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한국어사전 편찬의 현황과 이론적 전개

        유현경(Yoo Hyunkyung) 한국사전학회 2011 한국사전학 Vol.- No.17

        This paper is aimed at describing the trends and prospects for lexicography of Korean dictionary and examining the theoretical background of lexicography of Korean dictionary. This study examines the practice of lexicography of Korean dictionary from medial 19th century to the present and the theoretical problems in lexicography of Korean dictionary that have been accumulated in the compiling process. Lexicography of Korean dictionary was started as a bilingual dictionary around the time of enlightenment. The first half of the 20th century, lexicography of Korean dictionary was planned and discontinued because of political and social causes. In this time lexicography of Korean dictionary was a cultural event to not only the academic world of Korean linguistics but also the whole society along with unification of notation. From the end of 19C to the present lexicography of Korean dictionary, including 〈Keunsajeon〉, has been related to the identity of Korean people and Korean culture and the work that arranges and unifies Korean was materialized by lexicography. These academic discussions about the dictionary continued while compiling dictionary and also after publication. Especially, the study of theoretical lexicography and practical lexicography centered on the laboratory performed the crucial role in raising Korean lexicography to academic level. After 2000, The Korean Association for lexicography was founded and it has contributed to the theoretical development of Korean lexicography. From now on web dictionary will be the mainstream among Korean dictionaries and recently it is a trend that mobile dictionary growing fast.

      • KCI등재

        국어사전과 어문민족주의

        최경봉 한국사전학회 2017 한국사전학 Vol.- No.30

        In this paper, we discussed how the logic of Korean dictionary compilation is reflected in the system and contents of the Korean dictionary. In Chapter 2, we analyzed the discussion of the modern Korean dictionary compilation, and explained that the purpose awareness of compiling the Korean dictionary was deepened with Korean establishment activities. In chapter 3, we examined how the compilation logic of the Korean dictionary compilation was changed after Korea-Japan Annexation. In 3.1, the Korean dictionary compilation project was evaluated as the response of the national language movement camp to the Korean management policy of the Japanese Government-General of Korea. In 3.2 we explained that the logic of the Korean dictionary compilation is based on the pride of Korean and the self-reflection on standardization of Korean. In chapter 4, we explained that 『Keun Sajeon』 was compiled in parallel with the activity of rebuilding Korean language after liberation, and after the 『Keun Sajeon』the logic of Korean dictionary compilation, was changed in the direction of emphasizing practicality.

      • KCI등재

        ≪조선어사전(朝鮮語辭典)≫의 편찬과 현대 한국어문학 -≪조선어사전(朝鮮語辭典)≫의 출판 이력과 사전 "일러두기"를 중심으로-

        황용주 ( Yong Ju Hwang ) 반교어문학회 2016 泮橋語文硏究 Vol.0 No.42

        이 논문은 문세영이 간행한 사전의 목록을 제시하여 그 출판 흐름을 살피는 것과 문세영이 편찬한 ≪조선어사전≫의 일러두기를 중심으로 특징을 살펴 사전편찬사의 의의를 밝히는 데 그 목적이 있다.문세영은 1938년 ≪조선어사전≫을 편찬한 이후 1940년 수정증보판을 발간하였다. 그 이후 ≪수정증보 조선어사전≫은 1942년, 1944년, 1946년, 1949년, 1954년에 이르기까지 거듭 간행되었다. 일본과 중국에서도 ≪수정증보 조선어사전≫이 간행되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해방기 시기에는 ≪국어소사전≫, ≪중등조선어사전≫, ≪국어사전≫ 등을 간행되었다. 그리고 1950년대 이후에는 그의 이름으로 장문사의 ≪최신판 표준국어사전≫과 ≪순전한 우리말 사전≫이 간행되었다. 문세영 사전의 발간 흐름 추적은 국어학사에서 정확하게 밝혀지지 않은 문세영 사전의 발간 흐름을 밝히는 데 필요한 일이며 희미해지는 우리말 연구 및 사용의 흔적을 복원하는 일이기도 하다.문세영의 ≪조선어사전≫의 특징을 고찰하기 위해 일러두기를 중심으로 살펴보았다. 일러두기를 기반으로 사전의 모습을 살피는 일은 필수적이다. 다른 사전의 일러두기와 비교를 통해 ≪조선어사전≫의 특징을 구별해 낼 수 있기 때문이다. 그런 관점에서 일러두기 항목 하나하나와 사전의 기술 내용을 분석하는 일은 의의가 있다. 문세영 ≪조선어사전≫의 일러두기와 조선총독부 ≪조선어사전≫의 일러두기는 매우 비슷한 내용이 포함되어 있고 문세영 사전이 더 발전시킨 모습을 보인다. 문세영 사전 이후의 중사전 규모 이상의 사전들의 일러두기가 상세하게 나타나는데 그 저변에는 문세영 사전의 일러두기가 기반이 된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article is to study the flows of publication about Korean dictionary list of Mun Seyeong. As well as this, it has an aim to illuminate the significance of the Korean dictionary history through explanatory notes of ≪Joseoneo-sajeon≫ which was a dictionary compiled by Mun Seyeong.Mun Seyeong gave the dictionary which is ≪Joseoneo-sajeon≫ to the public in 1938, he published the a revised and enlarged edition in 1940. After that, he made a revised version of ≪Sujeongjeungbo Joseoneo-sajeon≫ repeatedly in 1942, 1944, 1946, 1949, and 1954. It can be ascertained the facts that ≪Sujeong- jeungbo Joseoneo-sajeon≫ has also published in Japan and China. Right after Korea gained independence from Japan, he published Korean dictionaries which were ≪Guk-eo sosajeon≫, ≪Jungdeung-Joseoneo-sajeon≫, ≪Guk-eo sajeon≫. Since 1950s, Jangmunsa issued the ≪New Standard Korean dictionary≫ and ≪Pure Korean dictionary≫ by his name.Tracing to dictionary issue date about Mun Seyeong’s work is necessary for revealing the flow of Mun Seyeong’s dictionary which was not clearly bare the whole picture in the history of the study of the Korean language. This kind of research has contribution of restoration of an evidence about using language and studies of Korean which became faint.Apart from this, it has examined characteristics of ≪Joseoneo-sajeon≫ through explanatory notes and this method is essential to keep studying the whole figure about Korean dictionary. Because we can learn discrimination of introductory remarks about between ≪Joseoneo-sajeon≫ and other dictionary. From this point of view, it has a signification from analysis of explanatory notes and the contents It has a similar explanatory notes from Mun Seyeong’s dictionary and ≪Joseoneo- sajeon≫ which was made by the Japanese Government General of Korea. After Moon seyoung’s dictionary, medium-length dictionaries had contained the detailed explanatory notes and it had been based on Mun Seyeong’s dictionary.

      • KCI등재

        한불자전 과 현대 한국어문학

        이은령 ( Eun Ryoung Lee ) 반교어문학회 2016 泮橋語文硏究 Vol.0 No.42

        파리외방전교회의 선교사들에 의해 편찬되었고, 1880년 요코하마에서 출판된 『한불자전』은 사전편찬학적 관점에서 최초의 한국어 이중어사전이다. 이 사전은 19세기 말부터 시작된 영미권 선교사들의 한국어-영어 이중어사전의 모델이 되었고 이후 한국어와 타 외국어의 이중어사전뿐만 아니라 국어사전 편찬에도 직, 간접적인 영향을 미쳤다. 그러나 프랑스어로 된 뜻풀이와 외국인에 의해 편찬된 이중어사전이라는 한계 때문에 『한불자전』은 우리말 연구에 적극적으로 활용되지 못했다. 세종 21세기 계획의 「역사 자료 말뭉치」로 구축되면서 『한불자전』은 비로소 19세기 한국어의 역사를 증언하는 자료로 탈바꿈했고, 이후 다양한 학문분야에서 활용됐다. 본 연구에서는 『한불자전』이 현대 한국어문학에 미친 영향을 고찰하기 위해 『한불자전』을 활용한 학술논문을 분류하여 그동안 현대 한국어문학에서 『한불자전』이 소환된 양태를 분석했다. 그 결과, 우리는 『한불자전』이 19세기 한국어 어형과 의미변화를 고찰하는 실증적 자료로 쓰인 예가 가장 많았음을 확인하게 되었다. 또한, 사전 편찬 경위와 타 사전의 영향 관계에 관한 연구와 『한불자전』이 가진 문화적 함의에 대한 여러 논의를 통해 개항 전후 시대의 사회 문화적 현상을 이해하는 데 영향을 미쳤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Dictionnaire Coreen-Francais (DCF) is, from the lexicographic perspective, the first Korean bilingual dictionary compiled and printed in 1880 at Yokohama by the French missionaries of the Missions Etrangeres de Paris. Since its +publication, DCF had been a lexicographic model especially for Korean-English dictionaries written by American-English missionaries and later had a direct or indirect impact on other foreign languages and Korean lexicography. However, DCF had not been widely used in Korean language studies because of its french definition. As DCF was partly built into 「Korean language history corpus」 of the 21st century Sejong Project between 1998-2007, it has been used in the various fields of the Korean studies after having been transformed into a raw corpus, that shows us how the Korean language was in 19th century. By proceeding a thematic classification of the research papers related to the DCF, this study aims to show how DCF is used in Korean literature and language studies in order to evaluate the influence of DCF to the field. As a result, we found that DCF is most frequently used as empirical data that allows to verify the lexical forms and semantic changes. Also, DCF had a substantial impact in understanding the Korean socio-cultural phenomena of the late 19th century.

      • KCI등재

        불한사전에서의 공손 표현에 대한 제시 방식 단점과 해결책 - ‘S’il-vous-plait’를 중심으로

        정해연 ( Hae-yun Jung ) 연세대학교 언어정보연구원(구 연세대학교 언어정보개발원) 2018 언어사실과 관점 Vol.45 No.-

        프랑스어와 한국어의 공손 표현은 어휘적으로나 개념적으로 매우 다르다. 예를 들어, 한국어에서는 s’il te/vous plaît(please)라는 프랑스어에 대한 정확한 대응어를 찾기가 어렵다. 이 공손 표현을 한국어로 번역한다면 여러 가지 방식이 있을 수 있다. 하나의 표현이 반드시 어휘 요소로 대응되지는 않으며 오히려 통사적 요소와 대응될 수도 있다. 또한, Monsieur/Madame(Sir/Madam)라는 프랑스어 호칭에 대해서는 대화자 사이의 관계에 따라 다양한 한국어 대응어가 존재하기도 한다. 이러한 차이로 인해, 프랑스인 한국어 학습자의 관점에서 봤을 때, 공손 표현 관련 표현에 대한 사전적 기술은 화용론적 정보 및 대응어의 측면에서 문제점과 한계점이 많이 발견된다. 본 연구는 불한사전에서 공손 표현을 어떻게 다루고 있는지, 그리고 관련 표제항에 어떤 문제점이 있는지를 분석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분석된 대응어와 예시는 네이버 불한사전에서 수집한 것이다. 본 연구는 분석 결과를 바탕으로 불한사전의 공손 표현에 대한 사전 미시구조의 모델을 제시함으로써 지금까지의 한계를 극복하고자 한다. Expressions of politeness in French and in Korean are lexically as well as conceptually different. For example, there is no equivalent word to the French s’il te/vous plaît (‘please’) in Korean. This particular expression of politeness can be translated in many ways in Korean, which are not necessarily lexical and can also correspond to syntactic elements. At the same time, polite terms of address in French such as Monsieur/Madame (‘Sir/Madam’) have a variety of equivalents which depend o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interlocutors and denote the various levels of politeness in Korean. Because of these discrepancies, the lexicographical description of politeness related lexical items presents many issues and shortcomings as for their practical use from the perspective of French learners of Korean. The objective of this paper is to analyse how lexical items of politeness are treated in French-Korean lexicography and what issues the relevant entries present. The equivalents and examples analysed are extracted from Naver dictionary portal, which gathers information from existing published bilingual dictionaries. As a result of the analysis, this study proposes a solution to the issues which the entries of such expressions present by suggesting a model for the lexicographical treatment of politeness elements.

      • KCI등재

        통시 국어사전의 국어사 정보

        서형국 국어사학회 2015 국어사연구 Vol.0 No.21

        본고는 국어사 정보를 전망적으로 서술하는 확장형 국어대사전을 감안하여 국어사전에 국어사 정보를 반영하는 방안을 검토하였다. 통시 국어(대)사전은 시기별로 이루어진 공시 국어사전을 바탕으로 수립될 것인바, 이때 고려될 방안을 미시구조에 반영될 국어사 정보별로 서술하였다. 본고에서는 먼저, 문헌 자료에 드러난 국어사 정보의 성격이 국어사전에 실리는 국어 정보와 어떻게 다른 속성을 보이는지 확인하고, 문헌자료에서 확인되는 변이와 변형을 국어사전에 반영하는 방안을 점검하였다. 문헌자료에는 의소에 대당하는 형태가 확인되는바, 국어사전에서는 이를 형태 단위별로 재정리하여 사전 이용자에게 필요한 서술 단위에 맞추어 국어사 정보를 제공하게 된다. 본 연구에서는 통시 국어대사전에서도 현대국어 확장형 국어사전에서처럼 전면적인 서술이 이루어질 필요가 있음을 전제하였다. 또한 사전 이용 매체의 변화 추세에 따라 통시 국어사전도 온라인 전자사전을 기반으로 하여야 하며 따라서 국어사 정보의 정리와 검색의 편의를 위해서 검색어 정보를 별도로 마련할 것을 제안하였다. This study is a methodological survey for data classification and representation in the Korean historical lexicography. For the survey, I readjust the microstructure of historical dictionary. In doing so, I suggest Korean language data must be classified for the user-oriented historical lexicography. For the ease of retrieving historical information of Korean language, Korean language dictionary making must be based on user orientation. It is representation of classified details of Korean language data that makes the dictionary successful. So, the historical lexicography starts from searching presentational methodology.

      • KCI등재

        사전 편찬사의 관점에서 본 『韓佛字典』의 특징 - 근대국어의 유해류 및 19세기의 『國漢會語』, 『韓英字典』과의 비교를 중심으로 -

        이지영 서울대학교 규장각한국학연구원 2009 한국문화 Vol.48 No.-

        Dictionnaire Coréen-Français [韓佛字典], compiled by French priests in late 19th century, has been evaluated to have distinct characteristics from the traditional vocabularies. This paper aimed to prove this evaluation about it more concretely and more accurately through quantitative and substantive analysis. So we examined it by comparison with the traditional vocabularies compiled before it and other dictionaries compiled after it. The references of this paper for comparative analysis are: Eokyeoyuhae [譯語類解](1690), Dongmunyuhae [同文類解](1748), Eokyeoyuhaebo [譯語類解補](1775), Bangenyuseok [方言類釋](1778), Waeeoyuhae [倭語類解](1781), Mongeoyuhae [蒙語類解](1790), Mongeoyuhaebo [蒙語類解補](1790), Kukhanwheoeo [國漢會語](1895), A Korean-English Dictionay [韓英字典](1897). The results of analysis are as follows: (i) Dictionnaire Coréen-Français was not heavily affected by the traditional vocabularies, but had a stronger influence on Kukhanwheoeo and A Korean-English Dictionay. (ii) Dictionnaire Coréen-Français showed more diverse entries and more detailed description of meaning than the traditional vocabularies. (iii) Dictionnaire Coréen-Français accurately reflected the Korean and signs of times such as modernization in 19th century.

      • KCI등재

        Pronunciation and Transliteration Issues in the Korean-French Dictionary of 1880

        ( Hae Yun Jung ) 연세대학교 언어정보연구원 2016 언어사실과 관점 Vol.37 No.-

        이 연구는 1880년에 발행된 「한불자전」에 대한 연구이며, 그 시대의 한국어 상태를 정확히 기술하는 것보다는 프랑스 선교사들의 관점에서 바라본한국어의 현상을 제시한다. 1876년 강화도조약 이후에 조선에 들어올 수 있었던 프랑스 선교사들은 그들의 종교인 카톨릭 포교를 위하여 민중이 사용하는 한국어와 한글을 습득할 필요성을 느꼈다. 그리하여 몇몇 한국 신자들의 도움을 받아 수년 간 노력하여 만들어진 것이「한불자전」과「한어문전」이다. 그 이전의 이중어 대역사전이 없었다는 점에서「한불자전」은 근대적의미의 사전으로서는 제일 처음이라고 할 수 있다. 본 연구에서 중점적으로 살펴보고자 하는 부분은 발음표기다. 발음표기법에서 「한불자전」을 편찬한 프랑스 선교사가 자신의 사고방식을 벗어나지못한 점이 드러나기 때문이다. 그러므로 이 사전이 단순한 음성학적 표기로 보기가 어렵다는 점에서 문제점을 여러 요인으로 제기한다. 이를 위하여 사전에 표기된 음운체계를 구체적으로 제시함으로써 이것이 나타내는 문제점들을 분석하고 설명한다.

      • KCI등재

        학습사전으로서의 『보통학교 조선어사전』(1925) 살펴보기

        이유원 한국사전학회 2024 한국사전학 Vol.0 No.43

        이 글은 일제 강점기 교과서인 『보통학교 조선어독본』를 바탕으로 만든 심의린의 『보통학교 조선어사전』(1925)을 학습사전의 시각으로 분석하며 서평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보통학교 조선어사전』은 교과서에 쓰인 어휘를 바탕으로 만든 사전으로, 지금까지 조사된 결과 한국 사람이 편찬하여 단행본으로 출판한 최초의 한국어 학습사전이라 할 수 있다. 즉, 현재 초등 국어사전에 해당하는 일제 강점기 초등학교 학생들을 위한 학습사전인 것이다. 우선 2장에서는 심의린이 『보통학교 조선어사전』 자서와 범례에서 직접 밝힌 이 사전의 편찬 배경과 목적, 활용 방안에 대해 살펴보았다. 3장에서는 이러한 편찬 목적을 바탕으로 『보통학교 조선어사전』의 표제어와 그 외 미시 구조의 분석을 통해 이 사전이 학습사전으로서 어떤 특징을 가지고 있는지, 그리고 학습사전으로 기능하기 위해 어떠한 장치를 두고 있는지를 검토하였다. 이 사전이 편찬된 당시의 환경을 현대의 사전 편찬 환경과 동등하게 놓고 비교하기는 어렵지만, 편찬자가 직접 학습사전임을 표방하며 그 목적을 밝힌 만큼 학습사전으로 활용되기 위하여 다각도에서 나름의 노력을 취했음을 확인할 수 있다. The purpose of this article is to analyze and review Shim Eui-rin's Joseon Language dictionary of primary school (1925), which was based on the Joseon Language textbook of Primary School』, a textbook from the Japanese colonial period, from the perspective of a learner’s dictionary. Joseon language dictionary of primary school is a dictionary based on the vocabulary used in textbooks, and as a result of the survey so far, it can be said to be the first Korean language learner’s dictionary compiled and published in a book by Koreans. In other words, it is a learner’s dictionary for elementary school students during the Japanese colonial period, which is currently the elementary Korean dictionary. First of all, in Chapter 2, we examined the background, purpose, and application plan of this dictionary, which Shim Eui-rin directly revealed in the autobiography and legend of 『Joseon Language Dictionary of Primary School』. Based on this purpose of compilation, Chapter 3 examines what characteristics this dictionary has as a learner’s dictionary and what other devices it has to function as a learner’s dictionary through the analysis of the heading and other microstructures of 『Joseon Language Dictionary of Primary School』. Although it is difficult to com pare the environment at the time this dictionary was compiled on an equal footing with the modern dictionary compilation environment, it can be confirmed that the compilation company has made its own efforts to be used as a learner’s dictionary as it claims to be a direct learner’s dictionary and has revealed its purpose.

      • KCI등재후보

        국어사전 편찬 연구사

        허재영(Heo Jaeyoung) 한국사전학회 2009 한국사전학 Vol.- No.13

        This study aims to describe the history of study about lexicography of Korean language dictionary. I think that the history of lexicography should be distinguished from lexicology because the compilation of a dictionary leads to various problems. Lexicography means the writing and making of dictionaries. The results of this study is as follows; First, Korean dictionary appeared in recent modern times. But these were simply wordbooks. In 1897, Ju Sikyeong(주시경) asserted the necessity of a Korean dictionary, and he compiled Malmoi(말모이), but the dictionary was not completed. Second, langauge law is a prerequisite to the compilation of a dictionary. These problems must be solved by government. However, during the colonial period, the government was not interested in these problems. In 1933, these problems were solved by the CHOSEON-EOHAKHOI (the Korean language Research Society). In 1957, the Korean dictionary was published by the HANGEUL-HAKHOI. The dictionary was named WOORIMAL-KHUNSAJEON (which means the large scale Korean dictionary). However, lexicography was not developed during the modem times. Third, from KHUNSAJEON various dictionaries were published and lexicography developed quantitatively. Today the compilation of a dictionary is based on corpus, and lexicography concerned with the micro and macro structur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