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펼치기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자유주의 국제질서의 균열과 러시아의 주권적 국제주의

        강봉구 한국외국어대학교(글로벌캠퍼스) 러시아연구소 2019 슬라브연구 Vol.35 No.4

        This article is aimed at forecasting the nature of the transition period of the international order, examining the intention of the Trump's “America First” policy on the backdrop of weakening of the “liberal international order(LIO)” and the position and status of Russia's sovereign internationalism emerging as an alternative to LIO and as a response to the transition period. Trump's “America First” policy is likely to be the product of strategic planning that inherits the traditional wisdom and strategic culture of “conservative internationalism,” one of the major trends in the history of US foreign strategy. The model of order that Russia has pursued as a response to the unilateral behaviors of the LIO is sovereign internationalism. It is closer to a partial revisionism rather than a “full-fledged” one in that it does not challenge the basic principles and core norms of the LIO, but insists on changing the way of its application and practice, claiming greater authority, leadership, and its share within LIO. The worldview and approach of sovereign internationalism are shared with BRICS, SCO countries, Iran and others. However, it is mainly limited to the spheres of international politics and security, and the role maintaining the norms and institutions in international trade, investment, and finance remains to be the share of the LIO. With this LIO playing a major role, it is expected that the transition period in which the alternative models of international order such as sovereign internationalism, mercantilist nationalism, and conservative internationalism would compete, conflict and coexist might be continued for a long time. 이 글은 ‘자유주의 국제질서(LIO)’의 약화를 배경으로 한 ‘미국 우선주의(America First)’ 정책의 의도, 기존 LIO에 대한 대안 모색이자 질서 이행기의 대응으로서 등장한 러시아의 주권적 국제주의의 입지와 위상을 검토하여 국제질서 이행기의 성격을 전망하는 데 목적이 있다. 트럼프의 ‘미국 우선주의’ 정책은 미국 대외전략사의 주요 흐름 중 하나인 ‘보수적 국제주의’의 전통적 지혜와 전략 문화를 계승한 전략적 기획의 소산일 가능성이 높다. LIO의 일방주의적 행태에 대응하여 2000년 대 중반 이후 러시아가 추구해온 질서 모델은 주권적 국제주의이다. 이것은 LIO의 기본 원칙과 핵심 규범들에 도전하는 것이 아니라, 그 적용, 운용 및 관리방식의 변화, LIO 내에서 더 큰 권위와 지도력, 자신에게 합당한 몫 등을 요구한다는 점에서, ‘충분히 성숙한’ 수정주의보다는 부분적 수정주의에 가깝다. 주권적 국제주의의 세계관과 접근방법은 BRICS, SCO 국가들 및 이란 등과 공유되고 있지만, 그것은 주로 정치와 안보 영역으로 국한되며, 국제 교역, 투자 및 금융 분야의 규범과 제도의 유지ㆍ보장자 역할은 여전히 LIO의 몫으로 남아 있다. 이처럼 LIO가 주된 역할을 수행하는 가운데, 주권적 국제주의, 중상주의적 국민주의, 보수적 국제주의 등 여러 대안적 질서 모델들이 경쟁하고 갈등하며 병존하는 이행기가 장기간 지속될 것으로 예상된다.

      • KCI우수등재

        독립신문의 국제정치관 연구 -19세기 자유주의적 국제주의의 영향을 중심으로-

        정종원 한국사연구회 2023 한국사연구 Vol.- No.202

        The Independent (Tongnip Sinmun) is very important in modern Korean history. Therefore, previous studies have accumulated research results on The Independent’s perceptions of the international situation and their views on international politics. In the previous studies, The Independent was considered to have made contradictory claims that they viewed the international community as in the order of the law of the jungle, but did not rely on international law or pay attention to strengthening the national defence. However, this phenomenon is due to the fact that The Independent embraced liberal internationalism, which was popular in the Anglo-American world in the 19th century. Liberal internationalism holds that the international community should be governed by law, not force. In the 19th century, there were no institutions yet to judge and enforce international law, so liberal internationalism sought to rely on the power of international public opinion to enforce international law. The idea was that if an aggressor state appeared, international public opinion would trigger collective security and control the aggressor state. The Independent's view of international politics was almost identical to this liberal internationalism. The independent believed that the international society was controlled by international law and international public opinion. Therefore, from The Independent's point of view, the threat to Korea's independence did not depend on the military power of foreign powers, but on whether international public opinion would support Korea's independence. Therefore, The Independent believed it was important to improve civilization to win the favour of international public opinion rather than strengthen military power. The Independent's view of international politics was logically consistent and provided legitimacy to The Independent's domestic reform theory, the civilization theory.

      • KCI등재

        Currents of Christian Internationalism: The International Missionary Council and the YMCA’s Rural Reconstruction in Colonial Korea

        Yeonseung Lee 한국교회사학회 2021 韓國敎會史學會誌 Vol.60 No.-

        1920년대 한국 농촌을 위한 YMCA와 국제선교사협회의 협력은 계급 이데올로기 혁명을 기획하는 국제공산주의, 정치군사적 통제를 모색하는 제국주의, 또한 상업적 착취를 통한 경제적 부의 확장을 추구하는 강대국 민족주의와 구별되며, 본질적으로 민족의 상호협력과 인류애라는 보편가치를 추구한 기독교세계주의이다. 서구 선교사들은 교회와 국가의 역할을 구별 하는 파송 국가의 정부정책에 순응했지만 국제선교사협회는 거시적인 틀에서 한국의 민족주의자들과 협력하며, 식민정부의 주요 착취대상인 한국의 농부를 위해 종교적, 과학적, 물질적, 인적자원의 국제적 재배치를 총괄 함으로 여타 국제적 흐름과의 차별성을 시사한다. 국제선교사협회는 민족과 인종의 경계를 초월하는 기독교세계주의를 추구했는데, 한국의 농부를 위한 이러한 연대성은 세속국가의 외교경쟁이 가져온 한계에도 불구하고 초국가적 보편가치를 추구하는 중요한 국제주의의 흐름으로 포착된다. 국제선교사협회의 예루살렘대회는 한국의 다양한 교회기관이 교회 자체의 생존에 대한 관심을 넘어 사회병리적 문제의 해결을 위한 범교단적 협력과 기독교 농촌연구회의 조직을 고무했으며 태평양문제연구소로 하여금 한국 학자의 토지문제연구를 지원할 토대를 마련하였다. 또한 대한민국공화국의 토지개혁을 구상할 정부 요원에게 현장지식과 훈련기회를 제공했다. 제국 주의에 관한 거시적 이론을 넘어 구체적인 YMCA농촌운동에 참여하는 국제선교사협회의 활동에 대한 면밀한 자료의 검토는 기독교세계주의가 한국의 민족주의를 폄훼하기 보다 도리어 약소국의 민족역량을 강화하는 자양분으로 작동했음을 입증한다. 한국 YMCA농촌운동과 국제선교사협회의 협력을 연구함에 한국의 민족주의 틀을 넘어서, 일본 식민주의, 피압박민의 민족주의를 대체하며 활동한 국제공산주의, 강대국의 제국주의와 구별되는 기독교 세계주의의 취급이 요청된다. The trajectories of international currents surrounding the Korean peninsula in the 1920s reveal the distinction of Christian internationalism that the IMC sought to implement for the Korean YMCA’s Rural Reconstruction. Amid the deluge of international currents of colonialism and communism, the IMC in partnership with the YMCA’s Korean nationalists crafted a history of international interactions in its nation-wide enterprise for village farmers under the stringent restraint of the colonial government, which demonstrate that the IMC’s internationalism did not exactly fit in the framework of expansionist imperialism or unfettered commercialism. Western missionaries maintained the overall stance of a church-state separation, but the IMC orchestrated the international transmission of religious, intellectual, and material resources for empowering Koreans and rejuvenation of the village life that had been systematically exploited by the colonial government. Through this engagement, the IMC displayed its distinctive characteristics of Christian internationalism expressing disinterested benevolence and alliance transcending national and racial boundaries, which may not be a full-fledged alliance with Koreans, yet too significant to be negligible. The Jerusalem Meeting stimulated the native cooperation among disparate ecclesial entities, organization of the Christian Rural Research Association led by Cho Mansik, and scientific research on agricultural problems and land usage by Lee Hoonkoo under the aegis of the Institute of Pacific Relation. It further provided an opportunity and field knowledges to cultivate a key official A.C. Bunce to prepare a land reform proposal for the newly established Republic of Korea. Not the grand theory of imperialism, but the micro investigation of the detailed process reveals that Christian internationalism in the case of colonial Korea operated not to undermine, but to undergird nationalism.

      • Religion and American Public Attitudes on War and Peace

        ( James L Guth ) 서울대학교 통일평화연구원 2013 Asian Journal of Peacebuilding Vol.1 No.2

        In recent years, scholars have discovered that the American public responds to foreign policy issues on the basis of fairly stable broad orientations toward international affairs, influenced by a number of demographic, ideological, and partisan factors. Although there has been much recent speculation about the role that religion plays in shaping such orientations, there are very few empirical analyses of that influence. In this article, I use the 2012 Chicago Council on Global Affairs survey to classify American religious groups on Wittkopf`s (1990) classic dimensions of foreign policy attitudes: militant internationalism and cooperative internationalism. I find rather different religious constituencies for each perspective, with Evangelical Protestants and religious traditionalists from other faiths most supportive of militant internationalism, while ethnoreligious minorities and religious modernists are most likely to back cooperative internationalism.

      • Religion and American Public Attitudes on War and Peace

        Guth, James L. 서울대학교 통일평화연구원 2013 Asian Journal of Peacebuilding Vol.1 No.2

        In recent years, scholars have discovered that the American public responds to foreign policy issues on the basis of fairly stable broad orientations toward international affairs, influenced by a number of demographic, ideological, and partisan factors. Although there has been much recent speculation about the role that religion plays in shaping such orientations, there are very few empirical analyses of that influence. In this article, I use the 2012 Chicago Council on Global Affairs survey to classify American religious groups on Wittkopf 's (1990) classic dimensions of foreign policy attitudes: militant internationalism and cooperative internationalism. I find rather different religious constituencies for each perspective, with Evangelical Protestants and religious traditionalists from other faiths most supportive of militant internationalism, while ethnoreligious minorities and religious modernists are most likely to back cooperative internationalism.

      • KCI등재

        중국의 교민정책에 대한 재 고찰 -건국 초기 중국공산당의 “무산계급 국제주의” 관점을 중심으로

        최승현 한국동북아학회 2018 한국동북아논총 Vol.23 No.2

        The studies of overseas Chinese policy generally included the following contents: Overseas Chinese was the main capacity for the national development of China; The Chinese government pursued a policy to protect the overseas Chinese; The so-called “peaceful coexistence” foreign policy of the 1950s and the principle of non-dual nationality was a consideration for diplomatic development with the Southeast Asian nation and the survival and development of the overseas Chinese; The “Cultural Revolution" was a error that entirely destroyed China's efficient policy of the overseas Chinese; “Reform and openness” has restored the past China's overseas Chinese policy. However, at the time, the overseas Chinese of Southeast Asia had a chaotic history that was quite different from the above systematic contents: China once praised their “patriotism" by actively utilizing overseas Chinese for “revolution export"; Also, China once rejected the “patriotism" of Chinese overseas and demanded that it loyal to the local country instead; Even China attacked the overseas Chinese as “Agent of the bourgeoisie" and turned back to the suffering of overseas Chinese. The difference between the research on the overseas Chinese problem and the actual situation is that the study on the overseas Chinese problem has ignored (or intentionally ignored) the “proletarian internationalism" route of the Chinese Communist Party. The “revolution export" based on the “proletarian internationalism" was officially abolished in 1978. This means that the overseas Chinese policy from the establishment of the People's Republic of China until 1978 was dominated by the “proletarian internationalism". Therefore, this study examines the process of change in the China's overseas Chinese policy and their main features, and confirms that this policy was dominated by the “proletarian internationalism" route. 그간 중국의 교민정책에 관한 연구는 주로 다음의 내용을 품고 있다. 즉 화교는 줄곧 중국의 국가발전을 위한 주요역량이었다; 건국 이래 중국정부는 화교의 권익을 보호하기 위한 정책을 추진하였다; 이른바 50년대의 “평화공존” 외교정책및 이중국적 불허 방침은 동남아 국가와의 외교발전 및 이를 통한 화교의 생존 및 발전을 위한 고려였다; “문화대혁명”은중국의 효율적 교민정책을 전면적으로 파괴한 극좌적 오류였다; “개혁개방”을 통해 과거의 교민정책이 회복되었다. 그런데 당시 동남아 각지의 화교는 위 평가와는 사뭇 다른 중국의 요구에 따라 질곡의 역사를 경과하였다. 즉, 한때 중국은 화교를 “혁명수출”에 적극 활용하면서 그들의 조국을 향한 “애국”을 칭송하였다; 또 한때 중국은 화교의 “애국”을 거부하고, 대신 현지 국가에 충성하라고 강박하였다; 심지어 중국은 화교를 “자산계급의 대리인”이라 부정하고, 화교의 수난을 방임, 혹은 조장했다. 중국 교민정책에 대한 연구와 실제 상황 사이의 충돌은 중화인민공화국에 대한 중국공산당의 지배구도 및 중국공산당의 “무산계급 국제주의” 노선을 간과(혹은 고의적으로 외면)하고, 오직 중화인민공화국이라는 국가이익의 관점에서 교민정책을 살핌으로서 야기된 불가피한 결과이다. “무산계급 국제주의”, 특히 이에 따른 “혁명수출”은 1978년 공식적으로 폐기되는데, 이는 곧 중화인민공화국 성립이후부터 1978년 이전까지의 중국 교민정책이 “무산계급 국제주의”에 의해 지배되었음을 의미한다. 이에 본 연구는 “문화대혁명” 이전 중국공산당이 생산한 관련문헌에 관한 분석을 중심으로 교민정책의 변화과정 및 그주요 특징을 검토하고, 이를 통해 당시 중국의 교민정책이 “무산계급 국제주의” 노선에 지배되고 있었음을 규명하였다.

      • KCI등재

        사회민주적 국제주의에서 민중주의로 - 1920년대 초반 민주주의 개념의 이념적 원천과 의미 변화 -

        홍철기 한림대학교 한림과학원 2022 개념과 소통 Vol.- No.30

        This article examines the concept of democracy, or minchuchu-ŭi, as it appeared in newspapers such as Donga Ilbo during the early 1920s. Before this, democracy had been mostly seen as a liberal idea which right-wing nationalists adopted for their brief idealist period. Applying the conceptual-historical approach, however, reveals some gaps in the current understanding. First, minchuchu-ŭi was likely chosen to compete with minponchu-ŭi (from the Japanese: minponshugi), a slogan originating in Japan which denoted a liberal compromise between imperialism and domestic social reform. Second, minchuchu-ŭi was used synonymously for domestic socialism and also for pacifist internationalism. The latter ideology originated with the British social-democrats and post-WWI internationalism. This democratic peace doctrine posited democracy as an alternative to the kind of global warfare which mankind had recently endured, as well as to the imperialism which was seen as largely responsible. Third, minchuchu-ŭi was associated with minchungchu-ŭi, or populist nationalism, a current of which survived even after the retreat of internationalism, protesting against the rule of professional politicians, referred to as the philosopher-kings. 이 연구는 1920년대 동아일보를 중심으로 한 언론지상에 나타난 민주주의 개념을 다룬다. 이전까지 이 개념은 우파 민족주의 독립운동이 비교적 짧은 이상주의적 국면에서 채택한 자유주의적 관념으로 이해되었다. 반면 이 연구는 개념사의 방법론을 통해 이전 연구가 간과한 다음의 측면을 강조한다. 첫째, 민주주의는 일본에서의 제국주의와 사회개혁 사이의 자유주의적 타협을 상징하는 민본주의와의 차별성을 목표로 하는 번역어 채택 전략의 산물일 가능성이 있다. 둘째, 민주주의는 이 시기에 국내에서의 사회주의와 평화적 국제주의 모두와 동의어였는데, 이러한 특징은 민주주의를 세계대전과 제국주의 모두에 대한 대안으로 제시한 영국 사회민주주의의 전후 국제주의 내지는 일종의 민주평화론에서 이 개념이 유래했기 때문이다. 셋째, 민주주의는 민중주의와 연관되었는데, 이러한 특징은 국제주의가 퇴조한 이후에도 유지되었고, 그 주요 반대 개념은 제한선거, 철인정치, 그리고 직업정치가에 의한 통치였다.

      • Propaganda of Nationalism or Internationalism? ―An Exploration of the CCP’s Nationalist Propaganda in the Early 1930s and Its Implication on China’s Participation in the Korean War

        Sanjiao Tang 동서대학교(동아시아연구원) 2023 동아시아와 시민 Vol.4 No.-

        이 논문은 1930년대 초부터 시작된 중국 공산당(CCP)의 민족주의 선전 전략을 재검토한다. 중국 공산당과 붉은 군대가 장제스 정권에 맞서 치열한 전투를 벌였음에도 불구하고, 자료에는 1930년대 전반에 민족주의를 장려하는 데 집중된 중국 공산당의 선전이 드러난다. 한편으로, 일본의 침략은 중국 공산당의 민족주의에 초점을 맞춘 선전을 맥락화하여 당시 중국 합법 정부와의 투쟁을 거의 합리화했다. 반면, 중국 공산당이 민족주의를 강조하는 것은 소련을 수호하려는 목표와 밀접하게 연결되어 있었다. 국제주의와 민족주의를 동시에 외치는 것은 역설적이다. 그러나 역설에도 불구하고 민족주의 경향과 국제주의를 혼합한 중국 공산당의 선전은 20년 후 중국의 한국 전쟁 참전을 예고했으며, 이는 1930년대 초 중국의 선전 전략에 따르면 놀라운 일이 아니었다. This paper revisits the Chinese Communist Party (CCP)’ s propaganda strategies on nationalism originating from the early 1930s. Despite that the CCP and the Red Army were locked in a bitter battle against Chiang Kai-shek’s regime, materials expose the CCP’s propaganda in the first half of the 1930s concentrated on promoting nationalism. On the one hand, the Japanese invasion contextualized the CCP’s nationalismfocused propaganda, almost rationalizing its struggle with China’s legal government at that time. On the other hand, the CCP’s emphasis on nationalism was closely linked to the goal of guarding the Soviet Union. It was paradoxical to trumpet internationalism and nationalism at the same time. Despite the paradox, however, the CCP’s propaganda blending nationalist trend with internationalism has foreshadowed China’s entry into the Korean War two decades later, which was not surprising according to its propaganda strategies from the early 1930s.

      • KCI등재

        1920년대 후반 동아시아 프롤레타리아 국제주의의 세 감각 : 우치노 겐지, 나카노 시게하루, 임화의 1929년을 중심으로

        한상철(Han Sang-chul) 어문연구학회 2020 어문연구 Vol.103 No.-

        1929년 2월과 5월 도쿄에서 발표된 나카노 시게하루의 「비 내리는 시나가와 역」과 9월 경성에서 발표된 임화의 「우산 받은 요꼬하마 부두」는 동아시아 프롤레타리아 국제주의의 문학적 발현을 보여주는 대표적인 사례로 평가되어왔다. 그런데 같은 해 8월, 조선에서 일본으로 추방당했던 시인 우치노 겐지가 유사한 주제의식을 담은 「조선이여」라는 작품을 발표했던 사실은 이제까지 큰 주목을 받지 못했다. 세 시인의 작품은 주제의식은 물론 구성방식과 시적 수사의 활용에서도 유사한 모습을 보이지만, 동시에 각자의 개성을 오롯이 품고 있어 아류나 모방 관계로 보기 어려운 차별성을 지닌다. 이런 맥락에서 1929년 전후 우치노 겐지의 문학사적 의미망을 복원하는 작업은 1920년대 후반 조선과 일본에서 이루어진 사회주의 운동이 당시 문학장에 새긴 가능성의 구체적 현실태와 그 확장 가능성을 확인하는 소중한 계기로 삼을 수 있다. 이 글의 지향은 한국과 일본 문학사에서 소외되었던 시인 우치노 겐지가 프롤레타리아 시인으로 전환되는 사정을 당시 동아시아 프롤레타리아 국제주의의 발현과 연계하여 살피려는 것이다. 이를 위해 시인이 조선에서 추방당한 이후의 체험이 담긴 작품을 텍스트로 삼되 그 의미의 결을 구체화하기 위해 나카노 시게하루와 임화의 동시기 작품을 대칭적으로 고찰하고자 한다. 「Rainy Shinagawa Station」 of Shigeharu Nakano announced in Tokyo in February 1929 and 「Yokohama Pier which received the umbrella」 of Hwa Im announced in Gyeongseong in September, are representative literary works that embody the internationalism of East Asia s proletariat. However, in August of the same year, Kenji Uchino, a poet who was deported from Joseon to Japan, published a work called 「Joseonyeo」, which contained a similar sense of subject matter. The works of the three poets show similar aspects in terms of subject consciousness, composition style and investigation law. However, the three pieces have their own individuality, which makes them hard to call imitation. In this context, restoring the literary historical meaning of Kenji Uchino around 1929 serves as an opportunity to confirm the influence of the socialist movement in Joseon and Japan in the late 1920s on the literary arena at that time. The article seeks to look into the circumstances of Kenji Uchino s transformation into a proletarian poet, which was not dealt with in the history of Korean and Japanese literature, in conjunction with the manifestation of East Asian proletarian internationalism. To this end, the poet will use a textual work on his experiences after being deported from Joseon. In addition, to embody its meaning, we will consider works by Shigeharu Nakano and Hwa Im symmetrically.

      • KCI등재

        루즈벨트와 미국의 국제주의로의 전환: 국내외 상황, 여론, 리더십

        손병권(Byoung-Kwon Sohn) 연세대학교 동서문제연구원 2007 동서연구 Vol.19 No.1

        제2차 세계대전 참전을 통해 미국이 국제주의로 전환한 데에는 무엇보다도 국내외적 상황과 여론을 정확히 읽고 조심스럽게 국제주의의 경로로 유도해 간 루즈벨트 대통령의 리더십이 주효했다. 이 글은 미국을 국제주의로 이끈 국제적 상황을 세 개의 시기로 구분하여 개관하면서 이러한 상황에서 여론의 동향변화를 설명하고, 동시에 이를 적절한 방향으로 유도할 수 있었던 루즈벨트 대통령의 리더십에 대해서 서술해 보고자 한다. 이 글이 내용상 구분한 첫 번째 시기는 루즈벨트 대통령이 1932년 대통령에 당선된 이후 1937년에 이르기까지의 시기로서, 대체로 미국이 국제문제, 특히 유럽의 문제에 대한 불개입 정책을 고수한 시기를 망라하고 있다. 두 번째 시기는 1937년 부터 1939년까지의 시기로서 대체로 미국이 독일의 공격을 제한하려는 노력을 보이 면서 동시에 총체적 개입이나 결정적 공약은 자체하는 단계로 파악된다. 마지막으로 1939년부터 1941년까지의 시기는 미국이 상존하는 고립주의적 정서에도 불구하고 마침내 외교정책으로서의 고립주의를 서서히 포기하면서 준전시 상황으로 진입하여 진주만 공격을 맞게 되는 상황에 이르는 기간이 다. 미국을 고립주의에서 국제주의로 이끈 루즈벨트 리더십은 국내외 상황을 적절히 활용한 기민하면서도 신중한 리더십이었다고 생각된다. 국내 여론의 고립주의 정서의 틀을 벗어나 성급하게 국제주의로 전환할 경우 나타날 수 있는 여론의 역풍을 고려하 여, 루즈벨트는 주어진 국내적 여건을 충분히 인지하면서도 이러한 한계 내에서 취할수 있는 대외정책 공약을 최대한 제공하였 다. 이는 결국 세계정세의 변화에서 절연된 상태로 미국의 안보와 국가이익이 보장될수 없다는 루즈벨트의 현실주의적 상황판단과 정치지도자로서의 여론감지능력이 적절히 조화되어 나타난 반응이었다. 그는 동시에 국제적인 상황의 변화나 미국의 국가이 익에 침해가 될 만한 상황이 나타나면 적극 적으로 여론의 반향을 탐색하면서 자신이 취할 수 있는 정책을 준비해 나갔고, 결정 적인 계기가 주어질 경우 준비된 정책이나 이니셔티브를 여론 및 정치엘리트들과 조율 하면서 정책 혁신을 위한 기회의 창으로 만들어 나갔다. It has been widely acknowledged that Franklin D. Roosevelt’s leadership played the prime role in getting the United States to break away from traditional isolationism and to participate in the World War Ⅱ. Given this premise, this article aims at describing the major characteristics of FDR’s presidential leadership, putting the international circumstances from 1933 through 1941 in perspective. FDR’s successful leadership was such a shrewd and prudent one that he was able to take full advantage of both international and domestic parameters. He was able to give limited but appropriate commitment to internationalism faced with German offensive in Europe and the Atlantic, while taking every effort to avoid the criticism of the public opinion and Congress on his internationalist tendency until the Japanese attack on the Pearl Harbor. FDR’s prudent path toward internationalism was a mixed outcome of his political realism that the national security of the United States could not be guaranteed without her active involvement and of his political sense that the active involvement in world affairs, in its turn, needed strong domestic public support as a prerequisit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