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영문 한국사 개설서의 한국고대사 서술 내용 검토

        박현숙(Park, Hyun-Sook) 고려사학회 2015 한국사학보 Vol.- No.60

        본고는 세계와 공유하는 한국사 교육을 위해 더 나은 한국사 교재들이 마련될 수 있는 토대를 마련하기 위해 근래에 영미권 대학의 한국사 교육에서 사용되고 있는 대표적인 교재 두 권(Michael Seth 교수의 『A Concise History of Korea』와 Keith Pratt 교수의 『Everlasting Flower』)을 분석하였다. Michael Seth 교수의 『A Concise History of Korea』는 근현대사가 중심이 되고 있으며, 동아시아사 속에서 한국사를 보려고 한 장점이 보인다. 그러나 한국사 전공자의 영문판 한국사 개설서라고 보기 어려울 정도로 한국 고대사 서술에 있어서 오리엔탈리즘과 중국 중심의 동아시아사 인식을 드러내고 있었다. 책들은 기존 연구들에서 문제점으로 지적된 것과 같이, 단군조선과 삼국 초기의 역사에 대한 부정, 한국의 가교역할 강조 등 한국사 연구 동향과 동떨어진 학설이 정설로 자리 잡고 있었으며, 한국의 연구 성과를 거의 인용하지 않고 있었다. 또한 서양사 일본사 중국사와의 비교가 자주 등장하면서 한국사를 아류적인 역사로 이해하는 문제점은 여전히 개선되지 않았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그러나 서술의 오류나 관점의 문제는 있지만, 기존의 영문 한국사 개설서에 비해서 점차 다양한 시도들이 이루어지고 있었다. Keith Pratt 교수의 『Everlasting Flower』는 문화사 중심의 친절한 해석이나 동아시아라는 거시적인 관점에서 한국사를 이해하려 한 서술 경향을 보이고 있었다. 한국사 개설서를 서술할 때에는 한국 학자의 입장이 아닌 외국 독자의 관심을 항상 염두에 두어야 한다는 점을 시사받을 수 있다. 또한 한국사 연구 성과를 반영하지 않은 점이나 사실의 오류를 지적하기에 앞서서 한국사 연구 환경이 글로벌화 될 필요가 있다. 우리도 민족주의적 관점에서 벗어나서 외국의 학자들이 수긍할 수 있는 거시적인 관점에서 한국사 연구를 진행하고 외국에 있는 한국사 연구자들과 교류의 場을 확대하여 소통해야 한다. 한국사 연구자들의 시각과 연구 성과가 반영된 영문판 한국사 개설서가 서술 될 수 있는 환경을 먼저 만들 필요가 있는 것이다. 이를 바탕으로 다양한 시도를 통해 외국 독자의 수준에 맞는 영문 한국사 개설서를 마련한다면, 세계와 공유할 수 있는 한국사를 서술할 수 있을 것이라고 생각된다. In order to build a foundation towards a worldwide shared Korean History education and its textbooks, this paper analyzed the two Korean history textbooks written in English, 『A Concise History of Korea』 by Michael Seth and 『Everlasting Flower』 by Keith Pratt, which are mostly well-known and used as the main textbook at university level in recent years. Michael Seth wrote 『A Concise History of Korea』 and its narrative is mainly focused on the contemporary history and it has described Korean history within the frame of East Asian history. However, these textbooks strongly reflect orientalism and sinocentrism that some may even doubt if these are written by the scholars who majored Korean history. Just like other previous researches has already pointed out, Korean history textbooks in the United States has its own mainstream and its research trend is far apart from the one in Korea. Also, the research achievements that were made by Korean history scholar in Korea are barely used. In addition, the comparative narrative of Korean history with other history such as Western history, Japanese history, and Chinese history causes the problem of miss understanding of Korean history as a minor history and this issue is still frequently appears and has not improved yet. Although the textbooks have the problems regard to its perspectives and narratives, it has put up some new various attempts compare to previous textbooks. Keith Pratt’s 『Everlasting Flower』 shows tendency to try interprets and explains Korean history with cultural history centered perspectives and also understands Korean history within the East Asian history as its macro frame. Also, this textbook suggests the importance of considering the foreign readers and understanding their interest when scholars is writing a Korean history textbook. Furthermore, the condition of Korean history research needs to be globalized before criticizing the simple errors of textbooks and complain about the lack of referencing the research achievements made by Korean scholars. It is important to avoid ethnocentrism and able to interpret and understand Korea history in the broader perspective so that Korean scholar’s research achievement may share on international level and expand scholar exchanges and communications. In sum, it is important to make an appropriate research condition first in order to publish Korean history textbook that reflects Korean scholar’s research achievements and perspectives. Based on this research condition, it is possible to have more new attempts to consider foreign readers and publish better and widely shared Korean history textbook.

      • KCI등재

        어문생활사로 본 언간과 한글고문서의 연구 방법

        백두현 국어사학회 2010 국어사연구 Vol.0 No.10

        필자는 이 논문에서 한글 편지(언간)와 한글고문서를 어문생활사적 관점에서 어떻게 연구할 수 있는지 그 방법론에 대해 논하였다. 2장에서 ‘어문생활사’와 ‘국어생활사’라는 두 용어를 비교 분석하여 각 용어가 갖는 특성을 논하였다. ‘어문생활사’를 일반적 용어로 쓰고, 지역을 명시한 ‘한국어문생활사’라는 용어를 설정하였다. 그리고 후자를 줄여 국어교육의 차원에서 ‘국어생활사’라는 용어가 적절하다고 보았다. 그리고 어문생활사의 연구 대상은 어문생활의 여러 요소 중 생활과 밀착된 요소가 되어야 한다고 보았다. 이어서 어문생활사의 연구 방법에 대해 논하고, 연구 대상과 연구 방법을 결합하여 실제적 연구에 적용할 때 어떤 양상으로 실천될 수 있는지를 검토하였다. 3장에서는 언간과 구별되는 한글 고문서의 특성을 지적하였다. 그리고 한글 고문서에 대한 연구 절차 및 방법론을 논하였다. 한글 고문서에 대한 선행 연구 업적을 요약하고 몇몇 연구 사례에 대해 논하였다. 한글 고문서에 관한 연구는 매우 드문 편이다. 이런 상황에서 필자는 선행 연구 사례를 검토하여 앞으로의 한글 고문서의 연구 방향을 모색해 보려 하였다. 언간과 한글 고문서에 대한 국어사적 연구와 어문생활사적 연구가 앞으로 더 활발하게 이루어질 수 있는 자료 정리와 방법론 수립이 절실히 요구된다. 이런 노력은 기존의 국어사 성과를 재창조함은 물론 한민족의 어문생활사 연구를 개척할 수 있다. A research methodology for studying Korean old letters(Eongan) and old documents was discussed in this paper from linguistic life history's point of view. In chapter 2, the two terminologies, 'linguistic life history' and 'life history of Korean language' were compared and analyzed. For general cases, the 'linguistic life history' was used, however, in local-specific cases, the term 'life history of Korean language' was used. The latter, 'life history of Korean language' is suitable for the aspect of Korean language education. The subject of linguistic life history research should be linguistic elements those are closely related to everyday life. Then the research methodology of linguistic life history and the investigation of practical aspects the methodology's application was discussed. In chapter 3, the characteristics of Korean old documents were distinguished from Korean old letters(Eongan). A research process and a methodology on Korean old documents were developed. Achievements of several selected previous studies on Korean old documents were summarized and examined. Now there are a few number of studies on Korean old documents. In respond to this situation, this paper tried to review these previous research and provide direction for future research on Korean old documents. Collecting research materials and establishing research methods on Korean language history and linguistic life history are seriously needed for studying Eongan and Korean old documents. We can expect the foundation of linguistic life history including the Korean language history can be established through these attempts.

      • KCI등재

        한국사상사학의 성찰

        노관범 ( Kwan Bum Noh ) 한국사상사학회 2016 韓國思想史學 Vol.0 No.52

        이 글은 해방 후 한국사상사학의 전개 과정을 제도, 담론, 실천의 세 가지 측면에서 고찰하였다. 제도의 측면에서 한국 사회에서 생산된 ‘한국사상사’ 저술들을 일별하고 특징을 논했고, 담론의 측면에서 한국사상연구회에서 담론적으로 제기한 ‘주체’에 주목하여 사상과 주체의 관계를 살폈으며, 실천의 측면에서 한국사학계의 사상사 연구 과정에서 논란된 ‘사회’에 주목하여 사상과 사회의 관계를 살폈다. 그 결과 제도권에서 한국사상사에 관한 저술들이 개설서, 총서, 교양서, 교재, 입문서 등 다양한 형태로 생산되었으나 아직 엄정한 단행본 연구서가 출현하지 못했음을 확인하였다. 또, 한국사상연구회의 한국사상 담론이 한국사상사의 반성과 주체의 재발견에 놓였고, 이러한 견지에서 동학사상을 중심으로 한국사상의 다양한 주체를 검출하려는 노력이 경주되었음을 발견하였다. 또, 한국사학계의 사상사 연구는 주로 사회사상사를 지향했는데, 고대사상 분야에서는 교리사에서 벗어난 사상사가 추구되었고 조선후기 실학 분야에서는 사회경제사와 밀착한 사상사가 추구되었다. 전자의 경우 교리사 위주의 사상사 연구를 비판하고 사상과 사회의 관련 속에서 사상사의 외재적 문맥을 중시하는 연구가 진행되었다면, 후자의 경우 이에 대한 비판으로 사회경제사에 포박된 사상사 연구를 비판하고 사상사의 내재적 문맥을 중시하는 제언이 대두하였는데, 이는 모두 사상사 연구의 실천 과정에서 획득한 사상사 방법론에 관한 중요한 논점이었다. This paper is to review the development of the historiography of Korean thoughts from the following questions : What kind of books has been published or compiled as works of the history of Korean thoughts since the year of 1945? What kind of questions can we ask about the history of Korean thoughts from the relation between thought and subject which was central to basic studies of the Research Society for Korean Thought(韓國思想硏究會), and also what kind of questions from the relation between thought and society which was core to early studies of Korean history? From these questions this paper arrives at the following conclusions. Firstly, not a few works on the history of Korean thought was published in the form of primers, textbooks, introductory books, books of culture, series books and so forth, but strictly speaking, no professional research book covering all kinds of Korean historical thoughts appeared in public. Secondly, studies of the Research Society for Korean Thought(韓國思想硏究會) made significant discourses on the history of Korean thoughts in the direction of two ideas of the reflection of the history of Korean thoughts and the re-discovery of true subjects of thoughts in Korean history. Donghak(東學) was considered exemplary enough to satisfy these two ideas, namely ‘reflction’ and ‘re-discovery’, and welcomed as such among contributors and editors of the above research society. Lastly, Early studies of Korean historical thoughts tended towards social history of ideas, for instance, in the research of the history of the ancient Korea and the late Joseon Korea. In this case, the former research approached ancient thoughts out of religious doctrines, the latter research drove late Joseon thoughts into socioeconomic historical contexts in favor of the so called Shilhak(實 學). Both of them were in search of the external contexts of Korean thought from the relation between thought and society. It was characteristic of early studies in the academic circle of the Korean history. However, the critique of the external context and the pursuit of the internal context came to grow up in the research of the history of thoughts in the late Joseon Korea. This tendency finally resulted in questioning the historical knowledge of Shilhak formed on the basis of the socioeconomic contexts.

      • KCI우수등재

        한국미술사 연구의 뉴노멀: 방법론 모색과 탈경계

        김소연 역사학회 2023 역사학보 Vol.- No.259

        2021년, 2022년 학계에서는 글로벌 미술사의 컨텍스트 속에서 한국미술을 조망하는 시도가 돋보였다. 특히 내·외국인 연구자의 영문 원고가 국내 출간 학술지에 게재되고, 해외 학술지 투고도 증가한 점은 연구 교류 및 확대 가능성을 보여준다. 두 번째로는 제작주체와 후원자, 제작공정이나 수집의 문제로 시야를 넓힌 점이다. 학문 분야의 보편적 경계에 도전하거나 사회문화적 분석을 지향하였으며, 주제면에서 화승과 조각승, 자수 및 공예 장인의 존재가 부각되기도 했다. 마지막으로는 연구지형의 변화가 주목된다. 우리 학계가 코로나 19 팬데믹 시기에도 뛰어난 성과를 도출할 수 있었던 저변에는 데이터베이스(고도서, 고문서, 의궤, 신문, 유리원판) 및 국공립박물관의 e뮤지엄과 같은 제반 환경들이 존재했다. 이제 아카이빙은 향후 한국미술 연구의 방향성을 선도하게 될 것이며, DB 자료의 구축과 선별에 연구자들의 관심과 협업이 필요하다 생각된다. 2021 and 2022 were times which the attempt to survey Korean Art in the context of Global Art History stood out. Especially, the fact that journal publications written in English both by Korean and non-Korean researchers were published in Korean academic journals, along with increase in numbers of submission of overseas academic journals show the possibility of research exchange and expansion. Secondly, the scope has expanded to the issues of production subject, patron, production process, and collection. Universal boundaries of the academic subjects were challenged, pursuing socio-cultural analysis, and the presence of masters, such as monk artists, monk sculptors, and craftsmen of embroidery and handicraft, had emerged. Finally, the change in the topography of research should be noted. Overall, resources such as database (ancient books, ancient manuscripts, Uigwe , newspapers, gelatin dry plate) and e-museum , provided by national and public museums of Korea, were the bases how our academia could result in such remarkable outcome despite the era of Covid-19 pandemic. Now, archiving will be leading the direction of future researches in Korean Art; attention and cooperation from researchers in establishment and sorting of database materials is necessary.

      • KCI등재후보

        여성사연구의 현황과 과제 - `자리 잡기`와 `새판 짜기` 사이에서

        정현백 ( Chung Hyunback ) 한국여성사학회 2012 여성과 역사 Vol.- No.17

        여성사연구는 1970년대에 서서히 나타나서, 1980년대 말 이후에 양적 성장을 보였다. 이는 여성운동의 급격한 성장, 여성학의 확산 그리고 민중사 연구의 출현에 크게 영향을 받았다. 뒤이어 민중여성이나 여성운동 그리고 일본군 성노예에 대한 역사적 연구가 쏟아져 나왔다. 신여성의 연애관/결혼관 그리고 여성노동에 대한 연구도 활발해졌다. 여성사연구의 제도적 발전도 이루어져서, 2004년에 한국여성사학회가 창립되었다. <여성과 역사>나 <페미니즘연구>의 창간을 통해서, 여성사연구자를 위한 출판공간도 넓어졌다. 전국역사학대회협의회에 참가하는 것을 통해서 역사학계 내에서 여성사는 한 분과로서 그 존재를 인정받게 되었다. 그러나 여전히 여성사는 역사학의 주변부에 놓여 있다. 기존 역사학에 대한 젠더링을 통해, 남성중심적인 역사학의 패러다임을 바꾸어 가야 하지만, 이는 아직 실현할 수 없는 꿈이다. 한국의 역사학계는 여전히 성맹적이기 때문이다. 2000년대에 들어와서 일어난 새로운 변화는 여성사연구의 질적, 양적 성장이다. 연구주제도 다양해졌다. 연구방법론도 발전하여, 일상생활사나 신문화사 혹은 아래로부터의 역사를 서술하려는 노력이 나타났다. 그러나 여성사연구는 여전히 많은 난관을 안고 있다. 여성사연구자의 증대, 일자리 확보, 그리고 여성사연구의 방법론 개발과 기초연구 확대 등이 앞으로 해결되어야할 과제로 남아 있다. Women`s history research in Korea started out slowly in the 1970s and expanded since the end of 1980s. This phenomenon was strongly influenced by rapid development of women`s movement, advancement of women`s studies and development of Minjung (Korean lower class) history. Since then, the historical research of Minjung women, women`s labor and women`s movement spread out. Also the Japanese military sexual slavery and the love and marriage concept of `new women` during Japanese colonial period became major topics. The foundation of Korean Association of Women`s History in 2004 brought about the institutional development of the field of women`s history. The launching of the periodical `Women and History` and `Issues in Feminism` gave space for publication of women`s history researches. The field of women`s history became more visible through participating in the Historian`s Congress as one of the hosting organizations. Nevertheless, women`s history is still located at the periphery of historian`s society. By way of gendering of the existing historiography, feminist historians have to change the paradigm of history. However, this is a dream and not reality, because Korean historical society is still sex-blind. A new change in women`s history research since 2000 was its quantitative and qualitative progress. And there have been many varieties of research topics. The development of methodologies also became visible, for example new approaches of history from bottom up, history of everyday life and new cultural history appeared. But the women`s history research in Korea has still many difficulties. The increase of women`s history researchers, their career opportunities, and the expansion of fundamental research in relation to women`s history should be attained in future.

      • KCI등재

        한국체육사의 회고와 전망 -『체육사학회지』 (2006~2015)를 중심으로 -

        심승구 ( Seung-koo Shim ),최여미 ( Yeomi Choi ) 한국스포츠정책과학원(구 한국스포츠개발원) 2016 체육과학연구 Vol.27 No.4

        This article aims to examine the research trend of sport history by analysing published research articles over the last decade in the Korean Journal of History for Physical Education, and suggest directions of research in sport history based on the results. We have reviewed a total of 264 articles relying on the analytic framework including the criteria of time period, method, nation, theme/topic, and purpose. The research findings are as follows. First, the post-Liberation period has been studied most often with 45.3%, followed by the Japanese Colonization period (20.2%), the Joseon Dynasty period (11.4%), the diachronic research (8.8%), the period from ancient times through Goryeo (8.1%), and the period of Enlightenment (6.2%). The results indicate that most recent studies in the journal unilaterally focus on the Modern and Contemporary history with 71.7%. According to the analysis result by research method, second, more than 90% of the studies have been conducted using qualitative methods while only 0.6% of the papers have adopted quantitative methods. The qualitative methods include textual analysis, participant observation, oral life story, and focus group interview. Textual analysis has been used most often with 74.5%. Oral life story has been second (22.5%), followed by participant observation (2.1%) and focus group interview (0.3%). The findings from this category show that it is still necessary to diversify research methods and vitalize interdisciplinary research. Third, in terms of nation, over 70% of the papers have studied about Korea, and European countries are the second most frequent region in the research trend (8.3%). The nation that follows is China with 6.4%. Although we analysed a Korean journal in sport history, the result exposes the lack of scholarly attention in the studies of sport history to world sport history reflecting comparative perspectives. By the criteria of theme/topic, fourth, genre has been studied most often with 31.7%, followed by figure (14.1%), facility/institution/organization (14.0%), system/policy/event (12.8%), philosophy/ideology/theory (6.7%), remains/relics/documentary material (6.3%), and domestic regions (5.4%). The results show that the recently published research articles have attempted to include a variety of genres in sports, play, and dance. While the topics for figure and facility/institution/organization also receive significant interest, it is limited that the studies mostly focus on male sport figures but female figures are barely explored. Even when female figures are researched, the attempts are observed only in the studies of dance. Fifth, the largest ratio of papers has had the research purpose of historical evolution (37.6%), followed by value/significance (20%), type/characteristic (15.5%), thoughts/ideology/theory (9.1%), origin (6.6%), suggestion/proposal/prediction (5%), comparison/correlation (5%), and concept/terminology (1.2%). The results expose that the studies tend to concentrate on historical evolution relying on chronological description while the research on concept/terminology is of little scholarly interest. Based on what we have found, it is identified that the recent studies in sport history have mostly focused on the historical evolution of a specific sport genre in the Korean Modern and Contemporary history using textual analysis. Consequently, the results suggest that researchers in sport studies need to put in additional effort to expand research topics and methods, and invite comparative perspectives involving inter/cross-national studies. 이 글은 2006년부터 2015년까지 『체육사학회지』에 게재된 체육사 분야 연구 논문들을 분석하여 최근10년간의 연구동향을 살펴보고, 그 결과를 토대로 향후 체육사 연구에 방향성을 가늠해 보는데 있다. 이를 위해서 해당기간 동안 게재된 총 264편을 분석하였으며, 이것을 연구시기, 연구방법, 연구대상국가, 연구주제, 연구목적 등 5가지 분석틀로 구분하여 그 동향을 살펴보았다. 첫째, 연구대상 시기는 해방이후가 45.3%로 가장 높았고, 일제강점기 20.2%, 조선시대 11.4%, 통사8.8%, 고대·고려 8.1%, 개화기 6.2%의 순이다. 이 같은 분석 결과는 최근 체육사의 연구대상 시기가 50%가까이 집중된 사실을 말해준다. 이를 개화기와 일제강점기를 포함해서 언급한다면, 근현대 시기가 모두71.7%로 확인되어 체육사 연구의 경향이 여전히 근현대에 집중되어 있음을 뚜렷이 확인하게 된다. 둘째, 연구방법은 양적연구 0.6%로 대부분 질적연구에 집중되어 있다. 질적연구방법으로는 크게 문헌고찰, 참여관찰, 구술/생애사, 초점집단연구 등으로 구분된다. 그 가운데 문헌고찰 74.5%로 가장 높았고, 구술/생애사 22.5%, 참여관찰 2.1%, 초점집단연구 0.3%의 순이다. 물론 질적연구방법으로는 한 가지 이상의 연구방법을 사용하는 경우가 많은 점도 특징이지만, 여전히 연구방법의 다양화와 학제간 연구에 대한 실천적 노력이 필요해 보인다. 셋째, 연구대상의 국가별 연구동향은 한국이 71.9%로 가장 높았고, 유럽 8.3%, 중국 6.4%, 해당없음(국가가 없는 경우) 6.1%, 북미 3.4%, 비교연구 2%, 기타 1.1%, 일본 0.8%의 순이다. 이 같은 결과는 분석대상이 한국체육사학회지라는 성격과 관련이 밀접하게 있다고 판단된다. 그럼에도 체육사 분야가 국제교류나 다른 나라의 체육사에 대한 연구가 크게 취약하다는 점을 보여준다. 넷째, 연구대상 주제별 논문동향은 종목/장르가 31.7%로 가장 높았고, 인물 14.1%, 시설/기관/단체14.0%, 제도/정책/대회 12.8%, 기타 9.0%, 철학/이념/이론 6.7%, 유적/유물/기록물 6.3%, 지역 5.4%의 순이다. 이 같은 분석 결과는 최근 연구주제가 스포츠, 놀이, 무용 등의 다양한 종목과 장르를 소개하거나 다루려는 경향이 비교적 높다는 사실을 말해준다. 또한 인물의 비중이 시설/기관/단체와 함께 상대적으로 높은 것으로 보아 특정 인물과 단체에 대한 기초적 연구가 집중되는 경향을 드러낸다. 그러면서도 남성 체육인을 중심으로 한 연구가 지배적인 특징을 보이되, 여성을 다룬 경우는 주로 무용 영역에 한정되는 경향을 보인다. 다섯째, 연구목적에 대한 연구동향은 역사적 전개과정 37.6%로 가장 높았고, 가치/의의/의미 20%, 유형/특성 15.5%, 사상/이념/이론 9.1%, 기원/유래 6.6%, 제안/제언/예측과 비교/연관성이 각각 5%, 개념/용어 1.2%의 순이다. 이 같은 연구결과는 체육사 연구가 연대기에 입각한 역사적 전개과정에 집중되어 있음을 알 수 있으며, 개념/용어와 같은 연구는 관심도가 매우 낮은 사실을 보여준다. 이상의 연구결과는 체육사 분야가 한국의 근현대 스포츠 종목과 장르를 대상으로 문헌고찰을 중심으로 과거로부터 이어져 온 연대기적인 역사적 전개과정에 집중하고 있는 사실을 확인하게 된다. 반면에 다양한 연구주제나 연구방법, 비교 검토나 국제사회 속의 체육사에 대한 접근은 약하다는 점을 시사해 준다. 물론 구술/생애사와 관련한 연구가 늘어나고는 있지만, 전반적으로 연구주제나 연구방법에 대한 새로운 모색의 결여는 자칫 학문적 질과 역량의 저하를 가져올 수 있다. 따라서 체육사의 향후 과제로서 새로운 체육사에 대한 사학사적 접근과 함께 연구주제와 연구방법에 대한 새로운 모색을 제시하였다.

      • KCI등재

        중국학계의 백제사 연구 현황과 전망

        위가야 동북아역사재단 2022 東北亞歷史論叢 Vol.- No.77

        Assuming that the historical perception based on the “unified multiethnic state theory” is the foundation of the Northeast Project, the space of Baekje history is located outside the current Chinese territory. This is the reason why there were not many achievements in analyzing Chinese research on Baekje history from the perspective of China’s distortion of ancient Korean history based on the so-called “historical perception based on the Northeast Project”. However, Chinese academic circles have recently been expanding their interest in areas that were outside the scope of the Northeast Project. Now it is necessary to reorganize and analyze Baekje history research in China that have been identified so far. This article aims to organize current research situation based on the existing trends on Baekje history research in Chinese academic circles, and examines it by reviewing the system and contents of recent publications, Chronicles of Baekje History(『百濟歷史編年』) and Baekje·Collection of History(『百濟·集史』). Research results of Baekje history in China confirmed so far are over 360 pieces which show huge increase in quantity since 2000. A distinctive feature in the topic selection is that the research on international relations, cultural exchanges, and refugees takes significant proportion. Since the 2000s, the number of articles related to historical perception, politics, system, economy, and research history has increased. This article has confirmed the following facts by analyzing the composition and content of the recently published Chronicles of Baekje History and Baekje·Collection of History. Chronicles of Baekje History will serve as a collection of historical records that provides a foundation for subsequent research and a milestone that suggests the direction of the research. Another fact is that Baekje·Collection of History aims to build a foundation for future research on Baekje history in China by providing comprehensive information along with compiling Baekje history research in Chinese academic circles. Another characteristic of recent research is that there are many results that have attempted micro-analysis focusing only on the content of the historical material itself. This means that the basis of Baekje history research has been expanding in China. This expansion is expected to promote presenting more organized academic research results through the foundation of Baekje history research completed by Chronicles of Baekje History and Baekje·Collection of History. This is the reason why Korean academic circles should not lose interest in future research achievements while reorganizing the research results of Baekje history in China. ‘통일적다민족국가론’에 입각한 역사 인식이 동북공정의 기반이 되었다고 할 때, 백제사의 공간은 현재의 중국 영토 밖에 존재한다. 이 때문에 이른바 ‘동북공정식 역사 인식’에 입각한 중국의 한국 고대사 왜곡이라는 관점에서 중국의 백제사 연구를 분석한 성과는 많지 않았다. 그러나 최근 중국학계는 동북공정의 대상에서 벗어나 있던 영역에까지 관심을 보이고 있다. 현재까지 확인된 중국의 백제사 연구를 다시 정리하고 분석해야 할 까닭이 여기에 있다. 이 글에서는 중국학계의 백제사 연구 동향에 대한 기존 연구들을 토대로 현재까지의 연구 현황을 개략적으로 정리하고, 최근 출간된 『백제역사편년(百濟歷史編年)』과 『백제·집사(百濟·集史)』의 체제와 내용을 검토하여 연구 동향의 현황을 점검하였다. 현재까지 확인된 중국의 백제사 연구 성과는 360여 편이며, 2000년 이후 연구의 양적 증가폭이 크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주제 선정에서 두드러지는 특징은 국제관계와 문화교류 및 유민 관련 연구 주제의 비중이 압도적이라는 것이다. 2000년대 이후에는 역사인식과 정치·제도·경제 및 연구사 관련 논문이 증가하고 있는 모습이 확인된다. 최근 발간된 『백제역사편년』과 『백제·집사』의 구성과 내용을 분석한 결과 다음과 같은 사실을 확인할 수 있다. 『백제역사편년』은 후속 연구의 토대를 제공하는 사료집인 동시에 연구의 방향을 제시하는 이정표의 역할을 할 것으로 보인다. 『백제·집사』는 이제까지 중국학계에서 이루어진 백제사 연구를 집성하는 것과 함께 향후 연구를 위한 정보를 종합적으로 제공하여 향후 중국에서의 백제사 연구의 토대를 구축하는 데 편찬의 목적이 있다고 여겨진다. 최근 중국에서 이루어지는 백제사 연구의 또 다른 특징은 사료의 내용 자체에 천착한 미시적 분석이 시도된 연구 성과가 다수 제출되고 있다는 점을 들 수 있다. 이는 중국에서 백제사 연구의 저변이 확대되고 있음을 보여준다. 이러한 연구 저변의 확대가 『백제역사편년』과 『백제·집사』를 통해 완비된 백제사 연구의 토대 위에서 학술적으로 좀 더 정비된 연구 성과의 제출을 촉진할 수 있을 것이다. 우리 학계가 중국에서 이제까지 이루어진 백제사 연구 성과를 다시금 정리하는 동시에 향후 이루어질 연구 성과에 관심의 끈을 놓지 않아야 하는 이유이다.

      • KCI등재

        ‘여순 10.19’ 관련 구술 사업의 현황과 과제

        박병섭 호남사학회 2019 역사학연구 Vol.73 No.-

        As ‘the age of the oral history’ has been emerged with enormous historical interview data, this research is focused on Yeosun Revolt with respect to various types of oral data. This research consists of reviewing Yeosun Revolt-related interview data in the present circumstances and of suggesting improvements by summing up the present oral history of Yeosun Revolt. Firstly, the researcher searched through data from several large institutions such as Yeosu Community Research Institute, East Jeonnam Community Research Institute, The Academy of Korean Studies, National Institute of Korean History, Suncheon Citizens’ Solidarity for Reconciliation and Peace of Yeosun Revolt, Truth and Reconciliation Commission of Korea and so forth, all of which has been involved in Yeosun Revolt’s oral history. Meanwhile, testimonial interviews by newspapers and broadcasting, statements made by military commanders and soldiers of the Institute for Military History(MND), testimonies in the School history or autobiographies (or memoirs), testimonies described in 『The history of Suncheon city』, other local documents on the town history, Suncheon Cultural Center and locally affiliated organizations, personally collected interviews, as well as interviews gathered in Goheung, Gwangyang and Boseong has all been put together and analysed in this paper. Subsequently, by looking at other oral history’s efforts in terms of Jeju 4.3, this research points out what Yeosun Revolt’s oral history should be oriented toward the future. This paper gives a high remark of Jeju Island on having been published 6 volumes of materials on Jeju 4.3 and playing pivotal roles on continuing oral history of Jeju 4.3 by collaborating Jemin Ilbo, local daily newspaper, with Jeju 4.3 Research Institute. Jeju 4.3 Research Institute’s “1000 victims collection of testimonials” is the most noteworthy achievement in that it has been acquired 43 testimonies by the police. At the same time, this research presents the 8 issues and suggestions of Yeosun Revolt’s oral interview collection: First, the establishment of an organization for systematic oral interview collection, Second, the urgent recording of testimony by those of yet unclarified truth, third, prior data arrangement, fourth, in parallel with foundation of archives, fifth, the collaboration system with professional writer dealing with process, sixth, the association of Yeosun Revolt’s “me-too” movement by social leaders, seventh, gathering second generation’s interview data, and eighth, opportunity for elderly witness to express and share experience through lifelong education. ‘구술사의 시대’라 불릴 정도로 각종의 구술 수집이 이루어지고 있는 상황에서, 여순 10.19사건의 구술 현황을 살펴보았다. 본 논문은 여순 관련 구술의 존재 상황을 파악하고, 과제를 설정하는 방식으로 이루어져 있다. 먼저 여수지역사회연구소(이하 ‘여사연’), 전남동부지역사회연구소(이하 ‘동사연’), 정신문화연구원(현 한국학중앙연구원), 국사편찬위원회(이하 ‘국편’), 여순사건 화해와 평화를 위한 순천시민연대(이하 ‘여순연대’), 진실 화해를 위한 과거사 정리 위원회(이하 ‘진화위’) 등의 단체에서 추진된 구술 수집의 현황을 살펴보았다. 이와 함께 신문과 방송의 증언 인터뷰, 군사편찬연구소의 군 지휘관, 사병들의 진술, 학교사 속의 증언들, 자서전(회고록) 등 전기물, 『순천시사』와 읍면지의 구술 수록, 순천문화원, 순천시(산하 기구) 등의 구술 수집, 개인의 증언 수집, 고흥, 광양, 보성 등지의 구술 수집 현황도 함께 실었다. 다음 항목으로 제주 4.3의 구술 자료 노력을 살펴봄으로써 역으로 여순사건 구술이 나아갈 지향점을 제시하고 있다. 제주도가 2001년 전 6권의 자료집을 펴내고, 제민일보(제주 지역언론사)와 제주 4.3연구소 등이 주축이 되어 시행한 구술 수집 작업을 계속해온 측면을 높이 평가하고 있다. 제주 4.3연구소의 '1000인 증언 채록사업'은 특히 43명의 경찰 증언을 확보하고 있는 점이 주목될 만하다. 여순사건 구술 수집의 과제는 총 8가지로 제시하고 있다. 첫째, 체계적인 구술 수집을 위한 기구의 설립, 둘째, 진실 규명 받지 못한 분들에 대한 증언 채록을 서두를 것, 셋째, 먼저 확보된 구술의 정리, 넷째, 아카이브 구축과 병행할 것, 다섯째, 가공을 맡을 전문 작가와의 협력 체제 갖추기, 여섯째, 한국사회 지도층의 여순사건 미투(me-too) 조직, 일곱째, 2세대의 증언 수집, 여덟째, 평생교육 프로그램을 통한 어르신들의 목격담 정리 기회 주기가 그것이다.

      • 고정옥의 국문학 갈래 인식과 민요론

        김용찬 ( Kim Yong-chan ) 순천대학교 인문학술원 2019 인문학술 Vol.3 No.-

        고정옥은 경성제대에서 조선문학을 전공했으며, 민요를 주제로 한 졸업논문을 제출했다. 그는 해방이 되면서 서울대학교 국어교육과의 교수가 되었고, 민요와 고전시가를 중심으로 국문학 전반에 대한 연구 성과를 발표하였다. 국문학 갈래들의 상호 관계를 고려하여 정리한 그의 가설은 문학사의 흐름을 일목요연하게 보여주고 있다. 반면에 진화론적 인식에 기반한 이론적 체계는 문학사를 ‘발전’의 측면에서 바라본다는 점이 한계로 지적되기도 한다. 그는 ‘우리어문학회’를 조직하여 활동하였는데, 당시 학회 구성원들은 대학에서의 교육과 국문학의 체계를 세우기 위한 연구를 시급한 과제로 여겼다. 그들은 활발한 연구 활동을 전개하여, 집필에 공동으로 참여하여 『국문학사』를 비롯한 연구 성과들을 출간하기도 했다. 또한 학회에서 발간한 학술지를 통해서 다양한 논문들과 국문학 자료들을 발표하였다. 한국전쟁으로 구성원들의 진로가 남과 북으로 갈리면서 학회는 지속될 수 없었지만, 그들은 짧은 활동 기간에도 불구하고 의미 있는 연구 성과들을 남겼다. 이 당시 고정옥의 연구 활동은 우리어문학회와 긴밀하게 연관되어 있다. 고정옥의 연구에 대한 평가는 민요 분야에 집중되어 있으며, 국문학 전반에 걸친 그의 업적에 대해서는 아직 충분하게 다뤄지지 못했다. 따라서 이 글에서는 국문학의 전 영역에 걸쳐 논의를 전개했던 고정옥의 연구 성과들을 검토하고, 그 의미를 따져 보았다. 이를 통해 문학사의 가설을 세우고, 국문학 전반에 대한 이론화를 시도했던 그의 연구자로서의 면모를 확인할 수 있었다. 특히 민요를 비롯한 구비문학을 문학사의 흐름에 중요한 요소로 인식했던 점도 주목할 필요가 있다. 고정옥의 연구들을 다룬 선행 연구들을 참고하여, 한국전쟁 이전에 제출된 연구 성과들을 중심으로 국문학을 어떻게 분류하고 있는지 검토했다. 이를 통해 그가 문학사를 어떻게 인식하고, 각 갈래들의 존재 양상과 상호 연관관계를 인식하고 있는지를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그의 학문적 출발점이라고 할 수 있는 민요에 대한 인식과 그 의미를 따져 보았다. Ko Jeong-Ok majored Chosun literature at Keijo Imperial University with a dissertation on Korean folksongs. After liberation of Korea, he became a professor of Department of Korean Language Education, Seoul National University and published papers on Korean literature, focusing on Korean folksongs and classical poetry. His hypothesis, which was organized taking into account the mutual relations among the genres of Korea literature, demonstrates the stream of literature history manifestly. On the other hand, his theory based on the evolutionary perception has been criticized for looking at the literature history from a viewpoint of ‘advancement’. He organized ‘Urieomunhakoe ’(Association for Korean Language and Literature), the members of which considered the studies for setting up the system of university education and Korean literature urgent. They carried out studies actively, publishing research outcomes, such as < Korean Literature History >. They also published a variety of papers and documents on Korean literature in the journal of the association. Although the association could not be continued long owing to the Korean War that separated the members into South and North, they left significant research outcomes during a short working period. The research activity of Ko Jeong-Ok during the period is closely related to Urieomunhakoe. The assessment of the research of Ko Jeong-Ok has been focused on Korean folksongs, whereas his achievements across the Korean literature has not been evaluated sufficiently. Therefore, in this article Ko Jeong-Ok’s research outcomes across the whole range of Korean literature is reviewed and evaluated in order to cast light upon his feature as a researcher who set up a hypothesis of literature history and tried theorization of Korean literature. In particular, attention is paid to his understanding of oral literature including folksongs as an important element in the stream of literature history. Consulting previous studies on Ko Jeong-Ok’s research, his methodology of the classification of Korean literature is reviewed focusing on his publications before the Korean War. This study shows how he cognized literature history as well as the existence pattern and interaction of each genre. His cognition on folksongs, which is regarded as the starting point of his academic career, is also assessed.

      • KCI등재

        “스포츠 허스토리”: 한국 여성 체육사 연구 동향과 과제, 2007~2016

        최여미 국민체육진흥공단 한국스포츠정책과학원 2018 체육과학연구 Vol.29 No.1

        [Purpose] This study aims to examine the research trends in Korean women’s sport history and provide suggestions for future research by reviewing journal articles conducted in the last ten years (2007-2016). [Method] The articles were selected from the Korean Journal of History for Physical Education, Sport, and Dance, which is the only, representative sport history journal in South Korea. 66 articles identified as studies of women’s (or women-related) sport history were analyzed in five categories, including a) period, b) theme/topic, c) purpose, d) method, and e) country. [Results] Specifically, the analysis by period showed that 90% of the research focused on modern and contemporary history, while only 7% of the research was set in pre-modern history. According to the analysis by theme/topic, genre has been studied most often with 36%, followed by figure (20%) and facility/institution/organization (15%). By the criteria of purpose, it was found that the majority of the research (48%) focused on historical evolution and transition, while the research on comparison/relation was of little scholarly interest. Regarding the category of method, textual analysis was used most often, with 70% followed by oral life history (27%). By the criteria of country, the largest ratio of papers studied Korea (75%) while only 3% of studies examined other East Asian countries, such as China or Japan. Comparative, diasporic, or transnational studies were the second most popular subcategory (11%). [Conclusion] According to the results, it was acknowledged that there has been a significant lack of interest in women’s sport history by Korean scholars and “sport herstory” is largely underresearched. In addition, the excessive concentration on a specific period or a particular theme was also exposed. To rectify the biased research practice and promote scholarly growth and enhancement in both academia of Korean women’s sport history and Korean sport history, it is necessary to consider the expansion of historical materials, application of new methodology, cross-disciplinary conversation, and theorization in studying women’s sporting experiences. [목적] 본 연구는 지난 10년 동안 수행된 체육사 연구 중 여성 관련 체육사 연구의 현황을 살펴보고 이를 기반으로 향후 과제와 연구의 방향을 모색해 보고자 기획하였다. [방법] 2007년부터 2016년까지 한국 체육사 분야의 유일한 전문 학술지인 『한국체육사학회지』에 게재된 논문을 분석 대상으로 삼았으며, 이를 연구 대상 시기, 연구 주제, 연구 목적, 연구 방법, 연구 대상 국가 등 5가지 범주로 분류하여 살펴보았다. [결과] 연구 분석 결과, 282편의 논문 가운데 23%에 해당하는 66편의 연구들이 여성 체육 관련 연구로 확인되었다. 구체적으로 시기별 분석 결과에 따르면, 전체의 90%에 해당하는 연구가 근대와 현대시기에 집중되어 있으며, 전근대시기를 대상으로 삼은 연구는 전체의 7%에 불과했다. 주제별 검토에서는, 종목/장르에 포함되는 연구가 가장 높은 빈도를 보였으며(36%), 다음으로 인물(20%), (교육)제도/정책/대회(15%) 순으로 연구가 진행되었다. 연구 목적을 분류 기준으로 살펴본 결과, 다수의 연구들이 연대기적 접근 방식을 통해 고찰되었음(48%)을 알 수 있었으며, 상대적으로 지역간 혹은 시대간 비교사적 접근을 통한 여성 체육사 연구는 적었다. 연구 방법적인 측면에서는, 문헌고찰 방식의 연구가 전체의 70% 비중을 차지했으며, 구술/생애사적 연구가 27%로 그 뒤를 이었다. 연구 대상 국가별 분석 결과에 따르면, 전체의 약 4분의 3에 해당하는 연구(75%)가 한국을 대상으로 수행되었으며, 국가간 비교연구나 디아스포라 관련 연구가 11%로 두 번째로 높은 비중을 차지했다. 미국과 유럽에 관한 연구(9%)나 동아시아에 대한 연구(3%)에 대한 관심도는 낮은 편이었다. [결론] 연구 결과를 종합해 볼 때, 여성 체육사 분야에 대한 학계의 근본적 관심이 여전히 부족함을 알 수 있었다. 아울러 연구의 주제적, 시대적 편중화를 해소하기 위해, 사료 확장, 새로운 방법론의 적용, 학제간 교류, 이론화 등이 요구되었다. 여성의 주체화를 전제로 한 이와 같은 다양한 연구 전략에 대한 모색은 한국 여성 체육사는 물론이고 한국 체육사 전반을 보다 풍성하게 만드는 데에 효과적으로 기여할 것으로 판단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