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 KCI등재

        판소리계 고소설의 담화 요인 분석 방법 – 『열여춘향슈졀가』를 중심으로 –

        서형국 국어사학회 2012 국어사연구 Vol.0 No.15

        이 논문은 완판 84장본 『열여춘향슈졀가』를 대상으로 담화 요인 주석과 형태소 분석을 통하여 국어사 문헌 자료를 종합적으로 검토하는 방법론적 시안을 마련하는 데 연구의 목표가 있다. 본 연구는 국어사 문헌 자료의 질적 특성을 감안한 연구, 전자 주석을 통한 계량적 연구, 방법론적 시안을 마련하기 위한 연구의 특성을 갖는다. 본 연구에서는 크게 다음 네 가지 변인을 검토하고, 이를 연구에 반영하 고자 하였다. (1) 『열여춘향슈졀가』는 구연을 전제한 담화 특성이 잘 반영된 문헌이다. (2) 문헌 텍스트가 반영하는 담화 장면에 따라 ‘서술 담화 여부’, ‘대화 여부’, ‘친소/위계 대화 여부’를 ‘화자/청자’를 반영하여 담화를 분석한다. (3) 계량의 측면은 종합적으로 어절 복잡도와 형태소의 분포를 담화 장면별로 감안하여 분석한다. 이와 같은 연구 방법론을 적용하여 볼 때, 개별 담화 요인은 그 자체로 절대적인 상관관계를 보이지는 않는다. 그러나 담화 요인은 어절 복잡도나 형태소 빈도와 같은 언어 현상에 대하여 상대적으로 상관관계를 비교적 일관되게 가짐을 확인해 주었다. The aim of this paper is suggesting new methodology focusing in aspects of discourse in historical texts. Aspects of discourse suggested in this paper are 1)whether texts are narratives or not, 2)whether the speech is dialogue or not, 3) to whom and from whom the dialogue is attended, 4)whether the mode of dialogue is friendly speaking or hierarchical. It is selected for the data of analysis Yeollyeo-chunhyang-shyujyeolga, which is the most famous classical korean novel, so can be the representative of that genre. This paper tests this text by four criteria as has been suggested in two methods. Firstly, all the words in the texts are tested from the standpoint of speaker/listener. Secondly, all the morphemes in the texts are tested from two standpoints of discourse elements - that is the degree of word complexity and the frequency of morpheme - by four discourse criteria. As a results, the methodology suggested in this paper can make survey the historical data not with absolute correlation but with relative correlation. Or the historical data can be viewed as linguistically consistent by discourse-focused analytic methodology or by combinatory analytic methodology of discourse element.

      • KCI등재

        중세 한국어 용언 ‘・들-[入]’의 문형 구성에 대하여

        서형국 국어문학회 2023 국어문학 Vol.82 No.-

        This study surveys the semantics and syntax of verbal construction of Middle Korean ‘teul-’. The verb ‘teul-’ has basic sense which describes the event that agent moves to the place across the boundary. The syntax of the verb varies from construction Ⅰ to construction Ⅷ, and from 2-place construction to 3-place construction. And the semantics of the verb varies from active to stative, and from accomplishment to state. For the synchronic description, various syntactic and semantic components comes in consideration. Of which are semantic classes of noun phrase such as animateness for subject, abstractness for adverbial. There comes event classes such as achievement, accomplishment, and state for classifying criterion for ‘teul-’ constructions. Motion properties such as directionality, causer of motion, boundedness of target place, and punctuality considered as important criteria for classifying properties also. 본 연구는 한국어 용언의 문법적 변화를 살펴보기 위한 기초적 연구로서 이동 사태를 나타내는 중세 한국어의 절 구성을 용언 ‘・들-’을 대상으로 하여 의미와 통사적 특성을 기술하고, 각 구성의 분류에 어떤 요인이 개입하여 있는지 기술하였다. 중세 한국어 용언 ‘・들-’은 문장 성분으로 취하는 명사구의 의미 특성에 따라 크게 8가지 구성으로 분류되었다. 명사구의 의미 부류는 동작주, 유발주가 될 수 있는 유정 명사류, 완곡한 용법을 유발하는 존칭 유정 명사류, 처소나 대상이 될 수 있는 무정 명사류, 도달의 구상성‧추상성을 구분해 주는 추상 명사류, 수량 표현 등이 유의미하게 사용되었다. 각각의 사태는 구상적 이동이 일어나는 사건으로서 달성 사태와 완성 사태, 상태 변화나 그 결과로 이루어지는 상태, 속성 부류들이 검토되었다. 이동 사태의 분류에는 이동의 방향을 동작주와 경험주, 혹은 서술자의 일치 여부, 그리고 이들 주체 쪽으로의 움직임이 검토되었다. ‘‧들-’ 구성의 분류에는 유발주(causer)의 유무와 처소의 경계 유무(boundedness) 등도 구성의 분류에 기능함을 확인하였다. ‘‧들-’ 구성마다 가지는 의미를 구분하여 서술함으로써 ‘‧들-’ 구성에 대한 중세 한국어 구성의 특성을 기술하였다.

      • KCI등재

        『한국언어문학』50년의 문법·의미 연구

        서형국 한국언어문학회 2013 한국언어문학 Vol.86 No.-

        The aim of this paper is reviewing all the articles on grammar and on semantics and on some other discipline listed in Korean Language and Literature of The Korean Language and Literature Society. The numbers of articles that we review are 324. All of articles are published from 1963 to this year 2013. Research trends of grammar and semantics of Korean Language and Literature are: 1) Average number of articles are upsurging in 1980'. And twice and quarterly publishing policy makes this trend go on or makes it more. 2) Moot of subdiscipline represents similar development in time and amount. Discourse and Pragmatics, unlike morphology, syntax, lexicology and semantics, appear to be late and scarce in development and amount of articles. 3) All the subdiscipline starts from introducing theory of general linguistics and turn the theme over matter of Korean This trend makes Korean language education and Korean corpus linguistics mere interested, because synthetic research is mere and more needed. So this paper SUggest for the development of research on grammar and semantics subdiscipline to the Society : 1) It is needed the balance between theoretical research and material research, and the Society makes effort and support this trend. 2) For each subdiscipline, the theme of research is scattered evenly, though this trend cannot be driven by anyone. 3) The Society must make opportunity to debate1:etween individual researchers and the journal support this via space.

      • KCI등재

        역법(曆法)과 천문(天文) 정보로 본 『朴通事』

        서형국 국어사학회 2013 국어사연구 Vol.0 No.17

        이 논문은 朴通事 를 理解하기 위한 方法으로 天文과 曆法 情報를 適用해 보려는 데 目的이 있다. 朴通事 는 14세기 중반의 사실을 바탕으로 舊本{ 朴通事 가 처음 저술된 것으로 알려져 있다. 15세기 말에 이 舊本{을 修訂하였다는 기록이 전하고, 언해를 곁들인 刪改本{ 계열의 現傳 {飜譯} 朴通事 는 늦어도 16세기 초까지는 간행되었을 것으로 추정된다. 따라서 刪改本{ 계열의 朴通事 에는 舊本{의 內容일 것과, 刪改 당시의 狀況일 것이 뒤섞여 있다. 또한 文面 그대로는 事實에 附合하지 않는 部分도 있다. 본 연구에서는 現傳 最古本{인 刪改本{ 계열의 {飜譯} 朴通事 를 이해하기 위하여, 天文과 曆法 정보를 활용하는 방안을 제시하려 한다. 天文과 曆法 정보를 활용하면 朴通事 卷中 73話에 전하는 星占에 대한 올바른 해석이 가능하고, 卷下 97話에 남아 있는 日字 記錄의 正誤도 바로잡아 볼 수 있을 것이다. 본 연구를 통해서 천문과 역법 정보를 이용하여 朴通事 를 좀 더 정확히 이해할 수 있게 되었다. 朴通事 에 담긴 사회・문화적 사실을 다양한 분야의 정보를 이용하여 접근하는 것이 가능하며, 또한 유효하다는 점을 확인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정보를 이용함으로써 舊本{ 당시의 내용과 刪改된 부분을 정확히 갈라내어 이해할 수 있었다. 刪改 科程에서 一部 誤字와 脫字가 있은 채로 전해지고 있는 部分도 舊本{의 表\現을 復原하여 理解할 수 있게 되었다. 曆法과 關聯되어 있는 內容을 檢討함으로써 이 會話書의 登場人物은 現代 韓國의 文化와 꼭 같은 방식을 따랐음을 確認하였다. The aim of this paper is to re-read Bakthongsa from the perspectives of astronomy, calendar, and horoscope. The book Bakthongsa had been published in about 1355 AD, which is not present anymore. But the book has revised edition that was published from 1480 to 1517 AD. Therefore, the book Bakthongsa represent the uncertain time-depth, in some cases 14th century's, and in other cases 15th or 16th century's. In addition to this problem, in some text, there are some error that cannot be read reasonably. So it is needed that the book is reviewed from the perspective of textual criticism. I compared the information of astronomy, calendar, horoscope. That information spans from 14th century to 16th century. As a result, it can be clearly divided the 14th century's contents from the 15th or 16th century's contents.

      • KCI등재
      • KCI우수등재

        구성성분을 형성하는 구성체의 형식 유형에 대하여

        서형국 국어국문학회 2019 국어국문학 Vol.0 No.189

        This paper aims at surveying the syntactic patterns which contribute to conforming syntactic constituents in Korean. Besides case markers and transfunctionalizing endings, there are a lot of constructions which is come up with lexical units whether it is bound with another grammatical morphemes or not. I here collected syntactic patterns from the dictionary descriptions. The patterns can be categorized according to form classes, syntactic functions, and semantic properties. In this paper, I focused on the function of syntactic constituent, which can be used for explaining the principles of syn- and diachronic sentence formation. So in this paper the syntactic patterns categorized on the criteria of function expressing forms and syntactic functioning. On the basis of the constituent pattern, it can be researched about the principles of pattern formation, and the functional distribution and pattern change which includes functional and formal change. I expect the results of this survey can contribute to the research on grammaticalization of Korean. 본고에서는 체언이나 용언에 형식적 고정성을 갖춘 복합적인 구성체가 개입하여 구성성분을 형성하는 경우를 대상으로 하여, 이들 구성체를 이루고 있는 형식 단위에 따라 유형별로 분류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고는 한국어의 문법적 기능 단위를 형성하는 절차로 문법 형태소가 참여하는 경우 외에도 어휘적 구성이나 그 확장형인 구성체들이 참여하여서도 성분을 형성한다는 점을 감안하고, 이들을 총괄하여 기술하는 것으로 기능적 단위의 형성 과정과 작동 원리를 설명할 수 있다고 본다. 한국어 기능 단위의 문법적 기능이 주로 조사와 어미가 나타내는 것으로 이해되어 왔음에도 불구하고 이러한 기능 단위가 일정한 기능을 부여받는 데 조사나 어미 같은 단일한 문법 형태소만이 관여하는 것은 아니다. 때로는 어휘가 성분 형성의 기능을 하기도 하고, 여러 형태가 복합적으로 구성을 이루어서 성분을 형성하는 기능을 수행하기도 한다. 본고에서는 이런 기능을 수행하는 역할을 갖게 되는 고정적 패턴을 총괄하여 살펴보는 것으로 한국어 통사론의 기초적 탐구가 가능할 것으로 기대한다. 본고에서는 기존에 조사와 어미 외에도, 조사의 기능을 획득한 어휘 부류, 자립 명사나 의존 명사를 중심으로 때로는 격조사와 통합한 명사류, 용언이나 체언을 성분을 갖는 부사류, 용언의 활용형이 논항을 취한 형식으로 성분을 이루는 경우, 특정 어휘가 일정한 조사나 어미와만 어울려 성분을 이루는 경우를 기술적(記述的)으로 정리하였다. 이런 구성체의 형식 유형은 문장 안에서 기능 단위로 사용되는데, 이상의 기술 사항을 문장 안에서의 쓰임에 따라 기능적 유형으로 정리하면서 문장 성분과도 비교하여 정리하였다.

      • KCI등재
      • KCI등재

        통시 국어사전의 국어사 정보

        서형국 국어사학회 2015 국어사연구 Vol.0 No.21

        본고는 국어사 정보를 전망적으로 서술하는 확장형 국어대사전을 감안하여 국어사전에 국어사 정보를 반영하는 방안을 검토하였다. 통시 국어(대)사전은 시기별로 이루어진 공시 국어사전을 바탕으로 수립될 것인바, 이때 고려될 방안을 미시구조에 반영될 국어사 정보별로 서술하였다. 본고에서는 먼저, 문헌 자료에 드러난 국어사 정보의 성격이 국어사전에 실리는 국어 정보와 어떻게 다른 속성을 보이는지 확인하고, 문헌자료에서 확인되는 변이와 변형을 국어사전에 반영하는 방안을 점검하였다. 문헌자료에는 의소에 대당하는 형태가 확인되는바, 국어사전에서는 이를 형태 단위별로 재정리하여 사전 이용자에게 필요한 서술 단위에 맞추어 국어사 정보를 제공하게 된다. 본 연구에서는 통시 국어대사전에서도 현대국어 확장형 국어사전에서처럼 전면적인 서술이 이루어질 필요가 있음을 전제하였다. 또한 사전 이용 매체의 변화 추세에 따라 통시 국어사전도 온라인 전자사전을 기반으로 하여야 하며 따라서 국어사 정보의 정리와 검색의 편의를 위해서 검색어 정보를 별도로 마련할 것을 제안하였다. This study is a methodological survey for data classification and representation in the Korean historical lexicography. For the survey, I readjust the microstructure of historical dictionary. In doing so, I suggest Korean language data must be classified for the user-oriented historical lexicography. For the ease of retrieving historical information of Korean language, Korean language dictionary making must be based on user orientation. It is representation of classified details of Korean language data that makes the dictionary successful. So, the historical lexicography starts from searching presentational methodology.

      • KCI등재

        국어 관형사의 문법사 연구 시론

        서형국 국어사학회 2010 국어사연구 Vol.0 No.10

        이 논문은 국어 관형사에 대한 역사적 연구의 기초가 되는 사항을 논하는 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하여 논의의 대상이 되는 단어 부류가 갖는 특성을 상세히 논하고 몇몇 사례를 통하여 분석의 과정을 제시하였다. 이러한 논의와 분석을 통하여 이 논문에서는 다음과 같은 잠정적 결론을 제시하였다. 첫째, 명사구 전부 요소의 역사적 연구와 관련하여, ‘단어임의 위상 변화’, ‘형태 변화’, ‘단어/접두사로서의 자격 획득 여부’, ‘명사구 핵과의 논항 관계 상실/획득’ 등이 논의될 수 있다. 둘째, 관형사 문법사는 고유어 관형사와 한자어 관형사로 구분하여 진행되어야 한다. 셋째, 관형사의 문법사 논의는 구성 양식별로 그 변화 양상을 추적하여야 한다. This paper aims at drafting the basis of arguments for the historical research on adnominal word class in Korean. For the purpose, it is suggested that the object of arguments is analysed in detail, and the course of arguments is followed by that analysis. Through the arguments and analysis, this paper has the result as following: 1. The arguments on historical research on adnominal word class are related with ‘becoming word’, ‘morphological change’, ‘gaining the status of word’, ‘gaining/losing the argument relation with the head of NP.’ 2. The arguments must be treated in separation in one hand the pure-Korean determiner, in the other hand the Sino-Korean determiner. 3. The research must be revolved around the change in the constructional patter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