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학교 일과 중 지적장애학생과 비장애학생의 신체활동 수준 비교

        강유석 ( Yoo Seok Kang ),한동기 ( Dong Ki Han ) 한국특수체육학회 2010 한국특수체육학회지 Vol.18 No.4

        본 연구의 목적은 학교 일과 중 지적장애학생과 비장애학생의 신체활동 수준을 비교 분석하는 것이며, 이를 위해 대도시에 소재한 중학교에 재학 중인 지적장애학생 10명과 비장애학생 12명을 대상자로 선정하였다. 동작가속계(Actical monitor, Mini Mitter Co.)를 사용하여 학기 중 5일간 신체활동량을 측정하였으며,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첫째, 학과 일과 중 지적장애학생과 비장애학생의 총에너지소비량과 신체활동량 간에는 유의한 차이를 나타났다. 또한 지적장애학생의 경우, MVPA에 참여하는 시간도 상대적으로 적었으며, 많은 시간(67.2%)을 앉아서 보내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학교 일과 중 시간대별 대상자들의 신체활동량과 강도별 활동시간을 비교한 결과를 보면, 쉬는시간에는 지적장애학생의 비활동 시간이 비장애학생에 비해 유의하게 많이 나타났다. 점심시간의 경우 신체활동량과 비활동 시간, 저강도 활동에서 지적장애학생과 비장애학생 간에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체육시간에는 지적장애학생이 비장애학생에 비해 비활동시간이 현저하게 많았으며, 전체적인 신체활동량과 총에너지소비량, 중강도 활동은 유의하게 낮게 나타났다. 셋째, 지적장애학생은 쉬는시간과 점심시간, 체육시간 간에 MVPA(Moderate and Vigorous Physical Activity)에 참여한 시간의 차이가 크지 않았으나, 비장애학생은 체육시간에 MVPA에 참여하는 시간이 쉬는시간이나 점심시간에 비해 높게 나타났다. 넷째, 체육수업 중 지적장애학생의 MVPA 참여 비율은 미국의 USDHHS(2000)와 COPEC(1998)이 제시한 권장 기준에 미달되지만, 비장애학생은 대체로 충족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 The purpose of the study was designed to analyze school time physical activity levels of middle school students with and without intellectual disability. 10 students with and 12 without intellectual disability in middle school located in metropolitan area were selected for data collection. Physical activity was measured for consecutive 5 days by accelerometer(Actical monitor, Mini Mitter Co.). The results obtained from this study were as follow. First,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students with and without intellectual disability in total energy expenditure(kcal/day) and physical activity level(counts/day) during whole school time. Students with intellectual disability spent a lower proportion of time in MVPA during school time. Second, students with intellectual disability engaged significantly more time in sedentary activity during recess.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students with and without intellectual disability at physical activity level, sedentary activity time, and light activity time during lunch time. Students with intellectual disability spent more time in sedentary activity during Physical Education(PE) compared to those without intellectual disability. Third,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among recess, lunch time, and PE in MVPA of students with intellectual disability. However, students without intellectual disability had a higher proportion of MVPA in PE compared to recess and lunch time. Fourth, the proportion of time in MVPA of students without intellectual disability during PE meet the guidelines from USDHHS(2000) and COPEC(1998), however those of with intellectual disability did not.

      • KCI등재

        지적장애아동의 균형감각조절임상검사(CTSIB)와 안정성 한계에 대한 연구

        이형수(Hyoung Soo Lee),송병호(Byung Ho Song) 한국사회체육학회 2010 한국사회체육학회지 Vol.0 No.39

        This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provide the basic data of the physical rehabilitation for the children with intellectual disability by designing new framework of the features of postural control for the children with intellectual disability. The study intended to find out the limitation of motor system by estimating the postural stability with performing the cognitive motor task and to provide the features of postural control of the children with intellectual disability by measuring the onset times and orders of muscle contraction of neuron-muscle. The subjects were 60 children including 30 normal children and 30 intellectually disabled children. To measure the features of postural control, CTSIB test, stability limitation test and postural control strategy test were conducted. The result of experiment is as followed. First, the children with intellectual disability showed different feature in using sensory system to control posture. The normal children tended to depend on somato-sensory rather than vision and showed a stable postural control toward a sway stimulus on somato-sensory system. The children with intellectual disability tended to use vision, and showed a very instable postural control toward a sway referenced vision or a sway stimulus on somato-sensory system. First, the children with intellectual disability showed different feature in using sensory system to control posture. The normal children tended to depend on somato-sensory rather than vision and showed a stable postural control toward a sway stimulus on somato-sensory system. The children with intellectual disability tended to use vision, and showed a very instable postural control toward a sway referenced vision or a sway stimulus on somato-sensory system. Second, the children with intellectual disability showed a narrower range of the limitation in stability related to postural control relatively to the normal children. The normal children are well developed postural control in every direction; forward, backward, inward and outward in symmetric form. However, the children with intellectual disability showed the limitation of stability in every direction; in particular, inward and outward. Third, as for the onset times and orders of muscle contraction for the strategies of postural control when there is an exterior physical stimulus, the children with intellectual disability showed a relatively delayed onset time of muscle control. As for the onset orders of muscle contraction, it started from muscles near coax then moved to the muscles near ankle joint which the children with intellectual disability showed more muscles activation than normal children. From the results of the experiments, the special feature of the postural control of the children with intellectual disability was that they showed a higher dependence on vision in sensory system and a difficult usage of sensory integration for postural swayed sensation in upper level of central nerve system.

      • KCI등재

        지적장애가 있는 사람의 의사능력에 대한 판단 기준과 경계선급 지능장애가 있는 사람에 대한 낙인효과에 대하여 - 대법원 2022. 5. 26. 선고 2019다213344 판결에 대한 평석을 중심으로

        박철홍 사법발전재단 2024 사법 Vol.1 No.67

        종래 대법원은 행위자에 따라 그 의사능력 존부의 판단 기준을 특별히 달리하지 않고 ‘구체적인 법률행위와 관련하여 의사능력의 유무를 개별적으로 판단해야 한다.’고 판시해 왔고, 행위자가 ‘법률행위의 일상적인 의미뿐만 아니라 그 법률적인 의미나 효과에 대하여도 이해할 수 있었는지 여부’를 그 판단의 주된 기준으로 삼아왔다. 평석 대상판결은 지적장애가 있는 사람을 보다 강하게 보호해야 한다는 전제에서 지적장애가 있는 사람에 대하여는 외관이나 피상적인 언행만을 근거로 그 의사능력을 쉽게 인정해서는 안 되고, ① 그 지적장애의 정도와 ② 법률행위의 구체적인 내용과 난이도 및 그에 따라 부과되는 책임의 중대성은 물론 ③ 법률행위가 이루어지게 된 동기나 경위 등에 비추어 그 의사결정이 합리적이라고 보기 어려운 사정이 존재하는지 등을 고려하여 그 의사능력의 존부를 판단해야 한다고 하여 그 판단 기준을 구체화하였다. 평석 대상판결이 추구한 ‘지적장애가 있는 사람의 보호’라는 가치는 법관을 포함한 사회 구성원 모두가 전심으로 추구해야 하는 가치이므로 평석 대상판결의 기본적인 입장에 전적으로 동의한다. 다만 평석 대상판결의 법리를 적용하는 과정에서 그 법리를 지적장애가 있는 모든 사람에게 동일한 수준으로 적극적으로 적용하게 되면, 현재 성년후견제도, 한정후견제도에 관하여 제기되고 있는 피후견인에 대한 낙인효과의 문제가 교육을 통하여 얼마든지 사회적·직업적·경제적 활동을 할 수 있는 경계선급 지능장애가 있는 사람에게도 발생할 수 있다. 경계선급 지능장애가 있는 사람에 대하여는 보호적 관점에 무게를 둔 후견적 간섭만이 능사가 아니고, 그들을 부조함으로써 가능한 범위 내에서 그들이 자립해 사회 구성원으로서 주체적인 삶을 살아갈 수 있도록 하는 것을 목표로 삼아야 한다. 따라서 특히 경계선급 지능장애가 있는 사람에 대하여는 평석 대상판결의 법리를 신중하게 적용해야 하고, 평석 대상판결에서 의사능력 존부 판단의 핵심 기준인 ‘행위자가 해당 법률행위의 법률적인 의미·효과도 이해할 수 있었던 것으로 평가되는지 여부’를 판단함에 있어 고려요소로 삼은 ① 행위자에 관한 일반적 요소, ② 법률행위에 관한 일반적 요소, ③ 법률행위에 관한 개별적 요소 외에 ④ 행위자에 관한 개별적 요소로 ‘해당 법률행위에 대한 행위자의 사전 경험, 사전 지식 등의 존재 여부 및 그 정도’도 고려되어야 한다. Previously, the Supreme Court of Korea, which did not specifically vary the standard for determining the presence or absence of mental capacity depending on the actor, ruled that “the presence or absence of mental capacity should be determined individually in relation to the specific legal act” and that has considered “whether the actor was able to understand not only the everyday meaning of the legal act but also its legal meaning or effect” as the main standard of such judgment. The Subject Case viewed that mental capacity should not be easily recognized on the sole basis of appearance or superficial words and actions in relation to those with intellectual disability on the premise that people with intellectual disability must be more strongly protected and specified the standard of judgment by viewing that whether the person has the mental capacity should be determined in consideration of whether there are circumstances that make it difficult to view the decision as being reasonable in light of the following matters: ① the degree of the intellectual disability; ② the specific content and difficulty of the legal act and the gravity of the responsibility imposed according thereto; and ③ the motive or circumstances in which the legal act was performed. “Protecting people with intellectual disability”, which is the value pursued by the Subject Case, should be pursued wholeheartedly by all members of society including judges, and thus I fully agree with the basic position of the Subject Case. However, in the process of applying the legal principles of the Subject Case, if the legal principles are actively applied to all people with intellectual disability at the same level, the problem of the stigmatization effect that is currently being raised with respect to the adult guardianship system and limited guardianship system can also occur in relation to people with borderline intellectual disability who may engage in social, occupational, and economic activities through education. People with borderline intellectual disability should be allowed to become independent and lead independent lives as members of society by giving them assistance to the extent possible, not through guardianship intervention with an emphasis on protection. Therefore, the legal principles of the Subject Case must be carefully applied, especially to people with borderline intellectual disability, and whether a person with borderline intellectual disability has mental capacity should be determined after comprehensively taking into account not only the following matters such as ① general factors regarding the actor, ② general factors related to the legal act, and ③ individual factors related to the legal act, which have been considered in determining “whether the actor may be assessed to have been able to understand the legal meaning and effect of the relevant legal act,” which is the main standard of determining the presence or absence of mental capacity in the Subject Case, but also ④ “the existence and extent of the actor’s prior experience and prior knowledge regarding the relevant legal act” as individual factors related to the actor.

      • KCI등재

        지적장애와 심리적 외상 - 지적장애인의 ‘특징적’ 행동에 대한 새로운 시선

        채기화 한국장애인복지학회 2016 한국장애인복지학 Vol.- No.31

        It is found that people with intellectual disabilities are more inclined to have mental issues than people without handicap. In addition to the circumstances that they are usually treated differently and left out, they live in an environment where they face ordeals such as violence and that might cause them trauma. The mental health of people with intellectual disabilities, however, has rarely been considered among the special education or rehabilitation field. Their behavioral and emotional changes are considered to be the typical symptoms of their disabilities, not the results their stressful situations. Such limited recognition of intellectual disabilities may threaten their mental health again. This study examines the correlation between the traumatic life of the people with intellectual disabilities and their ‘typical’ behaviors. The study further discusses what kind of attitude is needed for the caretakers who are looking after the people with intellectual disabilities. According to the study, there are many dangerous factors that can cause trauma for people with intellectual disabilities in their surroundings. So-called ‘typical’ behaviors of people with intellectual disabilities such as aggressive behavior, self-injury, depression, and helplessness are very similar to the neurophysiological reactions of trauma. Therefore, the caretakers who are looking after the people with intellectual disabilities must understand the context of their life to engage with their emotions and behaviors. The caretakers are also needed to be more sensible to traumas so they can empathize with the expression of internal agony of people with intellectual disabilities and change the causes of their traumas. That way the caretakers can alleviate their mental sufferings. 지적장애인들은 비장애인들보다 정신적인 문제를 갖게 될 위험이 매우 높은 것으로 나타난다. 지적장애인들은 일상적으로 경험하는 차별과 배제 외에도 폭력을 비롯한 여러 위험이 잠재되어 있는 환경에서 살고 있다. 그러나 이들의 정신건강은 이제까지 장애 관련 분야에서조차 별다른 관심의 대상이 되지 못했다. 지적장애인이 보이는 행동과 정서의 변화는 스트레스 상황의 결과로 받아들여지지 않고 단지 지적장애의 ‘증상’으로 인식되는 경향이 강하다. 지적장애에 대한 이러한 제한된 인식은 다시금 지적장애인의 정신건강을 위협하는 결과를 낳게 된다. 이에 이 연구에서는 지적장애인의 외상적 삶의 상황과 그들에게서 나타나는 ‘특징적’ 행동의 연관성을 조명해보고, 이에 의거해서 지적장애인들을 돌보는 사람들에게 요구되는 태도를 논의하고자 하였다. 연구결과 지적장애인의 생활환경에는 외상이 될 수 있는 다양한 위험요인들이 편재되어 있다. 또한 외상경험에 따른 신경생리적 반응은 우리가 일반적으로 지적장애인의 ‘특징적’ 행동과 정서라고 이해하는 타인에 대한 공격행동, 자해행동, 우울, 무기력 등과 매우 유사하다. 이런 결과를 놓고 볼 때 지적장애인들을 돌보는 사람들이 지적장애인들의 정서와 행동에 다가가기 위해서는 반드시 이들의 삶의 맥락을 이해해야 한다. 아울러 외상에 대한 감수성을 높여 지적장애인들의 내적 고통의 표현에 공감하고 외상요인을 변화시킬 수 있어야 이들의 정신적 고통을 완화시킬 수 있을 것이다.

      • 통합교육 상황에서 지적장애아동의 자아개념 형성을 위한 심성계발 프로그램의 효과에 대한 질적 연구

        민천식,오재석 한국발달장애학회 2007 발달장애연구 Vol.11 No.2

        본 연구는 통합교육 상황에서 심성계발 프로그램이 지적장애아동의 자아개념에 미치는 효과를 밝히려는 질적 연구로써, 경주시 Y초등학교 2학년과 4학년에 재학 중인 지적장애아동 3명을 대상으로, 7주간 주 2회 총 13회기에 걸쳐 실험하였으며, 자료처리는 각 목표 행동에 대해 회기별로 관찰된 대상 아동의 행동변화를 회기별 질적 분석 내용 기록표로 제시하였고, 이를 각 아동별로 프로그램 적용 초기, 중기, 후기로 나누어 질적 분석한 결과,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을 수 있었다. 첫째, 통합교육 상황에서 심성계발프로그램은 지적장애아동의 학업적 자아개념을 향상시키는데 효과적이다. 둘째, 통합교육 상황에서 심성계발프로그램은 지적장애아동의 사회적 자아개념을 향상시키는데 효과적이다. 셋째, 통합교육 상황에서 심성계발프로그램은 지적장애아동의 신체적 자아개념을 향상시키는데 효과적이다. 넷째, 통합교육 상황에서 심성계발프로그램은 지적장애 아동의 정서적 자아개념을 향상시키는데 효과적이다. The conclusion derived from the result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ly, the mind-developing program with peer in inclusion is efficient to improve the scholastic self-concept of children with Intellectual Disability. Those Intellectual Disability, who felt a sense of inferiority on their learning ability, seemed like to improve their scholastic self-concept by becoming interested in what they learned, gaining confidences in their ability, and becoming affirmative on their learning abilities. Secondly, the mind-developing program with peer in inclusion is efficient to improve the social self-concept of children with Intellectual Disability. Those Intellectual Disability, who were not well integrated with their parents, teachers, and friends, seemed like to improve the social self-concept by getting on very well with other same-aged friends, satisfying with the relationships with their teachers, and thinking their parents love them. Thirdly, the mind-developing program with peer in inclusion is efficient to improve the physical self-concept of children with Intellectual Disability. Those Intellectual Disability, who were not confident of their body, appearance, and kinesthesia, seemed like to improve the physical self-concept by becoming satisfied with their body and appearance and positively participating in a physical exercising class. Lastly, the mind-developing program with peer in inclusion is efficient to improve the emotional self-concept of children with Intellectual Disability. Those Intellectual Disability, who used to be too cautious, behaved capriciously, and were lack of self-confidence, seemed like to improve the emotional self-concept by delighting in exposing themselves to public and enjoying their school life through the minddeveloping program.

      • KCI등재

        지적장애 청소년을 대상으로 한 특수교사의 성교육 실태분석: (2005-2014년의 연구를 중심으로)

        박근필 ( Keun Pil Park ),이영철 ( Young Chul Lee ) 한국지적장애교육학회(구 한국정신지체아교육학회) 2015 지적장애연구 Vol.17 No.4

        본 연구의 목적은 최근 10년간(2005년부터 2014년까지) 지적장애 청소년을 대상으로 성교육을 실시하고 있는 특수교사의 성교육에 대한 인식 및 실태에 관련된 연구들을 분석하였다. 이를 위해 총 14편의 선행연구를 선정하여 분석하였으며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지적장애 청소년들이 보이는 성행동 특성 중 빈도가 높은 것은 타인 만지기, 자위행위, 옷벗기이며, 지적장애 청소년들의 성 관련 질문 및 요구도, 성지식에서 높은 빈도를 나타내는것은 신체 구조와 변화, 결혼과 결혼 생활이다. 둘째, 지적장애 청소년을 가르치는 특수교사가 생각하는 성교육 실시 목적에서 빈도가 높은 것은 부적절한 성행동 감소, 성의식ㆍ성윤리 습득이고, 특수교사들은 지적장애 청소년들의 성적 권리로 성적으로 이용당하지 않을 권리, 사회적ㆍ성적 행동에서 교육ㆍ훈련 받을 권리, 사회적으로 허용된 성을 표현할 권리, 자신의 개인적 사생활을 가질 권리로 다양하다. 셋째, 지적장애 청소년에 대한 성교육 내용에서 빈도가 가장 높은 것은 성폭력 예방과 대처, 성역할의 특징과 차이점(양성평등 포함), 임신과 출산ㆍ양육이고, 성교육 자료로는 슬라이드ㆍ비디오ㆍ영화가 가장 많은 빈도를 차지한다. 넷째, 지적장애 청소년에게 성교육을 실시할 때 어려운 점에서 가장 빈도가 많은 것은 교사 자신이 내용과 방법을 몰라서이다. 다섯째, 성교육 개선방안으로 전담교사 확보 및 배치, 교사 연수 기회의 확대가 가장 많은 빈도가 나타났다. 본 연구결과에 근거하여 후속연구를 위한 제언이 논의되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researches on the present condition and recognition of teachers on sex education who are conducting the sex education on adolescents with intellectual disability for the past 10 years. To this end, this study selected total 14 precedent studies and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among sex behavior characteristics of adolescents with intellectual disability, to touch others, masturbation, and to take clothes off showed highest frequency among sex behavior characteristics of adolescents with intellectual disability, and physical structure, physical changes, marriage, and married life showed high frequency in questions related to sex, demand, and sexual knowledge of adolescents with intellectual disability. Secondly, reduction in inappropriate sexual behavior and acquisition of sexual consciousnessㆍsexual ethics showed high frequency in purpose of sexual education conducted by teachers of adolescents with intellectual disability, and teachers considered privilege against to be used sexually, right to receive education and training for social and sexual behavior, right to express socially acceptable sex, and right to have personal private life as the sexual right of adolescents with intellectual disability. Thirdly, contents that showed highest frequency in sexual education of adolescents with intellectual disability were prevention and coping methods for sexual violence, characteristic and differences of the gender role(including gender equality), pregnancy, childbirth, and rearing of children, and slide, video, and film showed highest frequency for materials of sexual education. Fourthly, for difficulty in conducting the sex education to adolescents with intellectual disability, teachers not having knowledge in contents and method showed highest frequency. Fifthly, procurement and placement of responsible teachers and expansion of teacher training opportunity showed highest frequency for the improvement plan of sex education. Suggestions for a follow-up study were discussed based on the research results.

      • KCI등재

        이모티콘 이해 및 표현에 관한 연구: 지적장애 성인을 대상으로

        김화수 ( Kim Wha-soo ),이지우 ( Lee Ji-woo ),김소정 ( Kim So-jung ),김한얼 ( Kim Han-eul ),신수연 ( Sin Su-eun ),이아영 ( Lee A-young ) 한국지적장애교육학회(구 한국정신지체아교육학회) 2019 지적장애연구 Vol.21 No.2

        본 연구는 지적장애 성인의 이모티콘의 이해 능력 및 표현 능력을 통해 지적장애인의 의사소통 능력 지원과 사회관계 향상을 도모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연구 대상자는 지적장애 성인 15명, 지적장애 성인과 언어연령을 일치시킨 일반아동 15명(초등 4-6학년), 지적장애 성인과 생활연령을 일치시킨 일반성인 15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연구방법은 대상자들에게 이모티콘 사용과 관련되는 설문조사를 실시한 후, 이모티콘 이해 검사와 이모티콘 표현 검사를 개별적으로 실시하였다. 이모티콘 이해 검사 및 표현 검사는 감정의 4가지 유형 (희·로·애·락)에 대해서 각각 5문항씩 전체 20문항으로 구성하였다. 이모티콘의 형태는 한글을 사용한 이모티콘과 얼굴표정 이모티콘 그리고 캐릭터 이모티콘을 같은 비율로 검사 문항을 구성하였다. 연구 결과 첫째, 설문조사 결과 이모티콘은 감정표현을 하기 위한 의사표현을 하기 위해 사용한다는 비율이 가장 높았다. 또한 친구와 이모티콘을 가장 많이 사용하며, 기쁘고 즐거울 때 이모티콘을 가장 많이 사용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이모티콘 이해 검사 결과, 지적장애 성인 집단과 언어연령을 일치시킨 일반아동 집단, 그리고 지적장애 성인집단과 생활연령을 일치시킨 일반성인 집단 간에 유의한 차이를 나타냈다. 연령별로 집단 간의 차이를 비교한 결과, 지적장애 집단은 연령이 증가함에 따라 이모티콘 이해 능력이 증가하는 반면, 일반아동과 일반성인 집단은 연령별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문항별 정반응률 검사 결과, 지적장애 성인 집단은 슬픔의 감정에서 오반응이 높게 나타났다. 셋째, 이모티콘 표현 검사 결과, 지적장애 집단과 일반아동 집단 간에 유의한 차이를 나타냈다. 또한 연령별 이모티콘 표현 검사 결과, 지적장애 집단은 이모티콘 표현 능력에 있어서 언어연령 10세와 11세 평균의 차이는 없지만 12세가 되면 평균이 큰 폭으로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일반아동 집단에서도 동일하게 나타났다. 문항별 정반응률 검사 결과, 4가지 감정에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이러한 연구 결과는 지적장애인들이 친구와의 대화 상황에서 자신의 감정을 표현하기 위한 화용능력을 향상시키기 위해서 이모티콘을 더 적극적으로 지도할 필요성을 시사한다고 볼 수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differences of Emoticon comprehension and expressive ability among intellectual disability adults with language age of 10 ∼ 12 year, general-children with normal language age, and general-adults with normal language age.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15 adults with intellectual disabilities, 15 normal children (elementary school students in grade 4-6) who matched the language age with adults with intellectual disabilities, and 15 general-adults with non-intellectual disability. The research method was conducted by questionnaires related to the use of Emoticons. And then the emoticon understanding test and Emoticon expression test were performed separately. Understanding emoticon test and Expression test consisted of 20 questions in total of 5 items for each of the four types of emotions (happy, anger, sadness, pleasure). And the test items were composed by korean-text Emoticons, facial Emoticons, and character Emoticons. First, the survey results have the highest percentage of Emoticons used to represent conversations. The most popular Emoticons were 'happiness' and 'joy', and they send Emoticons to friend the most. Second, emoticon understanding test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adult group with intellectual disability and general-adult group, and general-children group. As a result of comparing the differences among groups by age, the age increases, the intellectual disability group increases the understanding ability of Emoticons. On the other hand,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he general-children and adult groups. Result of correct answer rate per question, adult group with intellectual disability showed high error rate in ‘sadness’. As a result of age - based emoticon test, there was no difference in the mean language age between 10 and 11 years of age in the intellectual disability group with language age of 10 ∼ 12 year, but the average increased at 12 years of age. These results were the same in the general-children group. According to a result of the test results, there was no difference in four emotions. The results of this study suggest that it is necessary to more actively instruct the use of Emoticons to improve the conversational and communication skills of the people with intellectual disabilities.

      • KCI등재

        지적장애학교 교사의 교직수행능력에 대한 중요도-실행도 분석

        김기룡,김삼섭,김유리 한국지적장애교육학회 2018 지적장애연구 Vol.20 No.2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ompare and analyze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importance and performance of teachers’ competencies in intellecual disability special school. In order to accomplish the purpose of the study, we developed a questionnaire on the teachers' competencies of teaching intellectual disabilities and conducted a questionnaire survey of 92 special teachers who worked in special schools for intellectual disabilities. As a result of the study, the level of recognition of the importance and performance of the teachers of intellectual disability school was highly evaluated in the order of psychologicalㆍbehavioral support, teaching-learning support, and knowledge related to intellectual disability.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difference between the degree of importance and performance of teaching competencies of the intellectual disability school teachers, there was a big difference in order of teaching-learning support factor, intellectual disability knowledge factor, psychologicalㆍbehavior support factor. As a result of the IPA analysis of teachers' teaching competencies in intellectual disability school, factors in the first quadrant were psychologicalㆍbehavior support factors and teaching-learning support factors. In the third quadrant, knowledge factors related to intellectual disabilities were in the second quadrant and quadrant were not found. The result of this study is expected to be used as a basic data for teacher training course and retraining process of intellectual disability school. 이 연구에서는 지적장애학교 교사가 인식하고 있는 교직수행능력 요인에 대한 중요도와 실행도 간의 관계를 비교, 분석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연구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지적장애학교 교사의 교직수행능력에 대한 조사지를 개발하였고, 이를 사용하여 지적장애 특수학교 근무 특수교사 92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 지적장애학교 교사의 교직수행능력에 대한 중요도 및 실행도 인식 수준을 알아본 결과, 심리ㆍ행동 지원, 교수학습 지원, 지적장애 관련 지식 순으로 각각 높게 평정하였다. 지적장애학교 교사의 교직수행능력에 대한 중요도와 실행도 간의 차이를 분석한 결과, 교수학습 지원 요인, 지적장애 관련 지식 요인, 심리ㆍ행동 지원 요인의 순으로 차이가 큰 것으로 나타났다. 지적장애학교 교사의 교직수행능력에 대한 IPA 분석 결과, 1사분면에 위치한 요인은 심리ㆍ행동 지원 요인과 교수학습 지원 요인이었고, 3사분면에 위치한 요인은 지적장애 관련 지식 요인이었으며, 2사분면과 4사분면에 위치한 요인은 발견되지 않았다. 이 연구의 결과는 지적장애학교 교사의 양성과정 및 재교육 과정 구안에 필요한 기초자료로 활용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 KCI등재

        경도지적장애 성인의 단어 및 문장의 유음화 특성과 읽기 오류유형 연구

        최경윤 ( Choi Kyung-yoon ),김화수 ( Kim Wha-soo ) 한국지적장애교육학회(구 한국정신지체아교육학회) 2016 지적장애연구 Vol.18 No.4

        본 연구는 경도지적장애 성인의 읽기정확도 특성을 알아보고자 계획되었고, 특히 유음화 및 유음의 비음화 단어와 문장 읽기가 어떻게 표현되는가를 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경도지적장애 성인의 유음화 읽기를 언어연령 일치 일반아동, 생활연령 일치 일반성인과 비교하였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세 집단의 유음화 읽기는 단어, 문장 각각에서 유의미한 차이가 발견되었다. 사후검증결과에서는 단어와 문장 모두에서 경도지적장애 집단은 생활연령 일치 집단의 유음화 읽기에만 유의미한 차이가 있었다. 둘째, 단어와 문장에 따른 읽기 결과 경도지적장애 집단은 다른 두 집단과 달리 유음화가 포함된 단어 읽기와 문장 읽기가 비슷한 능력을 나타내었다. 또한 두 과제의 오류 양상이 대체적으로 일관적이지 못한 특성을 보였다. 셋째, 경도지적장애 성인 집단에게 다른 집단에서는 나타나지 않은 특정한 읽기오류가 나타났다. 오류를 살펴보면, 단어는 대치, 생략, 왜곡, 첨가 순으로 나타났으며, 문장은 생략, 대치, 왜곡, 첨가 순으로 나타났다. 이를 통해 경도지적장애 성인 집단이 자음정확도에서 일반인과 비슷한 사람들로 구성되었음에도 불구하고 언어연령을 일치시킨 일반아동이나 생활연령을 일치시킨 일반성인과 다른 특정한 읽기오류가 나타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이러한 연구 결과는 경도지적장애인은 음운변동이 포함된 읽기에 어려움이 있음을 시사한다. This study was intended to investigate the difference in score by comparing score of lateralization word reading of adults with mild intellectual disability, a group of language-age matched adults, and chronological-age matched adults, to investigate difference in performance ability of lateralization word reading according to the assignment(word, sentence), and to analyze specific reading errors of adults with mild intellectual disability. According to the post hoc test, adults with mild intellectual disability and chronological-age matched adults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 in both words and sentences, and language-age matched group and chronological-age matched group showed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as well. According to the result of comparing word and sentence scores, adults with mild intellectual disability did not show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scores of word and sentence, but the other two group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 Adults with mild intellectual disability did not make same mistake on words and sentences but showed inconsistent characteristic, and word reading score got slightly higher than the sentence reading score but was at similar level. On the other hand, the other two group made the same error they made with words on sentences and sentence score was higher because they did not make error on almost every sentence. Lastly, according to the specific error that adults with mild intellectual disability made, it was in the order of substitution, omission, distortion, and addition for words, and in the order of omission, substitution, distortion, and addition for sentences. Through the research result, it was identified that adults with mild intellectual disability had difficulty in lateralization word reading and there was no difference in language environment as word or sentence. Also, lateralization word reading of adults with mild intellectual disability showed aspects of reading error that appears in early development stage even though percentage of correct consonants was normal. Therefore, education on phonological changes in reading is necessary for people with intellectual disability because it is expected to make effect on speaking and make natural communication possible.

      • KCI등재

        지적장애 청소년의 태권도 프로그램 참여에 따른 체력 및 신체적 자기개념의 변화

        김지태 ( Ji Tae Kim ) 한국특수체육학회 2009 한국특수체육학회지 Vol.17 No.4

        본 연구의 목적은 지적장애 청소년의 태권도 프로그램 참여에 따른 체력 요인과 신체적 자기개념의 효과를 규명하는데 있다. 연구대상자는 서울과 천안에 소재한 3곳의 장애인복지관에 다니는 14-17세 사이의 지적장애 청소년을 모집단으로 하여, 유목적 표집방법을 이용하여 2곳의 복지관으로부터 각각 지적장애 청소년 15명씩 총 30명을 태권도 프로그램에 참가하는 실험집단으로 선정하였고, 다른 1곳의 복지관에 있는 지적장애 청소년 15명은 어떠한 운동 프로그램도 참가하지 않고 단지 사전과 사후검사만 참여하는 통제집단으로 선정하였다. 연구의 절차는 크게 3개의 집단에 대한 사전검사(1주), 중재기간(14주간 주 2회 70분의 프로그램 실시 혹은 주 4회씩 35분의 프로그램을 실시), 사후검사(1주)로 구성되어 총 16주간 진행되었다. 자료수집은 체력요인으로 배근력, 써젼트 점프, 윗몸 일으키기, 앉아 윗몸 앞으로 굽히기, 눈감고 외발서기를 측정하였고, 신체적 자기개념 검사는 경도발달장애 청소년용 신체적 자기개념 검사지(김지태, 이경준, 김기영, 2005)를 사용하여 측정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자료 분석을 위하여 일원분산분석과 대응표본 t-검증을 실시하였으며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첫째, 태권도 프로그램을 진행하기 이전에 실시한 사전검사에서는 대부분의 체력과 신체적 자기개념 요인에 세 집단 간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그러나 태권도 프로그램을 진행한 이후 실시한 사후검사에서는 대부분의 체력과 신체적 자기개념 요인에서 세 집단(2개의 실험집단과 1개의 통제집단) 간 차이를 나타냈다. 둘째, 세 집단 내의 사전검사와 사후검사의 차이를 살펴보면, 2개의 실험집단은 집단 내 사전·사후 검사의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 같은 결과를 종합해 보면, 지적장애 청소년을 위한 태권도 프로그램은 신체적인 영역뿐만 아니라 심리적으로도 긍정적인 영향을 준다고 할 수 있다. This study attempts to demonstrate the effectiveness of a Taekwondo program to adolescents with intellectual disability. More specially,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influence of a consecutive Taekwondo program on the health related fitness and physical self description of adolescents with intellectual disability. The participants consisted of 45 adolescents from 14 to 17 years of age with intellectual disability from two welfare-centers that serve a after-school program for students with mild mental retardation. The participants were divided by welfare-center units into 2 experimental (E1; n=15, E2; n=15) and 1 control (C; n=15) groups. Health Related Fitness Test (HRFT) and Physical Self-Description Questionnaire for Adolescents with MMR (PSDQAMMR) were instruments used to assess the development of fitness and physical self-description. This study was conducted during the course of a sixteen-week period. After one week of administering the pretest, the 2 experimental groups participated in the Taekwondo programs during 70-minute sessions two times a week for fourteen weeks (14wks x 70-min x 2days/week) and 35-minute sessions four times a week for fourteen weeks (14wks x 35-min x 4days/week) each; the control group, over the same time period, did not participate in any physical activity. Also, data were gathered after the administration of the pretest and posttest for the both the experimental groups and control group. The statistical tests (ANOVA and paired-sample t test) were performed at the .05 alpha level. The results was as followings: (a) except for sit and reach test among HRFT, adolescents with intellectual disability in the E groups displayed statistically equivalent HRFT and PSDQAMMR scores on the pretest to adolescents with intellectual disability who were assigned to the C group; (b) adolescents with intellectual disability in the E groups displayed statistically higher HRFT (sit-up / sit and reach) and PSDQAMMR (capability / appearance/ self-concept) posttest scores than those in the C group; (c) adolescents with intellectual disability in the E groups had statistically higher HRFT (sit-up / closed eyes foot balance) and PSDQAMMR (capability / fitness/ appearance/ self-concept) scores on the posttest than the pretest; (d) adolescents with intellectual disability in the C group did not reveal any statistical differences between pretest and posttest in PSDQAMMR and HRFT score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