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한식콘텐츠 이용 경험자에게 형성된 한식호감도가 한류호감도, 국가이미지, 한국 방문의도에 미치는 영향

        이지선(Jisun Lee),정라나(Lana Chung) 한국콘텐츠학회 2017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Vol.17 No.7

        본 연구는 한식콘텐츠 이용 후 형성된 한식에 대한 호감도가 한류호감도, 한국의 국가이미지, 그리고 한국 방문의도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기 위해 수행되었다. 한식콘텐츠를 ‘한국 음식과 관련된 각종 정보나 내용물’로 정의하고, 한식 레시피 콘텐츠, 한식 식문화 콘텐츠, 한식 레스토랑 가이드, 한식 미디어 콘텐츠의 4가지 콘텐츠 유형으로 제시한 뒤 한 가지 이상의 한식 콘텐츠 이용 경험이 있는 2030 베트남 젊은층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수행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PLS-SEM 기반의 구조방정식 모델링 기법을 이용하여 가설을 검증하였고, 그 결과, 한식 콘텐츠 이용 후 형성된 한식호감도는 국가이미지에 직접적으로 영향을 끼치거나 또는 한류호감도를 매개로 한국의 국가이미지나 한국 방문의도 모두에 정(+)의 영향을 끼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한국 방문의도에 직접적인 정(+)의 영향을 미칠 것이라는 가설은 유의성이 입증되지 않아 기각되었다. 본 연구를 통해 한식 콘텐츠의 이용경험은 한식호감도, 한류호감도, 국가이미지, 방문의도 등 국가 브랜드 제고에 긍정적인 영향을 끼치고 있었다. 따라서 한류 콘텐츠로서 양적 성장뿐만 아니라 독립적이며 전문적인 질적 성장까지 체계화시키고 고도화시켜 나간다면, 한식 세계화의 미래 방향성을 견인하는 데 기여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plore the effects of Korean food contents influence to the Korean wave favorability, country image, and visit intention to Korea. Korean food contents are defined as that information or contents related with Korea food. In this survey, total 4 type of Korean food contents, Korean food recipe contents, Korean food culture story contents, Korean food restaurant guide contents and Korean food media contents were explained. The respondents were 147 young Vietnamese in residing in Ho Chi Minh city. The data were analyzed by PLS-SEM to explore influence of Korean food favorability with Korean food contents usage. After using Korean food contents, Korean food favorability influence country image and visit intention to Korea, mediating with Korean wave favorability. While Korean food favorability was not shown to influence visit intention directly. This study would contribute to make strategic Korean food contents and distribution, further accord with Hansik Globalization.

      • KCI등재

        한류호감도가 유튜브 K-beauty 채널 선호도 및 한국화장품 구매의도에 미치는 영향 : 베트남내 유튜브 인플루언서를 활용하여-

        이혜리,채명수,정갑연 피터드러커 소사이어티 2022 창조와 혁신 Vol.15 No.4

        As the aesthetic appearance of Korean Wave stars has been exposed through K-Pop and K-Drama due to the continuous Korean Wave, foreign consumers' interest and favorability in the K-beauty industry are increasing. In particular, in the case of Vietnam, which is in the Korean Wave popularization stage, the cosmetics market is growing rapidly. Vietnamese consumers have recently used various information about K-Beauty through YouTube channels. In line with this trend, this study attempted to examine how Korean Wave favorability in Vietnam affects YouTube K-Beauty channel preferences and Korean cosmetics purchase intentions. In this study, based on previous studies, the elements that constitute Korean Wave favorability were classified into K-Pop, K-Drama, and Korean Wave star favorability and approached multidimensionally. To this end, data were collected from 161 people who had purchased K-Beauty using YouTube channels in Vietnam. SPSS and AMOS were used for data analysis. As a result of empirical analysis, it was found that K-Pop, K-Drama, and Korean Wave star favorability, which are components of Korean Wave favorability, all have a positive effect on YouTube K-Beauty channel preference. In addition, it was verified that YouTube K-Beauty channel preference had a positive effect on Korean cosmetics purchase intention. Through the results of this study, the influence on Korean Wave favorability in Vietnam and K-Beauty's preference using YouTube channels was confirmed, and theoretical and managerial implications were presented.

      • KCI등재

        한국문화가 중국여성의 메이크업 태도에 미치는 영향

        박종의 한국문화산업학회 2017 문화산업연구 Vol.17 No.4

        This study examines the effects of Korean culture on the Chinese female make up attitude and tries to investigatethe structural relationship of their attitudes toward the imitation of Korean makeup by Chinese female as influenced by their favor of Korean dramas, Korean wave stars, and Korean cosmetics as an independent variable. To meet research objective, with the help of researches regarding Korean wave culture, especially Korean drama, Korean wave stars, and Korean cosmetics, three dimensions of respective measurement items are drawn. With these measurement items 450 copies of the questionnaire method were surveyed from April 1 to June 30, 2017. Of these, 407 respondents were used for the final analysis. Descriptive analysis, reliability test, factor analysis, t-test, one-way ANOVA, correlation analysis, and multiple regresssion analysis were preformed using SPSS 22.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and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were executed using AMOS 22. The analysis results show that each dimension of Chinese female has a positive (+) influence on the imitation of Korean makeup. First, Chinese female had good images of Korean cosmetics and color makeup. The frequency of imitating Korean makeup style, using color makeup, and favoring Korean wave stars can see through the anlysis of monthly expenditure of the cosmetics. Secon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had a significant effect on the favorability of Korean dramas and Korean wave stars. Finally, it is so important for the relation between the imitation of Korean wave stars and the image of Korean cosmetics to give rise to an imitation of Korean wave star’s makeup. However, it was difficult to generalize the results because of limitations of the regional distribution and number of samples. 본 연구는 한류요인과 중국여성의 메이크업 태도에 의한 상관관계와 인과관계에 관한 연구이다. 그 동안 한류에 대한 연구는 많았지만 한류와 관련된 메이크업 태도에 관한 연구는 다소 미약한 실정이다. 중국여성들의 메이크업 모방이 한국드라마, 한류스타 그리고 한국화장품에 관련이 있는지를 조사했다. 본 연구에서는 한류연예인, 한국드라마, 한국화장품을 독립변수로 하여 중국여성의 메이크업 모방을 실증분석하였다. 이를 위해서 한류문화콘텐츠을 통하여 메이크업 모방에 대한 이론적인 고찰을 한 뒤, 측정항목을 도출하였고, 중국여성을 대상으로 2017년 4월부터 7월까지 수집한 설문지 450부 중 최종분석 최종분석에 407부가 사용되었다. 이것은 SPSS /PC22.0을 이용하여 기술적 분석 및 신뢰성분석 등을 실시하였고, AMOS22.0을 이용해서 확인적 요인분석과 경로분석을 각각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종속변수인 중국여성의 메이크업 모방에 한국스타, 한국영화, 한국화장품이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한국스타, 한국영화, 한국화장품의 측정항목의 신뢰성 검정을 통해 향후 중국여성들의 메이크업 모방을 관리해야 할 지표가 무엇인지를 확인하게 되어 메이크업 모방의 향상을 위해 실무적인 시사점을 제공할 수 있었다.

      • KCI등재

        한류소비자가 지각한 국가이미지, 한류호감도, 심리적 거리가 태도 및 K-Food수용의도에 미치는 영향: 8개국을 대상으로

        강선아,이수범 (사)한국조리학회 2020 한국조리학회지 Vol.26 No.5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acceptance and development possibility of K-food according to the halo effect of Korean wave by connecting Korean wave that is developing around the world with K-food. To this end, this study intended to verify the effects of national image, Korean wave favorability, and psychological distance according to Korean wave on attitude and acceptance intention for K-food through an empirical analysis. Also, this study intended to suggest specific and differentiated method to expand consumption of K-food and effective globalization strategy of K-food by categorizing the Korean wave index. For an empirical study, this study selected 8 countries considering Korean wave index, distribution of korean restaurants, and level of awareness of Korean food, and conducted a survey on locals who have experienced Korean wave culture and K-food. This study conducted a hypothesis testing based on the final 800 samples, and suggested implications based on the verification result.

      • KCI등재

        중국인의 한국드라마 시청이 문화유입 수용성에 미치는 영향 - 한류호감 및 문화근접성의 매개효과 검증을 중심으로-

        이희진 ( Lee Hee-jin ) 중국학연구회 2017 중국학연구 Vol.- No.82

        본 연구의 목적은 중국인들의 한국 드라마 시청이 타문화유입 수용성 증진에 미치는 영향에 한류호감 및 문화근접성이 미치는 매개효과를 실증적으로 규명하고자 하였다. 조사 대상자들은 중국 7개성 11개 도시에 거주하는 30대 미만의 남녀이다. 구조 방정식 모형(SEM)에 근거하여 모형에 포함된 직접효과 및 간접효과를 입증하였다. 매개효과 분석은 편향수정 부트스트레핑 방법(bias-corrected bootstrapping)을 이용하여 검증하였다. 자료 분석을 통해서 밝혀진 주요 사실들은 요약하면, 첫째, 한국 드라마 시청이 문화근접성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지 못했지만, 한류호감을 완전 매개로 긍정적인 영향을 줄 수 있음이 입증되었다. 둘째 한류 호감이 문화유입 수용성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지는 않지만, 문화 근접성을 완전 매개로 유의한 영향을 미칠 수 있음이 밝혀졌다. 셋째, 문화근접성은 문화유입 수용성 증진에 직접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주는 것이 확인되었다. 한국 문화를 포함한 타문화가 중국 사회에 유입되는 것을 중국인들이 수용하는데 중국인들의 한국 드라마 시청이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기 위해서는, 한국 드라마를 시청을 통해서 중국인들의 한류에 대한 호감을 높이고, 한류에 대한 호감과 함께, 한국문화에 대해서 중국인들이 문화 근접성을 확인할 수 있도록 접근하는 것이 매우 효과적일 수 있다는 결론을 내리게 되었다. The predominant concern of the study consist of: (1) the direct effect of Chinese's viewing degree of Korean drama on the receptiveness to foreign cultural inflow; (2) the mediating effect of favorable sentiment toward Korean wave and cultural proximity each. The research is based on a survey conducted with 695 Chinese people under 30, located in twelve cities of six provinces. In order for respondents to verify research questions, structural equation models were explored. The mediating effect analysis was verified using a bias-corrected boot-strapping method. The notable findings are as follow: First, although Korean TV dramas do not directly affect cultural proximity, the favorable sentiment toward Korean Wave have a indirect effect on between them as a mediator. Second, it is found that the liking of Korean Wave does not directly affect the acceptance of foreign cultural influences, but the effect of cultural proximity is significant as a full mediator between them. Third, cultural proximity has been found to have a direct impact on enhancing the receptiveness to foreign culture inflows. In order for the Chinese people to accept the influx of other cultures including Korean Wave culture into Chinese society, it is necessary for Chinese people to have a positive influence on Korean dramas. In other words, by watching the Korean drama, it was concluded that it would be very effective to increase the favorability of the Chinese people to the Korean Wave, and to approach the Chinese culture to confirm the cultural proximity to the Korean culture.

      • KCI등재
      • KCI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