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주요국 정부 연구기관의 항공연구개발 동향

        황진영,최우영,김은정 한국항공우주학회 2012 한국항공우주학회 학술발표회 논문집 Vol.2012 No.11

        우리나라 민간 정부출연 항공연구기관인 한국항공우주연구원은 89년 설립 이후 23년의 성년기를 맞이 하고 있다. 그동안 우리나라의 항공산업은 70년대 후반의 500MD헬리콥터 조립 생산에 착수한 이래 2000년대 들어서는 기본 훈련기 KT-1, 고등훈련기/경공격기 T-50 등을 개발하여 일부 국가에 수출하는 단계에 까지 성장하였다. 이러한 시점에서 유럽 및 일본의 주요항공연구기관의 현황과 연구방향을 벤치마킹함으로써 현재의 한국항공우주연구원을 돌아보고 미래의 나아가야할 방향에 대해 검토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주요 선진국의 기관에서는 차세대 항공기술에 대한 연구, 수치해석 관련 연구, 친환경 기술연구 등을 수행하고 있었으며, 아울러 항공안전 및 항행항법 관련 연구 등을 수행하고 있었으며, 일본의 경우에는 상용 여객기 개발사업인 MRJ 사업에 직접 참여하고 있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Since the establishment in 1989 as the civil aerospace research institute funded by government, KARI has reached an “adult” phase as marking 23rd anniversary this year. Korean aerocraft industry started to produce 500MD helicopters in the late 70th and has developed KT-1, T-50 in 2000s as grown as an exporting country. At this moment, by benchmarking the research strategies of major aeronautic research institutes, this paper aims to suggest several implications for KARI’s future. The aeronautic institutes in Europe and Japan are doing research and development focusing on next-generation aeronautic technology, numerical simulation, environmental and safety technology and CNS/ATM. Japan is participating MRJ project which aims to support Japanese aircraft companies.

      • 일본의 우주탐사 개발 현황과 계획

        명환춘(Hwan-Chun Myung) 한국항공우주연구원 2021 항공우주산업기술동향 Vol.19 No.1

        일본은 2010년대를 전후로 일본 우주항공 연구개발 기구(JAXA) 산하의 우주과학 연구소 (ISAS)를 중심으로 하야부사(2003, 소행성 탐사), 가구야(2007, 달 탐사), 이카로스(2010, 금성 탐사) 등의 다양한 우주탐사 프로그램을 본격적으로 추진하기 시작하였으며, 2013년부터는 이러한 우주탐사 프로그램들을 장기적이고 안정적인 개발계획 아래에서 보다 더 종합적이고 체계적으로 추진할 수 있기 위한 방안을 마련하였다. 이와 함께 성공적인 우주탐사를 위하여 우주탐사 관련 기술들의 개발 및 성능 고도화를 동시에 추진하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이러한 일본의 우주탐사프로그램의 개발 체계와 주요 기술적 특징 등을 중심으로 향후 2020년대 발사를 목표로 현재 개발이 진행되고 있거나 차기 프로그램으로 선정되어 연구가 진행되고 있는 다양한 우주탐사 프로그램들을 소개한다. Around 2010, Japan successfully launched some space exploration satellites such as HAYABUSA, KAGUYA, and IKAROS, which were developed mainly by ISAS(Institute of Space and Astronautical Science) in JAXA(Japan Aerospace Exploration Agency). In 2013, furthermore, Japan prepared for the specific development plan to systematically perform the long-term and phased space exploration programs. For the more successful mission, it is also promoted in Japan that the related space exploration technologies are developed or studied in terms of the advanced performance. Based upon the Japanese space exploration plan and its related technologies, this paper introduces the on-going missions under the development and the new missions selected to be launched in 2020s.

      • KCI등재

        Proposal of Establishing a New International Space Agency for Mining the Natural Resources in the Moon, Mars and Other Celestial Bodies

        ( Doo-hwan Kim ) 한국항공우주정책·법학회(구 한국항공우주법학회) 2020 한국항공우주정책·법학회지 Vol.35 No.2

        본 논문의 제목은 달, 화성 및 기타천체에 있는 자원채굴을 위한 새로운 국 제 우주기구의 설립제안 이다. 새로운 국제우주기구 (가칭: 이하 ISA이라고 호 층 함)를 만들겠다는 아이디어는 본인의 학문적이며 실용적인 의견의 제시이다. 달과 화성 및 다른 우주천체에 있는 천연자원을 효율적이고 빠르게 개발하기 위해서는 국제기구로서 ISA의 설립이 필요하다. 이 새로운 국제우주기구인 ISA를 설립하는데 필요로 하는 법적이 근거는 1979 년의 달협약 제11조, 제5항 및 제18조에 근거를 두고 있다. ISA를 설립시키기 위한 절차로 우선 우주조약에 가입한 우주선진국들간에 논의를 거쳐 ISA 설립에 관한 조약초안을 마련하는데 있다. 이 논문에서 본인은 우주법에 관한 미국, 룩셈부르크, 유럽우주기구, 중국, 일 본, 한국의 국내입법례와 달, 화성, 소행성, 금성, 목성, 토성, 타이탄별 등의 우주탐험과 앞으로의 개발계획 등을 살펴 보았다. ISA의 창설은 선진국들간에 우주탐험과 개발에 관한 협력사업을 추진하는데 있어 꼭 필요하고 또한 각국들 간에 국제협력이 증진됨으로 달과 화성, 기타천체에 있는 자원개발에 촉매적인 역할을 하게된다. 한편 우주선진국들은 우주자원의 탐험과 개발에 관한 기술확보, 우주 인력의 양성과 우주에 관련된 금융 등을 ISA를 통하여 중앙집중적으로, 능율적으로 관리할 수 있게 된다. 향후 우주 선진국들 간에 우주탐험과 개발에 관한 정책수립과 법율의 마련, 우주과학기술의 연구와 우주산업의 발전면에 국제협력이 절대로 필요함으로 ISA의 창설이 바람직하다고 본다. 우리가 유럽우주기구 (ESA)의 설치에 관한 협약을 참고하여 국제우주기구 의 설치에 관한 조약 초안을 마련하는 것이 필요하다고 본다. 이 국제우주기 구의 설치에 관한 조약 초안 은 유엔의 우주평화적이용위원회 (UNCOPUOS)의 외교회의에서 3 분의 2의 찬성으로 위의 조약 초안을 통과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마지막으로, 매우 중요한 점은 최고 수준의 정치적 추진력이 필요로 하는데 국제 연합을 포함한 우주선진국들의 수장들이 중·장기적인 우주개발 목표달성을 위해 ISA설립을 찬성한다는 엄숙한 공동성명을 발표하는 것이 매우 중요하다고 본다. 우주선진국들간에 우주산업을 더욱 발전시키고 국제협력관계를 증진시키고 새로운 이데올로기와 창조적인 아이디어를 기반으로 우주선진국들 간 의 연구협력을 촉진시키기 위해 ISA를 설립시키는 것이 꼭 필요하다. 가까운 장래에 유엔을 포함한 우주선진국들의 정상들이 모이는 정상회담에서 ISA를 설립시키기로 합의만 한다면 ISA는 반듯이 창설될 수 있다고 본인은 확 신하는 바입니다. The idea of creating a new International Space Agency (ISA) is only my academic and practical opinion. It is necessary for us to establish ISA as an international organization for the efficient and rapid exploitation of natural resources in the moon, Mars and other celestial bodies. The establishment of ISA as a new international regime is based on the Article 11, 5 and Article 18 of the 1979 Moon Agreement. In order to establish as a preliminary procedure, it needs to make a “Draft for the Convention on the Establishment of an International Space Agency” among the space-faring countries. In this paper, I was examined the domestic space legislation in the United States, Luxembourg, European Space Agency, China, Japan, the Republic of Korea as well as space exploration and planning of the moons, Mars, Asteroids, Venus, Jupiter, Saturn, Titan and Other Celestial Bodies. The creation of an ISA would lead to a strengthening of the cooperation needed essentially by the developed countries towards joint and cooperative undertakings in space and would act as a catalyst for the space exploration and exploitation of the moon, Mars and other celestial bodies. It will be managed effectively and centrally the exploitation and exploitation of space the natural resources, technology, manpower and finances as an independent organization in order to get the benefit of the space developed countries by ISA. It is desirable and necessary for us to establish ISA in order to promote cooperation in space policy, law, science technology and industry among the space developed countries in the near future. The establishment of the ISA will be promoted the international cooperation among the space-faring countries in exploration and exploitations of the natural resources in the moon and other celestial bodies. I would propose the “Draft for the Convention for the Establishment of an International Space Agency.”in refering the “Convention for the Establishment of a European Space Agency.” This "Draft for the Convention Convention for the Establishment of an ISA" must pass the abovementioned "Draft for the Convention" by two-third majority of Diplomatic Conference in the UNCOPUOS. Finally, a very important point is need that a political drive at the highest level and a solemn statement by heads of state of the space devloped countries including the United Nations for the space exploitation of the medium and long term. It should be noted that this political drive will be necessary not only to set up the organization, but also during a subsequent period. It is desirable and necessary for us to establish the ISA in order to develop the space industry, to strengthen friendly relations and to promote research cooperation among the space-faring countries based on the new ideology and creative ideas. If the heads of the superpowers including the United Nations will be agreed to establish ISA at a summit conference, 1 am sure that it is possible to establish an ISA in the near future.

      • 일본 우주개발 정책의 변화

        최우영,최준민,김종범 한국항공우주학회 2012 한국항공우주학회 학술발표회 논문집 Vol.2012 No.11

        1955년 이래 본격적으로 추진된 일본의 우주개발은 약 60년의 역사를 거쳐 현재 세계 4~5위권의 선진국 수준에 도달하였다. 초기의 자주개발 노력은 기술적 한계와 정치적 상황에 의해 미국의 액체로켓 및 위성 기술의 도입으로 이어졌고, 이후 도입 기술의 소화와 개선을 위한 노력은 catch-up 전략이라는 이름 아래 일본의 우주개발 역량을 착실히 향상시켜 선진국 진입에 크게 기여하였다. 그러나 이러한 전략은 국내외 상황의 변화에 따라 한계점을 노출하였고, 현재 일본은 이를 해결하기 위해 강력한 사령탑의 설립 하에서 우주정책의 일원화로 대응하고 있다. 이와 같이 일본이 취하고 있는 발전단계 별로 필요한 우주정책의 모습과 개선을 위한 노력은 우리에게 시사점을 제공하고 있다 할 것이다. Japan, who has conducted space development since 1955 in earnest, has succeeded in reaching at the level of developed countries which is ranked at 4~5th in the world in terms of space development ability. Self-reliance effort of Japan to develop R&D ability at the beginning stage encountered the limits of technology and political circumstances so that Japan changed the strategy to import American liquid-propellant rocket and satellite’s technologies. In other words, Japan took “catch up” strategy to “adopt” advanced technologies. This strategy made Japan become a developed country in the space R&D field, but gave her institutional problems at last. Now, Japan is trying to remedy this problem by establishing one strong control tower to deploy consistent space policy. In this light, it can be said that Japanese effort to adopt proper strategies in each development stage may give us valuable implications.

      • 신정부 창조경제 시대 견인을 위한 항공우주기술의 역할

        김종범 한국항공우주학회 2013 한국항공우주학회 학술발표회 논문집 Vol.2013 No.4

        전 세계적으로 경제 불황이 지속되는 가운데서도 우리나라에서는 우주개발진흥기본계획 등 정부주도 계획을 수립ㆍ시행하여 항공우주 투자를 지속적으로 하고 있다. 항공우주기술은 미래사회를 선도하고 국민행복 가치창출과 지속가능한 창조경제를 구현하는 창조형 R&D로 전환해야 하고, 국민소득 4만달러와 무역 2조달러 국민행복시대를 견인하는 중추적 역할을 해야 한다. 달탐사, 한국형발사체, 개인용항공기 등 신성장동력을 확보하고 있고, 출연연의 산ㆍ학ㆍ연 협력연구의 중심체 역할 강화, 연구성과 확산 및 중소기업 지원 강화 등에도 초점을 맞춰가고 있다. 이러한 창조경제를 위한 노력들은 과학기술 수준의 향상과 더불어 정치ㆍ사회ㆍ경제의 발전에 공헌함과 동시에 국가 이익의 증진, 국제적 지위향상에 밑거름이 될 것이다. Despite the global economic recession, the global government"s budget of aerospace development industry has constantly increased. Korea also continues to invest in aerospace development, according to the National Aerospace Plan, and the investment effect can be defined as technological, soci-political and economic. Aerospace technology should play a key role in Korea"s future by contributing to the creation of happy and positive values, the shift to creative R&D polocies for creative economy and the achievement of GDP of $40,000 and $2 trillion in trade volume. KARI is also making a constant effort - KOMPSAT, COMS-2, KSLV-II, lunar exploration satellite, PAV(Personal Air Vehicle) are evidances of this - to develop the aerospace industry amid keen competition worldwide. Korea are diffusive in the transfer of R & D result of aerospace development through the government-supported research institute like Japan. These efforts will surely be a basis for technological development and overall growth.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