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펼치기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조선조의 공문서 및 왕실자료에 나타난 장류

        안용근 ( Yong Geun Ann ) 한국식품영양학회 2012 韓國食品營養學會誌 Vol.25 No.2

        규장각 한국학연구원 및 한국고전종합 데이터베이스를 통하여 문집, 조선왕조실록, 일성록, 승정원일기, 의궤, 공문서 등의 문헌에 나타난 33가지 장의 종류 및 소요량, 장에 의한 백성의 구제, 장 관련 제도 등을 밝혔다. 우리나라 지명에는 삼국시대 이전부터 콩(豆)이 들어간 지명이 많다. 만주지역과우리나라가 콩의 원산지이기 때문이다. 조선조에서는 콩과 소금, 메주를 세금으로 받거나, 공납 받아 장을 만들었다. 현종 5년(1664) 호조의 콩 저장량은 90,000여 섬(16,200 ㎘), 1년 소요량은 42,747섬(7,694 ㎘)이었다. 영조 32년(1756) 재해에 콩 10,000섬(1,800 ㎘)을 백성에게 나누어 주고, 영조 36년(1756) 재해에는 전국의 세두 85,700섬(15,426 ㎘)을 감면하여 주었다. 조선조의 장 담당 관청은 내자시, 사선서, 사도시, 예빈시, 봉상시 등이고, 총융청(경기군영)의 장은 973섬(175.14㎘), 예빈시의 장은 1,100여 섬(198 ㎘)이다. 장을 담당한 직책은 장색, 장두, 사선식장 등이 있다. 정조 때(1777~1800) 왕실에서는 메주를 가순궁, 혜경궁, 왕대비전, 중궁전, 대전에 연간 20섬(3.6 ㎘)씩 공급하고, 감장은 가순궁 74섬 5말 1되(13.41 ㎘), 혜경궁 95섬 7말 2되 6홉(17.23 ㎘), 왕대비전 94섬9말 5되 4홉(17.09 ㎘), 중궁전 84섬 11말 3되 4홉(17.17 ㎘)을 공급하였다. 장독은 어장고에 112개 있고, 남한산성 장창고에 690개가 있는데, 연간 15섬(2.7 ㎘)씩 장을 담갔다. 백성들이 굶주리면 나라에서 장으로 백성을 구제하였는데, 조선왕 조실록에 대량 구제 기록이 20여 차례 있다. 세종 5년(1423)굶주린 사람들에게 콩 2천섬(360 ㎘)으로 장을 담가주고, 세종 6년(1424)에는 쌀, 콩, 장을 47,294섬(8,512.92 ㎘)을 주고, 세종 28년(1446)에는 콩 46,236섬(8,322.68 ㎘)으로 장을 담가주었다. 조정에서는 장을 급료로도 주었다. 상을 당하여 장을먹지 않고 참으면 효행으로 표창하였다. 조선왕조실록에 기록된 장은 19종류로 장(108), 염장(90), 말장(11), 육장(5), 감장(4)의 순이다. 승정원일기에는 11종류로 장(6), 청장(5), 말장(5), 토장(3)의 순이고, 일성록에는 5종류로 장(15), 말장(2), 감장(2)의 순이다. 의궤 및 공문서에는 13종류로 감장(59), 간장(37), 장(28), 염장(7), 말장(6), 청장(5)의 순이고, 시로는 전시(7)와 두시(4)가 있다. 이 중 육장 외에는 모두 콩만으로 만드는 장이다. 문집, 조리서, 조선왕조실록, 일성록, 승정원일기, 의궤 및 공문서 여섯 자료에 가장 많이 수록된 장류는 장(372), 염장(194), 감장(73), 청장(46), 간장(46), 수장(33), 말장(26) 등 콩으로 만든 장으로, 조리서에 존재하는 중국계 장은 문집과 왕실자료에는 없다. 따라서 조선시대 백성들과 왕실, 조정의 식생활에서는 콩으로 만든 전통 장이 사용되었다. This paper investigated the system that is relevant to Jang (fermented soybean paste or solution), the relief of hungerstricken people by Jang, 33 kinds of Jang, and its consumption in the documents, such as the annals of the Chosun Dynasty, Ihlseong-document, Seungjeongwon daily, Uigwe(record of national ceremony), official documents on the basis of Kyujanggak institute for the Korean studies and data base of Korean classics. There are lots of Jang named after the place of particular soybean`s production from the ancient times. Jang, soybean, salt and Meju (source of Jang), during the Dynasty, were collected as taxation or tribute. In the 5th year of Hyeonjong(1664), the storage amount of soybean in Hojo(ministry of finance) was 16,200 ㎘, and its consumption was 7,694 ㎘ a year. In the 32nd year of Yongjo(1756), the 1,800 ㎘ of soybean was distributed to the people at the time of disaster, and in his 36th year(1756), the 15,426 ㎘ of soybean was reduced from the soybean taxation nationwide. The offices managing Jang are Naejashi, Saseonseo, Sadoshi, Yebinshi and Bongsangshi. Chongyoongcheong(Gyeonggi military headquarters) stored the 175.14 ㎘ of Jang, and the 198 ㎘ of Jang in Yebinshi. There are such posts managing Jang as Jangsaek, Jangdoo, and Saseonsikjang. In the year of Jeongjong(1777~1800), the royal family distributed the 3.6 ㎘ of Meju to Gasoon-court, Hygyeong-court, queen`s mother-court, queen`s court, royal palace. The 13.41 ㎘ of Gamjang(fermented soybean solution) was distributed to the Gasoon-court, 17.23 ㎘ to Hegyeong-court, 17.09 ㎘ to the queen`s mother-court, and the 17.17 ㎘ to the queen`s court each. There are 112 Jang-storing pots in the royal storages, and the 690 are in Namhan-hill, where the 2.7 ㎘ of fermented Jang was made and brought back by them each year. At the time of starvation, Jang relieved the starving people. There are 20 occasions of big reliefs, according to the annals of the Chosun Dynasty. In the 5th year of Sejong(1423), the 360 ㎘ of Jang was given to the hunger-stricken people. In his 6th year(1424), the 8,512.92 ㎘ of rice, bean, and Jang was provided and in the 28th year(1446), the 8,322.68 ㎘ of Jang was also provided to them. In the Dynasty, Jang was given as a salary. In case that when they were bereaved, they didn`t eat Jang patiently for its preservation. They were awarded for their filial piety. In the annals of the Chosun Dynasty, there are 19 kinds of Jang. They are listed in the order of Jang (108), Yeomjang (90), Maljang(11), Yookjang(5), Gamjang(4), and etc.,. In Seungjeongwon daily, there are 11 kinds of Jang. Jang (6), Cheongjang (5), Maljang(5), and Tojang(3) are listed in order. In the Ihlseong-document, there are 5 kinds of Jang. They are listed in Jang (15), Maljang(2), Gamjang(2), and etc.,. There are 13 kinds of Jang in Uigwe, and the official documents, in the order of Gamjang(59), Ganjang(37), Jang(28), Yeomjang(7), Maljang(6), and Cheongjang(5). In addition, shi are Jeonshi(7), and Dooshi(4). All these are made of only soybean except, for Yookjang. The most-frequently recorded Jang among anthology, cookbook, the annals of the Chosun Dynasty, Ihlseong-document, Seoungjeongwon daily, Uigwe, or official document is Jang (372), and then Yeomjang(194), Gamjang(73), Cheongjang(46), Ganjang(46), Soojang(33), and Maljang(26), which were made of soybean. Jang from China in cookbook is not in anthology and royal palace documents. Thus, traditional Jang made of soybean was used in the daily food life in the royal court, and in the public during the Chosun period.

      • KCI등재

        『三國遺事』의 新羅 張保皐 認識

        정운용 백산학회 2018 白山學報 Vol.0 No.111

        Jang Bo Go(張保皐), described in Samgukyusa(三國遺事), is found in ‘Great King Shinmu(神武大王)·Yeom Jang(閻長)·Gung Pa(弓巴)’ in the Kiyi(紀異) chapter. As this subject remains in the Kiyi chapter, King Shinmu comes on the title. In addition, it seems that Yeom Jang, who performed king’s order, became the second subject as the Buddhist priest Ilyeon(一然) is considered that he had an understanding of the Confucianistic political philosophy. Still, Jang Bo Go is the main character on the whole descriptions and meanings. This goes with the distinctive expressions, ‘heypsa(俠士)’·‘moran(謀亂)’· ‘meyongkong(明公)’ etc., which never have been found in other history books, to portray Jang Bo Go in Samgukyusa. In the case of ‘heypsa(俠士)’, ‘a person with chivalrous spirit’ have been the mainstream in the understanding of the term. In other words, ‘heypsa’ is not a term related with martial arts directly, nor is it a term to judge the possession of government position. ‘heypsa’ is used to depict even the civil minister of the Joseon(朝鮮) Dynasty. Therefore, it is reasonable to remain the term ‘heypsa’ as a dictionary meaning of ‘a person with chivalrous spirit’. For ‘moran(謀亂)’, it is decided to be at the stage between ‘conspiracy’ and ‘rebellion’. There have been many controversies among the scholar of the Sung Confucianism whether Jang Bo Go practically raised rebellion. Samgukyusa represents the term as the level at which Jang Bo Go hoped or imagined rebellion by adding the letters ‘desire’[欲] before ‘moran’. For this reason, it seems that Yeom Jang, who tried to kill Jang Bo Go, pointed out the possibility that Jang Bo Go might cause a rebellion ‘in the future’[將] to King Moonsung(文聖王). In terms of ‘meyongkong(明公)’, it has been mistranslated as meaning of ‘you’ in formal or ‘a man of sagacity’ or ‘a wise man’. In fact, ‘meyongkong’ means an ‘honorific title for a person in high or honorable position’. Samgukyusa is using the expression, ‘meyongkong’, through Yeom Jang’s speech which has not been mentioned in any of history books. In other words, Jang Bo Go was written down as a person who is in high and honorable position that he was treated with respect corresponding to the treatment for Jingol(眞骨). 『三國遺事』에 언급된 張保皐는 「紀異」의 ‘神武大王·閻長·弓巴’에서 찾아진다. 해당 항목이 「기이」에 편재되어 있기 때문에 신무왕이 표제로 등장한 것이다. 아울러 禪師인 一然 자신이 儒家的 정치 이념에 대한 이해를 갖고 있었다고 보이기 때문에, 국왕의 명령을 수행한 염장을 두 번째로 기입한 것이라 여겨진다. 전반적인 서술 내용과 의미는 역시 장보고를 주 대상으로 한 것이다. 이러한 장보고에 대하여 『삼국유사』는 여타 사서에서 보이지 않는 독특한 용어로 장보고를 표현하고 있다. ‘俠士’, ‘謀亂’, ‘明公’ 등이 바로 그것이다. ‘협사’의 경우는 기왕에도 대체로 ‘의협심이 있는 사람’이라는 이해가 주류를 이루어 왔다. 아울러 ‘협사’는 무예와 직접적인 연관을 갖는 용어가 아닐 뿐더러, 관직의 보유 여부를 판단하여 구사하는 용어도 아니다. 조선시대 문신에게도 ‘협사’라는 표현이 사용되고 있다. 따라서 ‘협사’는 字典的 의미 그대로 ‘의협심이 있는 사람’으로 이해하는 것이 타당하다. ‘모란’의 경우는 직접적인 ‘반란’의 단계에까지 이르기 전, ‘모의’의 단계에 머문 수준을 지칭하는 것이라 판단된다. 장보고가 실질적으로 반란을 일으켰는가는 조선시대 성리학자들 사이에서도 많은 논란이 제기되어 왔다. 『삼국유사』는 ‘모란’ 앞에 ‘欲’자를 덧붙여, 장보고가 ‘모란’을 염두에 두었거나 의도한 수준임을 드러내고 있다. 그렇기 때문에 장보고를 살해하고자 한 염장이 문성왕에게 장보고가 ‘장차[將]’ 반란을 일으킬 가능성을 지적한 것이라 보인다. ‘명공’의 경우는 단순하게 ‘그대’ 또는 ‘명철하신 공’, ‘총명하신 당신’, ‘현명한 그대’ 등으로 그릇된 번역을 하여 왔다. ‘명공’은 ‘명예로운 지위에 있는 사람에 대한 존칭’ 또는 ‘높은 자리에 있는 사람의 존칭’이다, 『삼국유사』는 장보고에 대하여 그 어떤 자료에서도 보이지 않는 ‘명공’이라는 표현을 염장의 입을 빌려 드러내고 있다. 이는 장보고가 국왕으로부터 진골에 해당하는 예우를 받았기 때문에, 명예롭고 높은 자리에 있는 사람이라 기술한 것이다.

      • KCI등재

        여헌 장현광 성리설 연구의 쟁점과 과제

        김용헌 (사)한국인물사연구회 2010 한국인물사연구 Vol.13 No.-

        Jang Hyeongwang is one of the prominent confucian scholars in Chosun Dynasty. Jang Hyeongwang belonged to the Toegye School. Nevertheless his theory of Li and Ch`i(gi), what is called li-gi-gyeong-wi-seol in some respect, was not similar to Toegye's but to Yulgok´s. So, after 1920s, the philosophy of Jang has been studied by many modern Confucianism researchers. Roughly speaking, many researchers' arguments have been focused on two main issues. On the question of where Jang`s theory stands between Toegye`s and Yulgok´s, there are four different views. While some of modern scholars hold a view that Jang´s theory is closer to Yulgok`s, others maintain that Jang succeeded Toegye's philosophical mind whose main intention was to enhance the position of Li. In the other hand, Some scholars have an opinion that Jang`s theory is a proper compromise between Toegye's and Yulgok`s, others insist that Jang`s theory is original theory transcending both Toegye's and Yulgok`s. Another issue is concerning how Jang`s theory of Li and Ch´i can be ontologically conceptualized. Over this topic Tao-monism has been in conflict with Li-monism. Some people who regard Jang`s theory as Tao-monism understand that Tao is the only substance in Jang`s philosophy. Others who regard Jang`s theory as Li-monism insist that Li is the only substance in Jang`s philosophy. Besides, there are opinions that Jang`s theory can be prescribed as li-gi-il-won(原)-non or li-gi-il-bon(本)-non looking upon Li and Ch´i as one origin. Hence, according to them, the main characteristics of Jang's theory is the unified relations between Li and Ch'i in this world.

      • KCI등재

        연세대 57장본 "홍계월젼"의 이본적 특징과 가치

        정준식 한국문학회 2018 韓國文學論叢 Vol.80 No.-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Yonsei University 57 jang-version <Honggyewoljyeon>’s characteristics and value as a different version. Yonsei University 57 jang-version is directly associated with Hanjungyeon 45 jang-version and the printed version among the different versions of <Honggyewoljeon>. Accordingly, here, this study has compared the three different versions to understand Yonsei University 57 jang-version’s universality and individuality and discussed its value as material based on that. The narratives of Yonsei University 57 jang-version, Hanjungyeon 45 jang-version, and the printed version are mostly similar in the beginning, middle part, and the ending. In fact, with comparison on other parts than the three areas, you can readily find great similarity between the three different versions. This tells us that Yonsei University 57 jang-version is a different version soundly equipped with the universality of the Hanjungyeon 45 jang-version line. The fact that there are most contents found in Yonsei University 57 jang-version and Hanjungyeon 45 jang-version only but not in the printed version implies that among the three different versions, these two different versions show greatest similarity. Meanwhile, since the printed version omits the contents only found in the two different versions too much and is not in coherence, it is evaluated as the one exhibiting the most faults. Contents only found in Yonsei University 57 jang-version and the printed version but not in Hanjungyeon 45 jang-version are the ones that either cannot be omitted or make it incoherent once omitted. Besides, we can also find not a few wrongly written words or Chinese characters in Hanjungyeon 45 jang-version all over. Due to this, Hanjungyeon 45 jang-version is evaluated to show lower completion than Yonsei University 57 jang-version in terms of accuracy in marking or the narrative. Contents only found in Hanjungyeon 45 jang-version and the printed version but not in Yonsei University 57 jang-version are either omitted or reduced not to affect the preceding or following context. Because of that, Yonsei University 57 jang-version is evaluated to have very effectively and thoughtfully omitted and reduced parts in its entire narrative. Most of the contents not found in Yonsei University 57 jang-version and Hanjungyeon 45 jang-version but found in the printed version are not always necessary; therefore, the context is not affected at all even though they are not there. Considering this, we can assume that contents only found in the printed version must have been newly added when the manuscript was planned to be a printed version. As examined above, Yonsei University 57 jang-version exhibits almost no fault compared with Hanjungyeon 45 jang-version or the printed version, and it was used as the good basis to create the Hanjungyeon 45 jang-version line and also as the main material to produce the printed version. Therefore, if follow-up research on <Honggyewoljeon> is going to discuss the Hanjungyeon 45 jang-version line, it would be desirable to take Yonsei University 57 jang-version <Honggyewoljyeon> as the text. 본고는 연세대 57장본 <홍계월젼>의 이본적 특징과 가치를 탐색한 글이다. 연세대 57장본은 <홍계월전>의 이본 가운데 한중연 45장본 및 활자본과 밀접한 연관이 있다. 이에 따라 본고에서는 세 이본을 대비하여 연세대 57장본의 보편성과 개별성을 확인하고 그 자료적 가치를 논의하였다. 연세대 57장본, 한중연 45장본, 활자본은 서사의 처음, 중간, 끝 부분의 내용이 대부분 일치한다. 물론 이들 세 곳이 아닌 어느 부분을 비교하더라도 세 이본의 높은 유사도를 어렵지 않게 확인할 수 있다. 이는 곧 연세대 57장본이 한중연 45장본 계열의 보편성을 온전히 갖춘 이본임을 말해준다. 연세대 57장본과 한중연 45장본에만 있고 활자본에는 없는 내용이 압도적으로 많다는 것은 세 이본 가운데 두 이본이 가장 유사도가 높음을 의미한다. 반면 활자본은 두 이본에만 있는 내용이 무리하게 생략되어 문맥이 통하지 않으므로 적지 않은 결함을 지닌 것으로 평가된다. 연세대 57장본과 활자본에만 있고 한중연 45장본에는 없는 내용은 아예 생략될 수 없거나 생략되면 문맥이 어색해지는 것들이다. 이와 함께 한중연 45장본에는 곳곳에 잘못 표기된 낱말과 한자(漢字)도 적지 않다. 이로 볼 때 한중연 45장본은 연세대 57장본에 비해 표기의 정확성과 서사의 완성도가 떨어진다고 할 수 있다. 한중연 45장본과 활자본에만 있고 연세대 57장본에는 없는 내용은 대부분 앞뒤 문맥에 지장을 초래하지 않도록 생략 혹은 축약되었다. 이를 통해 연세대 57장본은 서사 전반에 걸쳐 매우 신중하고도 효과적인 생략과 축약이 이루어진 것임을 알 수 있다. 연세대 57장본과 한중연 45장본에는 없고 활자본에만 나오는 내용은 대부분 반드시 필요한 것이 아니기 때문에 설령 이들이 없더라도 문맥에는 전혀 지장이 없다. 이로 볼 때 활자본에만 나와 있는 내용은 필사본을 활자본으로 기획할 때 새롭게 추가된 것으로 추정된다. 이상과 같이 연세대 57장본은 한중연 45장본과 활자본에 비해 결함이 거의 없을 뿐 아니라, 한중연 45장본 계열의 선본(善本)이면서 활자본의 핵심 자료로 활용된 이본이다. 따라서 향후 <홍계월전>에 대한 연구에서 한중연 45장본 계열을 논의할 경우 연세대 57장본 <홍계월젼>을 텍스트로 삼는 것이 바람직하다.

      • KCI등재

        장(醬) 명칭의 분화 양상 연구(1)- 경상북도 영천, 경산, 영덕 지역을 대상으로 -

        김지숙 한국방언학회 2011 방언학 Vol.0 No.14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Jang's lexical items and the Jang-related idiomatic expressions in the area of Yeongcheon, Gyeongsan, Yeongdeok in Kyungsangbuk-Do, and then to examine out the aspect of diversification of the Jang's lexical items as a main category including various kinds of Jang and of the Jang's lexical items according to period, method as a subcategory. It is found out that in the first place ‘the Jang’ in the area of Kyungsangbuk-Do is being used in two ways. Jang is expressed into the same meaning as ‘Kong-Jang’, ‘Meju-Jang’ which are the generic term for Doenjang, Ganjang as a main category. Additionally, it is expressed into something which is in a state of not being divided into Doenjang, Ganjang. These lexical items of Jang are used divided into ‘Doenjang’ and ‘Jireong, Jirang, Jirangmul, Jangmul’ according to the food finally made, which in the second place is divided by ‘period, method’, and finally its lexical items are subdivided. ‘Jeongwoljang’, ‘Aedarassuneunjang’, ‘Ppakkumjang’, and so on are being used as the lexical items according to ‘period, method’. And ‘Deotjang’ and other names are being used as the lexical items according the condition of Jang. Apart from the lexical items, interesting idioms about Jang are found out, which are mostly of the taste of Jang and taboo expressions. All these expressions are being used as a meaning of a secret magic method to protect any disasters which may happen in ordinary lives. The various lexical terms and idiomatic expressions of Jang tell us that the making of Jang is very important to a family, because the taste of food in a family depends on Jang. 본 연구는 경상북도 영천, 경산, 영덕 지역의 장의 명칭과 장 관련 관용표현을 조사해 여러 종류의 장을 포함하는 상위범주인 장의 명칭과 하위범주인 시기, 방법에 따른 장 명칭의 분화 양상을 살펴본 것이다. 경상북도 지역에서 ‘장’는 두 가지 의미로 나타나고 있었다. 상위범주로 된장과 간장을 통칭하는 ‘콩장’, ‘메주장’과 같은 의미로, 또 된장과 간장을 가르기 전의 상태를 ‘장’으로 표현하고 있었다. 이러한 장의 명칭은 일차적으로는 최종적인 식품에 따라 다시 ‘된장’과 ‘지렁, 지랑, 지랑물, 장물’로 구분되어 나타나고 있었고 이는 다시 이차적으로는 ‘시기, 방법’으로 구분되어 그 명칭의 세분화가 이루어졌다. 시기, 방법에 따른 명칭으로 ‘정월장’, ‘애달아쑤는장’, ‘빠꿈장’ 등이 사용되고 있었으며 방법 또는 상태에 따른 명칭으로 ‘덧장’ 등이 사용되고 있었다. 장의 명칭 외에도 장에 관한 재미있는 관용표현도 찾아볼 수 있었는데 대부분의 표현이 금기 표현과 장맛에 관한 표현이었다. 이들 표현들은 모두 생활 속에서 일어날 수 있는 재앙을 대비하기 위한 비방(秘方)의 의미로 사용되고 있었다. 경상북도 지역에서 사용되고 있는 다양한 장의 명칭과 관용표현을 통해 그 집안의 음식 맛을 좌우하는 장 담그기의 중요성을 다시 한번 확인할 수 있었다.

      • KCI등재

        15세기 粉靑沙器장군의 용도와 특징

        최남미(Choi, Nam-mi) 고려대학교 한국학연구소 2016 한국학연구 Vol.57 No.-

        장군은 횡방향으로 긴 동체 가운데 구멍을 뚫고 구연부를 붙여 만든 형태이다. 형태가 특이하고 전세품과 출토품이 많지 않아 크게 주목받지 못하여 아직 연구에 미흡한 부분이 있다고 생각된다. 장군은 목기, 도기, 분청사기, 백자로 제작되었는데 이 중 분청사기장군을 중심으로 용도, 기형, 문양, 출토품을 분석해 그 특징을 파악해 보고자 한다. 분청사기장군은 문헌 기록을 통해 酒甁혹은 의례에 사용되던 물, 술, 참기름을 저장하던 용도가 있었음을 알 수 있었다. 분묘에서 출토된 바 있어 제사와도 관련된 것으로 보인다. 굽이 제기처럼 홈이 파여 있는 예 혹은 동체 하측면을 면깎기한 예는 이런 특별한 용도와 관련된 것으로 보았다. 분청사기장군은 용수리 요지에서 가장 먼저 보이고 있어 1400년경부터 제작되었을 것으로 보았다. 구연부와 동체로 이루어진 기본 형태 외 접저면에 굽이 부착되는 새로운 기형이 등장하는데 용산리 요지 출토품과 전세품을 비교하여 1450년경 등장하는 것으로 보았다. 새로운 기형의 등장은 漢代繭形壺와 鼓形壺의 영향으로 보이고 15세기 중반경부터 16세기 전반까지 일시적으로 제작된 것으로 여겨진다. 15세기 장군은 기형도 더욱 다양화 되었고 문양으로 장식하여 화려하게 만들었다. 그러나 16세기에는 도기 중심으로 제작되며 자기 장군은 백자로 소량 제작된다. 따라서 15세기는 장군의 가장 전성기로 그 특징을 가장 잘 파악할 수 있는 시기이다. Jang-gun has a transverse body with an attached mouth to the middle of its body. Because the shape of Jang-gun is unique and there are not many excavated articles, the study of Jang-gun is still on going process. This article focuses on Buncheongware Jang-gun, analyzing its features through uses, forms and decorations, excavated articles and precedence objects. According to literature records, Buncheongware Jang-gun was used as liquor bottle or for memorial service, containing water, alcohol or sesame oil. Buncheongware Jang-gun could relate to memorial service because it has been excavated from tomb. The Jang-gun’s foot has a groove like ritual vessel, and the side of under when making body was cut for a special use like memorial service. These evidences support that Buncheongware Jang-gun could be used for memorial service. 15th century Buncheongware Jang-gun was first found in Yongsulee Kiln, so this Jang-gun was made in 1400s. Beside the basic form of Jang-gun which had produced since Goryeo Dynasty, the new form that has an attached foot under of the body appeared. After excavated articles in Yongsanlee kiln were compared with precedent objects, this new form was emerged around the year 1450. The new form, which was temporary made from mid to end 15th century, was affected by Han Dynasty’s jar with cocoon body and jar with drum body. Buncheongware Jang-gun were decorated by inlaid, stamped and incised before 1450. Since 1450, Buncheongware Jang-gun of different designs, such as sgraffito, painted in under glaze iron and brushed decoration, were produced. After Buncheongware Jang-gun was produced as porcelain, the Jang-gun had more different forms and more fancy decorations later. After 15th century, the production of the Jang-gun had declined. The Jang-gun had almost no decorations, so it was hard to recognize its characteristics. Therefore, 15th century is the best time period for studying Jang-gun. The production of Buncheongware Jang-gun had stopped since 16th century, and white porcelain had been produced instead.

      • KCI등재

        「심씨를 위해 지은 시」의 보조적 인물 ‘장 파총’ 고찰

        홍진옥 국문학회 2018 국문학연구 Vol.0 No.37

        본고는 김려(金鑢)가 부령(富寧)과 진해(鎭海)에서 보낸 10년간의 유배 생활의 경험을 바탕으로 창작한 장편서사시 「장원경의 처 심씨를 위해 지은 시」(古詩爲張遠卿妻沈氏作)의 서사를 분석한 후, 작품에서 여주인공 방주(蚌珠) 못지않게 중요하게 다루어지고 있는 보조적 인물인 ‘장 파총(張把摠)’의 특징에 대해 고찰한 것이다. 「심씨를 위해 지은 시」는 작품의 후반부가 결락된 채 전해지고 있는데, 현재 남아 있는 부분의 서사는 여섯 단락으로 나누어 볼 수 있다. 첫 번째 단락은 「공작동남비(孔雀東南飛)」의 서두와 같이 『시경(詩經)』의 흥(興)의 수법을 사용하여 작품의 전체적인 주제를 암시하는 도입부이고, 두 번째 단락부터 다섯 번째 단락까지는 현재의 시점에서 등장 인물들을 소개하고 이들 인물을 중심으로 ‘양반과 천민의 결혼’이 성사되어 가는 과정으로서 서사가 본격적으로 진행되는 핵심부이며, 여섯 번째 단락은 장 파총의 과거가 회상되는 부분으로서, 과거 시점으로 서술된 ‘내부 이야기’를 이루고 있다. 특히 이 부분은 비참한 서민상을 그들의 목소리로 표현하는 ‘이중적 액자 구성’을 취하고 있는데, 이로써 장 파총의 지난했던 삶과 당시 서민들의 고달팠던 생활상이 더욱 실감나게 전달될 수 있었다. 아울러 작품에 ‘진지(進支)’, ‘팔자(八字)’, ‘나으리[進賜]’, ‘사또[使道]와 같은 조선식 한자어 표현이나, ‘구리개[銅街]’, ‘용강(龍江)’, ‘양양(襄陽)’, ‘낙산(洛山)’과 같은 조선의 지명을 과감하게 구사함으로써 작품의 사실성을 높이고 있는 점도 주목할 만하다. 다음으로 본고에서는 장 파총을 두 가지 측면에서 살펴보고자 하였다. 먼저 장 파총이 전근대 문학 작품에 등장하는 인물 가운데 신분과 계급을 초월하는 개성적 면모를 보여준다는 점이다. 장 파총은 신분이나 계급의 장벽을 뛰어넘어 천민들을 사대부와 같은 ‘사람’으로 바라보고 이들을 포용하며, 똑같은 시선으로 그들을 마주하는 인물로서 작품 속에서 설득력 있고 인상적인 방식으로 제시되고 있으며, 이러한 인물의 형상이 뚜렷하게 창출됨으로써 작품의 주제 의식이 한층 더 강화되었다. 다만 작품의 결말을 비극적으로 처리하고자 한 데에서 작가가 현실 인식에 있어 일정 부분 한계를 노출하고 있음을 주목할 필요가 있다. 다음으로 장 파총은 불우지사(不遇之士)의 전형적인 모습을 보여주면서도 여기에는 작자인 김려의 삶이 밀도 있게 투영되어 있다는 점이다. 먼저 장 파총이 대대로 명문가 집안의 자제였다가 젊은 시절 우환을 만나 떠돌이 생활을 한 것은, 김려가 인재로서 촉망받던 성균관 유생 시절 ‘강이천(姜彛天)의 유언비어 사건’으로 갑작스레 유배를 가게 된 것과 유사하며, 장 파총이 중년 시절 어촌 등지로 옮겨 다니면서 고기잡이와 생선 장사를 했다는 설정은 김려가 유배지 진해에서 어가(漁家)에 더부살이를 하면서 직접 고기를 잡았던 것과 관련된다. 뿐만 아니라 방주가 사는 마을을 김려의 아버지인 김재칠(金載七, 1737∼1799)이 현감으로 지냈던 징계(長溪)로 설정하거나, 장 파총이 어촌 등지를 옮겨 다니는 부분에서는 「적문협(赤門硤)」이라는 5행 14구의 한시를 그대로 실어 놓기도 하였다. 요컨대 「심씨를 위해 지은 시」는 부령 유배 시절 만난 장현령(張玄齡)이라는 실존 인물을 중심으로 서사 구성을 기초하였으나, 여기에 작자 김려의 삶을 ... After analyzing the narrative of “A Poem Composed for Lady Sim, Jang Won-gyeong’s Wife” (Gosi wi Jang Won-gyeong Cheo Simssi Jak), an epic poem that Gim Ryeo (1766-1821) created on the basis of his experience of ten-year-long exile in Buryeong and Jinhae, the present study examines the characteristics of Squad Leader Jang (Jang Pachong), a supporting figure who is given as much weight in the work as is Sim Bang-ju, the heroine. Transmitted with the latter half missing, “A Poem Composed for Lady Sim” can be divided into six sections in terms of the narrative of the extant portion. As with the beginning of the ancient Chinese poem “A Peacock Flies to the Southeast” (Kongque Dongnan Fei) from the Han Dynasty (206 BC-220 AD), the first section is an introduction that uses the affective imagery (xing) technique presented in the ancient Chinese text Classic of Poetry (Shijing; 11c-7c BC) to imply the overall themes of the work. Introducing the characters from the perspective of the present and depicting the process through which a marriage between a member of the scholar-gentry (yangban) and an outcaste (cheonmin) is achieved successfully, the second to the fifth sections constitute the key portion where the narrative develops in earnest. The sixth section, where Squad Leader Jang’s past is recollected, forms an internal story recounted from a past viewpoint. In particular, this section adopts a double frame structure where the plebeians describe their wretched lives in their own voices, which more vividly conveys both Squad Leader Jang’s life of hardships and the toilsome daily lives of the populace at the time. In addition, also noteworthy is the fact that the author heightens the realism of the work by boldly incorporating into it Sino-Korean expressions such as jinji (“meal”), palja (“fate”) na’euri (or jinsa; “lord”), and satto (or sado; “magistrate”) and Korean place names such as Gurigae (or Dongga), Yonggang, Yang’yang, and Naksan. Next, the present study seeks to examine Squad Leader Jang in terms of two aspects. First, Squad Leader Jang is unique from among characters in premodern Korean literary works in that he goes beyond social rank and class. A figure who transcends the barrier of rank and class, views outcastes as humans just like himself, a member of the scholar-gentry (sadaebu), accepts them, and treats them as equals, he is presented in the work in a persuasive and impressive manner. By thus clearly depicting Squad Leader Jang, the thematics of the poem is further strengthened. However, it is worth noting that, in seeking to conclude this work tragically, the author’s perception of reality reveals certain limitations. Next is the fact that Squad Leader Jang, while exhibiting the typical characteristics of a member of the scholar-gentry fallen on hard times, considerably reflects the life of Gim Ryeo himself. First, the setup that Squad Leader Jang, the son of a long-established family of distinction, becomes a wanderer in his youth due to misfortunes is similar to the fact that the author, a talented and promising student at the National Confucian Academy (Seonggyun’gwan), was suddenly exiled by the government due to the “groundless rumor incident” involving Gang Yi-cheon’s (1768-1801), a Roman Catholic. In addition, the setup in the poem that Squad Leader Jang catches and sells fish for a livelihood in his middle age while moving from one fishing village to another is related to the fact that Gim Ryeo himself engaged in fishing while lodging at the home of a local fisherman during his exile in Jinhae. Moreover, the author establishes Janggye, where his father Gim Jae-chil (1737-1799) served as a lesser prefect (hyeon’gam), as the village in which Bang-ju lives and includes in its entirety “The Red Gate Gorge” (Jeongmunhyeop), a classical Chinese poem in fourteen five-line stanzas, in the part where Squad Leader Jang moves from one fishing village to ano...

      • KCI등재

        오장환의 예세닌론 - 당대 일본의 예세닌론과 비교를 통하여

        에비하라 유타카 한국비교문학회 2009 比較文學 Vol.0 No.49

        This paper aims to re-examine the Esenin' study of Oh Jang-whan. First of all, it clarifies the original text(translated into japanese) for "The Esenin's Collection of Poems"(translated into korean by Oh Jang-whan in 1946) which were vague so far at the former works,〈The jacket of a sky-blue woman〉and so on. The following part looks into the Esenin's study of Japanese critics because there is the difference between Oh Jang-whan and Japanese critics. Oh Jang- whan was a member of the Union of South Chosun literature Society in 1946 when his literary work, "The Esenin's Collection of Poems" was published. However, if his literary characteristic is considered on proletarian literature, Oh Jang- whan might be suitable in researching and introducing Esenin's work. Therefor, based on comparing with the Esenin's study of Japanese critics in 1930', this paper aims to re-examine the Esenin's study of Oh Jang- whan. This paper aims to re-examine the Esenin' study of Oh Jang-whan. First of all, it clarifies the original text(translated into japanese) for "The Esenin's Collection of Poems"(translated into korean by Oh Jang-whan in 1946) which were vague so far at the former works,〈The jacket of a sky-blue woman〉and so on. The following part looks into the Esenin's study of Japanese critics because there is the difference between Oh Jang-whan and Japanese critics. Oh Jang- whan was a member of the Union of South Chosun literature Society in 1946 when his literary work, "The Esenin's Collection of Poems" was published. However, if his literary characteristic is considered on proletarian literature, Oh Jang- whan might be suitable in researching and introducing Esenin's work. Therefor, based on comparing with the Esenin's study of Japanese critics in 1930', this paper aims to re-examine the Esenin's study of Oh Jang- whan.

      • KCI등재

        고전인물 발굴을 통한 문화콘텐츠 개발 연구 - 금헌 이장곤과 역사다큐멘터리-

        권혁명 ( Kwon Hyok-myong ) 우리어문학회 2020 우리어문연구 Vol.68 No.-

        본고는 문화콘텐츠 개발을 위한 고전 소스를 연구하는 데에 목적을 두었다. 이를 위해 琴軒 李長坤(1474~?)을 연구의 대상으로 삼았다. 본론의 내용을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2장에서는 문화콘텐츠 제작의 필요성으로서 이장곤의 위상을 살펴보았다. 이장곤의 위상은 문무를 겸전한 出入將相의 관료적 재능에 있었다. 그는 중앙관직에서 남곤, 최숙생과 함께 당대 최고의 문장가로 文才를 발휘하였고, 외직에서는 평안도 병마절도사가 되어 야인 2000명을 물리쳐 武才를 드날렸다. 3장에서는 이장곤의 생애에 대해서 살펴보았다. 이장곤의 생애는 크게 세 시기로 구분할 수 있었다. 첫 번째 시기는 ‘출생부터 연산군 대까지’이다. 이 시기는 이장곤이 文武를 겸전한 재능을 지녔으나 연산군이라는 폭군을 만나 시련을 당하는 시기이다. 두 번째 시기는 ‘중종반정 이후부터 기묘사화 이전까지’이다. 이 시기는 이장곤이 중종반정으로 정계에 복귀하여 出入將相의 능력을 발휘하며 승승장구하던 시기이다. 세 번째 시기는 ‘기묘사화 이후부터 경상도 창녕에서 생을 마감할 때까지’이다. 이 시기는 이장곤이 기묘사화 때 사림파에 우호적이었고 그들의 영수라는 대간의 논박을 받자 병을 구실로 낙향하여 경기도 여주와 경상도 창녕을 오가며 살다가 생을 마감하던 시기이다. 4장에서는 이장곤의 생애를 바탕으로 역사다큐멘터리 <출입장상의 이장곤>의 시놉시스를 제시하였다. 본고가 역사 다큐멘터리 제작을 위한 시놉시스를 제시한 의도는 다음과 같다. 첫째, 이장곤은 사림파의 학문적 위상이나 개혁적 이미지보다 관료적 위상이 높았던 인물로 대중들에게 생소하다. 따라서 이장곤을 대중들에게 널리 알리고 사림파의 또 다른 측면을 보여줌으로써 사림파를 이해하는 대중들의 시각을 넓히려는 의도이다. 둘째, 이장곤은 영남사림파에 속했지만 훈구파와도 일정한 관계를 유지하면서 사림파에 우호적인 태도를 취했던 인물이다. 이로 인해 이장곤에 대해 긍정적인 평가와 부정적 평가가 공존하는데, 이를 역사적 사실을 바탕으로 진실을 추적해보려는 의도이다. 셋째, 이장곤 관련 콘텐츠를 제작하는 기반이 되기 위해서이다. 이장곤은 사대부로서 군주의 명을 어기고 유배지를 이탈했으며, 천민인 양수척 여인을 아내로 맞이하였다. 또한 문관 출신이면서도 무재가 출중했던 인물이다. 이러한 점들은 대중들의 흥미를 끄는 지점으로 이장곤의 생애를 사실적으로 밝히는 역사다큐멘터리가 만들어진다면 이를 토대로 향후 소설, 드라마, 애니메이션, 게임 등 다양한 콘텐츠가 제작될 수 있기 때문이다.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study classical sources for the development of cultural contents. To this end, Geumheon Lee Jang-gon(1474~?) was targeted for research. A summary of the main points is as follows. In Chapter 2, we looked into Lee Jang Gon's status as a necessity for content production. This is because the status of Lee Jang-gon as a One-Source needs to the content produced based on it is highly likely to succeed. The status of Li Jang-gon served as a civil servant and as a minister of state. Chapter 3 looked at Lee Jang Gon's life. Lee Jang-gon's life could be divided into three periods. The first period is 'From Birth to the Age of Yeonsangun.' This was the time when Lee Jang-gon had a talent for both literary and martial arts, but he met a tyrant named Yeonsan-gun and was suffered by him. The second period was from the reign of King Jungjong to It's until gimyosahwa happened. This was the time when Lee Jang-gon was on a roll. The third period is 'after gimyosahwa until the end of life in Changnyeong, Gyeongsang Province.‘ This was the time when I came down to my hometown and spent my life drinking and poetry. Chapter 4 presents a synopsis of the historical documentary "Lee Jang-gon, the General and the Chancellor of the Exchequer" based on Lee Jang-gon's life.The reasons why this paper presented synopsis are as follows: First, Lee Jang-gon is unfamiliar to the people and the people of the Sarim faction with the bureaucratic status of Moon Moo-kyum. Therefore, the intention is to promote Lee Jang-gon to the public and broaden the public's view of the Sarim faction. Second, since positive and negative evaluations of Lee Jang-gon coexist, we hope that the truth will be revealed through the production of historical documentaries based on historical facts. Third, because Lee Janggon's life itself is interesting. Yi Jang-gon, a nobleman, broke the order of the monarch and left the exile, and married a woman named Yang Su-cheok. These points will attract the public's interest and will contribute to the production of cultural contents such as video and games by emphasizing certain areas such as love and escape from exile.

      • KCI등재후보

        18세기 경기도관찰사의 업무 실태와 특징 : 『畿營狀啓謄錄』을 중심으로

        李仙喜(Yi Sun-hui) 한국학중앙연구원 2010 장서각 Vol.0 No.23

        이 연구는 경기도관찰사가 작성한 『畿營狀啓謄錄』를 분석함으로써 경기도관찰사의 업무실태와 업무특징을 살피기 위한 것이다. 『畿營狀啓謄錄』은 沈?之가 1783년(정조 7) 6월부터 1784년(정조 8) 6월까지, 윤달을 포함하여 약 13개월 간 작성한 장계를 정리한 것이다. 장계의 작성시기별, 업무분야별 집중도를 분석하여, 경기도관찰사의 업무 하중 정도와 중점업무 및 시기를 살폈다. 또한 경기도관찰사의 업무 특징을 확인하기 위해 『嶺營狀啓謄錄』에 담긴 경상도관찰사의 업무내용과 비교하였다. 이를 통해 조선후기 지방통치의 운영 실제와 구체적 운영 방식을 규명하는 일단을 마련코자 하였다. 심이지는 재임기간 동안 평균 이틀에 3건 정도의 장계를 작성하였다. 심이지는 농형과 우택에 대한 장계를 가장 많이 작성하였고 다음으로는 진휼 관련 내용이었다. 장계가 집중된 시기는 1784년 윤3월과 6월이었다. 윤3월에 장계 건수가 가장 높았던 이유는 농형과 우택에 대한 장계가 많았기 때문이었다. 그런데 농형이나 우택에 대한 정보를 담은 장계 외에 실제로 관찰사가 수행한 업무 중 빈도수가 높은 것은 진휼 업무였다. 경기도관찰사의 업무특징은 경기감영의 위치와 관련성이 짙어 보인다. 심이지가 경기도 관찰사에 재임하였을 당시에 경기감영은 도성에 위치하고 있었다. 심이지는 국왕이 부르는 즉시 입궐하여 국왕을 친견하여야 했다. 입시 횟수는 월평균 2.5회에 이르렀다. 입시와 함께 경기도관찰사는 능원묘가 많은 경기도의 지역적 특징과 국왕의 행차에 영향을 받았다. 능원묘에 대한 관리업무와 상언 · 격쟁에 의한 추가 조사 등이 이에 해당하였다. This study analyzes Ki-Yung-Jang-Gae-Deung-Rok, written by provincial governors of Gyeonggi-Do, so that it will show characteristics of the job of governor of Gyeonggi-Do. Ki-Yung-Jang-Gae-Deung-Rok is a document which was a paraphrased Jan-Gae by Sim Yi-Ji form Jun of 1783(Jung Jo 7) to Jun of 1784(Jung Jo 8). I analyzed it according to concentration of writing time and kind of jobs and then looked for work loads and main jobs of a provincial governor of Gyeonggi-Do. Through this, I tried to show specific methods of operation for local adminstration in the second half of Chosun. Sim Yi-Ji(沈?之) wrote three pieces of Jang-Gae(狀啓) every other day during his term in office. Jang-Gae relevant to agriculture and precipitation were top in the list of his Jang-Gae, and Jang-Gae relevant to relief followed. The periods, in which Jang-Gae was written intensively, were March(leap month) and Jun. The reason why the number of Jang-Gae in March(leap month) were the highest is that there were many Jang-Gaes relevant to agriculture and precipitation. Beside of Jang-Gaes relevant to agriculture and precipitation, the most frequent jobs of governors were ones related to relief. Characteristics of the job of governor of Gyeonggi-Do depends on the location of Gyeonggi Gam Yung(監營). Originally located in Su-Won, Gyeonggi Gam Yung moved to Gwangju and later relocated in Han-Sung Bu(漢城府) just outside of Don-Eu Moon. Gyeonggi Gam Yung had been located in the capital till 1886, when it moved to Su-Won. When Sim Yi-Ji started his term in office, Gyeonggi Gam Yung was in the capital. As soon as the king called him, he had to go to the palace and see the king in person. The number of his Ip Si(入侍) reached to average 2.5 in a month. Moreover he had to see the king when he had not been to the palace. Occasionally the king visited Gyeonggi Gam Yung on the way to somewhere else. Besides the king's the walk influenced the characteristics of the job of governor of Gyeonggi-Do. Because people used to submit Sang Un and Gyuk Jang when the king was out of the palace. About appeal to king(上言·擊錚), the king used to order reinvestigations with special Jun Gyo(傳敎). The governor had to reinvestigated the finished suits of the past. To confirm the characteristics of the job of governor of Gyeonggi-Do that I analyzed in Ki-Yung-Jang-Gae-Deung-Rok, I compared with the job of governor of Kyung-Sang-Do in Yung-Yung-Jang-Gae-Deung-Rok(嶺營狀啓謄錄). Yung-Yung-Jang-Gae-Deung- Rok was written from Jun of 1783 to March of 1784. Though my research was limited to two of provinces and there was a little time lapse, I conclude that the jobs of governors of Eight of Provinces had their own characteristics in relation to their regional character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