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역사지도 데이타베이스 구축을 통한 한국 비무장지대(DMZ)와 독일 그뤼네스반트의 토지이용 및 토지피복 변화 분석 (II)

        ( Oh Seok Kim ),( Marco Neubert ) 한국환경정책평가연구원 2019 기본연구보고서 Vol.2019 No.-

        본 연구는 한반도의 비무장지대(Demilitarized Zone, 이하 DMZ)와 독일의 그뤼네스반트 또는 그린벨트(Grünes Band 또는 Green Belt, 이하 GB) 일부 및 인근 지역의 토지이용 및 토지피복 변화를 비교·분석하는 것이 주된 목적이다. 비교연구를 통해 인간과 자연 간의 지속가능한 공존 가능성을 살펴보는 것이 궁극적인 목표이다. 한반도와 독일은 각각 국가 분단을 경험한 역사적 공감대가 있다. 한국과 북한 사이에는 DMZ가 1953년부터 놓여져 있어 왔고, 과거 구동독과 구서독 사이에는 ‘죽음의 띠’ 또는 ‘철의 장막’이라 불리우는 무장지대가 있었다. 1990년, 독일의 재통일 이후 해당 지역은 GB로 탈바꿈해 현재에 이르기까지 체계적으로 보존되어 왔다. 하지만, DMZ는 군사적 목적에 의해 아직 접근이 어려울 뿐이지 체계적인 보존 대책이 아직 존재하지 않는다. 전년도 연구는 한반도와 독일의 분단 상황에서의 경관변화를 분석하였다면, 금년도 연구는 활발한 교류 또는 통일 상황 하에서 예상되는 경관변화를 비교·분석하였다. 독일의 경우와는 다르게 한반도는 아직 통일이 되지 않았으므로 여기에 미래 토지이용 및 토지피복 변화를 전망할 수 있는 모델링을 적용해 미래의 상황을 체계적으로 유추할 필요가 있다. 모델링 기법 적용 시 다양한 토지이용 시나리오를 도입하면, 미래의 불확실한 상황을 모의하는데 있어 더 유리한 점이 있다. 단 하나의 경우만 고려하기에 DMZ의 미래가 너무 불분명하기 때문이다. 한편, 독일의 경우는 재통일이 된지 30년 가까이 지났으므로 변화탐지분석을 적용하여 경관변화를 분석할 수 있다. 연구질문은 아래와 같다. 첫째, 독일 재통일 이후, 25년 간 세 시점(1990, 2000, 2014년)의 토지피복지도를 근·현대지도와 위성영상에 근거해 구축하고 시계열 변화를 분석해 본 결과, 구동독과 구서독 중 어느 지역이 더욱 많이 변화하였는가? 둘째, 재통일 이전·이후의 변화 패턴이 같은가? 만약 다르다면, 어떻게 다른가? 마지막으로 셋째, 전년도에 구축한 1951년과 2015년 시점의 토지피복지도에 근거하여, 50년 이후의 DMZ 미래를 ‘현 상태 유지’와 ‘독일 그뤼네스반트’ 시나리오로 모의했을 때, DMZ의 토지이용 및 토지피복 변화는 각각 어떻게 나타나는가? 분석결과, 독일은 재통일 이후에도 구동독의 토지이용 및 토지피복 변화가 구서독보다 활발한 것으로 나타났다. 재통일 이전과 이후의 변화 패턴은 변화감지분석 결과만 고려하였을 때 별다른 차이가 없었다. 하지만, 겉으로 드러난 토지이용 및 토지피복 변화 패턴이 비슷해 보여도 문헌조사, 현지답사, 인터뷰 등을 통해 정성적으로 조사해 본 결과, 구동독의 경관변화를 야기하는 시기별 기저요인은 각기 다른 것으로 나타났다. 재통일 이전에는 공산·사회주의 체제 하의 집단농장 구축과 군사진지화로 인한 경관변화가 주를 이루었다. 재통일 이후에는 시장경제로 인하여 기존의 농지가 대농장화되면서 많은 변화가 발생하였다. 시가화지역은 재통일과 크게 상관없이 꾸준히 증가해왔고, 습지는 꾸준히 감소해왔다. 재통일 이후에 발생한 주된 변화는 크게 두 가지이다. 먼저, 과거 구동독과 구서독의 접경지역이었던 ‘죽음의 띠’ 또는 ‘철의 장막’이 GB로 변화한 것을 토지피복지도를 통해 확인할 수 있다. 그 다음으로, 이를 가로지르는 고속도로(아우토반)이 개통된 것이 커다란 변화인데, GB를 지나는 구간에 터널을 설치하여 자연환경의 훼손을 최소화한 점이 괄목할 만하다. 한반도 연구지역에 시나리오 모델링을 적용한 결과를 제시하기에 앞서, 본 연구에 사용한 토지이용 및 토지피복 변화 모델의 수리적인 알고리즘과 미래 토지이용변화 시나리오에 대한 세부적인 내용을 요약하면 아래와 같다. 모델의 이름은 Land Change Modeler(이하, LCM)로 미국 클락대학교의 지리공간정보분석연구소인 클락랩스(Clark Labs)에서 개발한 털셋(TerrSet)의 토지이용 및 토지피복 변화 시뮬레이션을 담당하는 모듈이다. LCM은 변화의 면적과 위치를 양분하여 미래의 상황을 모의한다. 면적의 총량은 마코프 체인(Markov Chain)에 근거해 전망하였고, 변화 위치 정보는 다층퍼셉트론(Multi-Layer Perceptron)을 활용하여 파악하였다. 다층퍼셉트론의 입력자료로 철도, 주요 도로, 해발고도, 경사도, 향, 토지피복 등을 고려하였다. ‘현 상태 유지(Business-As-Usual, 이하 BAU)’ 시나리오는 한반도 분단 이후로 부터 현재에 이르기까지의 토지이용 경향을 미래 상황에 투영한 것이다. 환경영향평가를 생략한 개성공단 제2,3,4지구 완공, 경의선 및 국도 제1호선 개보수 등이 여기에 포함된다. 더 나아가, 고려시대 역사유적인 나성 성곽 및 그 주변 지역과 DMZ에 행위제한 법제가 존재하지 않는 시나리오이다. 기존의 지속가능하지 않은 개발의 압력을 저감할 수 없는 상황을 의미한다. 이와 대비되는 상황인 ‘독일 그뤼네스반트(Grünes Band Deutschland, 이하 GBD)’ 시나리오는 DMZ와 고려시대 유적지에 행위제한을 설정해 해당 토지이용변화를 전적으로 지양하는 내용이 주를 이룬다. 이것은 독일의 튜링기아(Thuringia) 주정부에서 GB를 국가자연기념물(National Nature Monument)로 지정해 보존하고 있는 점을 벤치마킹한 것이고, 이는 국제적 차원에서 IUCN(International Union for Conservation of Nature) 보호지역 범주에 포함된다. 고려시대의 수도였던 개성은 2013년 다수의 문화유적지를 UNESCO(United Nations Educational, Scientific and Cultural Organization) 세계유산으로 등재하였고, 나성 성곽도 이에 포함된다. GBD 시나리오는 DMZ와 나성 성곽에 법제를 통한 엄격한 행위제한을 가정해 온전히 보존하는 상황을 가정한다. 더 나아가, 대규모 개발사업인 개성공단의 나머지 계획을 전면 백지화한 상황을 가정해 미래 토지이용 및 토지피복 변화를 모의하였다. 그 결과, BAU 시나리오 하에서는 DMZ 내에 지속해서 경관변화가 발생하는 것으로 나타나 추가적인 환경훼손의 가능성이 높아질 것으로 예상된다. 기존 개성 시 가지는 개성공단 제3지구와 연계되어 개발이 집중될 것으로 나타났다. 고려 나성성곽은 이들 지역 사이에 위치하고 있으므로 현 상태의 개발경향이 계속 유지된다면 추가적인 훼손이 불가피한 것으로 보인다. GBD 시나리오 하에서는 DMZ와 나성 성곽은 변하지 않으므로 이들과 관련해서는 추가적인 환경훼손의 가능성이 낮을 것으로 예상된다. 그러나, 법제를 통해 행위제한을 엄격하게 제한한 공간역을 벗어나면 바로 난개발이 만연할 것으로 분석되었다. 특히, 개성공단 제1지구와 DMZ 사이 지역이 개발에 매우 취약한 것으로 나타나는데, 이 지역은 개성공단 제1지구 뿐만 아니라 경의선, 국도 제1호선과도 인접해 있고 대부분이 평지로 이루어져 있어 개발하는 데 있어 유리하기 때문이다. 한편, 해당지역은 DMZ와 인접하는바 환경적으로도 민감한 지역이라고도 볼 수 있으므로 이는 개발과 보전이 상충하는 공간역의 대표적인 예시인 셈이다. 본 연구가 정책적인 측면에서 시사하는 바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개발을 중요하게 여기는 BAU 시나리오와 환경보존을 중하게 여기는 GBD 시나리오 모두 DMZ와 인근의 자연환경 및 역사경관을 효과적으로 보전하는 데 있어 각자의 한계점을 드러냈다. 남북 관계가 개선되는 가운데 본 연구에서 적용한 시나리오의 한계를 보완한 지속가능한 DMZ 토지이용 계획 마련이 시급하다. 미래의 계획은 최우선적으로 남북이 동의할 수 있는 내용이어야 하는바, 이를 위해서는 한국과 북한의 개발수요와 환경보전 수요를 균형있게 고려하는 것이 필수적이다. 국제연합(United Nations, UN)의 지속가능 개발목표(Sustainable Development Goals, 이하 UN SDGs)는 국제사회 차원에서 이미 합의를 본 내용이므르 UN SDGs에 명시된 틀을 활용해 DMZ와 인접 지역에 지속가능한 토지이용 계획을 마련하는 것이 필요하다. This study mainly compares and analyzes land-use and land-cover changes in the Demilitarized Zone (DMZ) on the Korean peninsula and in parts of the German Green Belt (GB). The Korean peninsula and Germany have the historical similarity that they have both experienced divisions of the state. The DMZ has been emplaced between South Korea and North Korea since 1953. In the past, there was a strongly fortified border zone called the “Death Strip” or the “Iron Curtain” between East Germany and West Germany. In 1990, after German reunification, the area was converted into the so-called “Green Belt” and is still conserved systematically to the present day. However, no systematic conservation measures yet exist for the DMZ. Our 2018 study analyzed landscape changes in the situation of the separated Korea and Germany. In this follow-up report, the landscape changes are compared and examined under the condition of reunification. Unlike in the case of Germany, the Korean peninsula has not yet been reunified, so it is necessary to apply a predictive modeling approach to forecast future land-use and land-cover changes and infer the future situation systematically. The introduction of land-use scenarios in the application of modeling techniques has the advantage of simulating multiple futures, given that the DMZ’s future is too unclear to consider only one prediction. In contrast, it has been already 30 years since the German reunification. That is, for the German case, a predictive modeling approach is not required, so a change detection analysis can be applied instead. The research questions are as follows: (1) Which part of Germany (either former East or West) has experienced more change than the other, after the reunification based on the three land-cover maps of 1990, 2000, and 2014? (2) Before and after the reunification, do the change patterns differ? If so, how? (3) Based on the Korean land-cover maps of 1951 and 2015, the two scenarios, namely “Business-as-usual” and “Grünes Band Deutschland”, are simulated for the next 50 years for the case on the Korean peninsula. How do the simulated land-use and land-cover changes of the two scenarios differ? Following reunification, land-use and land-cover changes in East Germany have been more intensive than those in West Germany. Change patterns showed little difference before and after the reunification, only when the results of the change detection analysis were considered. However, even though the patterns of landuse and land-cover changes seemed to be similar, qualitative investigations through literature reviews, field trips, and interviews showed that the underlying forces causing the changes in East Germany were different over time. Before the reunification, the land-use and land-cover changes in the East German border region were mainly caused by the establishment of collective farms and by the expansion of military border fortification under the communist and socialist regimes. After the reunification, a market economy and capitalism were introduced. The introduction changed the underlying forces, and the change triggered the conversion from older collective farming to privatized large-scale agriculture, which uses lands intensively. Besides, settlement areas have been steadily increasing, but wetlands have been steadily decreasing regardless of separation and reunification. Two major changes have been noticeable since the reunification. The changedetection analysis showed that the protective strip―or so-called “Death Strip”― was converted into a GB largely. The other major change was the opening of the highway (Autobahn) across the former border region, and, remarkably, the damage to the natural environment was minimized by installing a tunnel in the section passing through the GB. Before presenting the results of the scenario modeling application to the study area on the Korean peninsula, the details and scenarios of modeling land-use and land-cover changes are summarized as follows. Developed by Clark Labs, the Land Change Modeler (LCM), an analytical module that simulates the land-use and land-cover changes, was used to simulate the future of the study area. LCM divides land-use and land-cover changes into two components: the amount of change and the spatial allocation of change. The former was estimated based on the Markov Chain, while the latter (the spatial allocation) was identified using a multi-layer perceptron (a type of an artificial neural network). Input data include railways, major roads, elevation, slope, and aspect, in addition to the land-cover maps for two points in time. The two land-use scenarios are applied in this research and explained as follows. The Business-As-Usual (BAU) scenario reflects the historical trend of land use projected to the future. This scenario considered the pro-development tendency of the Korean peninsula. The BAU scenario includes completing the 2nd, 3rd, and 4th districts of the Kaesong Industrial Complex as planned and renovating the existing railways and major roads. It is likely that a proper environmental impact assessment will be omitted. Furthermore, this BAU scenario assumes no law enforcement regarding the conservation of the DMZ and historical castle walls. It means that the pressure of existing unsustainable development cannot be reduced. In contrast, the Grünes Band Deutschland (GBD) scenario consists mainly of setting restrictions on the DMZ and the ruins of the Goryeo Dynasty to limit the changes in land use and land cover in the region. This idea was borrowed from the state of Thuringia, Germany, as that state legally designated the GB as a National Nature Monument, which is also regarded as the protected area by the International Union for Conservation of Nature (IUCN). In 2013, Kaesong, the capital of the Goryeo Dynasty, was registered as World Heritage by the United Nations Educational, Scientific and Cultural Organization (UNESCO). The GBD scenario assumes that the DMZ and ruins of the Goryeo Dynasty are fully preserved under strict legal protection. Furthermore, we assumed that the remaining plans of the Kaesong Industrial Complex were no longer taking place. As a result, under the BAU scenario, land-use and land-cover changes continue to occur within the DMZ, which is expected to increase the possibility of further environmental damage. The existing built areas of Kaesong downtown will be expanded further as these will connect with the 3rd district of Kaesong Industrial Complex. Such a connection will lure more concentrated development than when not connected. Because the ruins of the Goryeo Dynasty are located between downtown Kaesong and the 3rd district of Kaesong Industrial Complex, further damage appears inevitable. Under the GBD scenario, the DMZ and historical sites remain unchanged because they are legally well protected, so little damage would be expected in these areas. However, unplanned development will prevail for those areas that are not under legal protection. In particular, the region between the 1st district of Kaesong Industrial Complex and the DMZ appears to be genuinely vulnerable to development. This region is flat in nature, is adjacent to existing development such as the Kaesong Industrial Complex, and is close to the major transportation network that cuts through the DMZ, connecting the two Koreas. However, this region is essential in an environmental sense because of its adjacency to the DMZ. That is, the region is a clear illustration of conflicts between conservation and development. The research outcomes demonstrate a vital policy implication. Both scenarios, whether one is pro-conservation or not, were not able to conserve the landscape of the DMZ successfully. As inter-Korean relations improve, it is critical to develop a sustainable land-use plan of the DMZ region that complements the limitations of the two scenarios applied in this research. A future plan cannot be realized without a consensus between the two Koreas, and it is essential to balance the needs of South Korea and North Korea, both conservation and development-wise. As the United Nations Sustainable Development Goals (UN SDGs) provide a compelling list of agendas and have already reached an agreement at the international level, making good use of the UN SDGs may be beneficial to both South and North Korea. If successful, we may indeed be able to come up with a sustainable land-use plan for the DMZ and adjacent areas.

      • KCI등재

        50 Jahre Gastarbeitervertrag: Die Darstellung der koreanischen Diaspora in deutschen Medien

        SCHROETERTIM,다니엘종스베켄디크 한독사회과학회 2014 한독사회과학논총 Vol.24 No.2

        The 50th anniversary of the recruitment agreement between the Federal Republic of Germany and the Republic of Korea brought with it intensive coverage of the Korean diaspora by the German media. Thus far, however, the discourses upon which the German media has drawn in articulating this diaspora have been largely overlooked. These discourses are, nonetheless, not without significance, especially when considering the numerous integration issues that have emerged in Germany since the 1990s. Using a methodological framework derived from critical discourse analysis, this study examines all the media reports generated by prominent German media outlets between 1995 and 2013. The primary purpose of the investigation is to determine how members of the Korean diaspora have been portrayed, especially in relation to their integration into German society. The study argues that the reports can be divided into three themes: those that have focused on Korean guest workers, those concerned with Korean children in the country, and those that pay particular attention to short-term Korean immigrants in Germany. The study finds that the discourses used to describe Korean migrants by the media have been primarily positive, often articulating their integration into German society as “complete”. However, the media has also continued to posit a sharp distinction between those who can be legitimately considered German and those who cannot. This has frequently had a negative impact on migrant integration efforts, especially for second-generation German-Koreans. The study argues that this is the result of a subaltern discourse, often drawn upon by the German media, in which the concept of integration is understood as the “thorough” assimilation of migrants into and by the host culture. Aufgrund des 50-jährigen Jubiläums des Anwerbeabkommens zwischen der Bundesrepublik Deutschland und der Republik Korea wurde in deutschen Medien verstärkt über die koreanische Diaspora in Deutschland berichtet. Diese Untersuchung hat sich daher der bisher wenig erforschten Fragestellung nach dem medialen Diskurs über sie angenommen, welche insbesondere im Zuge des seit den 1990er-Jahrengewachsenen Interesses an der Integrationsproblematik in Deutschland von Bedeutung ist. Mithilfe einer kritischen Diskursanalyse wurden Medienbeiträge von 1995 bis 2013 in allen größeren deutschen Medien betrachtet. Im Vordergrund stand dabei das Medienbild, welches von der koreanischen Diaspora in Deutschland bezüglich Ihrer Integration gezeichnet wurde. Die Berichte lassen sich in drei Gruppen unterteilen: über koreanische Gastarbeiter, deren Nachkommen, sowie nur kurzfristig in Deutschland lebende Koreaner. Der Diskurs vor allem über die koreanischen Gastarbeiter fiel dabei vornehmend positiv aus und ihre „Integration“ in die deutsche Gesellschaft wurde als vollzogen betrachtet. Negativ fiel jedoch auf, dass eine Trennung zwischen „Deutschen“ und „Koreanern“ vorgenommen wurde, die soweit geht, dass sie auch Auswirkungen auf die zweite Generation der Deutsch-Koreaner hat. Dies liegt darin begründet, dass – wie die Analyse gezeigt hat – das Verständnis von Integration in den Medien von der Vorstellung einer vollständigen Assimilation der Migranten in die deutsche Gesellschaft geprägt ist.

      • KCI등재

        파독 근로자 출신 독일 고민들의 현황과 한국에 대한 의식

        이영석 ( Yeong Seok Yi ) 한국독일어문학회 2015 독일어문학 Vol.69 No.-

        Diese Arbeit handelt von Koreaner in Deutschland, die seit den 1960-70er Jahren als Gastarbeiter in Deutschland gearbeitet haben. Vor allem werden ihre fruhere und gegenwartige Lage in Deutschland und die Meinungen uber Ihr Vaterland Korea untersucht. Dazu habe ich 77 von ihnen befragt, um einen allgemeinen Meinungsquerschnitt zu erhalten. Die Umfrage hat herausgefunden, mit welcher Absicht diese nach Deutschland gekommen sind, wie sie dort gelebten haben und wie sie ihre Meinungen uber ihr Vaterland Korea verandert haben. Im April dieses Jahres hat ein Abgeordneter der Saenuri Partei einen Gesetzantrag vorgeschlagen, der die fruheren Gastarbeiter in Deutschland ehren und unterstutzen soll, weil sie einen großen Beitrag zur wirtschaftlichen Entwicklung Koreas geleistet haben. Durch dieses Gesetz kann erwartet werden, dass ihnen die Koreanische Regierung die gebuhrende Ehre und Anerkennung entgegenbringen wird und sie finaziell eine großzugigere Unterstutzung bekommen werden. Die ehemaligen koreanischen Gastarbeiter in Deutschland sind mittlerweile schon uber 70 Jahre alt. Darum muss die koreanische Regierung moglichst schnell wirkliche Unterstutzungsprogramme fur sie entwickeln. Hoffentlich konnten meine Statistiken uber die Koreaner in Deutschland dazu nutzlich sein.

      • KCI등재
      • KCI등재

        독일, 독일교회 그리고 재독한인교회

        허승우(Seung Woo Huh) 장로회신학대학교 세계선교연구원 2014 선교와 신학 Vol.33 No.-

        유럽재복음화 관점에서 유럽과 유럽교회를 바라본다는 것은 새로운 선교적 교회를 지향한다는 점에서 시급하고 옳다. 유럽과 유럽교회는 20세기 후반부터 시작된 급격한 세속화와 공산주의의 몰락 이후부터 시작된 아랍인들의 유럽이주로 인한 이슬람 종교의 도전 앞에 놓여 있다. 독일과 독일교회 역시 예외는 아니다. 이러한 삶의 자리에서 놓여있는 재독한인교회들은 항상 독일교회에 대해 복음을 전하는 일에 부담을 나고 있다. 이미 독일은 오래전에 기독교화 되었기 때문이다. 1950년대에는 전 인구의 개신교인이 50%, 가톨릭교인이 45%가 되었다. 가이 외국인을 제외하면 전국민이 기독교인이 된 것이라고 할 수 있다. 현재는 76%가 기독교인이다. 급격히 감소하고 있는 독일교회의 비관적인 미래에 대해 대안을 줄 수 있는 것은 독일교회가 다시 복음으로 돌아가 독일국민들의 영적인 새로운 부흥을 경험하게 하는 것이다. 그것이 루터의 정신이며 신앙이다. 교회가 할일을 세상이 다 하고 있어 교회가 할 일이 없다고 하는 말이 있다. 교회가 할 일이 무엇인가? 그것은 복음을 전하는 것이다. 독일에 사는 한인교회들은 독일 전 인구의 0.001%도 되지 않는 작은 소수이지만, 독일교회에게 새로운 호기심과 도전을 주고 있다. 50년 전 독일교회는 독일에 취업차 온 한인들을 위해 한국목사들을 청빙하여 그들에게 생활비를 주며 영적인 돌봄을 해주었다. 이제 작지만 재독한인교회들은 독일교회를 위해 그들과 협력하여 하나님의 나라를 이루도록 복음을 전하며, 기독교국가 아닌 진정한 복음의 국가로 거듭나도록 해야 할 것이다. 이것이 재복음화의 관점에서 루터가 종교개혁을 한 지 500년이 되는 2017년을 기다리며 준비하는 독일교회에게 주는 간절한 한국교회의 신학적 조언이 될 것이다. With from the point of view of the Re-evangelization of Europe is just a look at Europe and european churches. This is because they must be oriented the missional church. Europe and european churches have today two challenges-Secularisation and Islam. From the second half of the 20th century were secularized they rapidly and after the fall of communism came many Arabs to Europe. They did not want to be integrated in the european society and they had religious exclusivity. Germany was no exception. Korean people and Korean churches live and lie in this situation. And Germany had long ago been christianized. In 1950, 50 percent of the population was Protestant and 45 percent Catholics, but currently, only 76% Christians. In this pessimistic prospect in the future of the German church, Gospel can only alternatives to the new spiritual renewal. Also it is Luther"s theology and faith. So what can do for that the Korean churches in German? Korean Christians in German are only 0.001% of German Christians. But they can and must work with German churches and evanglize for new future of the German churches. Christians in name only, not real! Now 2017 come after 3 years. This year is called by German churches “Luther 2017, 500 Jahre Reformation”. I hope that German churches can prepare for the new renewal and find the Gospel for the German Christians. That is suggestion for them that Korean churches can give.

      • KCI등재

        50 Jahre Gastarbeitervertrag: Die Darstellung der koreanischen Diaspora in deutschen Medien

        Tim Yung Min Schröter,Daniel Schwekendiek 한독사회과학회 2014 한독사회과학논총 Vol.24 No.2

        지난 해(2013년) 한국과 독일 간의 초청 노동자 협약 50주년 기념을 계기로 재독 한국동포에 대한 독일 미디어의 보도가 증가하였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이에 대한 연구가 아직 미약한 실정이다. 그래서 본고에서는 한국동포에 대한 독일의 미디어담론을 분석하였다. 특히 1990년대부터 독일 사회에서는 통합(integration)에 대한 논의가 활발하게 이루어졌고 그에 대한 관심도 높아졌다. 재독 한국동포에 대한 미디어담론 역시 이러한 과정에서 형성되었다는 점은 매우 중요하다. 이를 살펴보기 위하여, 본고에서는 독일의 주요 미디어들이 1995년부터 2013까지 보도한 자료를 대상으로 담화분석을 실행하였다. 본고의 연구목적은 재독 한국동포가 독일 사회에 어느 정도 통합되었는가에 대한 독일 미디어의 관점을 밝히는 것이다. 보도 대상은 크게 세 가지로 나눌 수 있다: 초청 노동자(한국동포 1세); 그들의 자녀(한국동포 2세); 그리고 단기적으로 독일에 거주하는 한국인. 이들 가운데 초청 노동자에 대한 미디어담론은 비교적 긍정적으로, 그들과의 “통합“ 은 이미 완성된 것처럼 묘사되었다. 그러면서도 한국동포와 일반적인 “독일사람“ 은 분명히 구별되고 있었다. 이러한 차별은 재독 한국동포 2세에게까지 악영향을 준 것으로 보인다. 왜냐하면 독일 미디어들은 이주민이 독일 사회에 완전히 동화되어야만 통합된 것으로 인식했기 때문이었다. 이러한 독일 미디어담론은 본고의 가장 핵심적인 분석결과라고 할 수 있다.

      • KCI등재

        코리안 디아스포라, 독일속의 한국인 -파독 광부와 간호사

        이영남 ( Young Nam Lee ) 한국독어독문학회 2013 獨逸文學 Vol.128 No.-

        한국과 독일의 관계에서 2013년은 무엇보다도 역사적인 한해이다. 한·독 수교 130주년이자 한독 경제협력 50주년을 맞는 해이기 때문이다. 자원도 없고 해외에 뭔가 수출할 수 있는 기술력도 없던 시절 한국은 인력을 수출했다. 파독 광부와 간호사는 한독 관계 및 독한 관계 무엇보다도 독일의 한인 디아스포라의 본격적인 출현의 시발점이며 독일에서 한국인 동포사회를 형성하는데 원동력이 되었다. 본 연구자는 2004년 겨울학기부터 2009년 여름학기까지 각각 독일의 마인츠대학과 보쿰대학 한국학과에서 강의를 하면서 파독 광부 및 간호사들을 많이 만날 수 있는 기회가 있었다. 이들의 독일에서의 삶은 한마디로 대한민국 근대사의 한 부분이며 아직 현재형으로 쓰여지고 있기데 더욱 매력적이다. 이들과 나눈 수많은 이야기와 인터뷰를 토대로 본 연구에서는 독일의 한인 디아스포라의 고향과 정체성의 문제 및 세계화 시대 고향이 갖는 의미를 독일로 간 그들을 통해 조명하고 있다. 제 1장에서는 60년대 독일에 파견되어 탄광과 병원에서 열심히 땀흘리며 일하면서 소중한 외화를 벌어들여 한국 경제발전에 많은 보탬이 되었던 파독 광부와 간호사들이 계약기간이 끝나고 대부분 한국으로 다시 돌아갔지만 일부는 독일에 남아서 독일에서 한인교포사회를 형성하는 일세대로 거듭나고 있음을 서술한다. 제 2장에서는 그들의 자녀들 즉, 교민 2세대들이 독일 사회에서 겪는 정체성의 문제가 독일사회의 전반적인 이민자를 바라보는 시선과 관련 이민자 정책에도 문제가 있음을 시사한다. 제 3 장에서는 독일에서 살고 있는 한인들의 고향과 정체성에 대한 문제가 교민 1세대오 교민 2세대 간 커다란 차이를 보이고 있음을 서술한다. 제 4장에서는 교민 1세대 중 과거의 향수를 잊지 못하고 고향인 한국으로 다시 돌아와 남해의 독일 마을에 살고 있는 간호사와 그녀들의 독일인 남편을 소개하고 있다. 하지만 고향으로 돌아온 그들은 이제 독일을 그리워한다.

      • KCI등재
      • KCI등재

        한국전쟁의 발발과 독일 개신교회(EKD)의 재무장 논쟁

        강혁 한국교회사학회 2021 韓國敎會史學會誌 Vol.60 No.-

        본 연구는 먼저 국가 안보 위기와 급변하는 정치 상황에서 교회가 평화를 위해 어떤 역할을 할 수 있는지에 대한 질문을 제기한다. 이를 위해 본 연구는 한국전쟁 발발의 국제적 영향과 냉전체제 내에서 전쟁의 위협에 대응하여 서독의 외교정책이 어떻게 변화해 왔는지 살펴본다. 또한 서독 총리 아데나워가 추진한 서독 재무장 정책이 서독 사회와 독일 개신교에서 어떻게 받아들여졌는지를 추적한다. 한국전쟁이 발발했을 때 독일인들은 독일에서 새로운 전쟁이 일어날까 두려워했다. 이러한 이유로 서독 수상 아데나워는 서독의 재무장을 추진했다. 재무장 정책에 대한 서독의 의견은 엇갈렸다. 독일 개신교회 내부에서도 서독의 재무장을 둘러싼 논쟁이 벌어졌다. 마틴 니묄러와 그의 그룹은 아데나워의 재무장 정책에 강력하게 반대했다. 그러나 다른 그룹은 먼저 서독이 재무장하고 유럽 안보에 기여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이러한 독일 개신교회의 논쟁 속에서 이 연구는 교회가 평화를 위해 무엇을 했고, 무엇을 할 수 있었는지를 연구한다. First of all, this study raises the question, “What roles of the church for peace in the face of a national security crisis and rapidly changing political situation?” So, this study examines how the foreign policy of West Germany has changed in response to the international impact of the outbreak of the Korean War and the threat of war within the Cold War system. It also traces how the West German rearmament policy promoted by West German Chancellor Adenauer was accepted by West German society and German Protestants. When the Korean War broke out, Germans feared that a new war would break out in Germany; for this reason, West German Chancellor Adenauer promoted the rearmament of West Germany. Opinion in West Germany on the rearmament policy was divided. Even within the German Evangelical Church, a debate arose over West Germany's rearmament. Martin Niemoller and his group strongly opposed Adenauer's rearmament policy. Another group, however, argued that peace was what West Germany would rearm and contribute to European security. This study examines what the church has actual done and could have done for peace within these German church controversies.

      • KCI등재

        탈냉전 전후 독일의 시민권제도와 이주민 정책의 변화 - 국적법과 이민법을 중심으로-

        안종철 고려대학교 역사연구소 2017 사총 Vol.90 No.-

        This paper aims to review German identity issues through gradual changes of Nationality and Immigration Law around Post-Cold War era. Unlike existing literature, this article tries to analyze social and legal issues in Germany with implication on current Korean society. Traditionally, Germany has defined itself as cultural community and delineated its boundary on jus sanguine or blood-based line. Since the German Imperial and State Citizenship Law was enacted in 1913, the blood-based principle continued even under the German Basic Law or Constitutional Law in 1949. However, the guest workers who came to Germany from mid-1950s onwards and proliferated into 1970s, had raised a thorny issue of their integration into German society. Thus, several core ideas that Heinz Kühn brought in his pioneering report, stipulating specific conditions for the integration of foreigners, were realized in the revised Nationality Law (2000) under the SPD administration. The revised law permitted foreigners with 5 to 8 years of work experience in Germany to get permanent residency and to be naturalized afterwards. Following a new revised Nationality Law, a newly created Immigration Law (2005) stipulated the immigration of foreigners to Germany from non-German states. Since it was possible to realize comprehensive immigration regime through labor, investment, and refuge etc, foreign immigrants have exponentially increased in Germany. These legal changes raise ultimate question of identity, namely, who Germans are. A German case brings Korean case to the relief, particularly a necessity for Korea to devise a comprehensive immigration law, incorporating diverse but dispersed laws on foreigners. Thus German case also will be a great reference for Korea to search for an identity question in the future. 이 글은 탈냉전 전후의 독일 국적법과 이민법의 변화를 통해서 독일의 정체성에 대해 살펴보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특히 기존연구와 달리, 한국사회에 대한 함의를 염두에 두고 독일 사회내의 사회적, 법적 변화를 논했다. 독일은 문화공동체로 자신들을 정의하고 독일인의 범위를 속인주의에 기초해서 규정해왔다. 특히 1913년에 독일제국의 국적법이 제정된 이래, 다양한 종류의 이민을 받아들였지만 속인주의적 기조는 전후 독일 기본법에서도 그대로 유지되었다. 1950년대 중반부터 시작되어 70년대까지 급속도록 늘어난 초청노동자들은 이들의 독일 내 통합을 둘러싼 다양한 논점을 제기했다. 그리하여 70년대 말 퀸 보고서에서 처음 제기된 외국인의 독일로의 귀화를 체계화한 아이디어들이 결국 90년대 말 사회민주당 정권하에서 새로운 국적법(2000)의 개정으로 실현되었다. 새로이 개정된 국적법은 5-8년의 체류를 통해 영주권과 귀화를 허용하는 것이었고 연이은 이민법(2005)의 제정은 해외에서 독일로 이주를 규정하는 법안이었다. 특히 노동과 투자, 그리고 난민을 통한 이주가 가능하게 되었기 때문에 이후 급속도록 독일내 외국인 이민자들은 증가하게 되었다. 이러한 법안은 결국 독일인이란 무엇인가라는 정체성 문제를 제기하게 되었다. 독일의 사례는, 이주민들을 위한 법안들이 흩어져 있는 한국사회에 통합된 이민법 제정의 필요성을 제기하며, 장기적으로 한국인이란 누구인가라는 정체성 문제에 대한 고찰에 참고자료가 될 것이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