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가족사례관리사업 운영 현황 및 효율성 제고 방안에 관한 연구: 서울지역 건강가정·다문화가족지원센터를 중심으로

        박정윤,박연숙,전미경 한국가족자원경영학회 2019 가족자원경영과 정책 Vol.23 No.1

        The main purpose of this study are to investigate the current situation of family-centered case management practices by case managers working in the healthy family support centers and multi-cultural family support centers, in order to propose a practical direction for improving the efficiency of family-centered case management services. Research participants included 24 case manager working in the healthy family support centers and multi-cultural family support centers in Seoul, who have performed case management services for families for one to 7 years. The Date was collected through focus group interview(FGI) and demographic characteristics research.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in the area of cognition about family-centered case management conceptualization, confused and ambiguous. Seconds, in the area of practicing as a case manager, there were limitations and biases in community resources contact and multiple intervention and limited sharing information between organizations. Third, family-centered case manager’s have periodically been requested to provide diverse training and education for performance of challenging case managers roles. The Standardized manual and burnout precautions should also be prepared.

      • KCI등재

        여성 결혼이민자의 문화적응 스트레스 경험에 관한 연구: 인천시 건강가정・다문화가족지원센터 중심으로

        박길순,이은아 한국디지털정책학회 2020 디지털융복합연구 Vol.18 No.11

        This study was a qualitative research to investigate the adaptation process and stress experiences of female marriage immigrants to Korean culture, and to explore life experiences and meanings to cope with them. Participants in the study collected data through individual in-depth interviews targeting 5 female marriage immigrants with more than 5 years of marriage using the Healthy Families・Multicultural Family Support Center located in ○○-gu, Incheon City. Using the six steps of Braun & Clarke's topic analysis method, 3 main topics and 13 subtopics were derived. Research Results First, cultural differences experienced by female marriage immigrants in Korean life (daily life culture, tradition, family relations) Second, the cultural adaptation process experienced by female marriage immigrants (difficulties and fears-understanding cultural differences-efforts to overcome) Third, it was found that the cultural adaptation of female marriage immigrants is that Korean lifestyle becomes natural and familiar by knowing the difference in lifestyle between their mother country and Korean culture, and finding and practicing the way they want to live with Korean people. Based on the research results, a practical intervention plan for successful cultural adaptation of female marriage immigrants was presented. 본 연구는 여성 결혼이민자의 한국문화에 관한 적응과정과 스트레스 경험이 무엇인지를 알아보고 그에 대처하는 삶의 경험과 의미를 탐색하기 위한 질적연구이다. 참여자는 인천시 ○○구에 소재하는 건강가정・다문화가족지원센터를 이용하는 결혼생활 5년 이상된 여성 결혼이민자 5명을 대상으로 개별 심층인터뷰를 통해 자료를 수집하였다. Braun & Clarke의 주제 분석기법 6단계를 활용하여 중점주제 3개, 하위주제 13개가 도출되었다. 연구 결과 첫째, 여성 결혼이민자가 한국생활에서 경험한 문화차이(일상생활문화, 전통성, 가족관계) 둘째, 여성 결혼이민자의 경험한 문화적응과정(어려움과 두려움-문화차이 이해-극복노력) 셋째, 여성 결혼이민자의 경험을 통한 문화적응이란 모국과 한국문화에서의 생활방식 차이를 알고 한국 사람들과 함께 생활하려는 방법을 스스로 찾아 실천함으로써 한국의 생활방식이 자연스럽고 익숙해짐으로 나타났다. 연구결과를 기반으로 여성 결혼이민자의 성공적인 문화적응을 위한 실천적 개입방안을 제시하였다.

      • KCI등재

        다문화 관련 사업 사례와 제언

        박찬영(Chan-Young Park) 중앙대학교 문화콘텐츠기술연구원 2009 다문화콘텐츠연구 Vol.6 No.-

        본 연구는 우리사회 다문화 현상을 진단하고 그와 관련한 정책사업의 현황과 정책 요구를 제시하기 위한 연구의 일부이다. 여기에서는 주로 현재 진행 중인 다문화 관련 정책사업과 민간사업들의 사례를 제시하고자 한다. 특히, 그중에서도 건강가정지원센터와 인문주간 내 다문화 관련 행사 중 주로 다문화 가정과 일반시민이 동참하는 사업들을 중심으로 현장조사, 심층인터뷰, 관련기관 자료 조사ㆍ분석을 제시하고자 한다. 이들 사례를 통해서 다문화 관련 사업 현황을 알아보고 이들의 성과와 한계를 평가하여 보완의 가능성을 타진하고자 한다. This paper is a partial revision of “Strategies for Humanities Education for Multicultural Understanding”, a policy report produced in 2008 for the promotion of multicultural policy, (The National Research Council for Economics, Humanities and Social Sciences, 2008.05, 2008). This paper aims to discern the condition of multicultural consciousness of Korean society by looking into multicultural policies and related activities. For this purpose, the paper examines cases of multicultural promotional programs operated by government and non-government organizations and make a few suggestions. In particular, the paper focuses on programs that were designed to encourage joint-participation of multicultural families and local families. The first case in point is various education programs and special seasonal events held by several local Multi-cultural Family Support Centers under liaison of the Central Office of Healthy Family-Support Center in 2008. Secondly, the paper examines special programs promoting multiculturalism under the auspices of the project “Humanities Week” in 2008.

      • 제4차 건강가정기본계획의 비판적 검토와 가족정책의 과제

        진미정(Meejung Chin) 한국가족정책학회 2021 가족정책연구 Vol.1 No.2

        이 글은 2021년 4월 발표된 제4차 건강가정기본계획의 기조와 내용을 가족정책 관점에서 비판적으로 검토한 것이다. 건강가정기본법에 근거하여 2021~2025년의 가족정책을 총괄할 4차 기본계획은 가족제도의 개선을 위한 내용은 강조되어 있으나 가족관계와 가족생활의 향상을 지원한 정책 내용은 미흡하여 편향적인 기본계획이 되었다. 특히, 코로나19 장기화로 가족생활의 어려움이 커지고 관계상의 갈등과 문제를 초래할 수 있는 상황에서 4차 기본계획이 대응 정책을 제시하지 못하였다는 점에서 한계점이 있다. 이러한 한계점은 보편적, 예방적 성격의 가족정책에 대한 몰이해, 가족 변화에 대한 단편적인 접근에서 비롯된 것이다. 구조와 행위의 복잡한 상호작용을 파악하기 위해서는 이념이 아닌 과학에 기초한 가족 연구가 필요하다. 또한, 기본계획의 한계를 보완하기 위해서는 실행계획을 추가로 수립하고, 건강가정지원센터와 다문화가족지원센터 등 지역사회 전달체계에서 실제 주민의 가족관계와 가족생활 향상을 위한 서비스와 프로그램을 적극적으로 시행할 필요가 있다. This study aims to review the 4th National Plan for Healthy Families from a critical perspective. This plan, which will be implemented during 2021 to 2025, challenges traditional family norms by presenting alternative laws and leads to an advance in family laws. This plan, however, leaves policy gaps in terms of enhancing family life and relationship, especially for those families who have experienced economic and relational hardships due to COVID-19. This study offers suggestions to complement the resultant policy gap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