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근대 지명 지료에 나타난 기장군 행정 지명 변천 연구

        이근열 부산광역시사편찬위원회 2022 항도부산 Vol.43 No.-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omprehensively review the change of Gijang-gun administrative place name to confirm error in place name information. The place name data used in this study are Hoguchongsu (1789), Gijang-hyeon-eupji (1832), Gijang-gun-eupji (1899), Gyeongsangnam-do Gijang-gun-gahoan (1904), Joseon Jijijaryo (1911), Old Korean Administrative District Names Handbook (1912), Gyeongsangnam-do Jijijoseo (1914), Shingu Daejo Chosun Jeondo Bugunmyeonridong Place name Handbook (1912), Dongrae-Gunji (1930), Hanguk Jimyeong Chongram (1980) et al. In this study, after examining the changes of administrative place names in Gijang-gun in general, among them, 10 village place names such as Dangsa-ri, Manhwa-ri, Yongso-ri, Giryong-ri, Guchil-ri, Yeongu-ri, Baekgil-ri, Dumyeong-ri, Yeonghwa-ri, and Banggok-ri were targeted. Hanguk Jimyeong Chongram], Busan Jimyeong Chongram , and Busan Local Culture Electronic Exhibition were compared to confirm the error.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in Hanguk Jimyeong Chungram , the place name that was changed during the Japanese colonial period appears as it is. In addition, it is confirmed that the place name information of Busan Jimyeong Chongram and the administrative place name information of the Korea Local Culture Electronic Exhibition are distorted a lot. Second, the change in the place name of Gijang started in Hoguchongsu (1789) and changed a lot in Gyeongsangnam-do Gijang-gun-gahoan (1904). After that, in Gyeongsangnam-do Jijijoseo in 1914, during the Japanese colonial period, the placename of Myeon centered on eup was changed to placename of Myeon centered on the center of Myeon, and it continues to this day. Third, it is necessary to urgently correct errors in the change data of the placename such as Dangsa-ri, Manghwa-ri, Yongso-ri, Giryong-ri, Guchil-ri, Yeongu-ri, Baekgil-ri, Dumyong-ri, Yeonghwa-ri, and Bangok-ri. 본 연구는 부산 기장군의 행정 구역 지명의 변천을 종합적으로 검토하여 기존 지명 정보의 오류를 확인하기 위한 것이다. 이와 함께 일제 강점기에 지명의 변천과 그 흔적을 검토하기 위한 목적이 있다. 본 연구에 사용된 지명 자료는 호구총수 (1789), 기장현읍지 (1832), 기장군읍지 (1899), 경상남도기장군가호안 (1904), 조선지지자료 (1911), 구한국행정구역명칭편람 (1912), 경상남도지지조서 (1914), 신구대조조선전도부군면리동명칭편람 (1912), 동래군지 (1930), 한국지명총람 (1980) 등이다. 연구의 내용은 기장군의 행정 구역 지명의 변천을 전반적으로 살펴보고 그 특징을 분석한 후, 그 중에 당사리, 만화리, 용소리, 기룡리, 구칠리, 연구리, 백길리, 두명리, 연화리, 방곡리 등 총 열 개의 마을 지명을 대상으로 한국지명총람 , 부산지명총람 , 부산향토문화전자대전 등의 자료와 비교 대조하여 그 오류를 확인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현재의 지명을 종합적으로 조사해 놓은 한국지명총람 에는 일제 강점기에 변화된 지명이 그대로 나타나고 있다. 부산시사편찬위원회에서 간행한 부산지명총람 등의 지명 정보와 최근에 만든 한국향토문화전자대전 의 기장 행정 지명 정보가 상당 부분 왜곡되어 있음이 확인된다. 둘째, 기장의 지명 변천은 호구총수 (1789)에서 시작되고 경상남도기장군가호안 (1904)에서 많이 바뀌어 나타난다. 그 후 일제 강점기인 1914년 경상남도지지조서 에서 읍(邑)을 중심으로 한 면명(面名)이 면(面)의 중심지 중심의 면명으로 바뀌어 나타나서 지금까지 이어지고 있다. 셋째, 당사리, 만화리, 용소리, 기룡리, 구칠리, 연구리, 백길리, 두명리, 연화리, 방곡리 등의 기장 마을 지명 변천자료의 오류를 시급히 수정할 필요가 있다.

      • KCI등재후보

        지명 분포에서 확인되는 지명 어휘의 지역적 특성에 대하여

        서형국(Hyeong-guk Seo) 운곡학회 2021 운곡논총 Vol.10 No.-

        이 연구는 최근 간행된 『원주 지명 총람』과, 무주 부근의 지명을 대조 연구하는 데 있다. 이 대조 연구는 두 지역의 지명 표현이 유표적・무표적으로 보이는 개별성을 확인하는 기술적 특성과, 각 지역의 지명 자료의 특성을 확인하는 방법론적 의의를 갖는다. 이를 위하여 본 연구에서는 두 지역에서 지금까지 조사된 자료를 종합하여 기본 자료로 삼고, 이를 지칭 대상에 따라 자연물 유형과 인공물 유형으로 크게 나누고 자연물지칭 대상은 세 부류, 인공물 지칭 대상은 다섯 부류로 나누어 지명을 일괄 분류하였다. 이런 분류 방식을 적용함으로써 각 지명 유형에서 두 지역 지명 표현이 보이는 개별성을 유형화하여 서술하였다. 이와 같은 방법을 적용하여, 지명 탐구의 방법론적 문제점을 종합하고, 지명 기술에 필요한 본고의 관점을 추출하고자 하였다. This paper aims at contrastive analysis of place names of two distant regions, i.e. Wonju, Gangwon and Muju, Jeonbuk. The data used in this analysis are Wonju Jimyeong Chongram for Wonju, and the individual data surveyed by the author for Muju, which include Hanguk Jimyeong Chongram data. For this analysis, I classified the place names by place class. For one, I classify the place names as ‘place names for natural places,’ and for another as ‘place names for artifacts.’ Though some place names are difficult to classify, this procedure is necessary for further analysis. First of all, this contrastive analysis is meaningful for descriptive purpose, as we had have few results about searching the properties of Korean place names whether that properties are expressed in the name or not. And for the second, this analysis can suggest some methodological insights for further fieldwork. After this survey, it is come some linguistic peculiarities out. Some place name peculiarities are bound to referents. And some place name peculiarities are regional, which is needed further survey. In sum, we can get some methodologica and linguistic hints from this surve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