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디지털 인문학과 한문학 연구 - 고문헌 자료 대상 국내 디지털 인문학 연구 사례를 중심으로 -

        류인태 ( Ryu In-tae ) 근역한문학회 2018 한문학논집(漢文學論集) Vol.49 No.-

        2,000년대 중후반 이후로 디지털 인문학에 대한 논의가 전 세계적으로 꾸준히 확산됨에 따라 국내에서도 디지털 인문학에 대한 관심이 점차로 증가하고 있는 상황이다. 아쉬운 점은 디지털 인문학에 대한 관심이 증가하고 있는 것과 별개로, 실제 국내에서 이루어졌거나 또는 이루어지고 있는 디지털 인문학 연구 사례가 매우 적다는 사실이다. 최근 국내에서 ‘디지털 인문학’이라는 개념에 대한 담론은 많이 형성되고 있지만, 상대적으로 디지털 인문학 연구의 구체적 방법론이 무엇인지 그 실제(實際)에 대한 논의가 좀처럼 이루어지지 않고 있는 것은, 바로 이러한 현실적 상황과 관련이 깊다. 특히 고전 자료 또는 고문헌 자료를 대상으로 한 인문학 연구의 경우, 텍스트로부터 데이터를 풍부하게 추출할 수 있다는 측면에서 디지털 인문학 연구 방법론을 활용할 수 있는 여지가 매우 크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고문헌 자료를 대상으로 하여 국내에서 진행되었거나 또는 진행되고 있는 디지털 인문학 연구 사례 또한 찾아보기가 어려운 현실이다. 이와 같은 맥락에서 고문헌 자료를 대상으로 하여 디지털 미디어를 본격적으로 활용한 국내의 연구 사례들이 구체적으로 무엇인지 그리고 각각의 연구가 안고 있는 학술적 맥락이 무엇인지 정리해볼 필요가 있다. 당장 고문헌 자료를 대상으로 디지털 인문학 연구를 수행하고자 하는 연구자들에게 가장 훌륭한 참고 요소가 될 수 있는 것은, 기존 연구 사례가 무엇인지에 대한 소개와 개별사례에 대한 귀납적 검토이다. 각각의 연구가 이루어질 수 있었던 기초적 문제의식과 연구 과정에 적용된 디지털 기술 그리고 구현된 결과물이 갖추고 있는 디지털 형식의 의미가 무엇인지 개략적으로 파악된다면, 고문헌 자료를 대상으로 디지털 인문학 연구를 시도하고자 하는 연구자들에게 매우 훌륭한 참고 요소가 될 것이다. 실제로 본고에서 정리한 9가지 국내 디지털 인문학 연구 사례는 각각이 다른 형식의 고문헌 자료를 대상으로 하면서도 유사한 디지털 플랫폼을 활용하였거나 또는 데이터를 체계적으로 정리하기 위한 온톨로지를 공통적으로 적용하는 등 디지털 인문학 방법론의 차원에서 비교 대조하여 참고할만한 지점이 매우 많다. As debates in the digital humanities has continued to grow largely across the world since the mid 2000s, there also has been a growing interest in the digital humanities in Korea. In spite of the growing interest in the digital humanities, it is disappointing that few researches have been done in Korea. Recently, there has been a lot of discourse about the concept of 'digital humanities' in Korea, but the fact that discussions on what is the specific methodology of digital humanities research have not been active is deeply related to this realistic situation. In fact, digital humanities in Korea is still at an early stage. Therefore, in order to have a complete understanding of digital humanities and to avoid embracing imprudent opinions, we have to approach cautiously so as to remove abstractness from discussions on digital humanities. With this as consideration, it is necessary to epitomize humanities researches in Korea that uses digital platforms in earnest. There are nine cases of digital humanities researches in this paper. Though each case has its own object that distinguishes one case from another cases, digital platforms that they are based on are very similar to one another's. Web Ontology Language, Network Graph Visualization and Media WikiTM are the examples. It's likely that scholars and researchers who want to study digital humanities can reach a better understanding by reading the cases presented in this paper.

      • KCI등재
      • KCI등재후보

        한의과대학에서 한의의료정보학 교육을 위한 교육현황 고찰

        이승호 한약정보연구회 2021 한약정보연구회지 Vol.9 No.2

        In this study, the current status of the health informatics curriculum in the College of Korean Medicine was investigated, and the direction of the health informatics education for Korean medicine was proposed. With the advent of the 4th industrial revolution, the health informatics of Korean medicine courses became essential for the informatization and industrialization of the field of medicine. In spite of the necessity and importance of the times, the health informatics courses at the College of Korean Medicine are insufficient, and only three universities are implementing the health informatics courses at the pre-course level. Hence, it is urgent to expand the health informatics curriculum. To this end, it is necessary to establish a new educational direction for health informatics education at the College of Korean Medicine and prepare for society; the competencies required for health informatics in the future should be derived through continuous discussion.

      • KCI등재

        The Korean Wave, Culture Content, and Cultural Informatics

        Kim Hyeon 인문콘텐츠학회 2007 인문콘텐츠 Vol.0 No.10

        이 연구는 문화콘텐츠 산업에 대한 한국 인문학자들의 대응 자세와 그 문제점을 살펴보고, 인문학적 지식이 문화콘텐츠 산업에 효과적으로 기여할 수 있게 하기 위해 제안된 새로운 학문 방법 - 인문정보학(Cultural Informatics)을 소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한국의 인문학자들, 그 중에서도 한국의 전통 문화를 연구하는 사람들은 그들의 연구 성과가 ‘문화콘텐츠’(Culture Content)의 생산에 기여하고, 이를 통해 ‘한류’(韓流, Korean Wave)라고 하는 문화 현상이 더욱 촉진될 수 있다고 믿고 있다. 그들의 이와 같은 생각은 한국의 대학에서 문화콘텐츠 관련 학과의 수가 급속히 증가하고, 많은 수의 인문계 연구자들이 문화콘텐츠 생산을 위한 연구 개발 프로젝트에 참여하고 있는 것으로 확인된다. 그러나 전통 문화 그 자체 또는 그것에 대한 인문학자들의 연구가 경쟁력 있는 문화콘텐츠의 생산에 직결되는 것은 아니다. 문화 상품 시장에서 성공한 문화콘텐츠는 대중 문화의 트랜드를 정확하게 읽어내는 미디어 제작자의 창작물이며, ‘인문학적 지식’은 그러한 창작물을 만들어 내기 위한 소재의 일부일 뿐이다. 인문학자들이 관심을 가져야 할 그들의 역할은 문화콘텐츠의 창작에 있다기보다 문화콘텐츠의 제작자가 인문학적 지식에 쉽게 접근하고 그것을 활용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인문정보학은 인문학적 지식을 필요로 하는 사람들이 인문학자의 도움 없이 그 지식에 다가갈 수 있도록 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정보 기술은 이 목표를 이루기 위한 필수적인 도구이다. 인문학과 정보 기술 사이의 가교 역할을 함으로써 인문지식의 사회적 공유체계를 구축하고 그것의 활발한 응용을 촉진함으로써, 인문학이 경제적인 부가가치를 창출하는 실용적인 학문이 될 수 있도록 보조하는 역할을 하려 하는 것이다. This paper discussed the relationship of the Korean scholarship to the country’s culture content industry and issues that may exist in the interaction between the two, and finally cultural informatics, a new approach that may help knowledge in art and humanities fields contribute more effectively to the culture content industry. Many Korean scholars, especially in traditional culture-related fields, believe that their research can contribute to the production of culture content and help broaden and step up the Korean wave phenomenon. This conviction is partly responsible for the rapid increase observed in recent years in the number of culture content-related programs in Korean colleges and universities. It should not, however, be assumed that traditional culture or research in traditional culture alone can have a direct effect of improving the competitiveness of culture content production. Culture contents are, after all, creative products, whose success in the cultural market depends mainly on media developers’ ability to correctly grasp changing trends in popular culture. The role of the human scientists in the culture content industry should be to make content developers’ access to knowledge in art and humanities fields easier so that they may make a more meaningful use of it. The goal of cultural informatics is to make knowledge from humanities fields accessible for all, without needing the help of specialized scholars. Information technology is an indispensable enabler in achieving this goal. The role of cultural informatics is to support the practical use of humanities knowledge, by creating a knowledge-sharing system capable of accelerating its creative and industrial application.

      • KCI우수등재

        국어학에서의 융합의 개념과 유형

        한재영(Han, Jae young) 국어국문학회 2015 국어국문학 Vol.- No.170

        본고의 목적은 국어학에서의 학문적인 융합이 뜻하는 바를 생각하여 보고, 융합의 유형을 살펴 국어학 연구가 지향하여야 할 방향을 점검하여 보는 데에 있다. 융합을 정당하게 이해하기 위하여, 여기서는 국어학과 관련된 학문 분야와의 관계와 국어학을 구성하고 있는 세부 학문 분야 사이의 관계를 살피고 구체적인 작업내용들에도 관심을 가지기로 한다. 본고에서는 국어학과 국어학 외적인 학문과의 융합이라고 할 수 있는 국어학과 문학의 문체론(文體論, Stylistics), 국어학과 사전학의 국어사전학(國語辭典學, Korean Lexicography), 국어학과 전산학의 국어정보학(國語情報學, Korean Informatics) 그리고 국어학과 교육론의 국어교육론(國語敎育論, Korean Language Education)의 내용을 먼저 살폈다. 다음으로 국어학 내적 학문 영역 사이의 융합이라고 할 수 있는 형태통사, 형태음운, 통사의미 그리고 통사음운을 주제로 삼은 기존의 논의 목록을 살펴 국어학에서 융합을 다룬 양상을 보았다. 국어학에서의 융합의 필요성을 보다 잘 느끼기 위하여 국어의 문법 현상 중의 하나인 ‘피동’의 경우를 중심으로 살펴, 피동이 파생이라고 하는 형태론적인 측면에서 뿐만 아니라 통사론적으로나 의미론적으로도 아울러 살펴야 할 주제임을 확인하고, 나아가 음운론 특히 성조론과 방언학의 문제와도 밀접한 관계를 가지고 있음을 인식할 수 있었다. 그와 같은 과정을 통하여 국어학에서 융합적인 사고와 접근 태도가 가지는 가치를 알 수 있었으며, 융합이 가지는 효과를 증대시키기 위해서는 개별 학문에서의 성과가 전제가 된다는 점도 지적하였다. The objective of this manuscript is to consider the meaning of academic convergence in Korean linguistics and examine the direction to which a study of Korean linguistics should be oriented by exploring the type of convergence. In order to understand convergence legitimately, the manuscript examines the relationship among academic fields related to Korean linguistics, the relationship between sub-academic fields constituting Korean linguistics, and specific contents of work. This manuscript first explores Korean linguistics and stylistics in literature, Korean linguistics and Korean lexicography, Korean linguistics and Korean informatics in computer science, and Korean linguistics and Korean language education in education theory, which can be considered as the convergence of Korean linguistics and the academic study of other linguistics-related fields. Next, it examines previous discussions on morphosyntax, morphophonology, syntactic semantics, and syntax-phonology, which can be described as the convergence of various academic fields of Korean linguistics, and the aspect of convergence in Korean linguistics. In order to better explore the need for convergence in Korean linguistics, it is confirmed that the grammatical phenomenon of passivity is a subject that needs to be considered, not only from a morphological perspective, which claims that passivity is derivation, but also from syntactic and semantic perspectives. Additionally, the manuscript confirms that phonology is closely related to issues of tonology and dialectology. Through this process, the manuscript examines the value of convergent thinking and approach in Korean linguistics and points out that the results of individual studies become the premise for increasing the effectiveness of convergence.

      • KCI등재

        기초 한국학 교육을 위한 문화 어휘 정보화 연구

        이수현,이선중 인문사회 21 2022 인문사회 21 Vol.13 No.2

        A Study on the Informatization of Cultural Vocabularyfor Basic Korean Studies EducationSoohyun Lee & Sunjoong Lee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larify the concept and content of “basic Korean studies education”, an education aimed at cultivating international students’ adaptation to Korea and expertise as a Korean scholar. For this purpose, this study analyzed the concept of “basic Korean studies” and studies on the “Korean studies curriculum” to set the direction in which “basic Korean studies education” should move, followed by selecting cultural vocabulary for Korean studies education. In this study, cultural vocabulary was selected as a proper noun, and the criteria for classification of proper nouns were set to select vocabulary, and the results of analysis of the form of Sejong Corpus were used to examine the trends of each category of proper nouns. In addition, this study discussed the value and significance of Korean studies education through examples of cultural vocabulary for each category. Finally, this study specified what is necessary for the development of the ‘Korean Studies Curriculum’ in the future by showing examples of cultural vocabulary informatization that should be done after selecting cultural vocabulary. Key Words: Basic Korean Studies Education, Cultural Vocabulary, Informatization, Corpus, International Student Education 기초 한국학 교육을 위한 문화 어휘 정보화 연구이 수 현**ㆍ이 선 중*** 요약: 본고는 유학생의 한국 적응과 한국 유학파로서의 전문성을 함양시키기 위한 교육인 ‘기초 한국학 교육’의 개념과 내용을 명시화하는 것을 궁극적인 목적으로 삼았다. 이를 위해 ‘기초 한국학’과 ‘한국학 교육과정’에 대한 연구들을 분석하여 ‘기초 한국학 교육’이 나아가야 할 방향에 대해 설정하였으며, 해당 방향성에 입각하여 한국학 교육을 위한 문화 어휘를 선정하였다. 문화 어휘는 고유명사를 예로 하여 선정하였으며, 이를 위해 우선 고유명사 분류 기준을 설정하고 이후에 세종 현대 문어 말뭉치의 형태 분석 결과를 활용하여 빈도를 중심으로 고유명사 분류별 경향성을 살폈다. 분류별 문화 어휘들의 예를 통해 한국학 교육 내용으로서의 가치와 의의에 대해 논하였다. 문화 어휘를 선정한 이후에 이루어져야 할 문화 어휘 정보화를 위해 예시를 보임으로써 앞으로 ‘한국학 교육과정’이 개발되기 위해 무엇이 필요한지 명시화하였다. 핵심어: 기초 한국학 교육, 문화 어휘, 정보화, 말뭉치, 유학생 교육 □ 접수일: 2022년 2월 20일, 수정일: 2022년 3월 18일, 게재확정일: 2022년 4월 20일* 본 논문은 ‘2021년 한글학회 대전지회 봄 정기학술대회(2021.6.5.)’에서 발표한 내용을 수정・보완한 것임. ** 주저자, 연세대학교 대학원 언어정보학협동과정 박사과정(First Author, Doctoral Course, Yonsei Univ., Email: soohyun.lee@yonsei.ac.kr)*** 교신저자, 배재대학교 주시경교양대학 초빙교수 (Corresponding Author, Professor, Paichai Univ., Email: sunjlee@kakao.com)

      • KCI등재
      • KCI등재

        한국어 교재 어미 출현 분포의 정보학

        임현열 현대문법학회 2023 현대문법연구 Vol.119 No.-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find and discuss linguistics implications that can be found in the distribution of endings in Korean textbooks through quantitative analysis of listening and reading passages in Korean textbooks. Through this work, we will have more meaningful information about the distributional characteristics of the appearance of endings in Korean textbooks, and it is expected that this information can be used as an objective basis for seeking improvements in Korean textbooks. This study used Korean textbooks published by Seoul National University as analysis data. Python was used as an analysis tool. The kkma morpheme analyzer included in the konlpy package was used. For analysis, functions such as ‘kkma.sentences()’, ‘kkma.morphos()’, ‘kkma.pos()’, and ‘len()’ were applied. I went through the process of configuring it as a data frame using the pandas library. Through this process, it was possible to know the characteristics of the type frequency and appearance frequency of final endings, pre-final endings, conjunctive endings, and function-converting endings in listening and reading passages, respectively. In addition, the necessary items for the kkma morpheme analyzer to perform more appropriate endings analysis were also mentioned.

      • KCI등재

        북한이탈주민의 디지털정보화수준이 생활만족에 미치는 영향과 사회적 자본의 매개효과

        조성희 한국인터넷정보학회 2023 인터넷정보학회논문지 Vol.24 No.6

        본 연구는 북한이탈주민들의 어려움이 지속되는 상황에서 이들의 생활만족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 디지털정보화수준과 사회적 자본의 영향력을 살펴보고, 디지털정보화수준과 생활만족의 관계에서 사회적 자본의 매개효과를 검증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2021 디지털정보격차실태조사에 참여한 679명의 북한이탈주민을 대상으로 구조방정식모형을 활용하여 연구모형을 검증하였다. 연구결과를 통하여 북한이탈주민의 디지털정보화수준과 사회적 자본이 생활만족에 미치는 직접적인 영향력과 함께 디지털정보화수준과 생활만족의 관계에서 사회적 자본의 매개효과를 확인하였다. 연구결과를 기반으로 북한이탈주민의 생활만족을 향상시키기 위한 방안을 제언하였다. This study aims to investigate the factors influencing the life satisfaction of North Korean defectors in the ongoing situation of difficulties. Specifically, it examines the impact of the digital informatization level, and social capital on their life satisfaction and aims to verify the mediating effect of social capital i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digital informatization level and life satisfaction. To achieve this, a structural equation model was utilized to validate the research model using data from 679 North Korean defectors who participated in the 2021 Report on the digital Divide. The research results confirm the direct influence of the digital informatization level and social capital of North Korean defectors on life satisfaction. Additionally, the study identifies the mediating effect of social capital i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digital informatization level and life satisfaction. Based on these research findings, recommendations are proposed for enhancing the life satisfaction of North Korean defectors.

      • KCI등재

        국어사전과 방언의 정보화

        이태영(Lee Tae-yeong) 국어문학회 2016 국어문학 Vol.61 No.-

        이 연구에서는 각종 국어사전에서 방언을 표제어로 다루는 방법과 문제점을 살핀다. 사전의 방언 해설을 위해 말뭉치를 통한 연구가 왜 필요한지를 살펴보고자 한다. 현행 국어사전은 방언 올림말(표제어)에 대한 해설이 아주 빈약하다. 대체로 방언 표제어에 대하여 표준어를 상대적인 말로 제시고 있고 아주 일부는 뜻풀이를 하고 있다. 그러나 기초적이고 특징적인 방언 표제어에 대하여 ‘대응 표준어, 품사, 뜻풀이, 관련지역, 방언형 및 검색어, 예문, 종합설명’ 등의 정보를 제공해야 할 것이다. 현행 사전에서 방언은 다음과 같이 다루어지고 있다. 방언 올림말은 표준어 올림말이 가지는 각종 사전적 정보를 갖지 못하고 있다. 방언 올림말의 지역적 편차가 너무 심하게 나타난다. 방언 올림말의 품사적 균형을 고려하지 않고 있다. 방언 올림말에 대하여 제시되는 용례의 자료가 균형적이지 못하다. 여기서는 전라방언인 ‘궁글다’(뒹굴다)의 예를 들어 말뭉치 구축과 활용의 필요성을 설명하기로 한다. 연구를 위해서 국어사 말뭉치, 방언사 말뭉치, 구비문학 말뭉치, 문학 작품 말뭉치, 방언 어휘 말뭉치, 방언 검색 프로그램 등을 사용하였다. 사전의 방언 표제항에 대하여 가능한 말뭉치를 검색하고, 이를 바탕으로 각종 정보를 자세히 올리는 방안이 시도되어야 할 것이다. This study looks at how to deal with the heading dialect in various korean dictionaries and multiple problems. in order to explain dialects in korean dictionary, this study looks at why we need the research through the corpus. Explanation on the dialect entries from the current korean dictionaries is very poor. and generally it presents a standard language corresponding to the dialect, some to explain the meaning. however, with respect to the dialect heading it will be required to provide information such as corresponding standard language, part of speech, meaning, and related areas, related dialects, examples, a comprehensive explanation. In the current korean dictionary, issues of dialects are as follows. In korean dictionary dialects does not have a wide range of information, unlike the standard language. the regional differences in dialects heading number is too severe. in korean dictionary dialects does not consider the balance of the parts of speech. the example of dialect that is presented is very unbalanced in terms of the corpus. Using the example in the jeolla dialect ‘gunggeulda’, it will be described in the need for utilizing corpus. for the study was used korean history corpus, dialect history corpus, oral literature corpus, literary corpus, dialect vocabulary corpus, dialects search programs. this way to search for a possible corpus for the heading of dialects, and records detailing the various types of information based on them should be tried.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