기보다는 상대방에 대한 배려를 먼저 해야 한다는 가치관 때문이다. 사랑하면서도 사랑한다고 말 ...

      • KCI등재

        이선관 시의 사랑 현상학

        한정호 ( Jeong Ho Han ) 현대문학이론학회 2014 現代文學理論硏究 Vol.0 No.57

        이선관(1942-2005)은 마산의 지역사회에서는 상징성을 갖는 문학인이다. 그는 육체적 장애를 딛고 시인의 길로 나아갔고, 학인(鶴人)이라는 아호마냥 고고하게 살면서 참다운 문학활동을 펼쳤다. 그는 날카로운 시선으로 당면한 사회현실에 끊임없이 저항하면서, 우리의 문학마당에 크고 넓은 사랑을 실천하고자 했다. 이 글에서는 이선관의 삶과 시세계를 총체적으로 짚어보고자 했다. 이를 위해 글쓴이는 그의 삶과 문학 활동에 초점을 맞춰 시작 태도와 시관, 시세계의 특성에 대해 살펴보았다. 특히 글쓴이는 그의 시정신을 인간사랑, 자연사랑, 나라사랑, 지역사랑이라는 현상학적 측면에 초점을 두고 따져보았다. 우선, 글쓴이는 지금껏 잘못 알려졌거나 가려져 있었던 출생, 개명(改名), 가족관계, 등단에 관한 사항들에 대해 소개하고 재조명해 보았다. 아울러 그는 작품 속에서 자신의 시작 태도 내지는 시관을 드러냄으로써, 시인으로서 갖추어야 할 자세와 책무에 대해 남달리 고민하고 노력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다음으로, 글쓴이는 그의 시가 일관되게 보여준 사랑 현상은 사람·자연·나라·지역에 대한 사랑으로 나누어 살펴보았다. 이를테면 인간사랑과 장애 극복의 시정신을 보여주었고, 자연사랑과 오염 고발의 시세계를 구축하였다. 또한 그는 나라사랑과 통일 염원의 시정신을 일관되게 형상화했으며, 지역사랑과 문학 실천의 시정신을 한결같이 보여주었다. Lee Seon-gwan(1942-2005) was literature man, the symbolism of having the writers community in Masan. He took a physical disability and the poet``s path. He participated in faithful literature activities, with aloof living like the pen name of name of crane man. He is a keen eye constantly on the social reality faced by resistance, while he want to practice the large and spacious love in yard of our literature. In this article, I am willing to see his life and poetry as a whole. To this end, I looked to characteristics of poetry world, attitudes and reflection making of poem, focusing on his life and literary activity. In particular, I have seen to try to reason, focusing on the phenomenological aspect of the love in total, like human love, nature love, country love and region love. First of all, regarding the pace of life and literature of Lee Seon-gwan, It is well organized for its part in this community. However, the writer introduced and revived renaming that the wrong was ever born, known or even veiled, family relationships, including matters related to introduce about the career. In addition, he got his start in the attitude or work by exposing attitudes and reflection making of poem as the poet as worried about attitude and commitment. Next, he is ostensibly reveals the resistance and criticism about the reality by attitudes and reflection making of poem but his love towards the inner world was able to see that is filled with. This showed that the phenomenon of people who are consistently loved the poetry and the love for nature and country and region was divided into. For example, he showed poetry spirit of human love and the spirit of failover with poem related to his identity. he made poetry world of natural love and pollution accusations to give awareness for the ecological environment. Also, he had symbolized the poetry spirit of consistently, loves all of us, the desire for the reunification of the country in the proposition what should do and showed a spirit of constant practice literature and love for area of Masan. He published the 13 volumes of poetry. while the literary activities for Thirty-five years. And, of course, he have not been contained at collection of poems rather than the prose works, there is no separate them. In that respect, collection of poems fall out and together collection of poems and snatching collection of poems, essay or column publishing in several media houses, prose literary works of Lee Seon-gwan, and further, Lee Seon-gwan``s literature complete works the entire range of literature works and I expect to publish them in a hurr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