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존 맥도웰의 도덕적 제 이의 천성

        윤화영(Hoa Young Youn) 철학연구회 2011 哲學硏究 Vol.0 No.94

        John McDowell regards moral disposition as a specific concept called second nature. It is explained that the moral second nature is basically non-natural, and formed by the development of practical reason. Although his theory tries to explain the achievement of moral disposition by employing both Aristotelian moral education and Kantian reflection, the two theories are tailored to fit for his own view. Basically McDowell occupies Neurathian viewpoint that only moral phenomena are available to us, and that there is no vantage point from which the nature of morals can be analyzed. So he presents quietism that anything beyond moral phenomena should not be discussed. He also presents a monistic epistemic frame called phenomonology which can be applied to both external world and moral phenomena. The author argues that McDowell`s concept of practical reason does not well account for commonsense moral disposition and moral facts. This has something to do with quietism and the monistic epistemology, according to the author. Further, as long as McDowell sticks to these two views, his theory is not very different from a naturalistic theory. If he really wants to make it distinguished from naturalism, the author argues, McDowell should adopt more of practical reason from traditional rationalists like Kant.

      • KCI등재

        맥도웰의 경험주의적 자연주의

        김용은 대한철학회 2017 哲學硏究 Vol.143 No.-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critically investigate John McDowell’s naturalism, and propose an alternative direction of inquiry in order for his naturalism to have a more explanatory cogency. McDowell’s main project is to settle a philosophical anxiety that has made traditional philosophy waver between mind and world. If one stands on the world side, he would appeal to “the unintelligible given,” and on the other hand, if one stands on the mind side, he would fall into anarchistic relativism. In order to relieve the traditional philosophical anxiety, what McDowell has in mind is to reintroduce an empiricistic intuition into a pragmatic conceptual setting. Although McDowell is successful in that it could avoid methodological difficulties with which traditional philosophy has faced, his discussion seems to give rise to a charge of “the Myth of the Given,” presenting perceptual judgement as a model of judgement. I propose that McDowell has yet to account for the relation between perceptual and abstract judgements in a more cogent way, which has been far better explained by the experientialist account of the nature and the structure of the embodied experience. 이 글의 목적은 20세기 후반기부터 이어져 오는 영어권 철학의 자연주의적 흐름 안에서, 맥도웰의 위치를 가늠하고, 맥도웰의 논의가 보다 더 설득력을 갖기 위해 나아가야 할 방향을 제안하는 데 있다. 맥도웰의 주된 철학적 기획은 전통철학자들을 마음과 세계 사이에서 동요하게 했던 불안을 잠재우는 것이다. 세계의 편에 서면 불가해한 ‘주어진 것’에 호소하게 되고, 마음의 편에 서면 제약 없는 상대주의에 빠져든다. 전통적 철학적 불안을 치유하기 위해, 맥도웰이 궁극적으로 의도하는 것은 실용주의를 바탕으로, ‘지각’에 모종의 인식론적 우선성을 부여하는 경험주의적 직관을 도입하는 것이다. 비록 이러한 맥도웰의 논의는 전통적인 철학이 직면하는 방법론상의 난점을 피하는 데는 성공적으로 보이지만, 판단의 모형으로 지각적 판단을 제시하면서, 다시 한 번 ‘주어진 것의 신화’에 빠져든다는 의혹을 불러온다. 필자는 체험주의에 의존하면서, 맥도웰이 이러한 의혹을 피하기 위해서 지각적 판단과 추상적인 형태의 판단과의 관계를 해명할 필요가 있다는 점을 제안한다. 체험주의는 신체화된 경험을 통해 그러한 관계의 해명 가능성을 보여 준다.

      • KCI등재

        제2의 천성의 자연주의와 자연의 부분적 재마법화

        이병덕(Byeong Deok Lee) 한국분석철학회 2015 철학적 분석 Vol.0 No.33

        법칙의 영역은 근대과학에 의해서 탈마법화된 영역이다. 맥다월에 따르면 우리의 이성적 및 개념적 능력은 자연과학적으로 설명될 수 없기 때문에 법칙의 영역 밖에 있다. 그렇지만 이 능력은 자연의 일부인 우리의 제2의 천성에 속한다. 따라서 맥다월은 법칙의 영역이 자연의 전부가 아니라고 주장한다. 그래서 현재의 자연관을 수정할 것을 주장한다. 다시 말해 자연을 완전히 탈마법화된 영역이 아니라, 부분적으로 재마법화된 영역으로 간주해야 한다고 주장한다. 이 논문의 목적은 맥다월의 과도한 헤겔주의적 견해를 비판하는 데 있다. 이를 위해 필자는 이유의 공간이 법칙의 영역으로 환원될 수 없는 자율적인 영역이라는 칸트적 통찰이 자연의 영역이 존재론적으로 법칙의 영역보다 확장돼야 함을 함축하지 않음을 주장한다. 또한 맥다월이 주장하는 ‘자연의 재마법화’라는 표현은 가치들, 개념들 및 의미들이 자연 속에 실재함을 함축하기 때문에 부적절한 메타포임을 주장한다. The realm of law is a region which has been disenchanted by modern science. According to McDowell, our rational-conceptual abilities cannot be explained by natural sciences, and so these abilities are outside of the realm of law. Nonetheless, these abilities belong to our second nature, which is part of nature. Thus McDowell argues that the realm of law does not exhaust nature, and accordingly we should revise our present conception of nature to the effect that nature is not as a completely disenchanted region, but as a partially re-enchanted region.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criticize McDowell’s excessive Hegelian view. It is a Kantian idea that the space of reasons is sui generis and autonomous in the sense that the space of reasons cannot be reduced into the realm of law. But I argue that this Kantian idea does not imply that the region of nature should be ontologically expanded than the realm of law. In addition, I argue that McDowell’s metaphor ‘the reenchantment of nature’ is inappropriate because it unjustifiably implies that values, concepts, and meanings ontologically exist in nature.

      • KCI등재

        1부 헤겔 주제 논문 : Hegels Naturbegriff aus epistemologischer Perspektive

        ( Christian Spahn ) 한국헤겔학회 2012 헤겔연구 Vol.0 No.32

        헤겔 자연철학은 현재 여러 이유에서 수용되지 않는 체계 부분들에 속한다. 무엇보다도 헤겔의 자연 개념 자체가 오늘날의 사유에 낯설게 보이기 때문이다. 헤겔은 『논리학』으로부터 ("자신의 타자존재 내의 이념")으로서 자연을 구성하며, 이를 통해 반자연주의적으로 현상하는 자연 개념을 대변한다. 그러한 낯섦에도 불구하고 헤겔 연구 외부의 실제적인 인식적 토론에서는 동시에 체계적 관점에서 다시금 헤겔이 신중하게 고려되고 있다. 가장 대표적인 예가 바로 존 맥도웰의 『정신과 세계Mind and World.』이다. 맥도웰은 실재론의 복권을 위해 헤겔의 인식적 테제들을 다시 취하지만, 헤겔의 존재적 자연 개념을 고려하지는 않는다. 그렇지만 헤겔의 사유에는 자연 개념의 구성 즉 자연은 우리가 그것을 인식하는 바대로 그렇게 있는 것만이 아니라 그 내적인 면에서 논리적인 것과 연관되어 있다는 가정과 참다운 인식 가능성의 인식적 근본 가정 간에 밀접한 연관이 존립한다. 따라서 헤겔의 자연 개념은 단지 그의 인식적 반회의적 관점으로만 이해될 수 없으며 오히려 반대로 헤겔의 인식적 낙관론은 그의 자연 개념을 필요로 한다. Hegels Naturphilosophie zahlt aus vielen Grunden in der gegenwartigen Rezeption zu den vernachlassigten Systemteilen. Neben vielen anderen Grunden ist vor allem der Hegelsche Naturbegriff als solcher dem heutigen Denken scheinbar fremd: Hegel konturiert die Natur von der Logik her (als "Idee in ihrem Anderssein") und vertritt damit einen anti-naturalistisch erscheinenden Naturbegriff. Trotz jener Fremdheit zur Gegenwart wird gleichzeitig auch außerhalb der Hegel-Forschung mitunter in der aktuellen epistemischen Debatte in systematischer Hinsicht wieder vorsichtig auf Hegel zuruckgegriffen, am explizitesten in John McDowells Mind and World. Wahrend McDowell zur Rehabilitierung eines Realismus auf Hegelsche epistemische Thesen zuruckgreift, berucksichtigt er nicht Hegels ontischen Naturbegriff. Im Hegelschen Denken besteht jedoch ein enger Zusammenhang zwischen der Konturierung des Naturbegriffs-der Annahme, die Natur sei nicht nur so, wie wir sie erkennen, sondern in ihrem Inneren auf Logisches bezogen-und der epistemischen Grundannahme der Moglichkeit wahrhafter Erkenntnis. Hegels Naturbegriff ist somit nur von Hegels epistemischer anti-skeptischer Option her zu verstehen, und umgekehrt bedarf Hegels epistemischer Optimismus des Hegelschen Naturbegriffs.

      • KCI등재

        감수성이론에서의 도덕적 진리

        윤화영(Hoayoung Youn) 한국분석철학회 2009 철학적 분석 Vol.0 No.19

        데이비드 위긴스와 존 맥도월이 제시한 감수성이론의 두드러진 특징은 도덕적 진리의 인식이 〈속성, 반응〉의 결함에서 온다는 주장이다. 이것을 무선후이론(no-priority view)이론이라고 하는데, 속성과 반응이 동시에 인식된다는 것이다. 이 무선후이론의 중요한 조건은 분석불가능성인데, 상기한 결합이 분석되지 못함을 규정함으로써 무선후이론이 지탱되는 것이다. 이 현상학적 진리가치론은 많은 예외적 상황에 부딪치게 되고, 감수성이론가들은 수렴이라든가(위긴스) 이성의(맥도웰) 개념들을 끌어들여 도덕적 진리를 설명하려고 한다. 이 논문에서 필자가 주장하는 바는 수렴이나 이성의 개념으로 도덕적 진리를 설명하려는 시도는 무선후이론에서 말하는 분석불가능성과 서로 충돌하게 된다는 것이다. 이렇게 주요 부분들이 서로 충돌하게 되면, 감수성이론이 갖는 이론적 독특성과 그 이론이 제시한 인지론이 모두 그 정당성을 잃게 된다고 필자는 또한 주장한다. A unique feature of the sensibility theory proposed by David Wiggins and John McDowell is their claim that moral truth is ascertained in the combination of 〈property, response〉. This is called the no-priority view which means that moral property of external objects and response in sensibility come simultaneously. One of the key conditions for the combination is unanalyzability, without which the no-priority view cannot be sustained. This phenomenological view of moral truth encounters many exceptions, so that the sensibility theorists try to defend their view by incorporating additional theoretical tools like convergence (Wiggins) or practical reason (McDowell) into their theory. The author argues that these additional tools come to collide with the notion of unanalyzability. The author further argues that the sensibility theory's uniqueness and cognitivism would lose its ground, due to the collision.

      • KCI등재

        Hegels Naturbegriff aus epistemologischer Perspektive

        Spahn, Christian 한국헤겔학회 2012 헤겔연구 Vol.0 No.32

        Hegels Naturphilosophie zählt aus vielen Gründen in der gegenwärtigen Rezeption zu den vernachlässigten Systemteilen. Neben vielen anderen Gründen ist vor allem der Hegelsche Naturbegriff als solcher dem heutigen Denken scheinbar fremd: Hegel konturiert die Natur von der Logik her (als „Idee in ihrem Anderssein“) und vertritt damit einen anti-naturalistisch erscheinenden Naturbegriff. Trotz jener Fremdheit zur Gegenwart wird gleichzeitig auch außerhalb der Hegel-Forschung mitunter in der aktuellen epistemischen Debatte in systematischer Hinsicht wieder vorsichtig auf Hegel zurückgegriffen, am explizitesten in John McDowells Mind and World. Während McDowell zur Rehabilitierung eines Realismus auf Hegelsche epistemische Thesen zurückgreift, berücksichtigt er nicht Hegels ontischen Naturbegriff. Im Hegelschen Denken besteht jedoch ein enger Zusammenhang zwischen der Konturierung des Naturbegriffs – der Annahme, die Natur sei nicht nur so, wie wir sie erkennen, sondern in ihrem Inneren auf Logisches bezogen – und der epistemischen Grundannahme der Möglichkeit wahrhafter Erkenntnis. Hegels Naturbegriff ist somit nur von Hegels epistemischer anti-skeptischer Option her zu verstehen, und umgekehrt bedarf Hegels epistemischer Optimismus den Hegelschen Naturbegriff.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