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강용원 교수의 교육신학과 목회상담신학 이해를 위한 주요 개념과 구조

        조성국 고신신학회 2015 고신신학 Vol.- No.17

        강용원 교수의 교육신학과 목회상담신학 이해를 위한 주요 개념과 구조

      • KCI등재

        강원용과 안병무의 대화(對話) ―‘따로 또 같이’ 걸어간 두 거인의 행보, 강원용이 묻고 안병무가 답하다

        이상철 한신대학교 한신신학연구소 2022 신학연구 Vol.59 No.2

        강원용과 안병무, 안병무와 강원용은 한국현대사의 발전과정에서 비단 한국 그리스도교 진영뿐 아니라 사회 문화적 측면에서도 반드시 언급해야 하는 인물들이다. 안병무의 한국신학연구소는 1970-80년대 신학적담론을 주도했을 뿐 아니라 민중신학이라는 한국 아카데믹 전통에서 세계에 내세울 만한 독특한 지점을 창출했던 공간이고, 강원용의 크리스챤아카데미는 중간집단프로그램을 통해 사회 각 분야의 인재들을 키워냈는데, 아카데미 출신의 인물들은 1987년 이후 한국시민사회 형성기에 결정적 역할을 담당하였다. 한국 사회가 1990년대를 거쳐 시민사회로 발전 분화되기 이전 안병무와 강원용이 창출한 공간은 한국 개신교의 진보성, 시민사회의 젖줄, 한국정치와 사회변혁의 상징이었다. 이 글은 안병무와 강원용의 핵심 키워드라 할 수 있는 민중과 시민, 민중신학와 대화의 신학, 민중운동과 중간집단운동에 대한 비교를 통해 민중신학의 동시대적 과제를 묻고 듣는 것이다. 논쟁적인 성격인 민중메시아와 ‘우주적 그리스도’에 대한 논의는 글후반부에 배치하였다. 생전에 두 거목이 만나 서로의 신학에 대한 의견을 교환한 적은 없었다. 본 기획은 지금은 하늘에서 대화를 나누고 있을 두 사람이 살아생전에만나 대담을 한다는 가정에서 출발하였다. 글은 강원용이 질문하고, 안병무가 대답하는 형식이다. 본문에 등장하는 질문과 답변은 안병무와 강원용을 읽고 경험하면서 느낀 필자의 해석과 물음으로부터 기인하였다. 안병무와 강원용의 목소리이지만 그것은 필자의 렌즈와 필터를 통과한 이후의 강원용과 안병무이다. 이런 까닭에 독자에 따라서는 양자에 대한 본인의 이해와 본문의 서술 사이 충돌이 있을 수도 있겠다. 언제든 대화의 마당은 열려있으니 의견 개진을 당부한다. 모쪼록 이번 기회를 통해 한국진보 그리스도교, 더 나아가 한국 현대사를 견인했던 안병무와 강원용, 강원용과 안병무에 대한 본격적 대화가 활발히 시작되어 한국 개신교의 개혁과 사회변혁을 위한 상상이 도모되기를 바래본다.

      • KCI등재

        논문 : 월남 학병세대의 해방 후 8년 -학병세대 연구를 위한 시론(試論)

        김건우 ( Kun Woo Kim ) 민족문학사학회·민족문학사연구소 2015 민족문학사연구 Vol.57 No.-

        일제 말 제국의 고등교육을 받은 학병세대는 한국 현대지성사에서 가지는 중요성에도 불구하고 이제까지 연구가 거의 이루어지지 않았다. 해방 직후 이들은 이미 주목을 받고있었으며, 이후 한국사회 각 분야에 진출하여 국가를 설계하고 체계를 완성해 냈다. 1917-1923년에 태어나 해방 후 8년의 기간을 통해 ``남``을 선택한 월남 학병세대의 생각과 실천들을, 장준하 김준엽 선우휘 강원용 등 대표적인 월남 학병세대의 인물들을 통해 살펴봄으로써 향후 학병세대 연구의 기초를 만들고자 한다. While the student-soldier generation who were highly educated in the late japanese imperial period has considerable significance in the korean modern intellectual history, they have hardly been studied yet. In fact, they already held the public eye right after the liberation, and thereafter entered into various fields of korean society and designed the foundation of the state, completing the system of korea. This thesis tries to pave the way for the future studies on the student-soldier generation by examining the thoughts and practices of the ``Wollammin(persons displaced from North Korea to South Korea)`` student- soldier generation who were born between 1917-1923 and chose the ``South`` during the eight years after the liberation, especially those of the important ``Wollammin`` student- soldier generation such as Jang Jun-Ha, Kim Jun-Yeop, Seon Woo-Hui, Kang Won-Yong.

      • KCI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