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청한(淸寒) 설잠(雪岑)의 『조동오위요해(曹洞五位要解)』 연구

        전준모 ( Jun Joon-mo ) 한국불교사연구소 2021 한국불교사연구 Vol.19 No.-

        청한 설잠은 어린 시절 전도유망한 유자(儒者)였으나, 단종 폐위 이후, 불자(佛者)로 전환하여 여생을 불자로 살았다. 평생 여러 저작을 남겼는데 그 중 『조동오위요해』는 그의 말년 작으로, 그의 사상의 정화가 녹아 있다고 평가 받는다. 조동오위 사상은 동산 양개와 그의 제자 조산 본적이 집대성한 사상으로, 선종의 수행, 실천의 요체에 대해 다섯 가지 측면으로 바라본 것이다. 설잠은 이에 대한 주석을 달아 『조동오위요해』를 저술하는데, 여기서 드러난 특징은 다음과 같다. 첫째, 설잠의 주석의 논지 전개 방식은 우선 적절히 절을 나누고, 세밀하다 싶을 정도로 단어와 구절의 의미 파악에 공을 들인다. 그리고 후에 원문에는 상응하는 비유적인 시구를 덧붙인다. 이는 교학적으로 정밀한 분석과 선적으로 상징적인 접근을 동시에 하고 있다고 볼 수 있는데 이러한 과정은 함허 득통이 보여주었던 『금가경오가해설의』 글쓰기와 비슷하다. 무엇보다 『금가경오가해설의』가 교정·회편된 시기가 설잠이 막 출가 했던 시기와 비슷하기에 설잠에게 어느 정도 영향을 주었으리라 생각된다. 또한 설잠보다 한 세대 앞의 선승으로, 유자에서 불자로 전환했던 이력까지 비슷한 기화의 영향을 어느 정도 받았으리라 짐작된다. 둘째, 설잠은 조동오위 사상을 만년의 자신의 사상의 정화로 삼고 이에 『요해』를 더한 것으로 사려된다. 이는 조동오위가 진여의 세계와 현실의 세계 어느 한쪽에도 치우치지 않는 겸대(兼帶), 즉 중도의 진리를 설하고 있기 때문이다. 현실에 좀 더 방점을 둔 조동종의 종지는 설잠에게 매력적으로 다가왔으리라 생각된다. 현실의 세계를 중시하는 그의 면모는 그가 평생 보여준 삶의 역정을 통해서도 드러난다. 설잠의 생애와 사상이 다면적이었던 만큼, 『조동오위요해』에서 드러난 설잠의 사상이 유교 중심인지 불교 중심인지에 관한 논쟁 역시 뜨거웠다. 여러 가지 주장들 속에서도 유교의 기일원론자로 보려는 주장과 선불교적 현실참여자로 보려는 주장이 그 중에서 설득력이 있다고 판단된다. 종합하자면 설잠은 『조동오위요해』를 통해 조동선의 종지를 드러내려고 함이 핵심이었으며 그 와중에 유교의 기일원론적 관점을 내비쳤다고 생각된다. 그러나 그가 불교와 유교의 회통을 통해 보여주고자 했던 바는 어느 한쪽의 우월함이라기보다, 시대정신으로부터 벗어나지 않고자하는 지성인적 모습으로 파악해야 할 것이다. Cheonghan Seoljam was a promising Confucian scholar in his childhood, but after the dethronement of King Danjong, he changed to a Buddhist monk and lived as a Buddhist monk for the rest of his life. He left several works throughout his life, including “Jo-dong-Oui-yo-hae”, which is considered to contain the purification of his ideas. The idea of Jo-dong-Oui is a collection of images of Dongsan Yang-gae and his disciples, Jo San. The five aspects of Seonjong’s performance and practice were viewed in five aspects. Seoljam writes “Jodong Ouiyohae” with a commentary on this, which reveals the following characteristics. First, the theory of Seoljam’s annotation first divides the clauses appropriately and focuses on understanding the meaning of words and phrases to the extent that they seem to be detailed. Later, the original text adds a corresponding figurative first pitch. This can be said to be both pedagogically precise analysis and shipping symbolic approaches, which are similar to the writing of the “The views of five people on The Diamond Sutra” demonstrated by Ham Deuk-Tong Above all, I think it had some influence on Seol-jam because the period of correction and reversal of the commentary was similar to the time when Seol-jam had just left. In addition, it is assumed that he was influenced by similar vaporization from Yuja to Bulja, a generation ahead of Seoljam. Second, Seoljam is thought to have taken the idea of Jo Dong-ohi as a purification of his thoughts for later years and added “yo Hae”. This is because Jo Dong-ohi is explaining the truth of the middle course, which is not biased toward either the world of truth or reality. Jo Dong-jong’s end, which focuses more on reality, is thought to have been attractive to Seol-jam. His aspect of emphasizing the real world is also revealed through the journey of life he has shown throughout his life. As Seol-jam’s life and thoughts were multifaceted, there was also a heated debate over whether Seol-jam’s ideas were Confucian or Buddhist centers. Among the various arguments, the argument to be regarded as a Confucian monotheism and the argument to be considered as a prepaid reality participant are considered persuasive among them. To sum up, Seol-jam’s attempt to reveal the end of Jo Dong-sun through “Jodong Ouiyohae” was the key, and in the meantime, it is thought that he hinted at the monolithic view of Confucianism. However, what he wanted to show through the repentance of Buddhism and Confucianism is not the superiority of either side, but rather the intellectual figure who wants to stay out of the spirit of the times.

      • KCI등재

        《해동유요(海東遺謠)》에 나타난 19세기 말 20세기 초 시가(詩歌) 수용 태도 고찰 -노래에서 시문학으로의 시가 향유를 중심으로-

        정소연 ( Chung So-yeon ) 한국고전문학교육학회 2016 고전문학과 교육 Vol.32 No.-

        본고는 19세기 말에서 20세기 초의 문헌인 《해동유요(海東遺謠)》에 나타난 편저자의 수용 태도를 살펴본 것이다. 2장에서는 작품의 목록과 배열, 구성 등을 통하여 한시의 비중이 상당한 점과 작품들이 일련의 관련성을 가지고 작품군으로 배열되고 있는 점, 기존 작품의 수용이 적극적 창작으로까지 나아간 점 등을 통해 국어시가의 노랫말을 기록하는 기존의 가집으로서의 성격보다는 시로서 한시와 국어시가를 대등하게 인식하고 시가에 대한 감상과 수용자의 인식 태도를 기록하는 시집의 역할이 크다고 보았다. 특히 기원전 4세기부터 12세기까지는 한시 위주로, 12세기 이후에는 한시와 국어시가를 함께 수록하고 있어서 국문 매체의 시대에 한시와 국어시가가 공존하는 시가사적 흐름을 잘 포착하였다. 나아가 편저자가 직접 짓거나 한역한 신출작을 소개하고 이 역시 수용자로서의 적극적 태도라는 점을 밝혔다. 3장에서는 편저자의 수용태도를 잘 보여주는 청홍점에 주목하여 그 의미를 추출하였다. 청홍점이 찍히지 않은 곳을 빼고 작품을 읽었을 때에 대화체가 약화되고 반복, 나열 등의 리듬감과 노래의 맛이 적어지는 등의 노래로서의 구술성이 적어지는 점, 내용 전개에 요긴하지 않고 장황한 설명이나 묘사는 빠지고 내용의 핵심적 전개를 보이는 점, 하층민의 삶에 해당하는 내용은 빠지고 상층 취향의 풍류를 즐기는 주제가 강화되는 점 등을 통해 노래로서의 시가가 아니라 시문학으로서 시를 읽어내는 지식인으로서의 수용 태도를 포착할 수 있었다. 이러한 분석 결과는 《해동유요》가 놓여진 19세기 말에서 20세기 초의 시가 향유의 한 측면이지만 특수성에 지나지 않는다고 보기는 어렵다. 본고는 공동 향유 작품의 개인화, 가창 가사의 시각적 읽기 향유의 흔적들로서 《해동유요》의 문헌에 접근하였고, 이는 고전시가에 대한 수용 태도의 한 단면이자 고전시가의 수용에 대한 학습자의 태도와 관련해 교수학습 자료로도 이용될 수 있을 것이다. This study describes the acceptance of Hae-Dong-Yu-Yo(海東遺謠), which is a book the 19th century to 20th century, into the genre of poetry. In chapter 2, I searched for lists, constructions and arrangement of poems in Hae-Dong-Yu-Yo(海東遺謠). The book has not only 39 poems (gasa) in Korean, but also more than 20 poems (hansi) in Chinese. I also found two new poems by the editor of the book. This shows that the receiver fully accepts the poetry and that he has equal consideration for Korean songs as well as hansi ones. In chapter 3, I focused on the red and blue points inside letters. When we read only the red and blue points within the poetry, I realized that Hae-Dong-Yu-Yo(海東遺謠) created these for poetry’s literary value, not for music or songs. This reveals how the editor of Hae-Dong-Yu-Yo(海東遺謠) received the older famous poems as his own. This shows us the degree of acceptance of Korean classical poetry and songs, and therefore leads us to believe that this can be of use to present learners as well.

      • KCI등재

        김수장의 김천택 시조 수용에 대하여

        김선기(Kim, Sun-kee) 한국언어문학회 2012 한국언어문학 Vol.83 No.-

        Cheontaek Kim and Sujang Kim were in a senior-junior relationship, walking the same path during a similar period in the Korean sijo (three-verse Korean poem) literature history. Cheontaek Kim published ‘Cheong-Gu-Young-Ean’by compiling his sijos and passed-down sijos in 1728. From his own works, he carefully selected and included 30 sijos that intensively show his life. Sujang Kim carefully selected already existing sijos and his own sijos, and published a collection of sijos called ‘Hae-Dong-Ga-Yo’ over two times. In ‘Hae-Bak’ in 1755, he assigned a certain number of works of each artist to be included, however, in 1767 in ‘Hae-Ju’, he did not put limits on the number of works to include. Sujang Kim exhibited his desire to exceed the achievements of Cheontaek Kim by publishing ‘Hae-Ju’. As a result of deleting unnecessary partsfrom Cheontaek Kim’s works in ‘Cheong-Gu-Young-Ean’ and publishing such works in ‘Hae-Ju’, 16 sijos were exchanged to new sijos, and Sujang Kim did not hesitate on criticizing Cheontaek Kim’s sijos. In addition, Sujang Kim showed confidence by including 117 of his own sijosin ‘Hae-Ju’, which is a significantly higher number than the 57 sijos of Cheontaek Kim. In addition, by drastically revising Cheontaek Kim’s sijos when accepting the works, he expected to lower Cheontaek Kim’s status while enhancing hi sown. Sujang Kim’s insight in selecting sijos shown when selecting Choentaek Kim’s sijos receive a positive response from compilers, as shown by the frequency of citation in future poet compilations. However, including a significantly higher number of one’s own works in a book published by oneself while arbitrarily fixing another’s works fitting to one’s own taste will not be able to evade the criticism that such act was an excessive overstep of one’s authorit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