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중국의 한국어학습 앱(APP) 현황과 특징- 한국 대중문화콘텐츠 활용을 중심으로

        왕우진 충남대학교 인문과학연구소 2023 인문학연구 Vol.62 No.3

        중국인들이 한국어에 입문하는 가장 큰 동기는 한국 대중문화의 영향 때문이다. 이러한 현상을 반영하듯 최근 중국에서는 한국 대중문화콘텐츠를 활용한 다양한 한국어학습 앱이 인기를 끌고 있다. 대표적인 앱으로는 <알파카 한국어>, <한국어U학원>, <도라한국어>, <한국어학습> 등이 있다. 대중문화를 활용한 한국어학습 앱은 자기 주도형 학습, 학습동기부여, 수업 흥미 유발이라는 긍정적 역할을 한다. 하지만 앱에서 제공하는 콘텐츠에는 부정확하고 어색한 한국어 발음, 맞춤법과 띄어쓰기의 오류, 음성과 텍스트의 불일치, 저작권과 초상권 침해 등과 같은 여러 문제도 동시에 가지고 있다. 이러한 문제들은 한국어 전문가로부터 충분한 검증을 거치지 않고 빠른 유료회원 모집을 위해 흥미 위주의 교육콘텐츠를 성급히 늘린 결과라고 볼 수 있다. 하지만 메타버스, 시뮬레이션, AI 기술 등을 사용자들에게 친숙한 대중문화콘텐츠에 접목하여 한국어학습에 응용하고 있는 중국 상황은 매우 주목할 가치가 있다. 중국의 이러한 시도는 여전히 기능성과 접근성이 떨어지는 방식으로 ‘외국인을 위한 한국어’학습 앱을 만들고 있는 한국의 관련 전문가들에게 여러 가지 시사점을 던져주고 있기 때문이다. The primary driving force behind the Chinese initiation into Korean language learning is the pervasive impact of Korean popular culture. This phenomenon is also evident in the popularity of comprehensive Korean language learning Apps which incorporate cultural contents in China. Representative Apps include Alpaca Korean, Korean U Academy, Dora Korean, and Korean Language Learning. These cultural contents embedded Korean language learning applications has been found to have positive effects on boosting the users’ spontaneous learning designing, as well as stimulating users’ learning motivation and interests in the offered courses. However, the contents provided by these apps have the problems such as imprecise or unnatural Korean pronunciation, errors in spelling and grammar, inconsistencies between voice and text content, as well as potential violations of copyright and picture rights. These problems can be attributed to the utilization of contents unverified by Korean language experts, the intention of quickly recruiting paid members and the overanxious for increasing the interest-based education contents. Still, these Chinese-style Apps are noteworthy as they endeavor to integrate metabus, simulation, and AI technology with popular culture that is known to the user and aim to apply them to the process of learning the Korean language. They offer a diverse range of sources of inspiration for Korean experts who still produce educational content in Korean language learning with low accessibility.

      • KCI등재

        증강현실을 활용한 한국어 학습 콘텐츠 개발

        박은하(Eunha Park),전진우(Jinwoo Jeon) 한국콘텐츠학회 2013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Vol.13 No.4

        증강현실의 기술이 발전함에 따라서, 증강현실이 다양한 분야에 적용하려는 시도가 늘어나고 이에 대한 활용에도 기대가 모아지고 있다. 요즘 국내에서 다문화 사회로의 변모와 국외에서는 한류의 영향으로, 한국어를 배우려는 한국어 학습자들이 증가하고 있다. 또한 정보통신기술의 발달로 교육 매체가 다양해짐에 따라, 최신 기술을 도입한 한국어 학습 콘텐츠 개발에 관심을 기울이고 있다. 하지만 증강현실을 활용한 한국어 콘텐츠 개발이 미비하여 본고는 증강현실을 활용한 한국어 학습 콘텐츠 개발 사례를 소개하고자 한다. 지금까지의 한국어 교육은 책을 읽거나 영상물을 통한 지식 학습에 국한되어 있어서 본 연구는 한국어 교육의 학습 효율성을 높이고 학습자가 학업 성취, 흥미, 몰입을 높이는 학습 콘텐츠를 만들고자 하였다. 한국어 학습 콘텐츠를 개발함에 있어 동화의 교육적 이점과 배경지식의 용이성을 고려하여 동화를 매개로 한국어 학습 콘텐츠를 구상하였고 컴퓨터, 화상카메라, 그리고 마커가 있으면 증강현실이 가능하게 할 수 있는 구현 방법으로 제작하였다. 증강현실 기술을 충분히 느낄 수 있는 동화 콘텐츠와 한국어를 학습할 수 있는 학습 콘텐츠로 구성되어 있어 증강현실 기술을 활용할 수 없는 상황에서도 한국어 학습을 가능하게 하여 기존의 학습 매체와 새로운 학습 매체의 조화를 이룬다. 본 연구의 결과를 바탕으로 하여 한국어 교육에서 증강현실이라는 새로운 기술을 이용한 연구가 활성화되기를 기대하며 향후 다양하고 상용화할 수 있는 증강현실 한국어 콘텐츠가 개발되어야 할 것이다. With advancements in augmented reality technology, attempts to apply it in various fields have increased. With advancements in information technology and a growth in the number of Korean learners in Korea and abroad, there is a growing demand for state-of-the-art Korean learning contents. Because the Korean learning contents developed using augmented reality have been found insufficient, this paper investigates ways to develop better contents. This paper proposes ways to develop learning contents that can increase learners interest in learning and lead to academic achievement, because the methods of education in Korea are limited to textbook learning and learning through the media. Because of the structure of fairytales and the educational lessons that can be learned from them, Korean learning contents are developed using fairytales. Additionally, Korean contents are designed to implement augmented reality technology, and learners need only have computers, webcams, and markers to make use of it. In consideration of Korean learners who do not have access to augmented reality technology, this paper clarifies that there should be a harmony between existing and new Korean learning contents. On the basis of this study, further studies on Korean education exploring the role of augmented reality should be conducted so that Korean learning contents that use diverse types of augmented reality technology can be will developed.

      • KCI등재후보

        A Study on the Direction of Development of Online Learning Contents for Korean Language and Culture Education Using Hallyu Contents

        Hyangsil Chang,Mihyang Lee,Ransook Kang,Eunho Kim 인하대학교 다문화융합연구소 2021 다문화와 교육 Vol.6 No.1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current status of the development of online learning contents for Korean language and culture education using the Korean wave (Hallyu) contents, and to propose the direction of development. In order to achieve this purpose, this study examines the current status of research on Korean language and culture education using Hallyu contents through an analysis of prior research. Also, this study investigates the current status of the development of online teaching-learning contents for Korean language and culture education, and drew implications for the development of teaching-learning contents. In addition, this study conducted a needs analysis on Hallyu contents for foreign learners and teachers with experience in Korean language education abroad. This study is of significance in that it selected the Hallyu contents for the development of Korean language and culture online teaching-learning contents based on the results of analysis from various angles and suggested the method and direction of developing learning materials for Korean language and culture.

      • KCI등재

        플립러닝을 활용한 내용중심한국어 수업 모형 설계

        문정현(Jung-Hyun Mun) 한국컴퓨터정보학회 2018 韓國컴퓨터情報學會論文誌 Vol.23 No.6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sign a Content-based Korean Class model using Flipped learning for foreign students. The class model that presents on this paper will lead the language learning through content learning, also it will be enable the student more active and to have an initiative in the class. Prior to designing a Content–based Korean Class model using Flipped learning, the concepts and educational significance and characteristics of flip learning were reviewed through previous studies. Then, It emphasizes the necessity of teaching method adapting Flipped learning to Content–based teaching method in Korean language education. It also suggests standards and principles of composition in Contents–based teaching method using Flipped learning. After designing the instructional model based on the suggested standards and principles, it presents a course of instruction about how learning methods, contents and activities should be done step by step. The Content–based Korean class model using the Flipped learning will be an alternative approach to overcome the limitations of teacher–centered teaching methods and lecture–teaching methods which are the dominant of present classroom environment.

      • KCI등재

        숏폼(shortform) 동영상을 통한 한국어학습이 학습 관련 요인에 미치는 영향 연구

        박지연(Park, Jiyeon),유훈식(Yoo, HoonSik)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21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21 No.17

        목적 본 연구는 최근 외국어 교수·학습 도구로서 주목받고 있는 뉴미디어 중 숏폼(shortform) 동영상 플랫폼인 틱톡(TikTok)을 대상으로 하여 기존 한국어학습과 비교 분석하였다. 한편, 틱톡(TikTok)을 통한 한국어학습이 학습 관련 요인(학습내용, 효능감, 몰입, 불안, 학습 만족도)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보았다. 또. 학습자의 학습 유형 및 성별에 따라 영향력이 달라지는지도 함께 살펴보았다. 방법 한국어 관련 교육 프로그램(ex: 대학 부설 어학당, 사설 학원/ 독학 제외) 참여 경험이 있는 외국인 한국어 학습자 55명을 대상으로 2021년 4월 중 틱톡 한국어수업 영상을 시청하게 했으며, 바로 이어서 온라인 설문을 진행하였다. 틱톡 한국어수업 영상과 학습 관련 요인 간의 상관관계를 살펴보기 위하여 학습 내용, 몰입도, 불안, 효능감, 만족도에 대한 설문 문항을 구성했다. 다섯 가지 종속 변수에 대해 두 집단(기존 한국어 교육-숏폼(shortform)을 통한 한국어 교육) 간에 유의미한 차이가 있는지를 확인하기 위해 T-test를 실시했다. 다음으로 한국어 학습자의 두 가지 한국어 학습 유형(드라마 및 영화 활용 선호, 집단 내에서의 활동 선호)이 숏폼(shortform)을 활용한 한국어 교육 방식에 따른 다섯 가지 종속 변수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기 위해 종속변수와 독립변수 모두 연속형 데이터로 SPSS의 선형 회귀 분석 방식을 통해 분석을 실시했다. 결과 다섯 가지 요인 모두에 대해 기존 한국어학습이 숏폼(shortform) 동영상을 통한 한국어학습에 비해 효과성이 큰 것으로 나타났으며 특히 학습 내용의 경우 결과값이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다. 기존 한국어학습에 비해 틱톡을 통한 한국어학습이 여성 학습자들의 정의적인 요인에 더 큰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특히 틱톡을 통해 한국어를 학습할 때 남성에 비해 여성 학습자들의 몰입도가 크게 높아지며 불안감이 많이 줄어든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마지막으로, 드라마 및 영화를 통한 학습을 선호하는 학습자의 경우 틱톡을 통해 한국어학습을 했을 때 학습내용에 대한 이해 및 몰입도가 높아졌고 불안은 감소했다. 한편, 그룹 학습을 선호하는 학습자의 경우는 틱톡한국어학습을 통해 불안이 유의미하게 낮아졌다. 결론 본 연구는 숏폼(shortform) 동영상과 관련한 한국어교육 연구가 아직 전무한 가운데 처음 시도한 연구라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또한, 숏폼(shortform) 동영상을 통한 한국어교육·학습이 학습자들의 학습 유형 및 성별에 따라 어떤 영향을 주며 학습 관련 요인들에 따라 그 영향이 어떻게 달라지는지 밝힘으로써 앞으로 틱톡을 통한 한국어학습 콘텐츠를 개발해 나가는 데 참고할 수 있는 좋은 자료를 마련한 데 의의가 있다. 특히 새로운 학습 환경이니만큼 기존 학습 환경과 비교했을 때 학습자들의 정의적 요인에도 변화가 나타날 것으로 예상하여 함께 살펴본 것 역시 의미있는 시도였다고 생각한다. 학습자 중심 교육에 있어 꼭 필요한 여러 요인들을 살펴봄으로써 향후 틱톡 한국어수업 콘텐츠 개발에 참고 자료로 잘 사용되리라 본다. Objective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ompare and analyze traditional learning and learning through a short-form video such as TikTok, one of the new media drawing attention as a foreign language teaching and learning tool. Studies on students individual factors, learning performance, and other learning-related factors have been on the rise. In response, this study examines the effects of learning Korean through TikTok on the learning-related factors(content, self-efficacy, flow, anxiety, and satisfaction). This study also explores if the effects change depending on the learners learning style and their gender. Methods 55 foreign Korean learners who participated in Korean language education programs watched the TikTok Korean language class video in April 2021, followed by an online survey. Results Comparing the effects of traditional Korean learning and the learning with a short-form video, understanding the contents was higher using the conventional method. The difference between the two groups that had different learning methods was remarkable. The results were especially significant for the learning content. Considering more than half(69.1%) of participants of this experiment were advanced learners, it is expected that the advanced learners were not satisfied with the content of TikTok videos having beginner-level content in general. Therefore, more content that fits the language proficiency of intermediate and advanced learners is required. Secondly, Learning Korean through TikTok had a more significant impact on the affective factors of female learners than traditional learning. In other words, Female learners learning flow increased, and the anxiety decreased notably compared to men. Lastly, when the learners who prefer to study through dramas and movies learned Korean through TikTok, their understandings of the contents and their learning flow increased while their anxieties decreased. Also, the learners who prefer to study in groups significantly had lower anxiety when they learned using TikTok. Conclusions This study is significant because it is the first study of Korean language education related to shortform videos. In addition, it is meaningful to prepare good materials for developing Korean language learning contents through shortform video in the future by showing how Korean language education and learning through shortform videos affect learners learning type and gender. In particular, it was also a meaningful attempt to find out whether learners affective factors change in a new learning environment compared to their previous learning environment.

      • KCI등재

        한류 콘텐츠를 활용한 온라인 한국어 학습 콘텐츠 분석 - ‘씽씽한국어’, ‘Learn! Korean’, ‘K-WAVE’의 비교 분석 -

        이승연 한성어문학회 2023 漢城語文學 Vol.49 No.-

        이 연구는 한류 콘텐츠를 활용한 온라인 한국어 학습 자료의 개발 현황을 살피고 세 종류의 온라인 학습 자료를 선정하여 교육 내용과 특성을 비교, 분석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통해 한류 콘텐츠를 활용한 교수·학습 자료 개발의 방향에 대한 시사점을 얻고자 한다. 분석 대상 콘텐츠 세 종류는 <씽씽한국어 1~2>, <Learn! Korean>, <K-WAVE 시리즈>이며 분석 항목은 다음과 같다. 첫째, 교육과정과 교수요목, 둘째, 콘텐츠 모형, 셋째, 학습 진행 방식, 넷째, 자막 및 다국어 제공, 다섯째, 콘텐츠 제공 플랫폼과 소통 방식이다. 분석 결과 ‘콘텐츠 구성 모형’과 ‘학습 목표’ 설정 부분의 변화가 눈에 띄었다. 가장 이른 시기에 제작된 <씽씽한국어>는 한국어 수업의 전형적인 패턴, 즉 ‘제시-설명-연습’ 과정을 유지하고 있었으며, 비교적 나중에 개발된 <Learn with BTS>나 <K-WAVE KOREAN>은 이러한 전형적 수업 패턴에서 벗어났다. 한국의 대중문화, 혹은 한류에 대한 흥미와 관심에서 시작하는 학습자에게 좀 더 가볍고 문화적으로 접근해야 한다는 점을 고려할 때 이러한 유연성은 고무적인 변화라고 할 수 있다. 한편, 대부분의 콘텐츠 교육과정에서 한국어 문법 항목을 선정하였는데, 그 기준을 명시적 또는 암묵적으로 ‘국제 통용 한국어 표준 교육과정(2017)’에 두어 콘텐츠 구성과 내용이 다소 전형적이고 보수적인 특성에서 벗어날 수 없었다. 이 부분에 대해서는 향후 한류 콘텐츠를 활용한 학습 자료 개발 주체들의 고민이 필요한 부분이다.

      • KCI등재

        한국어교육을 위한 스마트러닝의 재개념화와 구현 방안

        홍은실 ( Eun Sil Hong ) 국어교육학회 2014 國語敎育學硏究 Vol.49 No.1

        스마트교육 시대에 한국어교육이 나아갈 지표를 설정하기 위하여 혼재된 용어와 개념을 정리하였다. 스마트교육은 정책적 차원에서 상호작용, 협력, 주도성 등의 가치를 지향하는 교수-학습 체제로, 스마트러닝은 스마트기기와 인프라를 활용한 학습 방법으로 개념을 재정립하였다. 이를 바탕으로 스마트러닝을 한국어교육에 적용하는 방법으로 기존 스마트기기와 인프라 활용, 전용 콘텐츠 신규 개발, 기존 콘텐츠 변형을 제안하고 각각을 한국어교육에 구체적으로 적용하는 방안을 모색하였다. 그리고 스마트러닝을 한국어교육에 적용했을 때의 효과, 스마트러닝을 위한 교수·학습 활동의 유형, 기존 콘텐츠 변형의 절차와 원리에 대한 후속 연구를 제안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paper was to suggest strategies for realizing smart learning in teaching Korean as a foreign/second language. I re-defined the terminology firstly. ‘SMART Education’ is a teaching and learning system pursuing values such as collaboration, autonomy and interactivity. Meanwhile, ‘smart learning’ is a type of learning using smart devices and infra. Next, I suggested three ways to adopt smart learning for teaching Korean: exploiting the existing devices and infra, developing new smart learning contents and modifying existing contents into smart learning contents. For the each way I showed practical options for teach-ing Korean classes. We lastly suggested the followings for the further studies; effects of smart learning in teaching Korean language, types of teaching-learning activity and principles of modifying various contents into smart learning contents.

      • KCI등재

        자기주도학습 능력에 따른 중국인 한국어 학습자의 틱톡 콘텐츠 활용과 학습 만족도 분석

        조이단 한국엔터테인먼트산업학회 2024 한국엔터테인먼트산업학회논문지 Vol.18 No.1

        In the information age, the capacity for self-directed learning is crucial for adapting to new technologies and lifelong learning, which holds significant implications for career development and societal transformation. This study aims to investigate the impact of self-directed learning abilities o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characteristics of Tik Tok Korean content and the learning satisfaction among Chinese learners of Korean with experience in viewing such content. The research categorized Chinese learners of Korean into two groups based on their self-directed learning abilities - higher and lower - for a comparative analysis. The findings of the study reveal several key points. Firstly, the diversity, convenience, and informativeness of Tik Tok's Korean content positively influence learning satisfaction. Secondly, the diversity and informativeness of the content have a positive impact on the learning satisfaction of those learners with higher self-directed learning abilities. Conversely, learners with lower self-directed learning abilities benefit from the interactivity and convenience of the content. Thirdly, the entertainment aspect of Tik Tok's Korean content does not significantly affect the learning satisfaction of either group of learners. Based on these findings, this study aims to provide a foundation for developing more personalized and effective teaching strategies.

      • KCI등재

        초등 음악 원격수업에서 국악 교육용 콘텐츠 활용의 문제점과 개발 방향

        김아현 ( Kim A-hyun ) 한국예술교육학회 2021 예술교육연구 Vol.19 No.2

        본 연구는 초등 음악 원격수업에서 기존 개발된 음악 교육용 콘텐츠 중 국악 교육용 콘텐츠를 중심으로 활용할 때의 문제점을 파악하고 이를 토대로 국악 교육용 콘텐츠 개발 방향을 제안하는 데 목적을 두었다. 국악 교육용 콘텐츠는 학교 교육과정 체계와 밀접성이 결여되고, 학습자의 실기·체험을 위한 활동과 피드백이 부재하며, 콘텐츠 활용을 위한 편집 및 플랫폼의 제한이 있다는 문제가 제기되었다. 이에 대한 개선을 토대로 국악 교육용 콘텐츠 개발 방향은 다음과 같다. 첫째, 음악과 교육과정과의 밀접성 강한 국악 교육용 콘텐츠를 개발해야 한다. 둘째, 음악 수업 내 상호작용을 지원하는 온라인 학습 도구 기능을 삽입하여 학습자의 실기·체험 활동과 피드백 및 평가가 원활하게 이루어지도록 개발해야 한다. 셋째, 온라인 음악교육 플랫폼에서 국악 교육용 콘텐츠를 한 번에 관리하고, 교수·학습에 맞게 다양한 콘텐츠를 수집, 편집, 재가공하여 구성형 콘텐츠를 개발해야 한다. 향후 국악 교육용 콘텐츠 개발은 저작권법 완화, 교사와의 협업을 통한 국악 관련 기관의 지속적인 콘텐츠 개발, 미래 음악교육을 위한 인프라 구축 등이 함께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이를 통해 음악 원격수업이 안정적으로 이루어지고, 이와 더불어 국악 수업이 교육 패러다임의 변화에 맞추어 변화하고 발전할 수 있기를 기대한다. This study aims to propose educational Korean music contents development direction by deriving the problem utilized in elementary music distance learning. Educational Korean music contents had the following problems: lack of closeness to the school curriculum system, lack of activity and feedback for learners' practical skills and experiences, editing and platform restrictions for content utilization. Based on this problem, educational Korean music contents development direction in elementary music distance learning is as follows: First, we need to develop contents for Korean music education that are closely related to music curriculum. Second, online learning tool features that support interactions in music classes should be inserted to facilitate learners' practical and hands-on activities, feedback and evaluation. Third, contents for music education should be managed at once on online music education platforms, and various contents should be collected, edited, and re-processed to suit teaching and learning to develop compositional contents. In the future, educational Korean music contents should be accompanied by easing copyright laws, continuous content development of Korean music-related institutions through cooperation with teachers, and infrastructure for future music education. Through this, it is hoped that elementary music distance learning will be stable and that Korean music classes will be able to change and develop in line with changes in the educational paradigm.

      • KCI등재

        CLIL을 적용한 학문 목적 한국어 듣기 수업의 효과 인식 검증 연구

        오문경(Oh Moon-Kyoung),김경훤(Kim Kyong-hwon) 한국문화융합학회 2021 문화와 융합 Vol.43 No.3

        외국인 유학생 11만 시대를 맞이하고 있다. 국내 대학이나 대학원으로 진학하는 유학생들이증가하면서 학문 목적 한국어 듣기에 대한 관심도 높아지고 있다. 이에 본 연구는 대학에 입학한유학생을 대상으로 CLIL을 적용한 학문 목적 한국어 듣기 수업을 진행하고 중급과 고급 학습자에게 효과에 대한 인식을 조사하여, 한국어 능력에 격차가 있는 현 학문 목적 한국어 교실에 반영하고자 하는 목적에서 실시되었다. 본 연구에서는 학습자 인식의 변화 요인으로 한국어 토픽 능력을중급과 고급으로 설정하여, CLIL의 4Cs 중 하나인 ‘언어(Communication)’ 영역을 중심으로 학습내용, 학습기술, 학습역량에 대해 중급과 고급 집단이 효과적으로 인식하는 내용 및 그 차이에대해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CLIL은 선행 연구와 마찬가지로 중급과 고급 학습자 모두에게 적용될수 있는 효과적인 교수법으로 나타났다. CLIL 교수법을 적용하기 전과 후의 학습 효과에 대한인식의 폭이 크게 상승했는데, 수업을 받은 후 중급과 고급 집단은 모두 모든 영역에서 평균 점수가 올랐으며, 특히 중급에서 고급보다 높은 평균값을 보였다. 또 학문 목적 듣기에서 가장 중요한기능인 ‘노트 필기’에 대해 보자면 중급과 고급 모두 가장 크게 학습 효과를 인식하고, ‘설명하기’ 에서 중급과 고급 모두 학습 효과의 상승 폭이 가장 크게 나타났다. 그리고 중급 집단에서 ‘시험답안 쓰기’를 제외하고 모든 영역에서 고급 집단보다 효과 인식의 상승 폭이 뚜렷하게 나타났다. 이를 통해 CLIL은 한국어 실력에 격차를 보이는 학습자가 존재하는 학문 목적 한국어 교실에서중급과 고급 학습자 모두에게 학업 역량의 향상을 가져올 수 있는 교수법으로 활용될 수 있음을시사하였다 There is a growing desire among foreign students to study in Korea, with at least 110,000 non-Koreans already studying in the country. The number of foreign students choosing to participate in Korean undergraduate and graduate programs is increasing, and is accompanied by demands for Korean Language Listening classes. This research targeted registered foreign students in order to determine the effectiveness of CLIL-based Korean Language Listening programs for intermediate and advance level students and to, thus, identify gaps in current Korean language programs. In this study, Korean language skills were segregated into intermediate and advance levels, reflecting the individual student’s learning curves as, based on the CLIL’s 4Cs: content, communication, cognition, and culture. Of these, “communication” was centered upon learning content, learning techniques, and learning competency; this allows for the effective analyzing of, and differentiating between, intermediate and advanced groups. This research validates the CLIL method of learning, which has proven to be an effective tool for both intermediate and advance students (as shown in prior research). There is a significant increase in the awareness of the learning curves before and after applying the CLIL teaching method among both the intermediate and advanced groups; however, average scores across all areas were notably higher among the intermediate group. The most important Academic Listening skill is ‘notetaking’ which is recognized as a significant learning technique for both intermediate and advanced level learners. The ability to explain had (notably) increased, both among intermediate and advanced learners–this also had the effect of improving the academic objective concerning a student s speaking skills. Furthermore, in all areas–except in “test answering”–there was a clear rise in effective awareness among intermediate learners over the advanced groups. This study suggests that CLIL can be used as an approach to improve academic competency for both intermediate and advanced students in academic-purpose Korean classrooms where there is a gap in Korean language proficienc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