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일제강점기(日帝强占期) 잡지(雜誌)를 통해서 본 양명학(陽明學) 연구(硏究)의 동향(動向)

        최재목 ( Jae Mok Choi ) 東洋哲學硏究會 2008 東洋哲學硏究 Vol.55 No.-

        이 논문은 일제강점기 잡지에 발표된 양명학 자료를 간략하게 살펴보는 것이다. (신문에 발표된 자료와 더불어) 잡지에 발표된 자료는 모두 일제강점기 우리 학술의 독자적인 토대를 형성하는 특별한 의미를 갖는다. 아울러 이 논문에서는 기타 자료의 형태로 종래 필자의 연구에서 빠진 자료 두 건, 즉 지재의 「양명학설」(≪매일신보≫(1917. 7. 17))과 해악 김광진의 『해악문집』에 나타난 양명학을 제시하였다. 일제강점기 잡지를 통해서 본 양명학 연구의 동향은 주로 일본에서 이루어진 양명학의 근대적 연구 성과나 일본 양명학의 의의를 소개함으로써, 한국적 상황에서 양명학이라는 학문 장르를 홍보하고자 하였다. 일본 양명학의 소개와 홍보는 주로 실제적, 실천적 특성의 강조였다. 이것은 당시 우리 사회의 주류를 이루고 있던 전통 유학, 구체적으로는 주자학에 대한 반발로 보인다. 아울러 일본이 이룩한 메이지 유신처럼 우리도 새로운 학술 사조에 의해 새로운 사회의 기풍을 만들어 일제의 강점기를 벗어나야한다는 독립을 향한 계몽적 의지를 담고 있는 것처럼 보인다. This is an introduction on Yangmyonghak(陽明學) on the journals during the japanese imperialism era in modern korea. And with it, I also introduce the theory of Yangmyonghak in Jijae(至齋) Yangmyonghakseol(陽明學說) and Haeak`s Haeakumunjib(『海岳文集』). Through these journals ets, we can see what are a striking differences of Yangmyonghak(陽明學) during the Japanese imperialism era in modern korea. It is from modern japanese academic, scientific research information, such that modern japanese youmeigaku(Yangmyonghak, 陽明學) by Inouetetsujirou(井上哲次郞)`s Youmeigaku-no-tetsugaku(陽明學派之哲學), Takasetakejiro(高뢰武次郞)`s Ouyoumeisyouden(王陽明詳傳), and the Youmeigaku(陽明學) edited by Higasikeiji(東敬治). The most korean thought`s knowledge and action in Yangmyonghak(陽明學) are from these modern japanese. And so they copy it and practice faithfully in korea, moreover they enlighten the public against the japanese imperialism era.

      • KCI등재

        태평양전쟁의 관점에서 본 일제강점기 초등 지리 교과서의 기능 : 제3차 조선교육령 시기에 활용된 지리 교과서를 중심으로

        양병일 한국사회과교육연구학회 2022 사회과교육 Vol.61 No.4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reveal how geography textbooks functioned as a tool of Japanese imperialism to change Korean learners' perceptions of the Pacific War in the Japanese colonial era. To this end, geography textbooks to be analyzed were first derived after reviewing the school education system of Japanese colonial era in Korea. Factors related to changes in perception were then revealed through comparison and analysis of geography textbooks. Finally, the function of geography textbooks at that time was considered based on the relationship between elements. Finding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in the geography textbook at the time, an attempt was made to define the land as a valuable object through an extreme and Japanese-centered method. Second, in the geography textbook at the time, an attempt was found as a propaganda tool to obtain continuous war support from people after the outbreak of the Pacific War. Third, attempts to beautify the land revealed in the first analysis result as a valuable object serve as a prerequisite for strengthening the function of geography textbooks as a propaganda tool for the Pacific War, which corresponds to the second analysis result. 본 연구의 목적은 일제강점기 태평양전쟁에 관한 우리나라 학습자의 인식을 변화시키기 위해 지리 교과서가 일제의 도구로서 어떻게 기능했는지 밝히는 것이다. 이를 위해 우선 일제강점기 우리나라의 학교 교육 제도에 대한 검토를 바탕으로 분석 대상 지리 교과서가 도출되었고, 다음으로 지리 교과서의 비교 및 분석을 통해 인식 변화와 관련된 요소들이 밝혀진 후, 마지막으로 요소 간의 관계성을 바탕으로 당시 지리 교과서의 기능이 고찰되었다. 본 연구를 통해 밝혀진 점은 다음과 같다. 첫 번째로 당시 지리 교과서에는 극단적이고 일제중심적인 방식을 통해 국토를 가치 있는 대상으로 정의하려는 시도가 나타났다. 두 번째로 당시 지리 교과서에는 태평양전쟁 발발 이후 국민의 지속적인 전쟁 지원을 얻기 위한 선전도구로서의 시도가 발견되었다. 세 번째로 첫 번째 분석 결과에서 밝혀진 국토를 가치 있는 대상으로 미화하려는 시도는 두 번째 분석 결과에 해당하는 태평양전쟁 선전도구로서의 지리 교과서가 가지는 기능을 강화하기 위한 전제 조건으로 작용했다.

      • 1930년대 조선학(朝鮮學) 운동과 ‘실학자(實學者) 정다산(丁茶山)’의 재발견

        최재목(Choi Jae-Mok) 연세대학교 강진다산실학연구원 2012 다산과현대 Vol.4,5 No.-

        This paper is study on the meaning of rediscovery of Dasan Jeong Yak-yong in 1930"s japanese imperialism era of modern korea. In 1935, Jeong In-bo, An Jae-hong and Choi Ik-han, with the 100th anniversary of the death of Dasan Jeong Yak-yong as a moment, begin the movements of Josonhak(Joseon Studies) that is entirely different as before. The Josonhak means that is one of the indigenous, traditional, characteristic studies for Korea, by and of the korean against japanese imperialism. The Josonhak, starts area studies in the beginning, for example in Choi Nam-seon, but it becomes to be different much in the period of movements of Josonhak. Jeong In-bo, An Jae-hong and Choi Ik-han publish a slogan Dasan Jeong Yak-yong who is the most prominent figure succeed to the intellectual line of Silhak from Bangye Yu Hyong won and Sungho Lee Ik, in the Joseon intellectual history. Then they can appropriate a new view point for nation and world in Joseon under japanese imperialism era. The other hand, Dasan Jeong Yak-yong" Silhak inherit the traditional intellectual heritage Sil(實), Silsim(實心) in korean Yangmyonhak. We can see the process of intellectual move from Yangmyonhak to Silhak. By this they seeks the best way of their own"s against the cultural, intellectual violence of imperialism under that situation. The Josonhak movements with the 100th anniversary of the death of Dasan Jeong Yak-yong, so to speak, grope in the dark between nation and world under japanese imperialism era.

      • KCI등재

        일제강점기 정다산(丁茶山) 재발견의 의미 -신문,잡지의 논의를 통한 시론(試論)-

        최재목 ( Jae Mok Choi ) 다산학술문화재단 2010 다산학 Vol.- No.17

        이 논문은 일제 강점기의 주요 신문과 ‘잡지’에 게재된 다산茶山 정약용丁若鏞(1762~1836)(이하 ‘다산’ 혹은 ‘정다산’) 관련 기사 및 논고를 토대로 당시 다산茶山 정약용丁若鏞 재발견의 의미가 무엇인지를 살펴보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일제강점기 ‘정다산’의 연구와 ‘언론 매체’가 본격적으로 만나는 계기는 바로 1930년대에 일어나는 ‘민족주의적 한국학’인 ‘조선학’ 때문이다. 그 핵심 세력은 일본의 식민지 통치에 반대하고 협조를 거부했던 비타협적 민족주의 계열의 연구자들 즉 안재홍安在鴻(1891~1965)·백남운白南 雲(1895~1979)·최익한崔益輪(1897~?) 등이었다. 그들이 펼친 조선학은 ‘조선문화 부흥’의 일환이며, 그것은 문화제국주의의 한국학인 ‘청구학靑丘學’과 정면으로 맞서는 것이었다. 이 대립되는 양자는 ‘한국사회·한국문화 특수성론’으로 공통되어 있었다. 그것은 전자가 후자의 전도형태 顧倒形態였기 때문으로 보인다. 어쨌든 정다산에 대한 연구는 1934년을 계기로 하여 본격적으로 착수되었는데, 그것은 바로 다산 서거 98주년에 해당하는 해이다. 그들은 조선학 부흥운동을 꾀하면서 그 일환으로 다산 서거 100주년 기념사업을 계획하였다. 그런 과정에서 정약용의 사상을 비롯하여 여타의 실학자들에 대한 연구도 시작되었다. 실학 연구의 기념비적인 작업은 역시 1938년 12월 13일자 『동아일보 東亞日報』 2면 기사에 「茶山與觸堂全書 完刑記念祝寶 來十六日 明月館에서」 라고 있는 것처럼, (1934년에 시작하여) 1938년 12월에 이뤄지는 『여유당전서與猶堂全書』(신조선사新朝雖社 출판)의 완간 작업이었다. 『여유당전서』의 출판에 참여한 인물로는 실학 관련 기사를 쓴 정인보, 최익한, 문일명文一平(1888~1936), 안재홍 등이다. 최익한은 65회에 걸쳐 「여유당전서與猶堂全書를 독讀힘」을 발표하는데 여기서 그는 다산의 『여유당전서』의 핵심 내용을 체계적으로 정리한 바 있다. 일제 강점기에 다산 서거 100주년을 전후하여 일어난 조선학운동에서 ‘정다산`은 분명 우리나라 ‘위인’의 표상이자 아이콘이었다. 그리고 조선의 지식, 개념, 인물을 새롭게 영유領有하는 방법론이기도 하였다. 그를 둘러 싼 좌의 ‘세계’ 지향과 우의 ‘민족’ 지향이 서로 맞서는 가운데 ‘근대적’ 학술의 논의가 진척되었고 ‘허虛의 학’을 넘어선 ‘실實의 학’을 추구해가는 절실한 논의의 지명이 열리기도 하였다. 아울러 이 시기에 크게는 〈구(전통-구식)〉⇔〈신(현대-신식〉이 극명하게 대립되고, 그 대립 속에서 새로운 이념들이 이데올로그들에 의해 전개되었다. 다시 말해서, ‘우익’측에서는 일제의 민족문화 말살정책에 대한 대응 논리로 포괄적인 민족사상 및 학문의 전통 확립을 위해 정인보鄭寅普가 ‘얼’을, 안재홍이 ‘민족정기民族正氣’를, 분일평이 ‘조선심朝鮮心’이라는 개념을 내세워서 주도해갔다. 이에 반해 ‘좌익’측에서는 이청원, 백남운 등이 마르크스주의 역사연구 방법론을 도입하여 세계사의 보편성에서 한국사체계를 구성해 사회경제사학을 확립하는 한편 공산주의 혁명의 필연성을 정당화하였다. 이처럼 ‘세계’에 관심을 둔 좌, 민족에 관심을 둔 우의 ‘시점視點’은 정다산, 실학, 나아가서는 조선학을 서술해가는 방식의 차이를 보이고 있었다. 바로 정다산 논의는 ‘민족民族’과 ‘세계世界’ 사이에서 새로운 연구의 길을 모색하고 있었던 것이다. This paper is study on the meaning of rediscovery of Tasan Cheong Yagyong in japanese imperialism era, especially, here focused the media and the journal in those days. In 1935, Cheong Inbo, An Jaehong and Choi Ikhan, with the 100th anniversary of the death of Tasan Cheong Yagyong as a moment, begin the movements of Josonhak(Joseon Studies) that is entirely different as before. The Josonhak means that is one of the indigenous, traditional, char-acteristic studies for Korea, by and of the korean against japanese impe-rialism. The Josonhak, starts area studies in the beginning, for example in Choi Nam-seon, but it becomes to be different much in the period of movements of Josonhak. Cheong Inbo, An Jaehong and Choi Ikhan publish a slogan Tasan Cheong Yagyong who is the most prominent figure succeed to the intel-lectual line of Silhak from Bangye Yu Hyeongwon and Seongho Lee Ik, in the Joseon intellectual history. Then they can appropriate a new view point for nation and world in Joseon under japanese imperialism era. The other hand, Tasan Cheong Yagyong` Silhak inherit the traditional intellectual heritage Sil(實), Silsim(實心) in korean Yangmyonhak. We can see the process of intellectual move from Yangmyonhak to Silhak. By this they seeks the best way of their own`s against the cultural, intellec-tual violence of imperialism under that situation. The Josonhak movements with the 100th anniversary of the death of Tasan Cheong Yagyong, so to speak, grope in the dark between nation and world under japanese imperialism era.

      • KCI등재후보

        박창화(朴昌和)(1889~1962)의 궁내성 촉탁 활동

        정욱재 ( Jeong Uk-jae ) 청계사학회 2020 청계사학 Vol.22 No.-

        이 글은 일본 궁내청에서 발견된 ‘박창화 자료’를 중심으로 일제강점기 그의 촉탁 활동의 일단을 밝히고자 하였다. 『화랑세기(花郞世紀) 』의 위작자로 학계에 널리 알려진 박창화는 1920년대 이후 약 20년을 일본에 체류하면서 약 10년 가까이 궁내성 촉탁으로 근무하였다. ‘박창화 자료’는 비록 1937년 10월 초순부터 12월 초까지의 짧은 기간의 활동만을 보여주고 있으나, 그가 궁내성 도서료 촉탁으로 어떤 활동을 했는지 충분히 유추할 수 있게 해준다. 그는 당시 궁내성 도서료에서 소장하고 있는 조선간본(朝鮮刊本)의 정리ㆍ조사하는 일환으로 조선간본의 상호 대조(對照)ㆍ검교(檢校)를 위해 1937년 10월 초순 이후에 존경각문고(尊經閣文庫)에 파견되었고, 그는 존경각문고에 소장된 138종 1,080책의 조선간본을 열람하며 상세히 조사하였다. ‘박창화 자료’는 도쿄에 있는 존경각문고에 소장된 조선본을 조사ㆍ열람한 내용을 담은 보고서로 그가 온축한 학문적 지식도 알려주는 자료이다. 특히 고활자에 대한 그의 설명은 서지학 연구사적 관점에서 박창화를 검토하는 것도 필요하다는 것을 말해준다. 즉 ‘박창화 자료’는 그동안『화랑세기』 진위논쟁에서 벗어나서 박창화의 개인 활동에 주목하여 그의 새로운 면을 밝히는 개인 연구 자료로 활용될 수 있다. 나아가 ‘박창화 자료’는 여전히 일본 궁내청에 한국학계의 손길을 기다리고 있는 한국 관련 자료가 숨어 있다는 것을 역설적으로 보여주고 있다. This article was intended to reveal a group of Japanese colonial era's activities, focusing on the 'Park Chang-hwa materials' discovered at the Japanese Imperial Household Agency. Park Chang-hwa, widely known in academia as making a pseudograph of Hwarang segi (Annals of the Hwarang 花郞世記) and worked as a part-time employee of Japanese Imperial Household Ministry for nearly 10 years. The 'Park Chang-hwa materials' shows only a short period of activities from early October to early December 1937, but it allows us to fully infer what activities he has done as a part-time employ in library of Japanese Imperial Household Ministry. As part of the compilation and investigation of the Joseon-published book collection at the time, he was dispatched to Jongyeonggak Archives in early October 1937 for the mutual comparison and inspection. He examined 1,080 Joseon books of 138 kinds in detail in Jongyeonggak Archives. 'Park Chang-hwa materials' is a report of inspecting the Joseon version stored in the Jongyeonggak Archives in Tokyo, and also informs his stock of academic knowledge. In particular, his explanation of the Early Type suggests that it is also necessary to consider Park Chang-hwa from the perspective of history of bibliography. In other words, 'Park Chang-hwa materials' can be used as a personal research material that sheds light on Park Chang-hwa's personal activities and his different sides. Furthermore, the 'Park Chang-hwa materials' paradoxically shows that data related to Korea, which is still waiting for the help of the Korean academia, is hiding at the Japanese Imperial Household Agency.

      • KCI등재

        일제강점기 세키노 다다시(關野貞)의 고구려와전 연구 비판

        주홍규(Ju Hong-gyu) 한국대학박물관협회 2020 고문화 Vol.96 No.-

        고구려의 와전류에 대한 연구는 일제강점기의 관학자인 세키노 다다시에 의해 시작되었다고 하더라도과언이 아니다. 세키노가 본격적으로 한반도의 고적을 조사하기 시작한 1909년부터 1935년에 사망할 때까지, 그의 고구려와전에 대한 관심은 발표한 논문이나 저술 이외에도 일기에서 확인할 수 있다. 고구려의 왕성이 위치했던 중국과 북한지역에서 집중적으로 발견되는 고구려의 와전류에 대한 접근이 쉽지 않은 한국학계의 현 상황에서, 일제강점기에 세키노가 집성한 방대한 자료들은 현재의 연구에도 중요하게 활용되고있다. 하지만 세키노가 고구려의 와전류로 집성한 자료들이 모두 고구려 시대에 제작된 것인가에 대한 검증은 지금까지 한 번도 시도되지 않았다. 이에 본 연구는 세키노가 기와연구를 시작하게 된 계기와 역사해석에서 기와를 활용하는 방법을 살펴본 후, 그가 고구려 와전류를 집성하는 과정 및 연구의 문제점을 파악하는 것을 목적으로 삼았다. 세키노는 1896년부터 1901년까지 일본 나라현의 건축기사로 활동하면서 기와가 가지는 역사해석의 유효성을 인식해 유적에 활용하고 있었다. 이 때의 경험을 바탕으로 세키노는 한반도의 고적조사를 하면서도와전류에 대한 꾸준한 관심을 갖고 있는 것을 알 수 있다. 특히 고구려의 와전류에 대한 그의 특별한 관심은 『朝鮮古蹟圖譜』 및 『高句麗時代之遺蹟』에 상당수의 자료가 집성된 것을 통해 확인할 수 있다. 하지만 그가 고구려의 와전류를 집성하게 되는 과정에서 발생한 현지 컬렉터들과의 유착관계 때문에 수많은 고구려의 유물이 반출되는 결과를 초래하게 된 점은 비판을 면할 수 없다. 또한 그가 집성한 와전류가 고구려 당시의 것이라는 근본적인 검증을 하지 않은 점이나, 고구려와전으로 보고한 유물의 연대관에 대한 충분한근거를 제시하지 못한 점, 그리고 식민지사관에 입각해 고구려 문화가 중국에 종속되어 있었다는 시각은, 심각하게 왜곡된 역사해석의 발로이며 불완전한 고구려와전에 관한 연구였다고 결론지을 수 있다. 한편, 본 연구에서는 세키노가 집성한 유물 중에서 고구려의 와전으로 판단이 가능한 것들을 선별하는작업도 실시했다. 비록 세키노의 자료가 정확한 출토지나 층위를 파악하기 어렵고 채집된 유물이라는 태생적인 한계를 가지는 집성자료가 많다고 하더라도, 그가 집성한 자료 중 일부를 향후의 고구려와전 연구에서 활용할 수 있는 근거를 마련했다는 점에서도 본 연구가 가지는 의의를 찾을 수 있다. It is no exaggeration to say that the study of the Goguryeo bricks and roof tiles is begun by Tadashi Sekino, a state scholar in Japanese colonial era. When Sekino began to investigate historical sites on the Korean Peninsula in earnest was 1909, and he died in 1935. Until then, his interest in Goguryeo roof tiles and bricks can be found in his diary in addition to his published papers and writings. The Korean academic community has difficulty to access to the Goguryeo bricks and roof tiles. Since the royal castles of Goguryeo were located in China and North Korea, bricks and roof tiles were excavated intensively there. In this situation, a large amount of material that Sekino wrote in Japanese colonial era is still important for research. On the other hand, there has never been a single attempt to verify whether the roof tiles and bricks used in the materials written by Sekino were all made during the Goguryeo period or not. This paper aim to find out the problems of Sekino’s collection process and research by reviewing the reason why Sekino started the tile study and how to utilize the tile in interpretation of history. The roof tile was used in historical analysis by Sekino. It is because he was an authorized architect in Nara Prefecture, Japan from 1896 to 1901, and he recognized the value of roof tiles as a historical material. Based on this experience, it can be seen that Sekino has a steady interest in roof tiles and bricks while conducting a historical survey of the Korean Peninsula. In particular, his special interest in Goguryeo roof tiles and bricks can be confirmed through the collection of a number of materials in the books 『朝鮮古蹟圖譜』 and 『高句麗時代之遺蹟』. However, he cannot avoid criticism that it resulted in taking out of numerous Goguryeo relics because of the collusive ties he formed in the process of collecting the Goguryeo roof tiles and bricks. The roof tiles and bricks he collected belonged to the Goguryeo era and did not provide sufficient evidence for the period of roof tiles and bricks. Furthermore, it can be concluded that the perspective that Goguryeo culture was subordinate to China based on the colonial view of history was a revelation of severely distorted historical analysis and an incomplete study of Goguryeo roof tiles and bricks.

      • KCI등재후보

        일제강점기 근대화에 따른 ‘신체론’ 부상 고찰

        柳徹(Yoo, Chul),金順?(Kim, Soon-Jeon) 한국일본문화학회 2016 日本文化學報 Vol.0 No.70

        The main objective of this study was to review how Japan, throughout its modernization process, integrated the mind-body theory from Western notion into the education policy for Koreans during the Japanese occupation. The Perry incident had aroused yearning for new civilizations as well as a feeling of danger against the Western influence in Japan. Such transformation in Japan had been predominantly led by the emperor under the slogan of “establishment of the modern nation-state”. During this process, Japan acutely came to realize that the importance of enhancing national prosperity and defense, including the necessity to emphasize physical education and training of its people to counter the national power of Western countries and their apparent physical strength. Those actions took precedence over the intellectual education system maintenance, which would be necessary for understanding and acceptance of Western culture. Since then, Japan introduced physical education in its regular school education system in order to build the modern nation-state with national prosperity and military power. This transformation had allowed Japanese people to recognize “mind and body” as a unity. Unlike Western physical education, aiming to ease human’s aggressive tendency, modern Japan had introduced the modified body theory to its people with the objective of “overthrowing the Western powers”. However, through this study, it is found that the aggressive body theory which had been modified and developed by Japan was only applied to its people. Japan had thoroughly applied a different body theory, the separation of mind and body to Koreans in order to suppress any aggressive tendency from Koreans against Japanese occupation, and increase their obedience to Japanese imperialism.

      • KCI등재

        재일본 한국유학생 잡지 연구

        안남일(An, Nam-Il) 고려대학교 한국학연구소 2015 한국학연구 Vol.55 No.-

        본 연구의 목적은 재일본 한국유학생 잡지를 연구하는 데 있다. 이 시기 잡지에 대한 연구는 일제 강점기라는 특수한 시대적 상황 아래 놓여있던 한국유학생들이 어떻게 현실을 인식하고 극복하려 했는가에 대한 모색과 탐색의 결과물이라는 점에서 연구의 의의를 갖는다. 또한 재일본 한국유학생 잡지에 대한 고찰은 당대 지식인의 변동과 사상계의 동향을 읽어낼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서구의 문화와 예술을 받아들여 우리의 새로운 예술과 문화를 만들어나가고자 하는 한국유학생들의 실천 방향을 짐작할 수 있다는 점에서 더 큰 의의가 있다. 재일본 한국유학생 잡지 연구는 일제 강점기의 한국유학생들의 시대인식과 현실극복 의지 등 한국유학생들의 노력과 새로운 인식을 드러내는 모색을 가능하게 할 것이다. 한국유학생들의 자기 확립과 시대인식, 그리고 당면 과제에 대한 문제 해결 의지와 근대적 인식 등이 그것이다. 특히 본 연구는 잡지의 ‘창간사’와 ‘발간사’를 중심으로 연구가 진행된다. 창간사는 잡지 간행의 목적 및 의도, 방법을 드러내는 잡지 전체의 방향성을 가늠해 볼 수 있는데, 재일본 한국유학생의 사상과 시대적 인식을 응축해 놓은 자료라고 할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이 가운데 단체 및 협회가 아닌 재일본 대학 소속 한국유학생 잡지인 <학우>, <회보>(명치대학조선유학생동지회회보), <회지>(일본중앙 Chuo대학우리동창회회지), <회보>(경도제국대학조선유학생동창회회보), <동창회회지>(조도전대학우리동창회회지)의 총 5종의 잡지 ‘창간사 및 발간사’를 우선적으로 연구의 대상으로 삼는다.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he contemplation on the magazine of Korean students studying in Japan. The research on this magazine is significant in two ways. One is that this represents how Korean students studying tried to overcome the reality under Japanese colonial era, which is peculiar external situation. The other reason, which is more important, is that based on the contemplation on the study, we can figure out the change and the trend of intellects at that time as well as the direction of the practice that Korean students studying had done to create our new culture and arts with accepting foreign’s. Based on this study, we can figure out the results of the endeavor and recognition which Korean students studying had done to overcome their reality. Those is self-establishment, awareness of time, willingness to solve the immediate problems and modern recognition, etc. In particular, this study is focusing more on ‘publication’ of the magazine. With publication, we can measure the whole direction of the purpose or intention of issuing magazine. This is the compressed data which represents the Korean students’ ideology and awareness of the era. The subjects of this study are <Hakwoo(Classmate)>, <Hoebo(Chosun student alumni bulletin in Meiji University)>, <Hoeji(Woori alumni bulletin in Chuo University)>, <Hoebo(Chosun student alumni bulletin in Kyoto Imperial University)>, <Dongchanghoehoeji(Woori alumni bulletin in Waseda University)>. Those fives are the magazine of Korean students studying belonging to college in Japan, and again, publication is the main point in the first place.

      • KCI등재

        재일본 한국유학생 잡지 <창간사, 발간사> 연구

        안남일 고려대학교세종캠퍼스 한국학연구소 2018 한국학연구 Vol.64 No.-

        This research is the roundup of ‘A Study on Korean Students Studying Magazines(First Publication) in Japan’ and the follow-up study of ‘A Study on Korean Students Studying Magazines in Japan’(“Jouranl of Korean Studies”55, Center for Korean Studies, Korea Univ. 2015) and ‘A Study on Korean Students Studying Magazines in Japan Before 1910’(“Jouranl of Korean Studies”58, Center for Korean Studies, Korea Univ. 2016). This research takes its subjects of following volumes: 5 volumes of Hakwoo(Classmate), which is the magazine of Korean students in Japan university, Hoebo(Chosun student alumni bulletin in Meiji University), Hoeji(Woori alumni bulletin in Chuo University), Hoebo(Chosun student alumni bulletin in Kyoto Imperial University), Dongchanghoehoeji(Woori alumni bulletin in Waseda University), and 10 volumes of Nakdongchinmokhoe-Hakbo(Bulletin of Nakdong-Chinmokhoe, Daehanhakhoe-Wuelbo(Bulletin of The Korean Society), Daehanhung-Hakbo(Belletin of Daehan-Hung), THE HAK KIE BO(Bulletin of Academic World), Geundae-Sajo(Modern Trend), Hakjigwang, Yeojagye(Women’s World), Samkwang(Three Light), Hyundai(Modern Times), Geumgangjeo(Vajra), Hakjo, THE KAICHUCK, Hakhae except 8 volumes of Chinmokhoe-Hoebo(Bulletin of Chinmokhoe), Taegeuk-hakbo(Bulletin of Tae Geuk), Gongsu-Hakbo(Bulletin of Gongsu), Daehanyuhaksaeghoe-Hakbo(Bulletin of the Association of Korean Students in Japan), Dongin=Hakbo(Bulletin of Dongin), published before 1910. The ‘First Publication’, which is focused on this research, is essential data for guessing the direction of the magazine, since it contains the purpose, intention and the way of publication. Especially, through the research of the ‘First Publication’ of the magazine, representative keyword of each magazine is identified and the meaning inside is presented. The research of the contemporary magazine has its meaning on that it is the outcome of exploring how Korean international student recognized the reality and overcame it under the specific circumstance of Japanese colonial era. 본 연구는 「재일본 한국유학생 잡지 연구」(『한국학연구』, 고려대학교 한국학연구소, 2015.12)와 「1910년 이전의 재일본 한국유학생 잡지 연구」(『한국학연구』, 고려대학교 한국학연구소, 2016.12)의 후속 연구로, ‘재일본 한국유학생 잡지 <창간사 및 발간사>’ 연구의 종합편이다. 본 연구에서는 재일본 대학 소속 한국유학생 잡지인 <학우>, <회보>(명치대학조선유학생동지회회보), <회지>(일본중앙Chuo대학우리동창회회지), <회보>(경도제국대학조선유학생동창회회보), <동창회회지>(조도전대학우리동창회회지)의 5종 잡지와 1910년 이전에 발행된 <친목회회보>, <태극학보>, <공수학보>, <대한유학생회학보>, <동인학보>, <낙동친목회학보>, <대한학회월보>, <대한흥학보>의 8종 잡지를 제외한 나머지 10종(<학계보>, <근대사조>, <학지광>, <여자계>, <삼광>, <현대>, <금강저>, <학조>, <개척>, <학해>)의 ‘창간사 및 발간사’를 연구의 대상으로 삼아 연구를 수행하였다. 본 연구에서 주목하고 있는 ‘창간사’와 ‘발간사’는 잡지 간행의 목적 및 의도, 방법이 녹아있는 만큼 잡지 전체의 방향성을 가늠해 볼 수 있는 소중한 자료이다. 특히 연구 대상 잡지의 <창간사 및 발간사> 연구를 통해서 각 잡지의 대표적 키워드를 확인하고, 그 속에 담긴 의미를 전체적으로 조망하였다. 이 시기 잡지에 대한 연구는 일제 강점기라는 특수한 시대적 상황 아래 놓여있던 한국유학생들이 어떻게 현실을 인식하고 극복하려 했는가에 대한 모색과 탐색의 결과물이라는 점에서 연구의 의의를 갖는다.

      • KCI등재

        일제 강점기에 대한 수능 문항과 歷史像의 왜소화

        鄭尙雨(Jeong, Sang-Woo) 역사교육연구회 2018 역사교육 Vol.145 No.-

        ‘Korean history’ has become a compulsory subject in the College Scholastic Ability Test(CSAT) from 2017. At the same time, an absolute evaluation system was introduced. So how does the historical images sketched by questions about the Japanese imperialism era in CSAT come to change? This paper examines questions about the Japanese imperialism era in CSAT after 2004 to answer this question. By the three times of changes in History Curriculum, the number of questions about the Japanese imperialism era in CSAT has been reduced. And the format of question was simplified for the goal of ‘easy question’. So historical images which are presented in questions in CSAT were reduced. All three History Curricula are centered around the historical images of ‘domination and resistance’. However, the decline of the content in the History Curriculums has further enhanced the historical images of ‘domination and resistance’ in CAST questions. In relation to the ‘domination’, there were many questions about the society state in which a particular colonial rule was enforced. This is likely to overestimate the ruling power of society as a motive for social change. In relation to the ‘resistance’, questions about resistance showing the transition to modern society disappeared. Only are issues related to the March 1st Independence Movement and the Provisional Republic of Korean Government left.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