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삼국유사』 「고조선」조의 古記論

        김성환 한국고대학회 2022 先史와 古代 Vol.- No.69

        For over 300 years, researchers have accumulated historical examinations of the Ancient Joseon period's Gogi(古記). During this time, various studies and criticisms have been put forth, but it has proven impossible to form a consensus regarding the work's characteristics or even the date of its composition due to the complexity of the surrounding issues. The Tangun mythology, encompassing the Gogi of the Ancient Joseon, seems to have been confirmed by examples provided by Gweon Geun(1352~1409), who wrote about Tangun's dynastic period, approaching the topic from the years of Tangun's reign. Scholars have thus used his examples, dating as the are from a relatively early period, to interpret this mythos. During the seventeenth and eighteenth centuries these examples took on a more dynamic aspect. Scholars criticized scrutinizing the mythology from the viewpoint of Neo-Confucianism as both absurd and mired in Buddhist doctrine. This was an entirely different approach from that Iryeon(1206~1289), a Buddhist monk who attempted to reframe the wonders about ghosts from a previous age into a more acceptable depiction, divinity, choosing to focus on the story's sacred and heroic aspects. The scholars, though, did not content themselves even with this criticism; their concerns went further, centering around the complete reorganization of the Tangun mythos going back to the beginnings of ancient history. During the Japanese colonial period, government-sponsored scholars distorted the results of Ancient Joseon's Gogi conducted during the seventeenth and eighteenth centuries to suit their own ends. Typical examples included scholars such as Shiradori Kurakichi, Imanishi Ryu, and others. Through their writings, Gogi of the Ancient Joseon article was reduced to a mere hermit tale based on Buddhist teachings written by monks. One scholarly viewpoint advocates the examination of the true nature of the Ancient Joseon article's Gogi using the Samhan-gogi and Haedong-gogi. Another calls for the study of the Gogi based on the title of the work itself, while yet another opinion involves evaluating the title's underlying Chinese character, which translates literally to "old record". Studies have been done on the relationship between its date of composition and Samguk-sa. Related to Uiju county boundary in Liao Dynasty, part of the records of Northern Buyeo article, one can also see a separate examination conducted during the latter half of the eleventh century to the first half of the twelfth century into the Gogi's connection to the formation of the Goryeo dynasty. Among the historical documents circulated during the Goryeo dynasty, scholars were able to extract specific documents concerning Tangun and compile them into the data group. These were composed of the Ancient Joseon Gogi, Tangungi, Tangun-bongi, and an ancient record of an unknown title appearing in Wangryeok, along with others. Among these, the Ancient Joseon article's Gogi was confirmed to have been the standout document for a time. A mutual relationship exists between the Ancient Joseon article's Gogi and Wiseo, but a new explanatory approach is needed to address all of the weaknesses inherent in the numerous hypotheses and inferences regarding the nature of this material. 「고조선」조의 고기에 대해서는 적어도 3백년 이상의 연구사가 축적되어 있다. 그간에 여러검토와 비판이 이루어졌지만, 우리는 여전히 그 성격부터 성립시기에 이르기까지 합의된 의견을 가지고 있지 못하다. 그만큼 복잡다단하기 때문이다. 「고조선」조의 고기가 담고 있는 단군신화는 단군의 어국와 향국을 역년으로 접근한 권근의사례에서 확인되듯이 비교적 이른 시기부터 변증을 통해 해석되어왔다. 17~18세기에는 변증이 활발하게 이루어졌다. 성리학의 눈을 통해 들여다본 그 신화는 황탄하고 佛說에 둘러싸인것으로 비판되었다. 괴력난신이 일연을 통해 神異로 전환된 앞 시대의 시선과 전혀 달랐다. 그렇지만 그들은 비판에만 머물지 않았다. 그들의 관심은 단군신화를 조선 상고사의 서두에재정립하기 위한 것이었다. 일제강점기 일본인어용학자들은 17~18세기 고기의 연구성과를 고조선 부정론에 역이용했다. 그들은 「고조선」조 고기의 단군신화를 일선동화를 위해 일본건국신화 안에서 재편하거나, 佛說에 근거해서 승려가 허구로 지어낸 가공의 仙譚에 지나지 않다고 비판했다. 그러면서『필원잡기』와 『연려실기술』에서 고기 또는 삼한고기를 전거로 실은 단군전승을 삼국시대의것으로 파악하는 오류를 범했다. 「고조선」조 고기에 대한 본격적인 검토는 비교적 근래에 와서야 이루어졌다. 여전히 그 실체를 삼한고기 또는 해동고기로 검토하는 시각도 있고, 단일서명으로의 『고기』로 검토하는견해도 있다. “옛 기록”이라는 자의를 존중하는 견해도 있다. 그 성립시기에 대해서도 『구삼국사』와 관련해서 검토되기도 하고, 「북부여」조 고기에서 분주된 “大遼 醫州界”와 관련하여 11 세기 후반부터 12세기 전반 등이 있는데, 이 글에서는 고려 건국 전후에 성립되었을 것으로추론했다. 고려시대에 유통되었던 고기류의 자료에는 단군 고기류로 묶을 수 있는 5~6종의 자료군이있었다. 그중에서 「고조선」조의 고기가 시기적으로 가장 앞선 자료였다. 「고조선」조에서 고기는 『위서』와 보합의 관계에 있다. 그렇지만 그 성격에 대해서는 향후 정치한 논리와 새로운자료의 발굴을 통해 본격적으로 검토되어야 한다.

      • KCI등재

        古記(고기) 소재 불교설화의 성격과 의미

        김승호 ( Seung Ho Kim ) 한국고전문학회 2013 古典文學硏究 Vol.44 No.-

        『古記』가 상고사를 전하는 最古의 문헌임에도 그 정체를 두고는 논란들이 많았다. 그러나 그것을 ‘옛 기록’이란 보통명사로 여기기는 어렵고 최근에는 특정인이 지은 단일 서책으로 보아야 한다는 쪽으로 견해가 기울어지고 있는 상황이다. 전통적인 史書와 달리 『古記』는 설화를 바탕으로 한 사서라는 점이 주목되는데 특히 고조선이후 여러 나라의 건국담과 함께 다양한 불교설화를 갈무리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난다. 그런데 『古記』 소재 건국신화에 대해서 다 양한 논의가 이어졌으나 그에 소재한 불교설화에는 별다른 논의가 따르지 못 했다. 이점에서 본고는 『古記』 내 불교설화의 범위, 내용적 특성, 설화의 형성 과 후대적 영향 등을 살피고자 하였다. 본고에서 파악한 『古記』 소재 불교설화는 19종의 문헌에 29개의 각편에 이른다. 이들은 불교의 초기 전래, 사찰의 건립 내력, 신비로운 신앙체험 등으로 다양한 내용을 담고 있으며 사상적으로 는 아득한 과거부터 이 땅이 佛國土, 前世佛地라는 의식을 반영함으로써 불교 문화국으로서의 긍지를 앞세우고 있다. 『古記』 소재 불교설화는 불교의 전래 와 함께 곧바로 자생설화가 출현하지 못하고 불경에 의거한 설화가 먼저 형성 되었음을 보여주며 서사 지향점이 신라에 맞추어져 있다는 특징을 갖는다. 이 같은 『古記』소재 불교설화의 내용, 형식적 특성은 『古記』가 고려 초에 익명의 승려가 찬술한 서책이라는 先學들의 진단과 그대로 부합된다. 『古記』 소재 불교 이야기는 불교 설화적 의미에만 그친다할 수 없다. 그것은 고려 초의 서 사 문학사적 상황을 증거해주면서 실상파악이 쉽지 않은 초기 서사문학사를 복원하는 데 있어 핵심 단서로 삼을 수 있는 자료이다. Although ``Gogi`` is one of the best literature that describes ancient history, it`s highly controversial what it really is. It`s not reasonable to regard it just as a common noun that denotes an ancient record. The recent prevailing view is that it should be viewed as a single book that was written by a particular person. Unlike traditional historical books, this is a historical book that is based on tales, especially stories of national foundation of various countries since Kojoson and a variety of Buddhist tales. There have been diverse discussions on the myths of national foundation that is based on Gogi, but that`s not the case for Buddhist tales that are based on i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scope, content-related characteristics and formation of Buddhist tales based on Gogi and their influence on posterity. It`s found in this study that 19 kinds of literature contained 29 Buddhist tales that were based on Gogi. The content of these tales was diverse. Some described the introduction of Buddhism or the history of the construction of Buddhist temples, and others described mysterious religious experiences. Ideologically, the tales suggest that this land had long been Buddha land or Jeonsebuljicheo that meant land where Buddha stayed in the past. Thus, the tales represented the pride of our country as one of Buddhist countries. When the Buddhist tales that were based on Gogi are taken into account, it could be said that tales based on Buddhist scriptures were created earlier than any other kind of native tales since the introduction of Buddhism, and one of the characteristics of the Buddhist tales is that they were Shilla-oriented. The findings on the characteristics of the Buddhist tales with the subject matter of Gogi in terms of content and form lends credibility to the view of scholars of the past that Gogi would be a book written by an anonymous Buddhist priest in early Koryeo dynasty. The Buddhist stories that were based on Gogi are of significance not only as Buddhist tales but in other regards. They show the circumstances of early Koryeo dynasty related to the history of narrative literature, and they are further expected to give a core clue on the early history of narrative literature about which it`s not easy to grasp due to shortage of materials.

      • KCI등재

        조선시대 문헌에 보이는 『古記』의 史書的 성격에 대한 재검토

        이승호 동국대학교 동국역사문화연구소 2023 동국사학 Vol.78 No.-

        본 논문은 조선시대 여러 역사 문헌에 나타나는 『古記』 逸文에 주목하고, 이를 바탕으로 『古記』에 대한 새로운 연구 가능성을 제시한 2012년 김상현 교수의 발표문으로부터 출발한다. 본문에서는 선행 연구를 찬찬히 따라가면서 安鼎福이 구해 보았다는 『古記』 一冊을 실마리 삼아 조선 시기 여러 문헌에 보이는 『古記』와 관련한 언급 및 그 逸文을 살펴보았다. 그 결과 安鼎福이 보았다는 『古記』는 조선 초 李居仁의 손을 거치며 만들어진 일종의 ‘古記拾遺’와 같은 성격의 사서일 가능성이 크다고 결론 내릴 수 있었다. 이렇게 조선 초에 만들어진 李居仁의 『古記』는 고려 시기 각종 문헌에 보이는 『古記』 및 『舊三國史』 逸文을 수습하여 정리한 기록들이 중심이 되었을 것으로 보이며, 또 이밖에 당시까지 민간에 전하던 고대 전승이 수집되어 일부를 이루었던 것으로 추정된다. 이 책이 조선 시기 여러 문인들에 의해 그 사서로서의 가치가 철저하게 부정되고 외면당하였던 이유는 물론 그 기록이 가지는 특수성에 기인한 면이 크겠지만, 이와 함께 그와 같은 사서적 성격도 한 요인이 되었을 것으로 판단된다. This paper focuses on quoted passages from Gogi(古記) that appear in various historical documents of the Joseon Dynasty, and based on this, started from Professor Kim Sang-hyeon’s presentation in 2012, which suggested new research possibilities for Gogi. In the main text, I looked at references and quotations related to Gogi in various documents of the Joseon Dynasty using the book Gogi that Ahn Jeong-bok is said to have sought as a clue. As a result, it was concluded that the Gogi that Ahn Jeong-bok saw was highly likely to be a history book of the same character as ‘a collection of supplement copies’ created by Lee Geo-in(李居仁) in the early Joseon Dynasty. This book was compiled focusing on records that collected and organized quotations from Gogi found in various historical documents of the Goryeo Dynasty. In addition, it is presumed that the ancient traditions that had been passed down to the public until then were collected and formed part of them. The reason why this book’s value as a history book was completely denied and ignored by many intellectuals during the Joseon Dynasty was due to the unique nature of the records, but it is also believed that its nature as a history book was also a factor.

      • 『환단고기』 위서론 비판 : 「삼성기」 저자를 중심으로

        노종상(Roh, Jongsang) 세계환단학회 2019 세계환단학회지 Vol.6 No.2

        1911년 운초 계연수에 간행된 『환단고기』에 대해서는 이미 많은 논의가 축적되었다. 역사서로서 『환단고기』에 대한 논의도 다양하게 전개되었지만, 『환단고기』 자체에 대한 서지학적 측면의 논의도 진행되었다. 문제는 『환단고기』의 위서논쟁이다. 이 논쟁은 아직도 정리되지 않았다. 『삼성기』는 『환단고기』의 앞부분에 실려 있다. 이 책의 저자는 안함로, 원동중이다. 위서론자들은 『삼성기』도 위서라고 주장한다. 위서라고 주장하는 근거로 위서의 첫번째 조건인 ‘저자를 가짜로 만든 책’이라는 주장을 하고 있는 것이다. 즉『삼성기』는 ‘저자를 가짜로 만든 책’이란 혐의를 받고 있다. 있지도 않은 저자를 조작해서 지어내었다는 것이다. 『삼성기』 저자 조작설을 주장하는 근거로 제시되는 문헌사료는 『조선왕조실록』 세조 3년(1457) 5월 26일자 기사이다. 이 기사에는 “안함로·원동중 「삼성기」”라는 그의 이름과 저술명이 공개되어 있다. 그러나 『환단고기』 위서론자들은 안함로·원동중을 안함·노원·동중 3인이라고 주장한다. 『삼성기』 저자 조작설의 근거로 제시된 다른 문헌사료는 『신증동국여지승람』 해주목 고적조 ‘수양산성’조이다. 여기에 “세상에서 전하기를 ‘옛날에 안함·원로·동중 세 사람이 있어, 터를 보아 쌓았다.’ 한다.”는 문장이 있다. 여기에 등장하는 3인의 이름은 『세조실록』에 나오는 이름과 한자가 조금 다르고(안함), 글자도 다르다(노원). 그러나 위서론자들은 한글발음이 비슷하다는 이유로 3인이 동인인물라고 주장한다. 따라서 『신증동국여지승람』에서 ‘안함·원로·동중 세 사람’을 근거로 『삼성기』의 안함로·원동중은 처음부터 없었으며, 조작되었다고 주장한다. 그러나 『신증동국여지승람』에서 3인이 등장하는 기사는 역사적 사실과 무관한 내용이다. 『신증동국여지승람』에서는 단지 ‘세상에서 전하는 이야기’를 옮겨 적었다고 기록하였다. 이와 같은 떠도는 이야기가 안함로·원동중 조작의 근거가 될 수는 없다. 또한 같은 기사에는 “산성 안에 고죽군 옛터가 있다.”고 했다. 이 고죽군은 이 지역에 대한 별명으로 사용되었으나 그 배경에는 수양산, 백이·숙제, 고죽국과 관련이 있다. 고죽국은 지리적으로 중국 영평부에 위치하고 있었다. 따라서 고죽국이 이 지역에 있었다는 것은 『신증동국여지승람』 시대의 조선유학자들이 가지고 있는 사대주의적 의식과 관계된 것으로 허상에 다름 아니다. 『환단고기』 위서론자들은 『신증동국여지승람』의 ‘수양산성’ 기사에서 전체 내용을 무시하고 자기들에게 유리하다고 판단되는 안함·원로·동중 3인의 이름만을 갖고와서 『세조실록』의 관련기사를 뒷받침하는 근거로 제시하고, 나아가 『삼성기』 저자 조작설을 주장하였다. 한마디로 전혀 역사적, 지리적 사실이 아닌 기사 가운데 이름 몇 개만 갖고 와서 자기에게 유리한 주장의 근거로 제시하고 있는 것이다. 나아가 이들이 주장하는 『삼성기』 저자 조작설은 『환단고기』 위서론의 근거로 이용되고 있으므로 이를 논박치 않을 수 없다. There have been a number of discussions about Hwandan Gogi published by Gye Yeon-su in 1911. It was discussed by the history, and also it was continued to discuss Hwandan Gogi itself by the site of bibliography. The problem is the argument about a view about pseudograph of Hwandan Gogi. This argument is not ordered yet. Samseong Gi (“The Annals of the Three Sacred Dynasties”) is on the front part of Hwandan Gogi. The writers of this book are Anhamro and Won dong-jung. However, the people who believe that was pseudograph have said the reason of the false writing was ‘making fake writers’. Samseong Gi has been suspected of making fake writers. The first basis of fake writers is the article on May 26th in 1457(King Sejo 3year), The True Record of the Joseon Dynasty. In this article, Anhamro and Won dong-jung are appeared as authors. But the people who believe that a view of pseudograph said Anhamro and Won dong-jung was Anham, Rowon, and Dongjung. The another basis is the article, Suyangsanseong in Dondkug-Yeojiseungram. There is one sentence, ‘Once upon a time, Anham, Rowon, and Dongjung prepared the ground.’ But those are different from Chines characters(Anham) and letters(Rowon). However, for the only reason that those names are similar pronunciation, they have asserted that the three men were right. They asserted that Anhamro and Won Dong-jung was nothing from the beginning and made counterfeitly. The article that three men were appeared in Dondkug-Yeojiseungram is unrelated to history. In this book, there is a saying ‘it was copied and written about the stories circulating around the world. So, the stories circulating can’t become a basis of those insistence. And in the same article, it says ‘there was the old site of Gojukgun in Sanseong’. But it is not true. Because Gojukgun, Gojukguk, was Yeongpeongbu in China. The people who believe that is pseudograph ignored that whole article. And they just referred to only three men’s name, Anham, Wonro, and Dongjung, only for theirs advantages. It has to be rejected that special pleading not to consider historical, geographical facts. Furthermore, their opinion, making fake writers of Samseon Gi and a view about pseudograph of Hwandan Gogi has to be reconsidered.

      • KCI등재

        이유립의 계연수 날조기(捏造記)

        장신(張信) 한국역사연구회 2020 역사와 현실 Vol.- No.115

        Hwandan Gogi is a book that contains (well known, yet unfounded) arguments that Korea established a powerful country under Dan’gun’s leadership more than nine thousand years ago. Ever since a person named Yi Yu-rib published this book in 1979, its legitimacy and genuineness were continuously questioned. In this article, it is determined that Hwandan Gogi was indeed a false, forged publication, based upon the ‘existence’ of another person named Gye Yeon-su, who is known to have published Hwandan Gogi (supposedly) in 1911, earlier than Yi Yu-rib. In some texts, Gye Yeon-su is recorded as the one who discovered Cheonbu-gyeong before 1945. In the 1960s he seems to have been the leader of the Danhak-hwe association as well as an Independence fighter. In the 1970s he appears as one of the leading figures of the ‘Nationalist Historiography’ and also publisher of Hwandan Gogi. Other than these, not much of his life is known to the public. And the singular record that supposedly validates his life and actions was Haedong Inmul-ji(1969), in which an association called Dandan Hakhwe appears, as an organization that inherited the late Danhak-hwe association to follow the teachings of a new religious school known as Taebaek-gyo (whose leader was also Yi Yu-rib). In other words, Yi Yu-rib and this Dandan Hakhwe were the very source of information for the Gye Yeon-su segment in Haedong Inmul-ji. According to this segment, Gye Yeon-su had two colleagues and aides: Oh Dong-jin and Yi Gwan-jib(Yi Yu-rib’s father). Oh Dong-jin was a renowned leader in the Anti-Japanese Korean Liberation front of the 1920s, and had no actual relationship with Gye. Meanwhile, Yi Gwan-jib’s name is spotted from records about Gye Yeon-su, but Gye does not appear in records of Yi Gwan-jib at all. Yi Yu-rib seems to have invented the history and principles for Dandan Hakhwe and Taebaek-gyo, and the result was the fabrication of Hwandan Gogi and Gye Yeon-su.

      • KCI등재

        《三國遺事》 王曆에 나타난 기년인식의 배경

        이부오(Lee, Bu-o) 신라사학회 2014 新羅史學報 Vol.0 No.32

        본고는 《삼국유사》 왕력에 반영된 기년인식의 배경을 파악하는 데 목적을 두었다. 찬자는 《삼국사기》 ‘연표’의 즉위년칭원을 수용했지만, 재위기간 말년의 제외를 원칙으로 삼아 재위기간의 합과 왕조의 존속기간을 일치시키려했다. 그 결과 ‘연표’를 일부 보완하는 성과를 거두었지만, 저본의 유년칭원과 즉위년칭원에 대한 정리의 일관성과 치밀도가 부족했다. 그 결과 연호와 재위기간에서 일부 누락, 중복, 침범, 오류가 발생했고, 말년 제외의 원칙도 적지 않게 무시되었다. 왕력은 ‘연표’를 기초저본으로 삼았으나, 여타 저본을 함께 활용했다. 다양한 기년 오류는 이러한 노력의 결과물이기도 하다. 왕력과 기이편의 기년이 적지 않게 다른 것은 저본의 상당 부분이 일치하지 않았기 때문이다. 다만 왕력의 찬자는 기이편을 참고자료로 삼았을 것이다. 《역대연표》는 기재 요소와 내용에서 왕력과 적지 않은 차이를 보인다. 하지만 왕력의 찬자는 《역대연표》를 보조저본으로 삼았다고 판단된다. 여타 저본에서도 삼국의 왕대는 왕력과 대체로 유사했지만, 별도의 기년을 적용한 고기류도 왕력에서 활용되었다. 그 중에는 유년칭원과 즉위년칭원을 사용한 자료가 공존했다. 신라에서는 원래 유년칭원법을 사용했는데, 9세기경부터 즉위년칭원이 사용되기 시작해 고려로 이어졌다. 이러한 변화가 고기류에서 칭원법과 기년의 불일치를 초래하였다. ‘연표’가 이를 즉위년칭원으로 비교적 일관되게 정리한 반면, 왕력 찬자는 기년정리의 일관성이 부족한 편이다. 결과적으로 왕력은 고기류 단계에서 이루어진 칭원법 변화를 오히려 원자료에 가깝에 담아낸 셈이다. This paper aims to understand the resource of chronological consciousness in 《Samgukyusa》 Wangryeok. The author accepted the first year-accession of 《Samguksagi(三國史記)》Yeonpyo(年表), but excluded the last year of the reign. As a result, some problems shown in Yeonpyo were complemented, but the author was unapt to describe the first year-accession and the second year-accession in the text coherently. So those problems such as omission, duplication, trespass, and error occurred in the era name and the reign. Yeonpyo was used as a main text in Wangryeok, but other secondary texts were also used. Many chronological errors were the result of this. The chronology of Wangryeok is different from the one applied in Giipyeon(紀異篇) because of the difference between those texts of two Chapters. However, the author of Wangnryeok used Giipyeon as a reference. 《Yeokdaeyeonpyo(歷代年表)》 is different from Wangnyeok in terms of contents, but it was utilized as an additional text by the author of Wangnyeok. The number of the thrones of Three Kingdoms in other texts was generally similar to Wangnyeok, but Gogi(古記) based on the other chronology was also used. Among these are texts using the first year-accession and the second year-accession. Originally the second year-accession had been used in The Silla Dynasty, but the first year-accession was used since ninth century approximately. These changes caused a chronological discrepancy among Gogi. Yeonpyo described the chronology coherently using the first year-accession, while Wangnyeok lacked chronological coherence. But Wangnyeok kept the change of accession calculation method in Gogi close to the original.

      • KCI등재

        단군 48대 왕조사 자료 발굴과 그 의의-민중의 손으로 쓰여진 한글본 민간사서로서의 의의를 중심으로-

        임채우 ( Lim Chae-woo ) 국제뇌교육종합대학원 국학연구원 2019 선도문화 Vol.27 No.-

        필자는 최근 『단군 기자 신나 고구려 제 고려 리조』라는 제목을 가진 작은 필사본을 발견하였다. 이 책의 구성을 보면 전반부는 천지창조 신화에서부터 시작해서 단군 48대 왕조사와 기자조선의 왕조를 기술하고, 후반부는 삼국 고려 조선시대의 역사를 왕조 중심으로 기술하였는데, 마지막에는 이완용에 의해 한일합방이 되는 사건까지 기록되어 있다. 필체나 종이의 재질로 볼 때 일제강점기 혹은 20세기 중반에 민간에서 쓰여진 것으로 추정된다. 책의 표지는 『단군기자신나고구려제고려리조』라고 적혀있는데, 단군·기자·신라·고구려·백제·고려·이조의 7왕조의 역사를 중심으로 한 역사서라는 뜻으로 보인다. 이 책은 다음의 두가지 점에서 자료적 가치를 갖고 있다고 할 수 있다. 첫째 독특한 천지창조의 신화를 수록하고 있다. 그래서 천지가 창조되면서 맨 처음에 인황씨가 나오고, 그 다음에 지황씨 천황씨가 나오고, 그 다음에 중국의 삼황오제가 등장한 다음에 태백산 박달나무 아래에 단군이 나와서 왕이 되는 것으로 기술하고 있다. 둘째는 단군 48대 왕조사를 기술하고 있는데, 기존의 『규원사화』나 『환단고기』의 왕호(王號)와 다르며, 치세의 내용 및 재위 연도가 다르다. 특히 『규원사화』의 47대 단군역사와 조대수만 비슷할 뿐, 전혀 다른 내용이 우리말로 수록되어 있다. 이번에 발굴된 이 책은 비록 『규원사화』나 『환단고기』보다는 내용과 체계가 소략하지만, 단군을 포함하면 총 49대의 왕이 등장하는 점에서는 최장의 단군왕조사라고 할 수 있으며, 또한 순한글로 쓰여졌다는 점에서 민중의 손으로 쓰여진 단군 상고사라고 평가할 수 있다. 또한 47대 왕조사가 일제강점기에 처음으로 조작되었다는 일부 학자들의 위서론(僞書論) 주장과는 달리, 이미 47대 혹은 48대 단군왕조사에 대한 인식이 일제강점기에 상당히 유포되어 있음을 보여주는 증거로서 채택할 수 있다. I have recently come across a small manuscript entitled “Dangun Gija Sinna Goguryeo Je Goryeo Lijo”. In the first part of the book, it describes the ancient history of Korea starting from the creation, dynastic history of Dangun with its 48 kings and history of Gija Joseon. The latter describes history from the three kingdoms of Korea, Goryeo and Joseon focusing on dynasties. The book records up to the Japanese annexation of Korea by Lee, Wanyong. Based on the handwriting and material of the paper, it is assumed that the book was written by the common people during the Japanese colonial era or the mid-20th century. The title on the book says “Dangun Gija Sinna Goguryeo Je Goryeo Lijo”, which would imply that it is a history book focusing on history of seven dynasties: Dangun, Gija, Silla, Goguryeo, Baekje, Goryeo and Joseon. This book can be considered to have value as historical record in two points. First, it contains very unique version of creation myth. According to this book, the Human Sovereign comes out after creation of the heaven and earth. Earthly Sovereign and Heavenly Sovereign comes out afterwards, followed by three sovereigns and five emperors. After that, Dangun becomes king under the Korean birch tree at Mountain Taebaek. Second, the book describes dynastic history of 48 kings in Dangun Joseon era. However, the names of the kings as well as their time of reign are different from that of Gyuwon sahwa and Hwandan gogi. In particular, the book contains entirely different version of history of the Dangun dynasty with only similarity between them being the number of kings. The book is simple in content and system when compared with Gyuwon sahwa and Hwandan gogi. However, it can be considered as the longest history of Dangun Dynasty with appearance of 49 kings including Dangun. Also, it can be regarded as the ancient history of Dangun written by the people, as it was written only in Korean alphabet. Further, as a refutation of the pseudograph theory argued by some scholars that claims the dynastic history of 47 kings was fabricated for the first time during the Japanese colonial era, this book can serve as evidence that the recognition of Dangun’s dynastic history of 47 or 48 kings was already quite popular in the Japanese colonial era.

      • KCI등재

        古記(고기)와 三國遺事(삼국유사)에 나타나는 史話的(사화적) 동질성과 의미

        김승호(Seung Ho Kim) 동국대학교 불교문화연구원 2014 佛敎學報 Vol.0 No.67

        『古記』에 대한 논의는 아직 진행 중이며 최근에는 고려 초 익명의 승려가 『삼국사기』 이전에 찬성된 사서라는 주장이 제기된 바 있다. 후대 문헌에 『古記』의 영향이 매우 광범위하게 나타난다는 점에서 이제는 기존논의를 바탕으로 후대 자료들과 의 관련성, 차이점을 검토할 단계가 되었다. 본고는 ‘옛 기록’이란 일반명사가 아닌, 특정인에 의해 작성된 역사서란 주장을 수용하여 『古記』와 『삼국유사』, 그 양자의 유사성을 살펴보는 데 목적을 두었다. 『古記』와 『삼국유사』에 나타나는 거시적 유사점은 설화를 앞세워 역사를 전한다는 점인데 여기서는 유사점을 몇 가지로 범주화하여 살펴보기로 하였다. 『古記』는 고조선을 비롯하여 후백제까지의 건국 역사를 전하되, 초현실적이고 불가해한 일까지 여과없이 기록함으로써 이후 『삼국유사』가 紀異的 서술방향을 굳히게 한 전례가 되었다고 파악했다. 『古記』는 하층민들의 돈독한 불교신앙적 사례를 제시하고 있는 바, 이는 『삼국유사』에서 보다 폭넓은 인물을 통해 민중불교를 강조하는 양상으로 이어진다. 『古記』는 공식적인 불교사와 상치되는 초기 불교의 전래역사를 별도로 마련함으로써 한반도의 불교 기원을 대폭 끌어올린다. 『古記』에 이어?『삼국유사』도 불국토화를 입증하는 설화를 적극적으로 채록, 소개하고 있어 『古記』의 후대적 영향력을 간과할 수 없도록 한다. 신라 중심적인 서술지향성 역시 양자를 관통하는 공통점이라 할 터인데 찬술자들이 고려의 승려신분이라는 조건과 무관치 않다 하겠다. 물론 두 사서는 각각의 개별적 속성을 별도로 간직하고 있음이 분명하다. 그럼에도 양자 사이에는 우연의 일치로 보기 어려울 만큼 많은 공통점이 존재한다는 점을 인정하지 않을 수 없다. 여러 측면에서 『삼국유사』가 『古記』적 특성을 드러낸다는 점은 사서로서?『古記』의 존재적 의의가 그만큼 크다는 것을 시사해주는 것이겠다. Discussions on 『Gogi』 are still in progress, and the claim that it is a historybook brought out by an anonymous monk before the publication of Samguksagihas recently been raise. Thus, now is the time to review the differences andrelevance with later materials based on the existing discussions in that the effectsof 『Gogi』 on later literature appear broadly. Under the acceptance of the claimthat it is the historicalbook written by a particular person, not a “record of thepast” in a general term, this paper is aimed at investigating the similaritiesbetween 『Gogi』 and 『Samgukyusa』. The macroscopic similarities between 『Gogi』and 『Samgukyusa』 are found in the point that they convey history through folktales, and the similarities were extracted from four categories in this paper. 『Gogi』 conveys myths on the founding of countries from Gojoseon to PostBaekje, and it deals with surreal and inexplicable phenomena without hesitation,which seems to serve as a basis for 『Samgukyusa』 to be equipped with the viewof surreal description. 『Gogi』 also presents the practices of faithful belief inBuddhism from the people of lower classes, leading to the aspect that emphasizespractical Buddhism through a wider range of cases in 『Samgukyusa』. 『Gogi』contributes to further raising the Buddhist origins of the Korean Peninsula byproviding the history of earlier Buddhism which is in conflict with the officialBuddhist history. Upon agreeing to the fact, 『Samgukyusa』 actively records andintroduces folk tales that demonstrates pure Buddhist land. The Silla-centeredperspective is also common in both books, which is not irrelevant to the conditionthat those who compile the books were monks of Goryeo, an ancient Korean state. Of course, the two history books retain the separate individualities. Nevertheless,both of them pursue common epic display within a big framework. The fact that『Samgukyusa』 followed 『Gogi』 from several aspects shows 『Gogi』 has a eatsignificance in its presence.

      • KCI등재

        치우천왕과 운사 헌원 사이의 관계 (2) -역사의 맞수인 『삼국유사』 『고기』 대 『사기』 「오제본기」 그리고 『삼성기전하』 「밀기」-

        박병섭 ( Byoung Shup Park ) 국제뇌교육종합대학원 국학연구원 2012 선도문화 Vol.12 No.-

        텍스트로서 『삼국유사』 『고기』와 『사기』 「오제본기」 그리고 『환단고기』를 분석하였다. 텍스트 『삼국유사』 『고기』는 부재하는(알튀세르) 조선족을 창조한 저작으로 분석했고, 텍스트 『사기』 「오제본기」는 부재하는 한족을 창조한 저작으로 분석했다. 텍스트 『삼국유사』 『고기』는 환웅천왕과 그 신하 운사를 주장하고, 텍스트 『사기』 「오제본기」는 공손, 헌원, 운사, 황제가 치우를 잡아 죽였다고 한다. 『환단고기』 『삼성기전 하』는 치우가 18 환웅들 중의 한명이라 주장하며 공손, 헌원이 그의 신하라 주장한다. 『삼국유사』 『고기』는 환웅과 그의 세 신하 풍백, 우사 그리고 운사를 주장한다. 이것은 텍스트 『환단고기』 중 『삼성기전 하』 『밀기』 부분이 옳다 [진서]는 것을 보여주는 사례의 하나이다. 조선족 전승 텍스트로는 『삼국유사』 『고기』, 『환단고기』의 『삼성기전 하』, 『태백일사』의 여섯가지 상이한 전승, 그리고 『규원사화』의 「태시기(太始記)」네 가지를 살펴보고, 한족전승 텍스트로는 『사기』 「오제본기」, 『춘추좌전』 「소공17년조」, 『산해경』 『대황경』 세 개를 살펴보면, 조선족 전승에서 고구려-발해시대의 ``치우와 그 신하 운사 헌원 사이의 관계``로부터 조선 숙종시대의 ``치우와 그 하위의 경쟁자 헌원 사이의 관계``까지로 전승변천과정을 파악할 수 있고, 한족측 전승에서 『사기』 「오제본기」의 이후 『춘추좌전』 「소공 17년조」와 『산해경』 『대황경』의 내용이 변형되는 과정을 추정할 수 있다. 결론적으로 환단삼서 중에서는 『환단고기』 『삼성기전 하편』의 ``치우 환웅과 그 신하 운사 황제 관계설``이 『태백일사』 「신시본기」와 『규원사화』 「태시기」의 사족을 추가한 기록보다 믿음직스럽고, 황제관련 기록 중에서는 『오제본기』 「오제본기」, 『춘추좌전』 「소공17년조」, 『산해경』 『대황경』 중에서 『춘추좌전』 「소공 17년조」의 황제, 운사설이 가장 믿음직스럽다. I analyze Gogi (古記) in SamgukYusa (三國遺事), Five King Stories in Sagi (史記), and Samseonggi in Hwandan Gogi, as texts. The text of Gogi in SamgukYusa has created the original Korean (Gojoseon) nation myth from an absented ethic-nation, while the text of Five King Stories in Sagi has created the original Chinese (Han) nation myth from an absented ethic-nation. The text of Five King Stories in Sagi, said that Gongson, Heonwon, Hwangje (Huangdi = Yellow King) was the master of clouds, the Yellow King in the world, because of earth`s virtue, and arrested Chiwoo and killed him, while Gogi said that the Lord of Heaven, Hwanwoong (the title of the Lords of Heaven), was the first great Heaven King (Cheonwang) in the world, and made the three great god-masters followers of winds, rains, and clouds. Samseonggi in HwandanGogi argued that Chiwoo was one person among 18 Hwanwoongs (the title of the Lords of Heaven), and he had Gongson, Heonwon (Yellow Emperor) as a follower. Gogi in SamgukYusa argued that the Hwanwoong (the title of the Lord of Heaven) had three followers: the great god-masters of winds, rains, and clouds. There is the case as a evidence to support that the information in Milgi in Samseonggi in HwandanGogi is true. If we have read Gogi in SamgukYusa, Samseonggi, and Taebaek Ilsa`s six stories in Hwandan Gogi,,Taesigi in Gyuwon Sahwa of Korean histories, and Five King Stories in Sagi, the book of Spring and Autumn, and San Hae Gyeong of Chinese histories, we have found change in the relation between Chiwoo and Gongson, Heonwon (Yellow Emperor), from Gongson, Heonwon as follower, to Gongson, Heonwon as rival. In conclusion, we could support Samseonggi and Taebaek Ilsa`s six stories in Hwandan Gogi,, Taesigi in Gyuwon Sahwa with regard to the relation between Chiwoo and Gongson, Heonwon (Yellow Emperor), among the three kinds of books on Hwan-Dan. We could support the book of Spring and Autumn among Five King Stories in Sagi, and San Hae Gyeong on their data on Gongson, great god-masters of winds, rains, and clouds, Heonwon (Yellow Emperor).

      • KCI등재

        신라말 고려초 稱元法의 변화와 그 배경

        이부오 한국고대사탐구학회 2023 한국고대사탐구 Vol.45 No.-

        본고는 고기류와 금석문을 통해 신라말~고려초에 칭원법이 변화하는 과정과 배경을 밝히기 위해 작성되었다. 삼국사기 에 인용된 古記류의 일부는 즉위년칭원으로 정리되었다. 그 고기류의 찬술 시기는 「가락국기」가 찬술된 11세기말이나 구삼국사가 출현한 광종대까지 올라갈 수 있다. 이러한 고기류 기사의 일부는 삼국사기 와 별도의 계통으로 삼국유사 에 수용되었을 가능성이 있다. 반면 일부 자료는 유년칭원으로 작성되었다가 삼국사기 신라본기나 그 저본에서 즉위년칭원으로 수정되었을 것이다. 일부 고기류에서는 유년칭원과 즉위년칭원이 혼용되었다. 크게 보면 유년칭원에서 즉위년칭원으로 변화하는 경향을 보였다. 그 변화의 기점은 중대초와 고려초 사이의 어느 구간으로 나타난다. 신라 금석문에서는 원래 유년칭원을 사용했다. 이러한 경향은 중대를 거쳐 백률사석당기(818)까지 이어졌다. 반면 보림사 비로자나조상기(859) 이후에는 즉위년칭원을 사용하는 비중이 높아졌다. 현왕의 즉위연차나 기년의 상당 부분이 삼국사기 신라본기와 일치하는 점이 이를 말해준다. 하지만 법흥왕대에 대해서는 저본의 유년칭원 기록을 그대로 수용하여 혼용하기도 했다. 유년칭원으로 기재된 저본을 즉위칭원으로 정리하는 과정에서 오류가 발생하기도 했다. 이러한 문제는 유년칭원에서 즉위년칭원으로 변화하는 추세 속에서 발생했을 것이다. 9세기 후반경 칭원법의 변화가 시도된 것은 내부적 요인에 따랐을 가능성이 크다. 9세기 동안 빈번하면서도 비정상적인 왕위의 교체가 그 정당성을 과시하기 위해 즉위년칭원을 시도하는 동기로 작용했을 것이다. 하지만 그 변화는 점진적이고 불규칙한 과정을 거쳤다. 즉위년칭원법은 고려초인 949년 광종이 공식적으로 실시했지만, 동왕 후반부에는 송의 연호를 사용하면서 유년칭원으로 돌아갔다. 현종이 다시 즉위년칭원법을 실시하면서 즉위년칭원이 보편화되었다. 여기에는 취약한 왕권을 정당화하려는 동기와 함께 遼의 즉위년칭원 경향이 영향을 미쳤다. 다수의 고기류에서 즉위년칭원이 적용된 것은 이러한 흐름에 따른 것이다. 광종대와 현종대에 시행된 즉위년칭원법은 삼국사기 가 이를 기준으로 삼는 데 결정적인 영향을 끼쳤다. Some of the articles from the Gogi(古記) cited in Samguksagi were written using the first year-accession. The period in which the Gogi was written can be dated to the end of the 11th century or the Goryeo Gwangjong(光宗) period. Some of these articles in the Gogi would have been accepted in the Samgukyusa without going through the Samguksagi . On the other hand, some of the articles in the Gogi would have been written using the second year-accession, and then revised to the first year-one in Samguksagi or its text. In some of Gogi, the second year-accession and the first year-one were used interchangeably. In general, the former changed into the latter. The beginning point of the change was between the unification of the Three Kingdoms and the early Goryeo Dynasty. Originally, the second year-accession was used in Silla's inscriptions. After Borim Temple's Virojana-Jossanggi(彫像記: 859), the proportion of using the first year-one increased. On the other hand, in the article dealing with the period of King Beopheung, the second year-accession was used interchangeably. Errors also occurred in the process of converting an article in the text written using the second year-accession into the first year-one. This kind of problems occurred in the process of changing from the second year-accession to the first year-one. The reason why the Chronology was attempted to be replaced in the 9th century would have been domestic. The frequent and abnormal replacement of the throne in the 9th century would have served as a motive for attempting the first year-accession to show off its legitimacy. But those changes were gradual and irregular. In 949, Goryeo's Gwangjong officially implemented the first year-accession, but in the latter half of his reign, he returned to the second year-one. During the reign of King Hyeonjong, the first year-accession was implemented again and became common. The first year-accession implemented during the two kings' periods originated with the purpose of legitimizing the weak royal authority, and was influenced by that implemented during the Liao(遼) dynasty. The first year-accession applied to many Gogies followed this trend. This accession, which was implemented during the two kings' reigns, had a decisive influence on the authors of Samguksagi using it as a standard.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