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드라마 <황진이>의 대중코드 읽기

        신원선 영남대학교 민족문화연구소 2007 민족문화논총 Vol.35 No.-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analyze Hwang Jini’s own popular codes, a drama possessing popularity differentiated from other historical dramas. For this purpose, this paper examines the drama from the three perspectives of the aspects of variation appearing in the course of adaptation of the original novel, initiation drama, and the power of tiny and refined mise-en-scene. The drama Hwang Jini, and its original novel Me, Hwang Jini have clearly different colors and contents. Whereas the novel describes Hwang Jini as an intellectual close to a seeker after the truth, the drama spends more time to portray her as a dancer. Meanwhile, there appear scenes of competitions between Baek Mu and Hwang Jini, and between Maehyang and Buyong, which are not contained in the original drama, but are dramatic devices appearing in the course of adaptation in order to promote the dramatic excitement. The stories of Eun-ho and Kim Jeong-han, heroes of the two great melodramatic lines of the drama, proceed quite differently from the original. Both Kim Eun-ho, Hwang’s first man, and Kim Jeong-han, her second man, also are depicted as unmarried men who hold Hwang in their heart for the first time. This is because the drama can attain sympathy from the public only when Hwang shows purest love because she has the status of a Gisaeng. As such, in the drama Hwang Jini, every other character is adapted to make Hwang’s attractiveness prominent differently from the original, and those characters who don’t are all eliminated. What is visible in the drama is the depiction of the training course in which young Hwang Jini is grown as a famous Gisaeng undergoing fails and difficulties, whereas what is invisible (but we can see through) is the process of a human’s ordeals and realization, who tries to incessantly seek the human way, which makes a foundation for the drama. In order to show the course of Hwang Jini’s growth visually, the drama Hwang Jini selects dance, a visual art genre. And, the invisible growth drama resembles the mythological structure of entrance to death. The entrance to death in the drama is realized with love, and the stage of redemption of the love is inherited by art. Such path of Hwang Jini’s shows the course of growth in which she progressively completes greater arts through hurts by love and their overcoming, and simultaneously realizes the human way. The power of tiny and refined mise-en-scene meets its climax with the beautiful mountains and rivers, and buildings appearing in the drama as backgrounds, the traditional Korean clothes that the main characters are dressed with, and the traditional Korean dances. As such, the drama Hwang Jini succeed in attaining popularity by differentiating the story with the power of tiny and refined mise-en-scene, which otherwise is easily regarded as boring as it is excessively well-known to the public.

      • KCI등재

        사대부와 기생의 문학세계 비교

        이화형(Lee, Hwa-hyung) 우리문학회 2013 우리文學硏究 Vol.0 No.39

        사대부 시조의 최고봉이라 할 수 있는 윤선도와 기생 시조의 으뜸자리에 있는 황진이의 문학적 비교는 참으로 의의가 있다고 하겠다. 시조문학을 통한 두 사람의 비교연구는 사대부와 기생, 남성과 여성의 비교로도 이어질 수 있다는 점에서 의의는 증폭된다고 본다. 윤선도의 작품과 황진이의 작품을 비교해 보면 무엇보다 준엄한 자아성찰의 태도와 집요한 불변적 가치의 지향이라는 공통점을 확인할 수 있는데, 바로 이러한 점은 사대부와 기생 문학의 주요한 특성으로 인식될 수 있을 것이다. 한편 이와 같이 두 사람의 사고가 크게는 서로 인간의 본질적인 문제를 고심하는 지점에서 공유되고 있다는 점과 달리 미묘한 차이를 보이고 있는 점도 매우 중요하게 다루어져야 한다고 본다. 윤선도는 사대부로서 정치에 참여를 했으나 정치적 현실이 체질에 맞지 않아 저항을 했고 유배도 가야 했다. 그만큼 그의 자연에 대한 선택은 절실했고 이는 문학을 통해 잘 나타나고 있다. 더구나 일반 사대부의 문학과 달리 현실참여적인 성격을 넘어서서 인간의 근원적인 모순을 문제삼는 존재적 사고가 강렬하다고 하겠다. 즉, 그는 사실, 사물, 지식, 언어 등 객관적인 대상과 비교되는 인간 주체의 정신적 가치를 중시했다고 본다. 다시 말해 윤선도는 문학을 정치적 목적에 희생시키지 않았으며, 그는 문학을 통해 현실극복의 보다 근원적인 방안으로서 인간주체의 도덕성 회복을 제시했다고 보아야 할 것이다. 종래 사대부들의 작품이 관념적 가치를 지향했던 경향에서 탈피하여 서정성에 바탕을 두었다는 점에서 여성으로서 황진이의 작품이 갖는 시적 의미가 크다고 할 수 있다. 그리고 일반여성이나 기생의 애정시가에서 볼 수 있는 비애적 정감의 과도한 분출이 의지적으로 절제되고 있다는 데서 그녀의 작품들은 의미가 새롭다. 허위를 거부하면서 신의를 가치화하려는 시적 의도는 황진이 시조전체에서 입증되고 있다. 특히 정치적 갈등을 겪었던 사대부 윤선도와도 달리 기생 황진이는 그런 경험과는 무관하게 인간의 근본에 대해 깊이 통찰하고 모색하였다. 결국 인간 내면에 흐르는 뜨거운 감성성과 더불어 그를 극복 보완하려는 이성적 태도, 즉 인간중심적 사고는 황진이 시조에 대한 기존의 통상적인 인식과 이해가 달라지지 않을 수 없게 한다고 본다. It is important to compare the literature by the highest level of Sadaeboo Sijo, Yoon SunDo and the best of the kisaeng sijo, Hwang JinI. To compare the literature by two person can be continued to the comparison between sadaeboo and kisaeng, men and women. We can find the self reflection and value intention in the comparison between the literatures by Yoon SunDo and Hwang JinI. This is the specific character in the literature by sadaeboo between the literature by kisaeng. Meanwhile, there are differences, too. As a sadaeboo, Yoon SunDo meddled in politics but resisted to the political realities and was exiled. So his choice to nature was serious and it was expressed in his literature. The special thinking is very strong to anguish on ultimate conflict of human being in his literature. He attached great importance to mental values of human being than objective things as reality, matter, knowledge, language. He suggested the morality recovery of human being as basic way to overcome the realities of life by his literature. The poetic importance in the literature by Hwang JinI is lyricism to break from ideal values in the literature by sadaeboo. And it is new to be moderate intellectually the excessive pathos in women and another kisaeng. There is the poetic intention to deny false and to value faith in the sijos by Hwang JinI. Hwang JinI saw through the essences of human being without any politic experiences in the case of Yoon SunDo. The human-centric thinking as the sentimentality in the inside of the human and the rational attitude to overcome it makes us change the prior understanding on the literature by Hwang JinI.

      • KCI등재

        황진이 시조에서 독백의 문제

        김은미(金恩美) 한국국학진흥원 2015 국학연구 Vol.0 No.27

        황진이의 시조는 서정시이며 대개 독백의 형식으로 이루어져 있다. 이 연구는 기녀라는 특수한 신분의 작가에서 벗어나, 황진이 시조에 나타난 시적 화자에 주목하였다. 황진이는 자기 응시를 통해 자신의 존재가 모순적 위치에 놓여있음을 알게 된다. 이런 모순적 존재로의 자기 규정은 적극적으로 자신을 타인에게 내보이기보다는 스스로 자신의 내면을 그려내는 독백의 어조로 시화되었고, 시적 화자의 독백적 어조 안에서 모순적 시간성도 융합해 내고 있다. 황진이의 시조에서는 대립적 구도로 세계를 인식하는 점도 특징적인데, 이 인식은 시적 화자의 위치에서 시적 화자를 중심으로 세계를 상대적으로 파악하는 것이다. 이것은 시적 화자가 가지는 세계와의 단절감을 드러내는 것이며, 이 단절감 또한 독백적 어조로 귀결된다. 결국 황진이 시에서 나타나는 시적 화자의 독백적 어조는 존재의 모순성 인식과, 이로 인한 자신의 단절감 표현으로 설명할 수 있다. 화자와 세계 사이의 단절감을 독백으로 표현한 것이다. 이는 화자와 세계와의 불화에 기인한다. 시적 화자의 독백 속에 자신의 모순성과 단절감을 담아낸 황진이는 독백의 시인인 것이다. Hwang Jini’s Sijo’s are lyrics and most of them are formed in monologue. This study pays attention to the poetic narrator in her Sijo’s beyond the view of her particular status as a Gisaeng. Hwang Jini realizes through glaring at herself that her being lies in an ironic position. Under this definition of herself as an ironic being, she does not actively show herself to others but does create poems in the tone of monologue that draws her inside, and melt ironic temporality in her soliloquial tone. It is characteristic in Hwang’s Sijo’s to recognize the world in a system of opposition. This recognition means to relatively grasp the world in the position of the poetic narrator with focus on the narrator. This reveals the poetic narrator’s sense of alienation from the world, and this sense of alienation also reduces to the soliloquial tone. After all, the poetic narrator’s soliloquial tone in Hwang Jini’s poetry can be explained as her recognition of the irony of her being, and expression of her sense of alienation. She expresses the narrator’ssense of alienation from the world in monologue. This is due to the discord between the narrator and the world. Hwang Jini is the poet of monologue as she contains her ironic status and sense of alienation in the poetic narrator’s monologue.

      • KCI등재

        황진이의 연정시 연구

        유육례 ( Yuk Rye Yu ) 온지학회 2014 溫知論叢 Vol.0 No.41

        황진이는 조선시대 최고의 여류시인이다. 황진이는 연인에 대한 애절한 그리움을 예술로 승화시켜 현재까지도 많은 독자층을 매료시키고 있다. 이는 황진이가 자신만의 독창적이고 창의적인 연정시를 창안한 데서 비롯된 것으로 보인다. 황진이는 님에 대한 보고픔과 그리움을 시에 있는 그대로 투영시켜 독자로 하여금 감정과 정서를 자각한 이후에 시의 화자와의 일체화, 혹은 동조화되는 공간구조를 만들었다. 이러한 황진이만의 독특한 시의 내재적 구조는 우리가 그녀를 우리나라 최고의 여성시인으로 평가되는 근본적인 이유가 아닌가 한다. 이에 필자는 황진이의 연정시의 특징을 요약하고자 한다. 1) 황진이의 연정시는 남녀간의 사랑만을 노래한 시가 아니라 이별을 노래하면서, 더 나아가 이별한 후에 님에 대한 애절한 그리움을 노래한 시이다. 2) 황진이의 연정시는 한시와 시조로 구별되는 시의 외재적 형식에 구애받지 않고, 시의 내재적 형식에 독특한 이미지와 자연의 객관적 대상을 자신의 자아정체성에 통합하는 시의 구조적 특징을 갖는다. 3) 황진이의 연정시는 님에 대한 사무친 그리움과 보고픔을 객관화한 이후에 다시 자신의 자아와 일체시키는 자아와 객관적 대상의 완전한 통합을 노래한다. 4) 황진이의 연정시는 연인에 대한 그리움을 독창적인 이미지로 승화시켜 자신의 애절한 감정을 보편성으로 확립하고 있다. 요컨대 황진이의 연정시는 바로 그 자신의 삶의 노래이며, 또한 그녀의 몸과 마음의 영혼을 시의 애절한 이미지로 형상화했다고 볼 수 있다. 그래서 황진이의 시는 님에 대한 통렬한 사랑과 사무친 그리움이 그녀의 정신과 육체의 자아 정체성으로 인식되게 한다. This study is to discuss Jini Hwang`s romantic love and yearning feeling poems. Jini Hwang is, in the Chosun dynasty, one of the best woman writers who sang the feeling of male and female love in her poetry. Despite of gisang, she is spoken in the highest praise by a common person, because it came from creativity that she developed heartbreaking yearning of lovers in art. Her encounter is situated at receiving the restriction of her social position in contrast with other persons`s meeting. However, she experiences meeting and parting with many lovers to try to leap over her social position in her long life. She was not frustrated the pain and torture of this meeting and parting, knew how to sublimate her love and yearning of lover into especial beautiful love. When she wrote her poetry, Jini Hwang had specific character not to restrict her feeling but to express her feeling freely to her lover. And she largely contributed to make the gentry realize the emotion of exalted and temperate love at that time. She is an artist who is many-talented person about poetry, writings, a komungo, a Korean harp with six strings, and singing and dancing etc. So, in those days, the gentry fell in love with her in adoration. Among these persons, there are Byeog Gyesu who lived free life from worldly cares, and So Seyang who “was not a man if he fell a victim to the charms of a woman.” And She sublimed Seo Gyeongdeog of respectable and spiritual love into wonderful platonic love through interchanging him. She created her unique sweet sensible romantic love poem through love with these many lovers. In short, Gini Hwang`s romantic love poems have some of following characteristic. First, she express the free feeling of love to lover in her poems as it is, sang to sublime her feeling into poetry in using metaphor and a metaphorical expression. Second, she indicated her inner isolation frankly, set up overcome space in her mind. Third, she showed lament feeling for lover into universal validity to sublime yearning for lovers into personal emotion. Fourth, she always was situated at present time to emblematize man and woman`s yearning into the image of transcendency of time and space. Fifth, after she manifested yearning of lover in common words, she used specific image to unite to the lover. So, her romantic love poem is certainly the expression of her life. Therefore, her poems showed universal emotion of man and woman`s grief love.

      • KCI등재

        시적 자아의 ‘리젠더링’: 황진이 시조 영어번역과 ‘번역가의 가시성’

        조성원 ( Cho Sung-won ) 한국비교문학회 2021 比較文學 Vol.0 No.83

        탈식민주의 번역이론에서 번역가의 존재는 더 이상 투명유리처럼 보이지 않는 상태로 있는 존재가 아니라, 번역의 전 과정에 적극적으로 개입하는 의미 생산의 주체이다. 원작에 대한 ‘이상적 독자’로서의 번역가가 담당하는 역할과, 새로운 언어로 원작을 탈바꿈하여 재창출하는 ‘작가’로서의 번역가의 역할이라는 이중적 위치를 고려할 때, 실제 번역의 현장에서 번역가의 젠더가 그 번역의 과정과 결과물에 미치는 영향은 결코 적지 않다. 원작과 번역 사이에 존재하는 온갖 종류의 위계질서를 뒤집을 수 있는 힘이 존재한다는 최근의 번역이론의 시선에서 보면 더욱 그렇다. 이와 같은 탈식민-페미니스트 번역이론에 초점을 맞추어, 원저자, 독자, 번역가의 세 주체의 젠더가 3중적으로 교차하며 이루어 내는 ‘힘’의 관계가 어떻게 원작 속 ‘시적 자아(the poetic self)’의 젠더를 규정하고, 변형하며, 재생성하는 지, 그 ‘리젠더링’의 과정을 황진이 시조의 영역텍스트들의 비교 분석을 통해 살펴본다. In light of postcolonial translation, the translator is no longer supposed to be voiceless or should his or her presence remain ‘invisible’ in the finished translation products. Given this translator-oriented context of translation, the questions such as what gender the translator adopts when he or she translates, or how the translator’s own gender interacts with the author’s or the reader’s, raise some critical issues about the role of translator in translation activities, especially when gender plays a central role in understanding the poetic consciousness or thematic messages as in the case of Hwang Jini’s Sijo poems. In light of this three-way relationship among the genders of the author, the translator, and the reader, this study comparatively examines the various English translations of Hwang Jini’s poems in order to explore how ‘visibly’ the translators engage themselves in the process of ‘re-gendering’ the poetic self in Hwang Jini’s Sijo works for their target readers.

      • KCI등재

        새로 발굴된 잡지 『中學生』 창간호에 관한 고찰

        이종문(Lee Jong moon) 한국언어문학회 2017 한국언어문학 Vol.101 No.-

        The aim of this study is to reveal the basic facts about the newly found magazine 『Middle School Students』 and to examine the main contents, characteristic aspect, and material value of the first issue. ①Launched on July 1, 1949, 『Middle School Students』 was the first magazine published for middle school students in the liberation space, where various magazines were widely published. 『Middle School Students』 was launched based on the awareness that there is no middle school student magazine that could represent the dream of middle school students even though there are many different magazines. The editor and publisher of the first volume was Sim Hwal(沈活) and the organizer was Jo Mi Ri(趙美里). In the first version, many social celebrities participated as contributors. ② In 『Middle School Students』 , 80% of the total contents is close to pure literature such as poetry, novels and criticism, and the two planning projects also belonged to pure literature. With such things in mind, 『Middle School Students』 is not a comprehensive magazine covering general life in middle school, but rather a magazine close to pure literature. This is the most important feature of 『Middle School Students』 , and another characteristic of this magazine is that it aimed to develop US-centered globalization mind to provide an open view of the world with middle school students. ③ There is little known at present in the first volume of 『Middle School Students』. While the articles in the 『Middle School Students』 may have a meaning as a primary source of certain help in understanding the social and cultural circumstances of the time, especially important thing is 「Girl Hwang Jiny(少女黃眞伊)」 , a short novel written by Hong Gu Beom(洪九範). He is a novelist who had been active for only 3 years after liberation, but he was a prolific writer who competed with other his contemporaries. Yet, he is forgotten as he was abducted and missing in the Korean War. Although recently collections of his works have been published, 「Girl Hwang Jiny」in『Middle School Students』 has not been found yet. In addition, this work is worth noting that it shows a completely different world from his other novels found so far.

      • KCI등재후보

        Хван Джинхи: история куртизанки и ее стихов

        유리 그리고리예비치 스메르틴 경북대학교 러시아-유라시아 연구소 2023 러시아유라시아연구 Vol.10 No.-

        В статье анализируется жизнь и творчество Хван Джини, одной из самых известных корейских поэтесс и куртизанок эпохи Чосон. Ее красота, поэтические и музыкальные таланты вошли в легенды, а стремление к внутренней и внешней свободе стало предметом вдохновения для женщин, бросающих вызов нормам традиционной морали. Основной вывод заключается в том, что Хван Джини стала своеобразным культурным символом современной Кореи, тиражируемым через романы, фильмы и телесериалы. The article focuses on the life and works of the famous courtesan, who left a significant trace in the history and culture of Korea. Intimate and landscape lyrics of Hwang Jini occupies a prominent place in Korean poetry of the sixteenth century, and her life became an inspiration for women, challenging traditional norms of morality.

      • KCI등재

        ‘혐한’ 현상 앞에 선 재일문학- 최실의 『지니의 퍼즐』과 황영치의 『전야』를 중심으로 -

        이승진 동국대학교 일본학연구소 2020 일본학 Vol.51 No.-

        This study addresses the aspect of Zainichi Korean literature facing the serious ‘anti-Korean’ phenomenon multilaterally by renewing the interpretation of Jini’s Puzzle and closely examining The Night Before. The ‘anti-Korean’ phenomenon of Japanese society began around the 2000s and has been a motive for Zainichi Korean literature to discuss ‘serious’ matters, such as ‘ethnicity,’ ‘ideology,’ and ‘nationality,’ as literary themes. Whereas young writers in the 1990s like Yu Miri and Kaneshiro Kazuki avoided these themes or handled them with a very ‘soft’ feeling, new Zainichi-Korean writers who appeared after 2010 illustrate the world as a space full of ‘seriousness.’ Among them, The Night Before by Hwang Yeong-chi and Jini’s Puzzle by Che Sil focus on the Zainichi Korean protagonists who struggle to find solutions to the ‘anti-Korean’ phenomenon. These works draw attention by embodying the reality of ‘serious’ Zainichi Korean society in the front line. The former reveals diverse desire structures of Japanese society entwined with the ‘anti-Korean’ phenomenon through the protagonist, who directly confronts hate demonstrations. The latter sheds light on the irrational reality faced by Zainichi Korean society through scars of the protagonist who experiences exclusion and discrimination at school. The differences in the view of the ‘anti-Korean’ phenomenon between the two works show that Zainichi Korean society is bearing a very complex issue. However, Zainichi Koreans have been seeking literary solutions to ‘unsolvable’ problems surrounding their reality ever since the 1950s, when Japan was regarded as a place for settlement. The important fact is that Zainichi Korean literature still pays attention to the ‘unknown’ aspect of Zainichi Korean society and its members, which will be continued in the future. 이 연구는 『지니의 퍼즐』에 대한 해석을 갱신하고, 『전야』를 구체적으로 살펴봄으로써, ‘혐한’ 현상이라는 ‘심각함’에 마주친 재일문학의 현재를 다각적으로 짚어보고자 한 것이다. 2000년대를 전후하여 시작된 일본 사회의 ‘혐한’ 현상은 재일문학으로 하여금 다시 ‘민족’, ‘이념’, ‘국적’과 같은 ‘심각한’ 소재들을 주요한 문학적 주제로 삼게 하는 동인으로 작용하고 있다. 1990년대를 경유하면서, 유미리와 가네시로 가즈키와 같은 신세대 작가들의 작품이 이들 주제를 회피하거나, 혹은 매우 ‘가벼운’ 감촉으로 전복시킴으로써 재일문학의 변화 흐름을 가시화시켰다면, 2010년을 지나면서 등장한 신진 재일작가들에게 세계는 지금 ‘심각함’으로 가득 찬 공간으로 다가오고 있다. 그중에서도 ‘혐한’ 현상을 정면에서 응시하면서 그에 대해 해답을 찾기 위해 분투하는 재일조선인 주인공에 초점을 맞추고 있는 황영치의 『전야』와 최실의 『지니의 퍼즐』은 지금 ‘심각함’과 마주하고 있는 재일사회의 현실을 가장 앞줄에서 문학적으로 형상화한 작품이라는 점에서 눈길을 끈다. 전자가 헤이트 시위에 직접 부딪혀가는 주인공을 통해 ‘혐한’ 현상에 얽힌 일본사회의 다양한 욕망 구조를 폭로하고 있다면, 후자는 학교라는 공간에서 배제와 차별을 경험한 주인공의 상흔을 통해 재일사회가 대면하고 있는 부조리한 현실을 입체적으로 조명한다. 이처럼 일본 사회의 ‘혐한’ 현상을 바라보는 두 작품의 질감 차이는, 그 자체로 현재 재일사회가 떠안고 있는 문제가 매우 복잡다단함을 말해준다. 하지만 돌이켜보면 일본을 정주의 대상으로 바라보기 시작한 1950년대 무렵부터 이미 재일조선인들은 자신들의 현실을 둘러싼 ‘해결 불가능’해 보이는 문제들에 대해, 다양한 형태로 문학적 해답을 모색해왔다. 중요한 점은 재일문학이 여전히 재일사회와 그 구성원을 둘러싼 ‘알 수 없음’을 주목하고 있고, 이 본질적인 주제와의 대면을 향후에도 이어갈 것이라는 사실일 것이다.

      • KCI등재

        번역 유형별 번역 사례를 통해 본 한국 고시가 번역의 문제 : 황진이 시조 <니언지 >를 중심으로

        임주탁(Yim Ju tak) 한국문학회 2014 韓國文學論叢 Vol.67 No.-

        한국 고시가 번역의 문제는 번역 유형별 번역 사례에 대한 면밀한 검토 결과를 체계적으로 통합하는 방향에서 다루어질 필요가 있다. 이 글은 번역 유형별 번역 사례가 가장 많은 작품 가운데 하나인 황진이 시조 를 통해 한국 고시가에 대한 번역 유형별 번역의 양상을 살피고 문제점과 그 원인을 분석함으로써 한국 고시가 번역에서 중요하게 고려해야 할 점을 추론해 본 것이다. 번역된 텍스트는 목표 언어가 모어인 독자들이 이해하고 감상하기에 충분해야 한다는 관점에서 번역 대상 텍스트의 시적 상황과 언어적 맥락이 얼마만큼 충실하게 번역되는가에 초점을 맞추었다. 논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에 대한 조선시대의 한어 번역은 원전의 시적 상황과 언어적 맥락을 정확하게 번역하였다. 그에 비해 일본 식민지 시대에 이루어진 한어 번역은 시적 상황과 언어적 맥락이 원전과 전혀 달랐다. 이러한 문제점은 신위의 「소악부」에 포함된 한어 번역의 원전을 번역자가 잘못 비정하고, 원전과 한어 번역이 공통으로 함축한 시적 상황과 언어적 맥락을 제대로 파악하지 못한 데서 생겨났다. 그런데 일본 식민지 시대에 이루어진 원전 비정과 한어 번역의 결과는 이후 에 대한 해석과 번역에 지대한 영향을 끼쳤다. 가 연가(love song)라는 해석이 지금까지도 널리 수용되고 있으며, 조선 시대의 한어 번역에 대한 현대 국어 번역에서 일본 식민지 시대의 한어 번역과 흡사하게 시적 상황이나 언어적 맥락이 모호하거나 원전과 사뭇 다르게 번역되고 있는 데서 그러한 사정을 확인할 수 있었다. 둘째, 에 대한 외국어 번역은 일본 식민지 시대의 한어 번역, 원전 또는 조선시대의 한어 번역에 대한 현대 한국어 번역에서와 같이 시적 상황과 언어적 맥락이 모호하거나 원전과 전혀 달랐다. 따라서 원전에 대한 조선시대의 한어 번역과 같은 번역 수준을 보여 주는 원전에 대한 외국어 번역은 아직까지 이루어지지 않았다고 할 수 있다. 외국어 번역이 기본적으로 원전에 대한 현대 한국어 번역을 바탕으로 하게 마련이라는 점에서 외국어 번역이 지니는 문제점은 결국 원전 또는 조선시대 한어 번역에 대한 현대 한국어 번역이 지니는 문제점이 거듭 표출된 것이라 할 수 있다. 이러한 논의 결과는 한국 고시가의 번역에 다음 사항들이 중요하게 고려되어야 한다는 것을 말해 준다. 즉, 원전 비평(textual criticism)이 충분히 이루어진 작품을 선정해야 한다는 점, 번역 대상 텍스트와 번역된 텍스트 모두 시적 상황과 언어적 맥락이 분명해야 한다는 점, 현대 한국어 번역이 원전의 창작 상황에 부합하는 해석과 성공적인 외국어 번역에 관건이 된다는 점, 목표 언어가 모어인 독자들이 번역된 텍스트에서 파악하는 시적 상황과 언어적 맥락이 재료 언어가 모어인 독자들이 원전 혹은 현대 한국어 번역에서 파악하는 것과 동일한지가 번역 평가의 중요한 잣대가 된다는 점 등을 중요하게 고려해야 한다는 것이다. This paper aims to elucidate what is problematic, important, and needed now in translating Korean classical poetry into other target languages which contain modern foreign language, modern Korean language and old Chinese language, through comparing translated texts with their source language texts. So it deals those issues with all the renderings of a Hwang Jini's Sijo work, Have I ever, the renderings can be classified by most types of translation. The results of it are as follows; 1. Most translated lingual texts into old Chinese language (TT1-1) by three intellectuals in the period of Joseon Dynasty, Korea, do not have any problem because all of them had bilingual competence and could grasp the very inner context (poetic and linguistic context) and meaning of the original text (OT-1). 2. Most translated lingual texts into old Chinese language (TT1-2) by one or two intellectuals in the Japanese colonial period, Korea, have a little serious problems. The translaters did not have bilingual competence so sufficient to grasp the inner context and meaning of only the original texts (OT-1, OT-2) but the old Chinese translation by a former intellectual, Shin Wi. In fact, OT-2 is different from OT-1, but it seemed to be the very OT of Shin Wi's rendering version of which OT was not OT-2 but OT-2. In spite of it, the result and contents of their interpretation and translation of OT-2 have had an nation-wide authority as the very one of OT-1 over their modern subordinates after their times. 3. We are able to grasp the same inner context and meaning of the two, the original (OT-1) and the translated text (TT1-1). However, researchers whose mother tongue is Korean have not translated TT1-1 into modern Korean language entirely, or mistranslated it, it is, I think, related to the fact that they could not comprehend the same inner context of meaning of the two like former intellectuals in the colonial period, intellectuals who selected OT-2 as OT of the rendering by Shin Wi. 4. All the translated texts into foreign language (TT5) have the same problems as their source language texts which were translated into modern Korean language by Korean translaters, writers, or researchers (TT2). While meeting renderings of TT5, we are not able to grasp the same inner contexts in which all the texts have their own unity of meaning as ones of the original lingual texts (OT-1). These results implies several meaningful things as follows; 1. Textual criticism about Korean classical poems has not been sufficient for us to translate them into foreign languages. 2. We need to translate all the texts, OT and TTs, into modern Korean language before studying all the renderings of them. It will let us to know whether all the texts and renderings can be acceptable not only to us but also to foreigners. 3. While evaluating if every TT is successful, we have to check if the inner context and meaning of TT is the same one of its OT or source text because the primary goal of translation is to make readers whose mother tongue is the same one as the target language.

      • KCI등재

        중세 양층언어문학과 문식성 교육 - 16세기 허난설헌과 황진이의 사례를 중심으로 -

        정소연 서울대학교 국어교육연구소 2018 국어교육연구 Vol.42 No.-

        This study is based on the view point of diglossia that Chinese writing held a higher position than Korean language in the Joseon Dynasty, especially during the 16th century. Diglossic writers were focus on and the implication of diglossia in literacy education was examined. In particular, the diglossic literary features of Korean poetry and songs were examined, with a focus on differences in the authors’ gender: female(Hwang Jini and Heo Nanseolheon) and male (Lee Hwang, Jeong Cheol and others). In the case of diglossic literature written by male poets, their Hansi and Sijo had quite different subjects. In addition, their Hansi, which was the exclusive property of noblemen, was largely based on their lives. However, the female poet Heo Nanseolheon covered wider range of subjects and used the first-person point of view, even when the content was not based on her actual life. In particular, she wrote Hansi as lyrics for Korean songs and thus, some of her Hansi can be enjoyed through singing. This differs considerably from the work of male diglossic writers. Furthermore, this tendency can be seen in the history of Hansi after the 18th century. Another female poet, Hwang Jini free from Neo-Confucianism, depicted her free thoughts and expressions in Sijo and reflected various poetic speakers' situations in both Sijo and Hansi. This is especially interesting since women were considered to be of lower social class at that time; these two female poets did not just refuse to follow the writing patterns of male noblemen, they also applied the characteristics of Korean poetry and songs to Hansi and disrupted the traditional characteristics of Hansi. In current education, the 2015 revised national curriculum put emphasize on understanding not only the scope of functional literacy, but also the principle for enhancing critical perception with respect to understanding the ways of communication of power and hierarchical structure. This can be considered a good principle, although mainstream literature does not pay attention to it. In addition, it can be applied through self-internalization and an acceptance of literature in school education by using the spoken language culture that students generally prefer in digital media. Highlighting the perception of advantages and characteristics, when minority statuses are linked to artistic freedoms to flout current prevailing values and cultural tendencies, can enhance not only classical literature literacy but also improve students' characteristics and competency. 본고는 중세에 특히 16세기에 한문과 국어가 대등한 자격을 갖지 않고 각각 상층어와 하층어라는 상하의 위상에 있는 양층언어관계(diglossia)에 있다는 점에 착안하여 논의를 진행한 것이다. 한문과 국어, 두 가지 언어로 문학을 함께 한 양층언어시인에 주목하고, 이러한 양층언어문학현상이 문식성 교육에 있어서 시사하는 바가 무엇인지 고찰하였다. 16세기에 한문과 국문시가를 모두 지은 이황, 정철 등의 남성 양층언어시인에 비해 허난설헌과 황진이는 여성이라는 위치에서 어떤 양층언어문학적 특성을 보이는지 살펴보았다. 한시가 200여 수 이상인 허난설헌은 한시에서 특히 당대 남성 양층언어시인과 다른 차이점을, 황진이는 한시와 시조가 각각 7수, 6수의 비슷한 분량으로 두 갈래 모두에서 두드러진 특징을 보인다. 16세기 남성 양층언어시인의 경우, 한시와 시조의 거리가 먼 편이고, 한시는 고급문학으로서의 위상을 강하게 나타내 사대부로서의 작가의 생애와 밀착된 내용 위주의 특성을 보인다. 반면 허난설헌은 당시 고급문학이라 인식된 한시에서 작가 자신의 삶과 밀착된 내용만이 아니라 자기 처지와 전혀 다른 가난한 여성, 백성 등 다양한 화자의 이야기를 1인칭 화자로 삼아 그 생활을 핍진히 보여주었고, 특히 우리말노래의 한시화, 노래 지향의 한시 작시 경향을 보여주었다. 이러한 특징은 남성 양층언어시인과 다른 차이점으로 한시사에서 18세기 이후에나 나타나는 특징이다. 황진이의 경우 당시 성리학적 자연관과 다른 사고와 남녀의 전도된 비유방식 등 자유로운 생각과 표현을 시조에서 보여주었고, 자기 처지를 뛰어넘는 다양한 화자의 모습을 시조와 한시 모두에서 보여주었다. 이러한 연구결과는 남성보다 열등한 위치의 여성이 고급문학의 경향을 따라가려고만 하지 않고 오히려 여성의 특장점인 국문시가의 특성을 한시에도 접목하고, 또 한시의 일반적인 특성을 깨트린다는 점에서 선구적이다. 이를 현대 문식성 교육에 접목할 때에 단지 읽고 쓸 수 있는 기능성 문식성의 범위를 벗어나 2015 교육과정에서도 강조하는 바, 의사소통의 위계 구조 내에서 일어나는 방식을 파악하고 읽어내는 비판적 인식 능력을 신장하는 원리로 적용될 수 있다. 학습자와 기성 문화 간의 양층성, 기성문학과 디지털문학 간에 발견되는 양층문학성에도 적응가능하다. 기성문학에서 주목하지는 않지만 청소년이 잘하는 디지털 매체에서의 구어적 문화를 활용해 학교 교육의 장에서도 문학을 자기화하여 수용하는 방식으로 적용가능하다. 소수문학이 시대적 가치관과 문학적 경향을 전복하는 자유로움으로 연결될 때 가지는 장점과 특성에 대한 인식은 고전문식성의 신장만이 아니라 학습자의 고유성과 역량을 신장하는 데에 적극 활용될 수 있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