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서정주 시의 西方 지향과 정토 사상

        문태준(Tae-Jun Moon) 순천향대학교 인문학연구소 2011 순천향 인문과학논총 Vol.28 No.-

        이 논문은 서정주 시에 나타나는 서방 지향으로서의 정토 사상을 살펴봄으로써 불교적 상상력을 토대로 한 서정주의 시적 인식의 구체적 내용을 심층적으로 고찰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서정주 시의 서방 지향에 관련하여 그동안 진행된 선행 연구는 미미한 수준에 있다. 서정주의 작품들을 분석해 그것을 정토 사상의 교학과 상관시키는 논의는 더더욱 드물었다고 할 수 있다. 이 논문은 서정주의 시집 귀촉도와 서정주시선에 수록된 시편들이 신라시대 불교의 한 주류적 특성인 정토신앙과 밀접한 관계에 놓여 있다는 데 주목했다. 신라 시대의 불교는 아미타불신앙, 관음신앙, 미륵신앙이 혼재하는 양상을 보였으며, 그것을 정토 사상의 전개라고 부를 수 있다. 이러한 신앙 형태는 자력으로 깨달음을 성취하는 것이 아니라 타력에 의해 극락세계에 왕생하겠다는 염원을 담은 것으로서 신라 불교의 발달사에서 중요한 맥락을 형성하는 것이었다. 서정주의 시에 등장하는 '西域', '서녘', '도솔천' 등의 시어들은 그의 시가 정토사상과 밀접하게 관련되어 있음을 명료하게 드러내는 것이다. 서정주의 시는 삶의 고통과 비애에 휩싸인 존재들을 정토신앙의 힘으로 구제해 극락에 살게 하려는 지향을 보여준다. 뿐만 아니라 서정주의 시는 정토신앙의 수행법, 신라 설화, 불교 경전의 경문 등을 모티프로 해서 창작된 경우가 많다. 전통 고전인 춘향전의 '춘향'을 모티프로 한 연작시편에서 궁구한 영원한 사랑의 구현 또한 정토 신앙에 대한 믿음으로써 가능한 것이었다. 서정주 시에 나타나는 정토 사상은 이후 그의 시가 집중적으로 관심을 보인 '신라 정신' 탐구로 이어지고, 또 불교의 윤회론과 연기론을 기초로 한 시편들로 이어지면서 '영원주의' 시학을 완성하는 경로를 보여준다. 서정주의 시는 불교적 상상력을 바탕으로 함으로써 그 내적 질서에 있어 연속성을 담보하고 있다는 신뢰를 갖게 한다. 서정주의 시가 보여준 서방 지향과 정토 사상의 시편들은 그가 건설한 '영원주의' 시학의 한 갈래로 성격 지을 수 있다. The purpose of this thesis is to deeply consider specific content of poetic recognition of Seo Jeong-Ju based on Buddhist imagination by examining a pure land idea as Western orientation appearing in Seo Jeong-Ju's poems. Preceding researches progressed meanwhile in relation with western orientation of Seo Jeong-Ju's poems are in a negligible level. There is only a mention that it is related to the Buddhist world view, but it can be said that discussions correlating it with teaching of the pure land idea by analyzing works of Seo Jeong-Ju are rare. This thesis noticed that poems of Gwichokdo(1948) and Selected Poems of Seo Jeong-Ju (1956) which are a collection of poems have a close relationship with the pure land faith that is a mainstream property of Buddhism in the S hilla Dynasty. Buddhism of the Shilla Dynasty showed an aspect that Amita Buddha, faith, Avalokitesvara faith and Maitreya faith are mixed, and it can be called development of the pure land idea. These faith fo rms contains people's desire that will revive to the Land of Happiness by the power of another instead of accomplishing enlightenment with s elf-effort and formed an important context in the development history of Shilla Buddhism. Poetic words appearing in poems of Seo Jeong-Ju, such as 'countries bordering on Western China', 'the West' and 'Tusita', etc. clearly show that his poems are closely related with the pure land idea. Poems of Seo Jeong-Ju show an intention that tries to make existences surrounded with pains and sadness of life live in the Paradise by rescuing them with the power of Pure Land faith. In addition, there are many cases that poems of Seo Jeong-Ju were created with the motive of self-discipline techniques of the Pure Land faith, Shilla fables and Buddhist scriptures, etc. Realization of eternal love investigated in serial poems with the motive of 'Chunhyang' of Tale of Chunhyang which is a traditional classic was also possible by believing the Pure Land faith. The Pure Land faith appearing in poems of Seo Jeong-Ju later continues a quest of 'Shilla spirit' that his poems intensively had interest in, and again continues poems based on the transmigration theory of souls and theory of dependent origination of Buddhism so that it shows a path that 'eternalism' poetry is completed. Poems of Seo Jeong-Ju are based on Buddhist imagination so that it gives trust that secures continuity in its internal order. Poems of the Western orientation and pure land idea that Poems of Seo Jeong-Ju showed can be characterized as one branch of 'eternalism' poetry constructed by him.

      • KCI등재

        서정주의 김소월론에 관한 몇 가지 주석

        이유미(Lee, Yu-mi) 한국현대문학회 2015 한국현대문학연구 Vol.0 No.47

        미당 서정주의 시론은 시적 세계의 보충물로 간주됨에 따라 주목되지 않았다. 하지만 서정주는 해방기부터 본격적으로 자신의 시론을 개작, 반복함으로써 논리를 구체화한다. 이 과정에서 서정주는 김소월론을 집필하는데, 그의 김소월론은 단순히 김소월 시학의 의미와 가치를 해명하는데 그치지 않는다.『시인부락』동인이었던 김동리, 오장환 또한 비슷한 시기에 김소월론을 발표하고 있기 때문이다. 본 논문은 이와 같은 문제의식 하에 서정주의 김소월론이 김소월 시의 전통성 및 정통성을 해명하는 가운데 미당 스스로를 그 계보의 적자로 세우고 있음을 규명하고자 했다. 서정주는『시창작법』(1947)에서 시를 감각, 정서, 예지의 단계로 설정했다. 이 글에서 김소월은 시의 최고 단계인 예지에 이르지 못하며 정서의 단계에 해당하는 시인으로 평가된다. 이후『시문학개론』(1959)에서 시의 단계는 주정시, 주지적인 시, 주의시, 지정의 제합의 시로 세분화되며, 김소월은 주정시의 최고 단계인 ‘정조’의 시인으로 자리한다. 이때, 서정주는 자신의 시를 서술화한 것을 정조의 예로 배치함으로써 김소월과 동등한 위치를 점한다 . 이는 김소월에 대한 비평가이자 계승자로서 자신의 위상을 뚜렷이 입안하려는 서정주의 기획임을 알 수 있다. 주지적인 시의 최고 단계인 예지는 서정주 시론에서 릴케와 니체를 통해 구체화되며, 정조와 예지의 종합은 서정주의 영원성 시학의 토대로 작용한다. 정조와 예지의 종합을 통해 서정주는 소월 시의 전통을 이어가며 자신의 시세계에서 유계를 확장시키려는 면모를 보여준다. 이처럼 서정주의 김소월론은 자기 이해의 방식이자 한국 시사에서 자신의 위치를 점하려는 전략적 글쓰기였다. The poetics of Seo Jeong-ju was not considered notable in the poetic world. Seo Jeong-ju adapted his poetics from the Liberation Period to embody logic in earnest. In the process, Jeong-ju writes about poetics of Kim So-wol. The introduction of So-wol by Seo Jeong-ju simply does not explain the meaning and value of So-wol’s poetry. The Siinburak(시인부락) coterie consisted of Kim Tong-ni and Oh Jang-hwan because So wol’s poetics was released around the same time. The current paper explains Jeong-ju’s and So-wol’s theory of consciousness to clarify and establish the poet, and Seo Jeong-ju explains the tradition and the legitimacy of the Sowol deficit during his lineage. Seo Jeong-ju set up steps of sensory, emotional and intellect in "Theory of Poetic Creation(시창작법)." Sowol reached the highest step as an intellect and a poet, corresponding to the stages of emotion. Since "Introduction to Poetry(시문학개론),” So-wol has become a poet of the highest level of "sentiment(情操)". Therefore, Seo Jeong-ju and So-wol are in the same position, placed on a screen that describes examples of sentiment. Seo Jeong-ju clearly plans to take his position as a critic and successor to So-wol. The highest step of intellect(叡智) in poetry does not embody Nietzsche and Rilke. Instead, overall intellect and sentiment serves as the basis for the eternity poetics of Seo Jeong-ju. The integration of sentiment and intellect shows that Seo Jeong-ju is the mentor of So-wol’s poetics. Thus, Seo Jeong-ju’s poetics, based on the poetry of So-wol, points to his position in Korea and suggests ways of self-understanding.

      • KCI등재

        일반논문 : 낙오자와 영원인 -서정주의 신라 기획과 전율의 시학-

        정영진 ( Young Jin Jeong ) 반교어문학회 2015 泮橋語文硏究 Vol.0 No.41

        서정주는 당대의 허무주의를 현대 서구문명의 병폐로 이해했으며 신라정신을 통해 이 문제를 극복하고자 했다. 이 글에서는 우선 서정주의 신라정신이 그가 상상한 신라 사회에서 어떤 방식으로 기능하고 있었는지 살펴봄으로써, 서정주의 신라 기획이 사회문화적 가치체계로서 제안된 것이었음을 보여주고자 한다. 서정주가 상상한 신라 사회는 현실규범과 현실논리에서 낙오한 이들이 영원성의 세계 속에서 재생할 수 있도록 허용하는 사회였다. 이 ‘낙오자’들은 비록 현실로 복귀할 수 없지만 영원성의 세계에 거주하면서, 신라인들에게 영원성의 세계를 현시한다. 즉, 그의 신라 기획은 사회통합적 성격을 내포하는 것이었다. 그러나 서정주의 시에는 이러한 신라사회의 모습이 전혀 드러나지 않는다. 뿐만 아니라 서정주는 서구정신과 신라정신의 대립이나, 현실세계와 영원성의 세계의 관계 역시 시에서 다루지 않는다. 그의 시에서 신라의 ‘영원인’들은 현실사회에서의 낙오자의 성격이 삭제된 채, 사랑의 주체로 나타난다. 이들은 다만 새로운 앎과 감동을 소유하고 절대적 세계를 현시한다. 즉, 신라 기획의 일부만이 시에 바쳐졌다고 할 수 있는데 이는 서정주의 시인식에 따른 결과이다. 서정주는 현대시가 ‘전격적 쇼크’ 혹은 ‘전율’로 체험되어야 한다고 생각했기 때문에, 신라 기획의 사상적 성격을 모두 제거하고, 불사(不死)의 이미지로 전형화 된 영원성의 세계만을 시화(詩化)했다. 불사의 이미지들은 현실 전부를 점유해버리는 현실초과의 성격을 띠는데 이로 인해 그것은 영원성으로 감각된다. 다시 말하면 현실에서의 절대성이 영원성으로 치환되고 있는 것이다. 서정주 시(중기시)의 개성(스타일)의 확립은 신라정신이라는 보편적 사상 기획에 근거한 것이기는 했지만, 동시에 순수시에 대한 신념과 현대사회에서의 시의 효과에 대한 그의 시인식에 따라 신라 기획의 일부만을 미학화 한 결과였다. Seo Jeong-ju understood nihilism at the time as a social ill of modern western civilization, and sought to overcome this problem through the Silla spirit. This article seeks to show that the Silla planning of Seo Jeong-ju was suggested as a sociocultural value system by examining how Seo Jeong-ju`s Silla spirit was functioning in the Silla society he imagined. The Silla that Seo Jeong-ju imagined was a society allowing those who failed in terms of the norms of reality and logic of reality to be born again within the world of eternity. Although these losers may not return to reality, they could show the world of eternity to the people of Silla, while residing in the world of eternity. Seo Jeong-ju`s Silla planning implied a character of social integration. However, Seo Jeong-ju`s poetry do not reveal such features of the Silla society at all. Not only that, Seo Jeong-ju does not deal with the conflict between the western spirit and Silla spirit and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world of reality and world of eternity in his poetry. The ‘people of eternity’ of Silla appear as the main agents of love in his poetry, and these agents display an absolute world and possession of new knowledge and impression. Thus, in other words, only a part of the Silla planning has been dedicated to his poetry, which is a result of Seo Jeong-ju`s cognition on poetry. Because Seo Jeong-ju believed that modern poetry must be experienced through ‘lightning shock’ or ‘thrill’, he removed all ideological characters of Silla planning, and only treated the world of eternity, which was embodied through the image of immortality, in poetry. The establishment of personal characteristics (style) of Seo Jeong-ju`s poetry (middle-period poetry) was based on the planning of a universal idea called Silla spirit, however, was also a result of treating only a part of the Silla planning aesthetically based on his cognition on poetry, concerning the effect of poetry in modern society and his principle on pure poetry.

      • KCI등재

        서정주와 수치심-부성 콤플렉스와 영원성의 세계

        정영진 한국문학치료학회 2023 문학치료연구 Vol.69 No.-

        이 글은 목적은 서정주의 부성 경험과 부성 콤플렉스가 시인의 영원성 시학의 시작과 신라정신 탐구에 영향을 미쳤음을 밝히는 데 있다. 시 「자화상」에서 보이듯, 서정주는 ‘종’의 아들로서의 정체성을 갖고 있었다. 서정주는 농감인 아버지의 신분으로 인해 수치심을 느꼈다. 서정주에게 아버지는 질서와 권위, 금지하고 처벌할 힘을 가진 존재가 아니라 무능력한 존재였다. ‘피’의 구속력으로부터 자유롭길 원했던 그는 새로운 세계를 향한 자유로운 시정신을 쫓았다. 1942년 부친의 죽음은 서정주에게 큰 변화를 가져왔다. 서정주는 그토록 거부하고자 했던 아버지의 상(image)을 자신의 모습 속에서 발견했다. 무의식 속에 그림자로 억압된 아버지를 의식화함으로써, 서정주는 새로운 자기인식을 얻게 된다. 즉, 자신의 부성 콤플렉스를 일정 부분 극복하게 된 것이다. 자기인식의 변화는 세계인식의 변화를 동반한다. 수치심으로 인한 자신에 대한 부정적 인식이 긍정적으로 변함에 따라, 서정주는 이전에 볼 수 없었던 낙관적 태도로 세계를 인식하게 되었다. 그는 관능과 죽음의 육체성에 대한 시 대신 선인(先人)들의 영혼의 현존에 대한 시를 쓰기 시작한다. 그런데 이러한 시적 경향이 변하는 시기가 그의 친일 활동 시기와 겹친다. 이는 부성 콤플렉스가 일부 해소되는 과정에서, 자기 수용의 정신적 태도가 부조리한 현실 수용의 기제로도 작동한 것으로 보인다. 한국전쟁을 거치면서 서정주는 망상과 환청 등의 정신질환을 겪는다. 이는 아버지의 신분으로 인해 권력 관계에서 기인하는 모욕감과 수치심의 기억이 전쟁의 공포 속에서 재생된 것으로 볼 수 있다. 서정주는 피난 생활 중 자살 시도를 한 이후, 삼국유사 등 신라의 신화를 접하면서 변화된 자신의 시 세계를 심화, 확장할 세계관을 발견했다. 신라의 혼교 관념을 통해 서정주는 산 자와 죽은 자가 연결되고, 보이는 세계와 보이지 않는 세계가 연결되어 있는 온전한 하나의 세계를 희구했다. 아무것도 사라지지 않는 세계, 즉 영원한 세계는 그 자체로 질서 잡혀 있는 안전한 세계였다. 이는 아버지의 보호 속에서 세계의 미적 질서를 경험하길 원했던 그의 결핍과 욕망이 투영된 결과라 할 수 있다. This study aimed to demonstrate how Seo Jeong-ju's father complex and paternal experience affected the beginning of his poetics of eternity and his quest to find the spirit of Silla. Seo Jeong-ju had an identity as the son of a "servant," as the poetry [Self-portrait] demonstrates. Seo Jeong-ju saw his father not as the one with the power to command, authorize, forbid, and punish, but as an incompetent man. He chased a free spirit of poetry into a new universe because he yearned to be free from the shackling influence of "blood." Seo Jeong-ju's life underwent a significant upheaval after his father passed away in 1942. The image of his father that Seo Jeong-ju had wished to shun is found in him. By awakening his father, who was repressed by the shadow in his unconsciousness, Seo Jeong-ju developed a new sense of self. He has therefore largely conquered his father complex. His understanding of the world also changed as he became more self-aware. Seo Jeong-ju developed an optimistic outlook on the world as his shame-based negative opinion of himself began to transform into a positive one. He started writing poems about the existence of ancestors' souls rather than pleasure and the materiality of death. However, the time when this lyrical inclination shifts is also when he engages in pro-Japanese activities. It appears that his mental attitude of acceptance of who he was also served as a strategy for accepting the ludicrous reality while the father complex was being partially resolved. Seo Jeong-ju experienced mental illness during the Korean War, including delusions and hallucinations. This can be understood as the horror of war regenerating the memory of the insult and disgrace created by the power relationship caused by his father's status. After Seo Jeong-ju attempted suicide while living as a refugee, he encountered Silla stories like "Memorabilia of the Three Kingdoms," which helped him develop a worldview to broaden and enrich his altered poetic universe. Seo Jeong-ju sought a complete universe in which the living and the dead, as well as the visible and invisible worlds, are connected through Silla's concept of spiritual communion. The world that never ends, the eternal world, was a peaceful and secure place in and of itself. This can be attributed to his lack and desire to experience the aesthetic order of the world under the protection of his father.

      • KCI등재

        서정주 시의 ‘신라’ 표상과 불교적 상상력

        문태준(Moon Tae-Jun) 강원대학교 인문과학연구소 2011 인문과학연구 Vol.0 No.28

        서정주가 『신라초』를 통해 발견해낸 ‘영생 실감’이라는 신개지는 이미 『귀촉도』와 『서정주시선』 등에서 이미 그 출현의 전조를 내보인 것으로서 돌발적이거나 의도적인 미적 기획이 아니라고 사료된다. 서정주는 『신라초』를 통해 사적(史的) 계승자가 되어 보다 광활하고 비정형적이며 균질하지 않은 화려장엄한 영혼과 시간으로의 활공을 선보인다. 영원주의로 일컬어지는 신라정신은 ‘세대계승’의 차원에서 시작된 미학적 기획이라고 볼 수 있다. 그것은 한국전쟁을 전후한 시기에 서정주가 겪었던 내적인 갈등을 극복하고 치유하는 과정에서 만난 정신적 원형이었으며, 또한 이러한 지향에는 서정주의 인생의 원숙함이 또 하나의 원인이 되었다. 서정주의 시편들은 과거의 역사를 현재적 시간으로 치환하며, 그의 시편들 속에 등장하는 인물들은 영원의 삶을 사는 인물들로서 호명되는 특징을 드러낸다. 서정주는 ‘신라’ 표상의 작품들을 통해 혼교(魂交), 혹은 영통(靈通)으로서의 영원성의 시학을 펼쳐 보인다. 이와 같은 시학은 영원성이 우주 세계에 편재하는 질서임을 체감하게 해준다. 서정주의 시편들은 유기적인 생명관을 바탕으로 한 것으로서 인간과 자연의 조화와 통합을 지향한다. 이러한 지향은 그의 시에서 상승의 상상력으로 나타나며, 나아가 원환적인 변신을 보여주는 대상들을 등장시키기도 한다. 서정주의 시세계는 불교적 상상력을 바탕으로 한다. ‘신라’ 표상의 작품들이 보여주는 상관성으로서의 세계 인식, 인간과 자연의 융화, 윤회하는 주체 등은 불교적 세계관에서 잉태된 것이다. 서정주의 시는 불교적 상상력을 채용함으로써 한국의 시사(詩史)에서 돌올하고도 유현한 형이상학적 깊이를 획득하고 있다. The new cultivated land called ‘realization of eternal life’ that Seo Jeong-ju discovered through 『Sillacho』 has already showed a sign of its appearance in 『Gwichokdo』 and 『Collection of Seo Jeong-ju’s Poems』, etc. Thus, it is thought that it is not accidental or intentional aesthetic planning. Seo Jeong-ju becomes a historical heir through 『Sillacho』 and exhibits gliding; more spacious, atypical, unhomogeneous, splendid and magnificent spirit and time. The Silla spirit called eternalism can be seen as planning started in a dimension of ‘succession of generations’. It was a good and beautiful order met in a process overcoming and curing internal conflict that Seo Jeong-ju experienced in the period before and after the Korean War. Seo Jeong-ju’s maturity of age became another reason in self-government of this order and harmony. Seo Jeong-ju’s poem pieces replace the past history with contemporary time, and characters appearing in his poem pieces show characteristics called as characters living eternal life. Seo Jeong-ju spreads poetics of eternity as exchange of souls or communication with the spirit through works of a symbol of ‘Silla’. Poetics like this make us experience that eternity is an order omnipresent in the universe. Poem pieces of Seo Jeong-ju are based on organic views on life and aim at harmony and integration of human being and the Nature. The aim like this appears as rising imagination in his poems, and also makes targets showing circular transformation appear. The poetic world of Seo Jeong-ju is based on Buddhist imagination. The world recognition, harmony between human beings and the Nature, the transmigrating subject, etc. as a correlation showing works of a symbol of ‘Silla’ are conceived from Buddhist world views. Poems of Seo Jeong-ju are acquiring the excellent, profound and metaphysical depth in the Korean poem history by adopting Buddhist imagination.

      • KCI등재

        1950년대 가난과 보수주의 시학

        정영진(Jeong, Yeong-Jin) 동악어문학회 2015 동악어문학 Vol.64 No.-

        1950년대 경제적인 가난은 명백한 사실이다. 하지만 시에서는 별로 가난에 대해 관심이 없었다. 궁핍한 생활에서 비롯한 고독과 비애의 정서를 발견하기는 쉽지만, 가난을 전면적으로 다루는 시들은 아주 적다. 서정주는 말한다. “가난이야 한낱 남루에 지나지 않는다.” 이렇게 말할 수 있는 까닭은 무엇일까. 이 글은 서정주의 시를 당대 한국 현실을 리얼하게 다룬 소설들과 겹쳐 읽으면서, 서정주 시의 미적 이데올로기와 시장경제 원리와의 연관성을 살펴보고자 한다. 이를 통해 1950년대 ‘가난’이 저항 담론의 수행성을 구성할 수 없었던 까닭과 서정주 시의 보수주의 미학의 성격을 가늠해보고자 한다. 1950년대 서정주 시처럼 자본주의 세계의 질서와 원리를 고유한 자기 원리로 번역해 낸 시인은 없어 보인다. 이때의 자본주의 질서와 원리란 이윤추구를 목적으로 하는 체계라기보다는, 인간의 본성에 따라 사익을 추구하고 개인들은 최대의 만족을 얻기 위해 자유롭게 시장에 참여하며, 이때 가격은 수요와 공급에 따라 ‘보이지 않는 손’에 의해 형성된다고 보는 ‘시장 원리(maket principle)’를 의미한다. 경제주체들의 자유로운 경쟁이 이루어지는 시장은 자기 조절 기능이 있기 때문에 인위적인 개입이 시장의 흐름을 깨는 것으로 간주된다. 서정주는 역사적 신체를 배제하고, 인간의 타고난 본성들의 향연을 이상화했다. 그는 훼손되지 않은 본연의 인간성이 다른 수많은 본연의 생명들과 자연스럽게 교류하는 세계에 영원성 내지 절대성을 부여하고자 했다. 서정주는 시장 지향의 심성(mentality)이 구축되어가는 전후사회의 집단적 무의식-교환의 감각을 내면화하는 등-을 대담하게 구도를 잡아 미학화 했다고 볼 수 있다. 어쩌면 서정주에게 전통은 ‘동양’이나 ‘신라’에 있다기보다는 ‘현실’을 수용해가는 민중들의 집단적 무의식 차원과 결부지어 생각해 볼 필요가 있다. 서정주의 보수주의 미학(시학)의 핵심은 바로 현실수용의 구조를 미학화 하는 데 있기 때문이다. The economic poverty during the 1950s is a clear fact. However, poems did not have much interest in poverty. It is easy to discover the sentiment of solitude and sorrow based on impoverished life, and, however, there are an extremely small number of poems that overall deal with poverty. Jeong-ju Seo says “Poverty is nothing but merely being ragged.” What is the reason he can make such a statement? This study seeks to examine the correlation between the aesthetic ideology of the poems of Jeong-ju Seo and the principles of market economy, while reading both the poems of Jeong-ju Seou and the novels that realistically depicted the realities of Korea during the time. This study seeks to identify the characteristics of conservatism aesthetics of the poems of Jeong-ju Seo and the reason that ‘poverty’ was not able to compose the performance of the confrontation discourses in the 1950s. There seems to have been no poet that translated the orders and principles of the capitalism world into his or her own unique principles as the poems of Jeong-ju Seo had in the 1950s. The orders and principles of the capitalism world means the ‘market principle’ that considers that human beings pursue their own interests pursuant to human nature, individuals freely participate in the market to obtain maximum satisfaction, and the price is formed by an ‘invisible hand’ pursuant to demand and supply, rather than meaning a system that has its objective as profit-seeking. Because a market where free competition by economic agents is formed has a function of self-control, artificial intervention is regarded to break the flow of the market. Jeong-ju Seou excluded the body of history and idealized the banquet of the inner natures of people. He sought to grant absoluteness or eternal nature to the world where the undamaged human nature naturally interacts with the numerous other natural organisms. Many believe Jeong-ju Seo forms an aesthetic sense by boldly grasping the composition of the group unconsciousness in the postwar society ? internalization of the sense of exchange - where a market-oriented mentality was being constructed. Maybe, the tradition to Jeong-ju Seo could have been combined with group unconsciousness of the public accepting the ‘reality,’ rather than the ‘East’ or ‘Silla.’ That is because the core of the conservatism aesthetic (poetry) of Jeong-ju Seo is in making an aesthetic sense in the structure of acceptance of reality.

      • KCI등재

        인문학적 상상력과 서사전략 서정주 이야기시의 서사전략 -세 가지 화자 유형을 중심으로-

        박민영 ( Min Young Park ) 한국현대문예비평학회 2011 한국문예비평연구 Vol.- No.36

        The Narrative Strategy in Seo Jeong-ju`s Narrative Poetry -Centering on 3 types of narrator -(Sungshin Women`s University) Park, Min-Young One of the main reasons for readers abandoning poetry is because they think that poetry is difficult to understand. Poetry is by its nature vague and ambiguous, which consequently leaves it open to wide possibilities of various interpretations, but at the same time this just as much puts ordinary readers trying to understand it at a disadvantage. In order to catch fleeing readers, the poet Seo Jeong-ju`s strategy was to introduce a novelistic or dramatic ``action`` element to his poetry. Indeed, storytelling is used as a narrative strategy. The poet Seo Jeong-ju judged that it is through the splendid medium of the story itself that he could communicate with the reader. From this were born Seo Jeong-ju`s volumes of narrative poetry. The prerequisites of a narrative poem are a story and a narrator telling the story. In this work, I have presented the narrators of Seo Jeong-ju`s poems, divided into different types according to what kind of narrator tells the story, how the story is told, and what the distinctive characteristics of the stories being told are. The narrators in Seo Jeong-ju`s poetry can be divided into three types: reporter-narrator, character-narrator, and critic-narrator. In Ⅱ, I have examined the reporter-narrator, focusing on the poem ``海溢(Tidal Wave)``. The story told by the reporter-narrator is based on personal experience, told in such a way as for readers to feel as if they were there, and the narrator-reporter particularly features strongly in the Chilmajae from childhood. In Ⅲ, focusing on ``處容訓(Cheoyong`s Lesson)`` and ``朴赫居世王의 慈堂 娑蘇仙女의 自己紹介`` (Self-introduction of Goddess Sa-so, Mother of King Park Hyukgeose.)`, I have examined the character-narrator. The character-narrator tells its story by using its character`s persona to act out the characters in the story. In Ⅳ, focusing on ``老人獻花歌(Song of an Old Man Giving a Flower)`` and ``水路夫人의 얼굴(Lady Soo-ro`s Face)``, and ``志鬼와 善德女王의 艶史(Queen Seonduk and Jigwi`s Love Story)``, I have examined the critic-narrator. The critic-narrator comments on characters` actions or personality. Through the narrators in these narrative poems, the poet Seo Jeon-ju could concretely explain what he couldn`t have said in a lyrical self-confessional poem, and effectively convey his message. He could also directly reveal his own views. By telling his emotions through narrative, the poet and reader could share what he intended to communicate. Therefore the narrative of Seo Jeong-ju`s poetry can by all means be seen as a metaphor for the poet`s poetic emotion. Converting verse to a story also converted a great deal of poetry`s ambiguity and vagueness to clarity. Symbols and ellipses are substituted with explanation. Clarifying and simplifying poetry`s meaning in this way could just as much be seen as breaking away from the essence of what poetry is. However, this one poet`s method of using narrative to overcome the limits of poetry in terms of communication with the reader should be regarded highly. Seo Jeong-ju`s narrative poetry`s narrative strategy, with its similarities to the communicative style of popular media in the modern era, should continue to discussed with interest in the future.

      • KCI등재

        서정주의 초기 기행시와 ‘신라-질마재’의 발견

        박옥순(Park, Ok-Soon) 강원대학교 인문과학연구소 2017 인문과학연구 Vol.0 No.52

        서정주의 초기 기행시를 주목한 이 글의 목적은 두 가지다. 첫째, 1930년대 경주 기행시를 통해 서정주가 어떻게 ‘신라’를 처음 발견했는지 확인하는 것이다. 둘째, 경주 여행에서 발견된 ‘신라’가 이후 서정주의 만주 체험을 거치면서 어떻게 ‘질마재’라는 장소성과 만나는지 살펴보는 것이다. 서정주는 시 창작 초기부터 기행시라는 형식과 경주로 상징되는 ‘신라적 공간’에 깊은 관심을 가지고 있었다. 초기 기행시 「경주시」는 신라정신의 기원에 대한 서정주의 모색이 신라 천 년의 고도 경주에 대한 장소정체성과 함께 뚜렷하게 드러나 있는 중요한 작품이다. 무엇보다 「경주시」의 존재론적 가치와 위상은 서정주의 신라정신 탐구의 기원을 1930년대 후반으로까지 앞당기게 하는 결정적 증거로 작용한다는 데 있다. 경주 여행 이후 1940년 9월부터 1941년 2월까지 이어진 만주 체류는 서정주에게 헤테로토피아로서의 ‘신라-질마재’를 구상하게 한 계기로 작용했다. 이른바 ‘만주 드림’으로 이상화된 당대의 만주담론과 달리 서정주에게 만주는 ‘무간지옥’이자 ‘외국인의 외국인’이라는 주변인의 실존적 위치를 실감케하는 세계상실의 공간이었다. 이렇듯 절망적인 현실인식은 서정주에게 모든 장소의 바깥에 있는 또 다른 장소이자 대안적 공간인 헤테로토피아를 상상하게 했다. 실질적인 장소이면서 일종의 반(反)배치이자 실제로 현실화된 유토피아적 장소인 ‘신라-질마재’를 구상하게 한 것이다. 이처럼 경주와 만주 체험은 서정주 시세계의 중요한 변곡점으로 작용했다. 서정주는 경주 체험을 통해 ‘신라’에 대한 정신적 지향성을 모색하고, 이후 만주 체험을 통해 자신의 고향 ‘질마재’를 새롭게 발견했다. 그리고 이 둘을 포괄하는 개념으로서 ‘신라-질마재’를 이후 자신의 시세계를 지탱할 상상력과 시학의 내핵으로 자리매김시켰다. This paper, which may be the initial step to a study on Seo Joeng-ju’s travel poetry, has two purposes. First it attempts to identify how Seo Jeong-ju discovered ‘Silla’ through his poems about Gyeongju travel in 1930s. Second, it explores how this ‘Silla’ that was discovered through travelling Gyeonju, meets the placeness of ‘Gilmajae’ through Seo Jeong-ju’s Manju experiences. Since his early stage of poetry writing, Seo Jeong-ju has had a deep interest in the poetic form of travel poetry and the ‘Silla-ic space’ which can be represented by Gyeongju. Gyeongjusi (Gyeongju poem), the early travel poetry is an important work revealing Seo Jeong-ju’s exploration of the origin of the Silla spirit and the place identity of Gyeongju as the ancient capital of the thousand year Silla. Most of all, the existential value and status of Gyeongjusi acts as a critical evidence transferring the origin of Seo Jeong-ju’s exploration of Silla spirit to late 1930s. His stay in Manju from September 1940 to February 1941 after his Gyeonju travel acted as the opportunity for Seo Jeong-ju to conceptualize ‘Silla-Gilmajae’ as the heterotopia. Unlike the Manju discourse of the time, which was idealized as the so-called ‘Manju Dream’, Manju was a ‘Naraka (hell)’ and the space of world loss making him to experience the existential status of a marginal man as a ‘foreigner of foreigners’ for him. As such, the hopeless perception about the reality made Seo Jeong-ju to imagine heterotopia, an alternative space and the other place outside of all the places. This let him to conceive ‘Silla-Gilmajae’, an actual place and a sort of anti-placement as well as the actual realistic utopian place. The experiences of Gyeongju and Manju acted as an important turning point in Seo Jeong-ju’s poetic world. Through experiences of Gyeongju, Seo Jeong-ju explored spiritual directions of ‘Silla’ and through experiences of Manju, he newly discovered his hometown, ‘Gilmajae’. As a concept embracing the two worlds, he positioned ‘Silla-Gilmajae’ as the inner core of his poetics and imaginations supporting his poetic world.

      • KCI등재

        서정주의 특별한 인간관계 재조명

        송희복 동국대학교 한국문학연구소 2016 한국문학연구 Vol.0 No.50

        The significance of this paper is reviewing the special interpersonal relations of Seo Jeong-ju. The first order in the special interpersonal relations of Seo Jeong-ju is the relation with Ahn Jong-gil. He died as a high school student in the middle of civil revolution broken out in 1960. His poet writing was supervised by Seo Jeong-ju at that time. The second order of the special interpersonal relations of Seo Jeong-ju is the relation with Kim Bum-bu. He accepts the sprit of Silla. The spirit of Silla is contributed a lot to the composition of Seo Jeong-ju’s mentality. The third order of the special interpersonal relations of Seo Jeong-ju is the relation with Monk Seongcheol. Seo Jeong-ju write an essay after seeing the top rank of Zen Monk, Seongcheol, at that period. It could be said that the part of description about the image of Seongchel is like prose poem. 본고는 세 사람과의 만남을 중심으로 시인 서정주의 특별한 인간관계를 재조명한 것이다. 서정주의 특별한 인간관계의 첫 번째는 안종길이다. 그는 4․19 의거 당시 서울의 도심에서 격렬한 시위에 참여하여 목숨을 잃은 소년이다. 이 소년은 평소 시인 서정주에게서 시 창작을 지도받고 있었다. 서정주는 이 소년이 써온 습작시를 선정하고 편집해 유고시집 『봄․밤․별』을 간행하는 데 도움을 주었다. 서정주는 안종길의 천재성을 기리면서 프랑스 시인 랭보에 비유하기도 했다. 서정주의 특별한 인간관계의 두 번째는 김범부이다. 서정주는 1936년 『시인부락』 동인 시절, 문우 김동리의 소개로 자신의 가형(家兄)인 김범부를 처음으로 만나 서양철학이나 동양사상 등에 관해 고견을 듣곤 하였다. 해방이 된 후에는 김범부가 신라사 속에서 민족의 진로를 모색하는 사상적인 시도, 즉 신라사 속에서 민족의 진로를 찾는, 소위 신라정신이란 것을 수용한다. 신라정신은 서정주의 시 정신 형성에 지대한 공헌을 했다. 서정주의 특별한 인간관계의 세 번째는 성철 스님이다. 서정주의 산문인 「해인사―가야산에 둘러싸인 대고찰(大古刹)」은 시인 서정주가 성철 스님을 만나고 쓴 일종의 인상기이다. 매우 시적인 인상기이며, 성철의 모습을 묘사한 부분은 차라리 한 편의 산문시라고 해도 좋다.

      • KCI등재

        서정주 시에 나타난 운명과 죽음

        김종태 한국현대문예비평학회 2020 한국문예비평연구 Vol.- No.66

        Seo Jeong-ju was born in 1915 and started his career in 1936 through the <Dong-A Ilbo>. Seo Jung-ju is a representative Korean modern poet. This paper studied the question of fate and death in the poem of Seo Jung-ju. Chapter 2, "The Fate of the Wandering and the affection of Death," explores the fate of original sin of Seo Jeong-ju. It is also analyzed that such a sense of fate is related to the feelings of affection shown at the death consciousness. The study's collection of poems is called 『Hwasajip』 and 『Cuichokdo』.Chapter 3, "The Fate of Wandering and the Comfort of Death," explores the fate of the Wandering that appeared in the poem of Seo Jeong-ju. It is also analyzed that such a sense of fate is related to the comfort of the death consciousness. The works of poetry subject to the study are 『Seojeongju poem selection』, 『Sillacho』, 『Dongcheon』, and 『Seojeongju Literature Collection』.Chapter 4, "The Fate of Return and the Desireless of Death," explored the Fate of Return that appeared in Seo Jeong-ju. It is also analyzed that such a sense of fate is related to the feelings of Desireless at the death consciousness. The works of poetry subject to the study are 『jilMajae Mythology』 and 『Poem of Ttudori』.In the poem of Seo Jeong-ju, the question of fate and death are always in sync. In short, fate and death are important drivers that initiate the dynamic structure of the poem of Seo Jung-ju. This paper wishes to contribute to the study of Seo Jeong-ju in the future. 본고는 서정주 시에 나타난 운명과 죽음의 문제에 관하여 연구하였다. 연구 대상은 첫 시집인 『화사집』에서 『떠돌이의 시』까지의 작품들이다. 2장 ‘원죄적 운명과 죽음의 애욕’에서는 서정주 시에 나타난 원죄적 운명에 관하여 탐색하면서 이러한 운명의식이 죽음의식에 나타난 애욕의 정서와 연관되고 있음을 분석하였다. 3장 ‘유랑의 운명과 죽음의 위로’에서는 서정주 시에 나타난 유랑의 운명에 관하여 탐색하면서 이러한 운명의식이 죽음의식에 나타난 위로의 정서와 연관되고 있음을 분석하였다. 4장 ‘회귀적 운명과 죽음의 무욕’에서는 서정주 시에 나타난 회귀적 운명에 관하여 탐색하면서 이러한 운명의식이 죽음의식에 나타난 무욕의 정서와 연관되고 있음을 분석하였다. 요컨대 운명과 죽음은 서정주 시의 역동적 구조를 태동시키는 중요한 동인이었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