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조선학/ 한국학’의 국교정상화: 한국학자들의 ‘조선학회’ 연차대회 참가와 아시아재단의 지원을 중심으로

        정종현 상허학회 2017 상허학보 Vol.49 No.-

        Joseonhakhoe(朝鮮學會) in Japan officially invited 10 Korean scholars to the 12th Joseonhakhoe(朝鮮學會) that was held in 1961. Behind this event that had been the first officially academic exchange, which was made between South Korea and Japan following the liberation, there was an intervention of the Asia Foundation that is America’s private organization. In those days, the United States established the Asian security strategy centering on Japan and then suppressed the diplomatic normalization between South Korea and Japan, which becomes its basis. Living up to American’s this strategy, even the Asia Foundation, which is private organization, gave their best to vitalizing a private exchange between Korea and Japan. The Asia Foundation supported the expenses for the participation in Joseonhakhoe(朝鮮學會) of totally 10 Korean scholars at 12th Joseonhakhoe convention and totally 6 Korean scholars at the 14th convention. ‘Joseonhakhoe(朝鮮學會)’ in Japan is the research academy of Joseonhak(朝鮮學, Joseon studies), which was established in 1950 centering on researchers who had been in office as a professor at Keijo Imperial University before the lost war. Joseonhakhoe(朝鮮學會), which was composed of Japanese colonial settlers who returned following Japan’s lost battle, had been put in the position of the non-mainstream in Japanese society after the war. Accordingly, an academic conference, which is opened by officially inviting Korean scholars, was ever a good opportunity that may emphasize what their colonial experience in the past is helpful for Japan. The view of the society can be observed through an English report that Korean participants contributed to a newspaper and a magazine and submitted to the Asia Foundation following the participation in academic conference. In a keynote speech of the 12th convention, Lee Byeong-do stressed identity and independence in ancient Korean culture, and criticized Japanese scholars’ perspective of a research on Nangnang, which had been the basis of heteronomy in Joseon history of Japanese Oriental studies in the past. Kim Du-heon proposed a change of terminology called ‘Joseon,’ which is used in the Japanese academic circles, into ‘Korea.’ Park Jong-hong, who is a keynote speaker at the 14th convention, asserted that the official language in Joseonhakhoe(朝鮮學會) should be changed into Korean language from Japanese language. The Korean scholars, who joined, sympathized with this, and progressed a debate in Korean language, thereby having allowed Japanese researchers to be astonished. As for Korean scholars, the participation in Joseonhakhoe(朝鮮學會) became an opportunity of perceiving self-identity as a researcher of ‘Korean Studies’ on de-colonization against a backdrop of the liberated country with escaping from ‘Joseonhak(朝鮮學)’ as part of the Oriental studies in the past and as the regional studies of the empire. 일본의 ‘조선학회’는 1961년 개최된 제12차 조선학회에 10명의 한국 학자들을 공식 초청했다. 해방 이후 한국과 일본 사이에 이루어진 첫 번째 공식 학술 교류였던 이 사건의 배경에는 미국 민간 기구인 아시아재단의 개입이 있었다. 당시 미국은 일본을 중심으로 하는 아시아 안보 전략을 수립하고, 그 근간이 되는 한일 간의 국교 정상화를 압박했다. 이러한 미국의 전략에 부응하여 민간기구인 아시아재단도 한일 민간 교류를 활성화하는 데 힘을 쏟았다. 아시아재단은 조선학회 제12회 대회에 총 10명, 14회 대회에는 총 6명의 한국 학자들의 조선학회 참여 경비를 지원하였다. 일본의 ‘조선학회’는 일본 패전 이전에 경성제국대학 교수로 재직했던 연구자들을 중심으로 1950년에 설립된 ‘조선학’ 연구 학회이다. 일본 패전 이후 귀환한 재조선일본인 출신들로 구성된 조선학회는 전후 일본 사회에서 비주류의 위치에 놓여 있었다. 따라서 한국학자들을 공식 초청하여 개최하는 학술회의는 자신들의 과거 식민지 경험이 일본에 도움이 된다는 점을 강조할 수 있는 좋은 기회이기도 했다. 한국 참가자들이 학술회의 참가 이후 신문․잡지에 기고하고, 아시아재단에 제출한 영문보고서를 통해 학회 풍경을 엿볼 수 있다. 이들 보고서에 따르면, 기조강연에서 이병도는 고대 한국문화의 독자성과 주체성을 강조했으며, 과거 일본 동양학의 조선사의 타율성의 근거가 되었던 일본 학자들의 낙랑 연구 관점을 비판했다. 김두헌은 일본의 학계에서 사용하는 ‘조선’이라는 용어를 ‘한국’으로 바꾸자고 제안하는가 하면, 14회 대회의 기조강연자 박종홍은 조선학회의 공식적인 언어를 일본어에서 한국어로 변경해야 한다고 주장했으며, 참가한 한국 학자들이 이에 동조하여 토론을 한국어로 진행하여 일본 연구자들이 경악하는 장면이 보고되고 있다. 한국 학자들에게 조선학회 참가는 과거 동양학의 일환이자, 제국의 지방학으로서의 ‘조선학’에서 탈피하여 해방된 국가를 배경으로 한 탈식민지 ‘한국학’ 연구자로서 자기정체성을 자각하는 계기가 되었다.

      • 1930년대 조선학(朝鮮學) 운동과 ‘실학자(實學者) 정다산(丁茶山)’의 재발견

        최재목(Choi Jae-Mok) 연세대학교 강진다산실학연구원 2012 다산과현대 Vol.4,5 No.-

        This paper is study on the meaning of rediscovery of Dasan Jeong Yak-yong in 1930"s japanese imperialism era of modern korea. In 1935, Jeong In-bo, An Jae-hong and Choi Ik-han, with the 100th anniversary of the death of Dasan Jeong Yak-yong as a moment, begin the movements of Josonhak(Joseon Studies) that is entirely different as before. The Josonhak means that is one of the indigenous, traditional, characteristic studies for Korea, by and of the korean against japanese imperialism. The Josonhak, starts area studies in the beginning, for example in Choi Nam-seon, but it becomes to be different much in the period of movements of Josonhak. Jeong In-bo, An Jae-hong and Choi Ik-han publish a slogan Dasan Jeong Yak-yong who is the most prominent figure succeed to the intellectual line of Silhak from Bangye Yu Hyong won and Sungho Lee Ik, in the Joseon intellectual history. Then they can appropriate a new view point for nation and world in Joseon under japanese imperialism era. The other hand, Dasan Jeong Yak-yong" Silhak inherit the traditional intellectual heritage Sil(實), Silsim(實心) in korean Yangmyonhak. We can see the process of intellectual move from Yangmyonhak to Silhak. By this they seeks the best way of their own"s against the cultural, intellectual violence of imperialism under that situation. The Josonhak movements with the 100th anniversary of the death of Dasan Jeong Yak-yong, so to speak, grope in the dark between nation and world under japanese imperialism era.

      • KCI등재

        ‘한국인’ 정치 참여 부재와 조선총독부의 관학(官學)을 통한 사회과학의 전개: 관학 대 반(反)관학, 이항대립관계의 구조화

        전상숙 한국정치외교사학회 2015 한국정치외교사논총 Vol.37 No.1

        사회과학은 근대 과학의 발전에 힘입은 자본주의적 산업화와 그 주체인부르즈와지가 견인해낸 근대국민국가체제를 과학과 합리성이라는 이름으로 정립해간 현실적이고 실용적인 학문이다. 이러한 사회과학의 특성은, 식민지사회에서는 제국주의적 정책학적 측면과 그에 대항한 반제국주의민족해방운동의 학술적 논리가 되어 양날의 칼과 같은 특성을 갖는다. 전자는 경성제대를 중심으로 한 조선총독부의 정책적 관립대학이 대표적이다. 후자는 조선총독부의 관립고등교육(官學)의 내용에 대항한 조선인들의‘과학적’ 조선사회연구가 대표적이다. 양자는 상기한 근대 초기 식민지사회에서 발전하기 시작한 사회과학의 특성을 잘 보여준다. 후자는 조선민족해방의 이념적 체계를 모색하는 학술 연구로서, 독립과 독립 이후의 근대국민국가의 수립을 전망하며 학문적인 면에서 특수성과 보편성을 결합시키고자 한 것이었다고 할 수 있다. 이러한 점은, 조선총독부에 의해서 제도적으로 구축된 관립고등교육기관에서의 조선사회연구와 함께 일제하 초기한국 사회과학 연구의 일환으로써 중요한 의미를 갖는다. Social sciences are practical modern studies on the establishment and definition of modern nation state, which was sprouted by capitalist industrialization brought up by the bourgeoisie. This characteristic of social sciences posesses two sizes of the sword where it shows the imperialistic policy studies as well as displaying the academic logic for the anti-imperialist liberalization movement. Korean’s scientific studies on Korean society led by Gyeonseong Imperial University, especially by those who were against Japan’s state science of national school, proves this point. Koreans sought out the ideological system of Korean liberation. It forecasts the establishement of Korea as a new nation state after liberation and sought to have both the distinctive and universal characteristics. In this light, this study tries to look into the studies by systematic national school and Korean's societal study against Japanese state science in the context of Korean history of social sciences.

      • KCI등재

        일제강점기 정다산(丁茶山) 재발견의 의미 -신문,잡지의 논의를 통한 시론(試論)-

        최재목 ( Jae Mok Choi ) 다산학술문화재단 2010 다산학 Vol.- No.17

        이 논문은 일제 강점기의 주요 신문과 ‘잡지’에 게재된 다산茶山 정약용丁若鏞(1762~1836)(이하 ‘다산’ 혹은 ‘정다산’) 관련 기사 및 논고를 토대로 당시 다산茶山 정약용丁若鏞 재발견의 의미가 무엇인지를 살펴보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일제강점기 ‘정다산’의 연구와 ‘언론 매체’가 본격적으로 만나는 계기는 바로 1930년대에 일어나는 ‘민족주의적 한국학’인 ‘조선학’ 때문이다. 그 핵심 세력은 일본의 식민지 통치에 반대하고 협조를 거부했던 비타협적 민족주의 계열의 연구자들 즉 안재홍安在鴻(1891~1965)·백남운白南 雲(1895~1979)·최익한崔益輪(1897~?) 등이었다. 그들이 펼친 조선학은 ‘조선문화 부흥’의 일환이며, 그것은 문화제국주의의 한국학인 ‘청구학靑丘學’과 정면으로 맞서는 것이었다. 이 대립되는 양자는 ‘한국사회·한국문화 특수성론’으로 공통되어 있었다. 그것은 전자가 후자의 전도형태 顧倒形態였기 때문으로 보인다. 어쨌든 정다산에 대한 연구는 1934년을 계기로 하여 본격적으로 착수되었는데, 그것은 바로 다산 서거 98주년에 해당하는 해이다. 그들은 조선학 부흥운동을 꾀하면서 그 일환으로 다산 서거 100주년 기념사업을 계획하였다. 그런 과정에서 정약용의 사상을 비롯하여 여타의 실학자들에 대한 연구도 시작되었다. 실학 연구의 기념비적인 작업은 역시 1938년 12월 13일자 『동아일보 東亞日報』 2면 기사에 「茶山與觸堂全書 完刑記念祝寶 來十六日 明月館에서」 라고 있는 것처럼, (1934년에 시작하여) 1938년 12월에 이뤄지는 『여유당전서與猶堂全書』(신조선사新朝雖社 출판)의 완간 작업이었다. 『여유당전서』의 출판에 참여한 인물로는 실학 관련 기사를 쓴 정인보, 최익한, 문일명文一平(1888~1936), 안재홍 등이다. 최익한은 65회에 걸쳐 「여유당전서與猶堂全書를 독讀힘」을 발표하는데 여기서 그는 다산의 『여유당전서』의 핵심 내용을 체계적으로 정리한 바 있다. 일제 강점기에 다산 서거 100주년을 전후하여 일어난 조선학운동에서 ‘정다산`은 분명 우리나라 ‘위인’의 표상이자 아이콘이었다. 그리고 조선의 지식, 개념, 인물을 새롭게 영유領有하는 방법론이기도 하였다. 그를 둘러 싼 좌의 ‘세계’ 지향과 우의 ‘민족’ 지향이 서로 맞서는 가운데 ‘근대적’ 학술의 논의가 진척되었고 ‘허虛의 학’을 넘어선 ‘실實의 학’을 추구해가는 절실한 논의의 지명이 열리기도 하였다. 아울러 이 시기에 크게는 〈구(전통-구식)〉⇔〈신(현대-신식〉이 극명하게 대립되고, 그 대립 속에서 새로운 이념들이 이데올로그들에 의해 전개되었다. 다시 말해서, ‘우익’측에서는 일제의 민족문화 말살정책에 대한 대응 논리로 포괄적인 민족사상 및 학문의 전통 확립을 위해 정인보鄭寅普가 ‘얼’을, 안재홍이 ‘민족정기民族正氣’를, 분일평이 ‘조선심朝鮮心’이라는 개념을 내세워서 주도해갔다. 이에 반해 ‘좌익’측에서는 이청원, 백남운 등이 마르크스주의 역사연구 방법론을 도입하여 세계사의 보편성에서 한국사체계를 구성해 사회경제사학을 확립하는 한편 공산주의 혁명의 필연성을 정당화하였다. 이처럼 ‘세계’에 관심을 둔 좌, 민족에 관심을 둔 우의 ‘시점視點’은 정다산, 실학, 나아가서는 조선학을 서술해가는 방식의 차이를 보이고 있었다. 바로 정다산 논의는 ‘민족民族’과 ‘세계世界’ 사이에서 새로운 연구의 길을 모색하고 있었던 것이다. This paper is study on the meaning of rediscovery of Tasan Cheong Yagyong in japanese imperialism era, especially, here focused the media and the journal in those days. In 1935, Cheong Inbo, An Jaehong and Choi Ikhan, with the 100th anniversary of the death of Tasan Cheong Yagyong as a moment, begin the movements of Josonhak(Joseon Studies) that is entirely different as before. The Josonhak means that is one of the indigenous, traditional, char-acteristic studies for Korea, by and of the korean against japanese impe-rialism. The Josonhak, starts area studies in the beginning, for example in Choi Nam-seon, but it becomes to be different much in the period of movements of Josonhak. Cheong Inbo, An Jaehong and Choi Ikhan publish a slogan Tasan Cheong Yagyong who is the most prominent figure succeed to the intel-lectual line of Silhak from Bangye Yu Hyeongwon and Seongho Lee Ik, in the Joseon intellectual history. Then they can appropriate a new view point for nation and world in Joseon under japanese imperialism era. The other hand, Tasan Cheong Yagyong` Silhak inherit the traditional intellectual heritage Sil(實), Silsim(實心) in korean Yangmyonhak. We can see the process of intellectual move from Yangmyonhak to Silhak. By this they seeks the best way of their own`s against the cultural, intellec-tual violence of imperialism under that situation. The Josonhak movements with the 100th anniversary of the death of Tasan Cheong Yagyong, so to speak, grope in the dark between nation and world under japanese imperialism era.

      • KCI등재

        文一平 近代史學의 本領, 朝鮮學運動

        박성순 동양고전학회 2013 東洋古典硏究 Vol.0 No.50

        湖岩 文一平(1888-1939)은 민중을 계몽하고 역사를 대중화하는 데 앞장선 민족주의 사가로서 잘 알려져 있다. 이 글은 기존의 연구성과를 바탕으로 하여 문일평 사학의 특징과 본령을 종합적 관점에서 언급하고자 하였다. 문일평 사학의 특징은 계급투쟁을 의식하는 사회과학적 민중주의의 경향을 띠게 되었다. 또 역사의 주체인 민중 계몽을 위한 역사 서술 방법으로서 통속화와 과학화를 주장하게 되었다. 또 민족주의사학과 실증사학의 결합을 주장한 발전적인 모습을 보여주었다. 문일평 사학의 또 다른 특징은 그가 문화사를 강조하였다는 점에 있다. 정치사적 측면에서의 정체성을 문화적 측면에서 발전적으로 극복하고자 한 것이다. 이러한 시각에서 조선 문명은 굴종의 역사가 아니라 찬란한 전통으로 재탄생하였다. 또한 종래 지배계급 중심의 역사의식을 극복하였을 뿐만 아니라, 민족주의를 추구하면서도 국수주의를 극복하여 세계와의 소통을 강조하는 열린 민족주의를 추구하였다. 본고에서 주목한 것은 문일평 사학의 본령에 관한 것이었다. 문일평은 근대사나 외교사 분야에서 두드러진 성과를 낸 것으로 평가받고 있다. 하지만, 저술의 양보다 그 사학사적 의미로 미루어 볼 때 필자는 문일평의 조선후기 실학 연구가 그의 학문적 본령에 해당하지 않나 진단하였다. 유학 이전부터 근대주의를 지향했던 문일평의 가치관은 조선후기 문화의 근대지향적 성격을 규명하려던 조선후기 실학 연구의 사조와 잘 어울리는 것이었다. 1934년 정약용 서거 99주기를 맞이하여 발표한 문일평의 논설은 당시 한국학의 지형을 뒤흔든 조선학운동의 일 요소가 되었을 뿐만 아니라, 앞으로 한국의 사학이 나아가야 할 방향을 제시하고 있다는 점에서 문일평 사학의 정수가 아닌가 한다. Mun Il-pyeong(1888-1939) is famous for a nationalist historian led history into popular style to enlighten the public. This paper aims to overview the characteristic of Mun Il-pyeong's history based on prior studies on Mun Il-pyeong's works. The characteristic of Mun Il-pyeong's history shows us people centric trend based on a struggle of classes. For the people, he insisted that description of history should be easy and scientific for the people who are host of history. And Mun Il-pyeong insisted the harmony of nationalist history and positive history. This was a progressive attitude in writing history at that time. Another characteristic of Mun Il-pyeong's history is that he considered cultural history as important. Mun Il-pyoeng wanted to overcome the ashamed political history by cultural history. In this intention, Korean history was again born proudful by him. Mun Il-pyoeng pursued open nationalism, not ultra-nationalism by connecting with other world. This paper focused on the essential part of Mun Il-pyoeng's history. Many scholars think Mun Il-pyeong focused on Korean modern history or history of foreign relation. But I think Mun Il-pyeong attached importance to Practical Learning, Sirhak in late Joseon dynasty. Because Sirhak contained Mun Il-pyeong's academic intention, Modernism and Culturism dreamed from his youth age. Therefore he led so-called Joseonhak Undong meaning study of Sirhak. Studying Sirhak made Mun Il-pyeong open a new direction Korean modern history have to go.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