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김규택 판소리 문학 작품의 근대적 특징과 의미

        최혜진 ( Hye Jin Choi ) 판소리학회 2013 판소리연구 Vol.35 No.-

        판소리 문학은 지속적으로 재생산되어 왔다. 특히 일제강점기에는 대중 매체가 발달하면서 대중의 기호나 요구에 부응하는 새로운 형식과 내용의 판소리 문학이 생겨나고 있었다. 이 중 김규택의 <모던 춘향전> <모던 심청전> <억지 춘향전>은 근대의 풍경을 익숙한 고전 속에 담아낸 근대의 판소리 문학이라고 할 수 있다. 김규택은 만화가, 삽화가로 주로 활동하였지만, 판소리 문학 작품을 남기고 있다는 점에서 특별하다. 그의 작품은 전통적 문맥에서 탈피하여 근대의 최신 감각과 성향을 두루 포섭하고 모던화의 경향성을 드러내고 있다. 본 논의에서는 판소리의 근대적 재생산의 관점에서 이들 작품들을 분석하고, 작가의 세계관과 사회적, 문학사적 맥락 등을 아울러 살펴보고자 하였다. <모던 춘향전>에서는 모던의 세태와 에로, 그로, 넌센스의 세계를 보여 주고 있다. <모던 심청전>에서는 병리학적 관심과 자본주의적 세태를 반영하여 보여주었다. <억지 춘향전>에서는 운동/공부에 대한 관심을 드러내는 한편 식민지 시기의 불안한 사회상을 반영하였다. 이러한 근대의 풍경은 고전을 ``모던화``하고자 한 것으로 정리할 수 있다. 다른 한편 김규택의 이 세 작품은 독자들의 요구나 기호에 영합하면서 감각적 쾌락과 소비, 일상의 변화, 취향과 유행, 질병과 신체 등의 문제를 진열해서 보여주고 있다. 이러한 특성은 당대의 모더니즘 경향과도 상통하는 것이다. 이러한 점에서 <모던 춘향전> <모던 심청전> <억지 춘향전>은 1930-40년대 변모된 판소리 문학의 한 경향성을 보여준다고 할 수 있다. An extent of Pansori literature has been advanced very widely. Especially, while the mass media developed in Japanese colonial era, Pansori literature of new forms and contents came into being to answer people`s taste and requirement. Among these, Kim, Kyu-taek`s <Modern Chunhyangjeon>, <Modern Shimchungjeon> and <Willfulness Chunhyangjeon> are modern pansori literature embodying modern scenery into familiar classics. The discussion intends to analyze these works from modern reproduction point of Pansori, and in addition to consider the writer`s outlook on the world and social and literary thread of connection. First, the writer ``Kim, Kyu-taek`` worked as a cartoonist, a critics and a novelist, and left several works behind. He drew present famous novelists` illustration mainly, but displayed his ability as a novelist with his three works. <Modern Chunhyangjeon> shows the prevailing state of modern society, eroticism, grotesque and the world of nonsense. <Modern Shimchungjeon> shows a pathological concern and the prevailing state of capitalism. <Willfulness Chunhyangjeon> shows the concerns about exercise and study, besides reflects uneasy social aspect in the colonial era. This modern scenery is to modernize classics. On the other hand, Kim, Kyu-taek`s three works show the problems of a pleasure of sense and consumption, changing every day, taste and trend, and diseases and body, while these cater to readers` requirement and taste. This characteristic communicates with present modernism tendency. We can read modern life, personality, desire and society displayed on Kim, Kyu-taek`s three works. In hoc, <Modern Chunhyangjeon>, <Modern Shimchungjeon> and <Willfulness Chunhyangjeon> show a tendency of Pansori literature changed by the 1930s-1940s.

      • KCI등재

        斗山이 指向했던 文化人類學의 始延: 文化領域說과 基層文化論

        전경수 영남대학교 민족문화연구소 2009 민족문화논총 Vol.43 No.-

        This paper aims solely at the late Professor Kim Taek-kyu(Doosan, his pen name) in terms of the history of Korean anthropology. Kim is the founder of the department of cultural anthropology at Youngnam University. The question for this paper started with his conversation with the author one year before he died at 1999. His master degree was bestowed by his thesis on "Shamanistic Literature"(1957) begun with the word of "anthropology". After finishing his master he moved to Tokyo University for one year as a research fellow. His renowned ethnography known as Hahoe ethnography was heavily influenced by the research method employed by Tokyo University. Kim's research references are almost always relied upon Japanese literatures. Finally he invented a concept of "basic culture area" as a research hypothesis for his lifelong project of the cyclical rituals(rites of intensification) of the Korean agriculture. The basic culture area comes from on the one hand "basic culture" inherited from German folklore through Japanese literature and on the another hand "culture area" from American culture historians like Clark Wissler through again Japanese scholars. One more interesting aspect of his starting point to meet with anthropology seems possibly to be related with Mr. Lee Seok-rak who was a key member of Korean Anthropological Association right after liberation of 1945. 본고는 문화인류학자 두산 김택규 교수의 학문적 역정과 그가 이룬 학문의 이론적 정향의 계보에 대한 학사적 검토의 결과이다. 1957년 “무교문학”이란 제목의 석사학위 논문에서부터 인류학에 관한 논의를 주로 하고 있는 김택규의 문화인류학 역정은 그후 일본의 레퍼런스를 만나면서 본격적인 인류학적 업적을 축적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그의 하회민속지는 한국학의 대표적인 업적으로 손꼽히고 있는데, 그 민속지의 방법론이 동경대학의 일본지역성연구의 방법론에 의존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그가 평생 업적으로 만들어낸 한국의 농경세시의례는 기층문화영역론이란 이론을 바탕으로 하고 있는데, 이 이론의 원류에 대해서는 다음과 같이 정리할 수 있다. 독일민속학으로부터 일본에 습득된 “기층문화”라는 개념과 미국 문화사학파에서 비롯되어 일본으로 수입된 문화영역설이 습합된 것이 두산이 만든 기층문화영역론이란 것이라는 점을 고증하였다. 두산의 인류학 역정이 시작하는 시점에 조선인류학회의 주역이었던 이석락과 관련이 있다는 점을 밝힌 것도 본고의 작업이 얻은 소득이다.

      • KCI등재후보

        미군정기조선교육자협회의 교육이념과활동

        박종무 한국역사교육학회 2011 역사교육연구 Vol.- No.13

        This thesis focuses on the educational ideology and activities of Korean Educators’Association(朝鮮敎育者協會), which was one of the major players in the education community during the rule of United States Military Government of Korea. First, it will describe the founding process of the Association amidst post-liberation movements to organize educators. Then it will introduce key members, especially those who led the organization. Since educational ideology and activities of the Association was undoubtedly influenced by its membership, this paper also look into the ideological orientation of key members. Korean Educators’Association, a nation-wide teachers’group, was established in February, 1946, replacing the predecessor organization called Confederation for Chosun Educational Reform(朝鮮敎育革新同盟). The Association suggested“ progressive democracy education(進步的民主主義敎育)”and argued for dismissal of Japanese collaborator teachers and administrators and incorporation of conscientious educators’opinions to education policies in order to democratize the educational system and protect independence and expertise of education and educators. The Association initiated a movement for democratization of schools to realize their educational ideals. The movement included several key activities,such as a protest against a state-run university or dismissal of teachers without cause, and a demand for livelihood of students and teachers. The Association also exerted efforts for education and research activities. The Association has undertaken a fact-finding investigation of education conditions and opened lectures and seminars and publishing of journals and forming of various research societies. Key members of the Association also contributed to magazines, writing about teaching practice and contents at schools, or wrote textbooks. But the Association lost momentum with the advent of the Cold War regime. The Association was hit hard by a nation-wide roundup of leftist activists in August 1947 by the U.S. Military Government. Thereafter the Association continued as an underground organization affiliated to the Labor Party, but its public operations practically stopped. It seems that the organization was disbanded during the early days of the Korean War. The process of establishment, educational ideology and activities of the Association is a good manifest of progressive educators who tried educational reform in the post-liberation Korea. When we compare the Association and the mainstream education community, the implications of the education reforms under the U.S. Military Government rule will be made evident. 이 글은 미군정기 주요 교육 세력의 하나였던 조선교육자협회의 교육이념과 활동에 주목하였다. 먼저 해방 후 교육자 대중 조직 운동의 흐름 속에서 조선교육자협회의 창립과정을 정리하였다. 조선교육자협회의 교육이념과 활동에는 구성원의 성향이 작용했기 때문에, 구성원의 실체를 밝히는 데도 힘을 기울였다. 이를 바탕으로 조선교육자협회가 표방한 교육이념과 구체적 활동을 검토하였다. 1946년 2월 창립된 조선교육자협회는 조선교육혁신동맹을 모체로 결성된 전국 규모의교원단체였다. 이들은‘진보적 민주주의 교육’을 제시하여 친일파 교원, 교육 행정가를 청산하고 학원의 민주화 및 교육의 자주성과 전문성을 지켜야 한다고 주장하였다. 조선교육자협회가 교육이념을 구현하기 위해 힘을 쏟았던 것은 학원민주화 운동이었다. 국대안 반대, 교직원 무고파면반대, 학생·교직원 생활대책 마련 요구 등이 학원민주화 운동의 핵심이었다. 또한 조선교육자협회는 교육과 연구활동도 진행하였다. 조선교육자협회는 교육실태 조사, 강습회 개최, 연구회 조직, 교과서 편찬 등의 활동을 펼쳤다. 그러나 조선교육자협회는 냉전체제가 틀을 갖춰가면서 점차 설 자리를 잃었다. 결국 1947년 8월 미군정의 좌익대검거로 조선교육자협회는 크게 약화되었다. 이후 한국전쟁까지 조선교육자협회는 남로당 산하 지하 단체로 존속하였으나 공개적인 활동을 거의 하지 못하였다. 그러다가 한국전쟁 초기에 사실상 해체된 것으로 보인다. 조선교육자협회의 창립과정, 교육이념 및 활동은 해방공간에서 교육개혁을 시도한 진보적 교육자들의 모습을 잘 보여준다. 교육주도세력의 교육개혁과 조선교육자협회의 교육운동을 비교 검토할 때, 미군정기 교육개혁이 갖는 의미가 잘 드러날 것이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