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김정은 시기 북한의 우주정책에 대한 연구 - 국가우주개발 5개년 계획을 중심으로 -

        이우석,정영진 한국항공우주정책⋅법학회 2023 한국항공우주정책·법학회지 Vol.38 No.2

        The North Korea claimed to have started space development since the 1980s, but was passive in disclosing specific information. Due to the limitation and opacity of access to information, the international community and neighboring countries have evaluated North Korea's alleged space activities so far as to be related to ballistic missile technology in terms of disarmament and non-proliferation. However, Kim Jong-Un's ruling stance, which deviated from ambiguity and opacity compared to his predecessor, had the same effect on space activities claimed by North Korea. As a result, North Korea has claimed to be pursuing three "Five-year Plan for the National Aerospace Development" since 2012. This paper analyzed laws, systems, governance, and R&D processes organized around North Korea's three five-year plan for the national aerospace development in the Kim Jong-Un period. In the first period of the five-year plan, it was a time to build infrastructure for national space activities, but rather moved away from international cooperation in outer space and became subject to sanctions. From the second five-year plan, North Korea revealed the possibility military use of space technology and focused on securing various launch vehicles, including ballistic missiles, through the newly developed Baekdusan engine. The third five-year plan is being carried out entirely focusing on the development and operation of military reconnaissance satellites. Accordingly, the results that have been continuously promoted with the aim of military use of outer space are being disclosed gradually. In order for South Korea to effectively respond to North Korea's military use of space technology, an objective analysis and evaluation of North Korea's space capabilities are needed. North Korea could undermine the existing order in outer space at any time. To ensure the safety and sustainability of space activities of international members, North Korea must provide transparent and confident information on its space activities to the international community for the “responsible behaviour in outer space” currently under discussion. 북한은 1980년대부터 우주개발을 시작하였다고 주장하면서도 세부적인 정보 공개에 소극적이었다. 이러한 정보 접근의 제한과 불투명성으로 인해 국제사회와 주변국은 현재까지 북한이 주장하는 우주활동을 군축과 비확산의 측면에서 탄도미사일 기술에 관한 활동으로 간주하여 평가하였다. 그러나 선대에 비교하여 모호성과 불투명성에서 벗어난 김정은의 통치 기조는 북한이 주장하는 우주활동에도 동일한 영향을 주었다. 이에 따라 북한은 2012년부터 현재까지 3차례에 걸친 “국가우주개발 5개년 계획”을 추진 중이라고 주장해오고 있다. 이 논문은 김정은 집권 이후 북한이 제1·2·3차 국가우주개발 5개년 계획을 중심으로 추진하였던 우주정책을 법령·제도·거버넌스·연구개발 측면에서 분석하였다. 제1차 국가우주개발 5개년 계획으로 북한은 국가우주활동의 인프라를 구축하였으나, 오히려 우주분야의 국제협력에서 멀어졌고 제재 대상이 되었다. 이어진 제2차 국가우주개발 5개년 계획 기간부터 북한은 우주기술의 군사적 이용에 관한 가능성을 공개하였고, 새로 개발한 백두산엔진을 통해 탄도미사일을 포함하여 다양한 발사체 확보에 집중하였다. 제3차 국가우주개발 5개년 계획은 전적으로 군사정찰위성 개발 및 운용에 초점이 맞춰져 진행되고 있다. 이에 따라, 우주공간의 군사적 이용을 목표로 지속적으로 추진되어 온 결과물들이 조금씩 공개되고 있다. 한국이 북한의 우주기술의 군사적 이용에 효과적으로 대응하기 위해서는, 북한의 우주 역량에 대한 객관적인 분석과 평가가 필요하다. 북한은 언제든지 우주에서의 기존 질서를 훼손할 수 있다. 국제사회 구성원의 우주활동의 안전과 지속가능성을 보장하기 위해 북한은 국제사회가 현재 논의 중인 “우주에서 책임 있는 행동”을 목표로 북한 우주활동에 대한 투명하고 신뢰성 있는 정보를 국제사회에 제공하여야 한다.

      • KCI등재

        Enhancing Public-Private Partnerships in the Space Industry of the Republic of Korea: NASA’s Space Act Agreements as a Procurement Model with the Emergence of the “NewSpace” Era

        안영신 한국항공우주정책⋅법학회 2023 한국항공우주정책·법학회지 Vol.38 No.2

        The Republic of Korea (South Korea) has demonstrated commendable progress in space research and development, with the aim of establishing itself as a global leader in the field. This paper explores the historical context of the Korean space program, spanning three distinct periods, in order to comprehend the achievements and challenges faced by South Korea. With the advent of the “NewSpace” era, the paper underscores the significance of robust public-private partnerships in fulfilling the evolving demands of the space sector. Specifically, the paper focuses on NASA’s Space Act Agreements (SAAs) and their relevance to the Korean space program. It highlights the advantages and unique features of SAAs in fostering collaboration between the government and the private sector, distinguishing them from traditional procurement methods. Drawing insights from successful SAAs in the United States, the analysis provides valuable perspectives for South Korea. By identifying key considerations for an efficient and effective transactional approach, the paper aims to maximize the potential of public-private partnerships and foster the growth of the Korean commercial space industry. Given South Korea’s impressive progress in space research and development, particularly since 2020, there is a pressing need for an optimal transactional approach between the government and private entities as the industry continues to evolve and witnesses increased private sector participation. SAAs, exemplified by their flexibility and ability to facilitate cost-sharing, emerge as advantageous procurement models. SAAs empower contractors, promote safety, and offer numerous benefits including cost savings and enhanced collaboration. Comprehending the examples of SAAs is crucial for South Korea’s forthcoming agency, KASA, as it prepares for upcoming ambitious missions in deep space. This paper contributes to understanding South Korea’s aspirations in the global space community. By capitalizing on public-private collaborations, South Korea has the opportunity to propel its space program to new heights and establish itself as a leading force in space exploration for the betterment of humanity.

      • KCI우수등재

        주요국 우주기관의 미션 분석과 한국 우주항공청에 대한 함의

        유은지,정윤영,정헌주 한국항공우주학회 2023 韓國航空宇宙學會誌 Vol.51 No.12

        한국 정부는 우주개발과 탐사, 우주산업, 우주안보 등 우주 부문의 컨트롤타워 역할을 수행할 한국 우주항공청(KASA)을 출범시키기 위해 노력하고 있다. 현재의 논의는 우주항공청의 조직적 위상과 인적 구성에 초점을 맞추고 있으나, 보다 중요한 것은 조직의 미션이다. 공공조직의 미션은 조직의 정체성과 목적을 대내외 이해당사자들에게 가장 효과적으로 전달하며, 다양한 도전과 난관을 헤쳐나가는데 나침반 역할을 수행한다. 특히, 향후 국가 간 치열한 경쟁뿐만 아니라 다양한 행위자의 등장으로 인해 불확실성이 큰 뉴스페이스 시대에 우주항공청이 추구하는 가치와 방향성은 개별 조직의 성과뿐만 아니라 한국의 미래에 큰 영향을 미칠 것이다. 이러한 점에서 본 연구는 우주강국의 우주기관이 어떠한 미션을 제시하고 있으며, 어떠한 가치를 추구하는지를 체계적인 분석틀을 활용하여 비교 분석한다. 이러한 작업은 그 자체로서 의의가 있을 뿐만 아니라 한국의 우주항공청 설립과 미션 수립에도 기여할 것이다. The South Korean Government strives to establish Korea AeroSpace Administration(KASA) which is expected to play a key role in implementing policies related to space exploration, space industry, and space security. While most debates center around its organizational status and personnel affairs, what is more important is its mission. A public agency’ mission delivers its identity and purpose to diverse stakeholders—both internal and external—and directs the agency to cope with current and future challenges. Especially, in the era of New Space when uncertainties prevail with intensifying competition among old and new actors, the KASA’s mission and values will be of great significance not just for the agency itself but also for the future of Korea as a spacefaring country. In this regard, this article analyzes mission statements of 10 space agencies of spacefaring countries and EU with a systemic framework from a comparative perspective. It would contribute to the establishment of KASA and the making of its mission statement.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