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교량 현황정보 관리를 위한 인터넷 기반 정보시스템 개발

        박경훈(Kyung-Hoon Park),선종완(Jong-Wan Sun) 한국산학기술학회 2016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Vol.17 No.11

        국가 주요 사회기반시설물로서 전국 도로 교량의 현황 데이터를 효과적으로 수집하고, 데이터의 신뢰도를 증진시키며, 축적된 데이터를 분석하여 정책수립 지원을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하기 위하여 전산화된 정보관리시스템이 필요하다. 데이터베이스와 GIS(Geographic Information Systems)를 포함하는 인터넷 기반 교량정보시스템(Bridge Information System; BIS)을 설계하고, GIS 기반 위치좌표와 교량 상태등급 정보 등 관리를 위한 필수 정보로 데이터 항목을 구성하였다. BIS는 관련정보시스템과의 정보 연계가 가능하며, GIS 도입을 통해 교통량, 주소 정보 등의 현행화가 용이하도록 개발하였다. 현황정보의 신뢰도 향상을 위하여 입력 오류를 사전에 방지하기 위한 정보 검증 기능을 통해 데이터의 신뢰도를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하였다. 또한 축적된 데이터 분석을 바탕으로 기존에 불가능하던 다양한 지식정보를 제공하여 정책수립 지원이 용이하도록 하였으며, GIS를 바탕으로 직관적인 현황파악과 분석이 가능하도록 하였다. BIS의 현황정보 관리를 통해 유지관리 업무 효율성 향상, 정보 정확도 향상, 시계열에 따른 정보분석 등이 가능하여, 장래의 합리적인 국가 유지관리 정책 수립에 효과적으로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A computerized information management system of road bridges as a national key infrastructure is needed to effectively collect data of the current status, improve the reliability of data, and use the results from the analysis of the accumulated data as fundamental resources for supporting the establishment of policies. The Internet-based Bridge Information System (BIS), including a database and geographic information systems (GIS), was designed, and the data items were comprised of essential information, such as GIS-based location coordinates, bridge condition grade information and so on. The BIS was developed to be connected with a related information system, and it is possible to make the current information of traffic volume, address and so on by adopting the GIS. To enhance the reliability of the information of current bridge status, it is also possible to improve the accuracy of data through an information verifying function to prevent entry errors. In addition, the BIS can easily support the establishment of policies offering various types of knowledge information that were available in the past based on an analysis of the accumulated data. The intuitive identification and analysis of the current status is to be feasible through a GIS screen. Improvement of the business efficiency and data accuracy and time-series information analysis are available by managing the information of current status through BIS. In the future, it is expected that BIS can be used effectively for the establishment of reasonable maintenance policies of the nation.

      • KCI등재후보

        웹 GIS 기반 철도 지반정보 관리프로그램의 개발

        황선근,이성혁,김현기,김정무 한국철도학회 2004 한국철도학회논문집 Vol.7 No.1

        Railroad geotechnical information management system was developed by using Web GIS and DB in this study. The standardization of railroad geotechnical information is progressed by classifying three groups as like basic informations, vibration informations along railway lines and design drawings. The basic informations consisted of basic and dynamic properties of soils, geophysical exploration and seismic survey/exploration. And the specification for ‘human exposure to whole-body vibration’ was adopted to construct the vibration informations along railway lines. The informations as like drawings and photographs were saved by changing to graphic files in the standardization of design drawings. In the case of standardization of geographical information, the topographical maps(NGIS, 1:5000) were primarily used as digital maps. Another digital maps(KRRI, 1:5000) and their geographical DB based on NGI code system were added on this maps. The standardized informations were used to construct their database. And railroad information management system was developed using Entity-Relation(ER) model which had a good feasibility for expansion and transition to other system in designing stage of database. This system consisted of layer selection, search and analysis of geotechnical informations and Zeus DB was adopted for GIS operating and user interface. This system could be a good tool for saving, searching and analyzing the geotechnical and geophysical informations. These DB systems would offered the basic informations to plans, design and construction of railroad lines etc. in practical use.

      • KCI등재

        IoT를 이용한 지하매설물관리용 지능형표지기(IMI) 기술개발에 관한 연구

        김태달 한국인터넷방송통신학회 2017 한국인터넷방송통신학회 논문지 Vol.17 No.3

        과거 지리정보시스템 GIS(Geographic Information System)의 활용영역이 정부와 몇몇 공공분야에 국한돼 있었으나, 최근 모바일, CRM(Customer Relationship Management) 등 다른 영역과 결합하면서 시장이 다양해지고 있다. 21세기 GIS기술의 발전방향은 GIS응용시스템 개발 및 공간정보 서비스를 위한 제반 기술로서 웹 GIS, 3차원 GIS, 모바일 GIS, LBS 등을 들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기존에 사용하고 있는 지하매설물 관련 표지못의 단순 위치파악 기능에서 탈피해서 새로운 개념의 표지못(지능형 저장 메모리장치를 내장한 표지못)을 개발해서, 현장에서 지하매설물관련 정보 (설치일자, 매설 깊이, 배관두께, 배관 재질, 관리기관, 시공자, 연락처 등)를 입력하고 DB서버에 저장해서, 필요하면 적시. 적소에서 활용할 수 있게 한다. 본 연구를 통해 무분별한 굴착기 공사 등으로 야기되는 각종 사고를 미리 방지하고, 최소화 할 수 있으며, 싱크홀 관련 대책 수립을 위한 정보제공 등. 지하매설물관리를 체계적이며, 신뢰성 있는 정보 제공이 가능하도록, 현장에서 편리하게 정보를 입력할 방안을 제시함으로써, 지하 매설관로 사고를 절대적으로 감소시킬 수 있도록 하는 목적을 두고 연구 개발하였다. Geographic Information System The geographic information system (GIS) has been limited to the government and some public sectors. Recently, the market has been diversified by combining with other areas such as mobile and CRM (Customer Relationship Management). The development direction of GIS technology in the 21st century is Web GIS, 3D GIS, mobile GIS, LBS, etc. as general technology for GIS application system development and spatial information service. In this study, we developed a new concept marking nail (a marking nail with built - in intelligent storage memory device) from the function of simple positioning of a marking nail related to a previously used underground item,, Burial depth, pipe thickness, piping material, management agency, contractor, contact, etc.) and store it in DB server, if necessary.Make it available in the right place. Through this research, it is possible to prevent and minimize various accidents caused by irregular excavation works, etc., and to provide information for establishing countermeasures related to sink holes. In order to provide systematic and reliable information on underground burial management, it was proposed to input information conveniently in the field, and the purpose was to reduce the incidence of buried underground pipes absolutely.

      • KCI등재후보

        GIS기반의 건축물관리대장 DB구축 및 정보시스템 개발에 관한 연구

        정대영(Jung Dae Young),손영기(Son Young Gi),안상현(An Sang Hyun) 한국부동산학회 2008 不動産學報 Vol.34 No.-

          1. CONTENTS<BR>  (1) RESEARCH OBJECTIVES<BR>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issue in constructing building register information in database for building administration information system of Information & Communication Section, Cheongju city in link with numerical value topographical map and to develop building geographical information system through constructing GIS DB for building administration. It intends to utilize GIS for support data for decision making of urban plan in knowledge based system.<BR>  By calculating the usage per subject according to urban plan and utilizing it, usage region decision (change) and land register notice decision (change), which are the business of urban plan in Cheongju city, can be researched and reviewed per unit block.<BR>  It also aims at executing reasonable and scientific city administration for urban plan and the work for urban landscape plan corresponding to urban plan law by providing fundamental data of urban plan.<BR>  (2) RESEARCH METHOD<BR>  We analyzed the issue of the link between numerical value topographical map and building register and constructed building register database and numerical value topographical map in linkage by applying Avenue of ESRI"s ARC VIEW 3.1.<BR>  For system development, Client was made up utilizing of ESRI´s Map Object 2.1 and Oracle 7.0 (Client), and each subject map was loaded to urban plan synthetic information system; Oracle 8i and ESRI´s ArcSDE 8.1 were applied to space database server engine.<BR>  For updating in the future, property data of Oracle DB for building in building administration information system of Information & Communication Section, Cheongju city was created by View table and liked DB GIS of building at GIS room in City Section, Cheongju city with urban plan synthetic information system.<BR>  (3) RESEARCH RESULTS<BR>  For linkage between building map in numerical value topographical map and building register, a part that was not available for data matching due to timely disaccord occurred from manufacture period of numerical value topographical map and land register map, and data update of building administration information system.<BR>  In case of accessory building, vinyl house, and illegal building which were not recorded to building administration information system, disaccord with building map occurred.<BR>  2. RESULTS<BR>  This study is to construct database of building register for GIS utilization and to research for information system development to be utilized as support data for urban plan decision making in knowledge based system.

      • KCI등재

        GIS(Geographic Information System)를 이용한 응급의료 후송시스템의 개발

        金潤信,高應麟,李泰植,尹晟源 대한보건협회 1996 대한보건연구 Vol.22 No.1

        본 연구에서는 응급의료 후송체계를 개선하기 위한 목적으로 서울시 강남구와 송파구를 대상으로 지리정보시스템(GIS)을 이용한 응급의료진료시스템을 시범구축하였다. 시스템의 구축에 하드웨어로는 PC(IBM-Pentium급)가 선정되었으며, 시스템의 수행 및 분석에 사용된 GIS용 소프트웨어로는 PC ARC/INFO 3.4.2를 이용하였고 응급의료 정보의 입력에는 응급환자의 위치 및 가장 가까운 응급출동기관의 위치, 후송예정 병원의 위치를 입력하여 구축한 시스템의 결과는 다음과 같이 요약된다. 응급후송병원의 위치를 최단경로로 찾을 수 있는 기능을 수행하였다. 또한 선정된 응급출동기관과 병원의 상세정보를 볼수 있는 기능도 갖고 있었다. 본 시범 시스템에서는 한글의 사용을 배제하였으나 실용화 단계에서는 이에 대한 문제를 해결하여야 할 것이며 윈도우 환경에서 일부 한글사용이 가능하나 아직 속도가 떨어지고 불안정한 것으로 평가되었다. 또한 지리정보시스템(GIS)을 응용한 결과 응급상황에서 빠른 응급출동기관의 선정 및 최단 거리에 위치한 병원의 선정이 가능하여 보다 양질의 의료서비스 제공이 가능하나, 동시에 선행사항으로 응급상황을 제어·통제할 수 있는 센터 및 원격감시 시스템과의 연결이 필수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vide GIS application to the emergency medical transport system in the Seoul area. Two wards, Kangnam-Gu and Songpa-Gu, were selected for a pilot study subject. The main focus of the study was to develop the network system using GIS which could select the most available hospital from the site being emergency case and advise the minimum path to the hospital. ARC/INFO PC version was needed to implement an indexing system for automated mapping and data storage. The developed system, "Emergency Medical System based on GIS 「EMS/GIS」," consists of the catographic database and vehicle transpotation system. The results suggest that EMS/GIS network is needed to connect the local transpotation network between major emergency care hopitals and central control tower in the near future. If the EMS/GIS system could be more developed based on further analysis, it would be the most useful economical, and efficient for emergency medical service with mutual aid system. It is suggested that the further research should be done to develop the most useful and powerful system for emergency medical care.

      • KCI등재

        The Application and Implementation of Geographic Information Systems (GIS) in Gwangju, Korea

        Bonghyun Jeong(정봉현) 한국도시행정학회 2004 도시 행정 학보 Vol.17 No.2

        논문의 목적은 광주광역시를 중심으로 지리정보시스템(GIS)의 활용실태와 문제점을 분석하고, 이를 토대로 광주광역시에 GIS를 효율적으로 구축하기 위한 방안을 제도ㆍ정책적인 입장에서 제시하는 데 있다. 논문의 주요내용은 지방정부 지리정보시스템의 이론적 고찰, 광주광역시 지리정보시스템의 활용실태와 문제점 분석, 광주광역시 지리정보시스템의 효율적 구축방안 등으로 구성되어 있다. 논문은 기존 연구문헌의 검토, 관련 통계ㆍ행정자료의 분석, 관련 전문가 의견수렴 등의 방법에 의하여 수행되었다. 지리정보시스템(GIS)은 지형공간정보의 습득, 저장, 갱신, 처리, 및 분석 등의 제반 작업과정을 가시화하는 컴퓨터 하드웨어, 소프트웨어, 관련자료 및 조직의 종합시스템을 의미한다. 이러한 GIS는 정보화 및 지방화의 시대를 맞이하여 시정부의 다양한 업무영역에 점차 활용도가 증대되고 있다. 이것은 시정부에 업무처리의 효율성과 생산성 증대, 정책결정의 합리적 근거제공, 적시ㆍ적정 지형정보제공, 정보이용의 정확성 증대 등 다양한 효과를 발생시킨다. 한국은 1995년 국가 GIS 기본계획을 수립한 이후에 국가, 지방자치단체를 대상으로 GIS 사업영역을 확장ㆍ추진하여 왔다. 광주광역시는 1991-94년에 기본지형도 사업 및 1996-98년 동안의 기본지형도 수치지도화 사업을 통하여 GIS database를 구축하였다. 광주광역시는 GIS를 상수도 관망관리, 도로 및 하수도망관리 등을 중심으로 시설물 관리에 1991년부터 활용하기 시작하였다. 광주시는 1단계 사업으로 1990-1995년 동안 상수도 관망관리시스템, 1995-97년 동안에 하수도 관망관리시스템을 구축하여 운영하였다. 또한 GIS를 활용한 도로관리시스템을 1995-97년 기간에 구축하여 부분적인 도로시설물 관리에 활용하고 있다. 2001년부터 착수된 2단계 사업에서는 GIS를 활용한 도시종합정보시스템과 경관관리시스템의 구축에 많은 노력을 경주하고 있다. 연구의 결과, 광주광역시의 GIS 활용상의 문제점들은 주로 GIS 전담인력의 확보곤란과 지속적 양성결여, GIS 투자재원의 부족과 재원조달방안의 미비, GIS 데이터베이스 체계적 유지관리 미흡, GIS 자료의 업무활용실적과 이용도 저하, 시정책결정자의 GIS사업에 대한 관심도 저조 등으로 확인되고 있다. 따라서 광주광역시에 GIS사업을 효율적으로 구축하기 위해서는 우선 GIS 전문인력의 양성과 지속적인 교육훈련 실시, GIS 전담행정조직과 전문성의 강화, 중앙ㆍ시정부의 GIS 투지재원의 확충과 재원조달방안 강구, GIS 자료체계관리의 합리화 및 효율화 유도, GIS 활용공감대의 확산과 관심도 증대, 국가 GIS 사업계획의 효율적 추진 등의 대책들이 더욱 강구되어야 할 것이다.

      • 웹 GIS 기반 철도 지반정보 관리프로그램의 개발

        황성근(Seon-Keun Hwang),이성혁(Seong-Hyeok Lee),김현기(Hyun-Ki Kim),김정무(Jung-Moo Kim) 한국철도학회 2004 철도저널 Vol.7 No.1

        Railroad geotechnical information management system was developed by using Web GIS and DB in this study. The standardization of railroad geotechnical information is progressed by classifying three groups as like basic informations, vibration information along railway lines and design drawings. The basic information consisted of basic and dynamic properties of soils, geophysical exploration and seismic survey/exploration. And specification for 'human exposure to whole-body vibration' was adopted to construct the vibration informations along railway lines. The informations as like drawing and photographs were saved by changing to graphic files in the standardization of design drawings. In the case of standardization of geographical information, the topographical maps(NGIS, 1:5000) were primarily used as digital maps. Another digital maps(KRRI, 1:5000) and their geographical DB based on NGI code system were added on this maps. The standardized informations were used to construct their database. And railroad information management system was developed using Entity-Relation(ER) model which had a good feasibility for expansion and transition to other system in designing stage of database. This system consisted of layer selection, search and analysis of geotechnical informations and Zeus DB was adopted for GIS operating and user interface. This system could be a good tool for saving, searching and analyzing the geotechnical and geophysical informations. These DB systems would offered the basic informations to plans, design and construction of railroad lines etc. in practical use.

      • LDI 표현방법을 이용한 3D GIS 구현

        송상훈(Sang Hun Song),정영기(Young Kee Jung) 한국컴퓨터정보학회 2006 한국컴퓨터정보학회지 Vol.14 No.1

        지리정보시스템(Geographic Information System : GIS)은 지리적으로 참조 가능한 소프트웨어 시스템을 말한다. 이러한 지리정보시스템의 주요 특징 중 지리정보의 표현이라는 문제를 중심으로 살펴볼 때 기존의 2차원적인 표현에서 3차원적인 표현으로의 연구개발이 활발하게 진행되고 있으나, 방대한 양의 지리정보를 빠르고 효율적으로 처리하는데 많은 문제가 있어, 본 논문에서는 GIS의 효율적인 장면 렌더링을 위해서 영상기반 모델링과 렌더링을 위해 제안된 LDI(Layered Depth Images)를 이용하여 3차원의 GIS를 렌더링 하고자 한다. 실측기반 방식으로부터 3차원의 지형데이터를 획득하고, 이렇게 획득된 3차원의 지형 데이터는 깊이 정보를 가지고 있는데, 이러한 깊이 정보를 기반으로 하여 LDI를 생성하였다. 또한 전통적인 모델링 방식인 3DS-Max를 이용하여 LDI를 생성하였다. 이렇게 획득된 LDI 정보를 이용하여 보다 효율적인 3차원의 GIS 렌더링을 할 수 있었다. Geographic information system (GIS) geography reference it talks the software system which is possible. When like this geographic information system in key feature trying to observe the problem which is an expression of geography information in the center, the research and development with 3 dimension expressions is active from 2 dimension expressions of existing and it is advanced, double meaning geography information which is huge to be quick, the place where it controls efficiently there is a many problem, the ring from the dissertation which it sees and 3 dimensions and efficient scene of the GIS rendering compared to the ring from hazard image base modeling and rendering compared to hazard proposal LDI (Layered Depth Images) it uses GIS rendering compared to the ring to sleep it does. It acquired the terrain data of 3 dimensions from thread side base method, terrain data of 3 dimensions which are acquired like this the place where it has depth information like this depth information in base and the LDI, it did it created. Also it was a traditional modeling method and 3DS-Max it used and it created the LDI. It used LDI information which is acquired like this and the GIS of more efficient 3 dimensions rendering compared to the possibility of ring it was.

      • KCI등재후보

        대도시 지방정부의 GIS 구축, 활용과 문제점에 관한 연구

        박욱성(Park Wook-sung) 한국공공관리학회 2005 한국공공관리학보 Vol.19 No.2

        이 논문은 서울시와 경기도 도시정부의 지리정보시스템의 구축, 활용실태와 문제점을 분석하고, 효율적 운영을 위한 방안을 제시하는데 있다. 논문의 주요내용은 도시정부 지리정보시스템의 이론적 고찰, 서울시와 경기도 도시 정부 지리정보시스템의 전담조직, 기본계획, 전산화 추진현황을 설명하고, GIS구축ㆍ활용에서의 문제점 분석, GIS의 효율적 구축ㆍ활용을 위한 개선방안으로 구성되어 있다. GIS는 정보화 및 지방화시대에서 도시정부의 다양한 업무영역에 점차 활용도가 증대되고 있다. 한국은 1995년 국가 GIS 기본계획을 수립한 이후에 극가, 지방자치단체를 대상으로 GIS사업영역을 확장 추진하여 왔다. GIS구축ㆍ활용의 기대성과로 들 수 있는 것은 시정업무의 신속성, 효율성, 정확성의 향상기대, 의사결정을 위한 주요한 기초자료로 이용기대, 각종 사고 및 유사시의 초기 대처가능기대, 시민 행정서비스의 향상기대이다. 경기도 도시정부들의 GIS구축의 문제점은 지자체 공간정보 기반구축 미흡, 지자체 GIS정보화 추진체계 구축부재, GIS정보화추진 전문 인력 부족, GIS데이터베이스 체계적 유지관리 미흡, 지자체 공간정보의 갱신전략미흡을 들 수 있다. 활용에서의 문제점은 지자체GIS와 지하시설물 관련 GIS주체가 다른 데에서 오는 시스템 통합 부재, 법, 제도의 미비, 공공참여가 활성화 되어있지 못한 점을 들 수 있다. 도시정부의 GIS를 도시정보시스템(UIS)으로 발전시키기 위한 도시정부 정책결정자의 관심증대와 적극적인 빙안 마련이 요구된다고 하겠다. This article is study on the construction, application and problem analysis of Geographic Information System(GIS) in Seoul city government and municipal local governments of Kyunggi-do, Korea. The main contents of this article are composed of (1) theoretical consideration of municipal local governments GIS, (2) GIS exclusive charge organization, basic plan, promoting present situation of administrative computerizing of Seoul city government and municipal local governments of Kyunggi-do. (3) Problem analysis of GIS construction, application. (4) improvement plan for the GIS's efficient construction, application. GIS application in various services of municipal governments is gradually increasing in the age of information and localization. Since 1995, Korean central government has established a National Geographic Information System (NGIS) basic plan, thereafter Korean central government is extending GIS program to municipal local governments. The expecting outcomes of GIS construction application cite a case such as. (1) Speediness, efficiency, accuracy betterment of municipal government affairs, (2) using as important basic materials in decision-making, (3) prompt disposal expectedness on the accidents of various kinds and in time of emergency. The problems of GIS construction in Kyunggi-do city governments are (1) the lack of foundation construction on space information, (2) the construction absence of GIS information propulsion system, (3) the insufficiency of GIS information prompting special working manpower. (4) The lack of GIS's data base's systematic maintenance administration (5) the discontent of space information renewal strategy. The problem of GIS application in Kyunggi-do city governments are (1) system integration absence deriving from difference of the managing mainbody between municipal local government GIS and underground facilities GIS, (2) insufficiency of law and institution promoting GIS application. It is needed that municipal local government policy-makers take a increasing interest in city government GIS and prepare the active plan.

      • GIS를 활용한 초등 사회과 지리교육시스템의 개발

        황홍섭,남영현 부산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2002 논문집 Vol.4 No.-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velop geographic education system(GES) by geographic information system(GIS) in elementary social studies. GES which is developed can make learners construct a meaningful knowledge. The development tool for GIS is MapObject LT 2 and Delphi Enterprise 5.0 as GIS software, and the edited is Auto CAD, Flash, Photo Shop, etc.. This system is divided into 5 parts : that is, ① What is a map? ② digital map that is, Seoul and Busan metropolitan city map, Korean peninsular map, world map, ③ map-maker ,④ report-maker ⑤ game. This system can make learners get more effectively than existing text-based learning because this system offers various data types such as digital map and image map, sound, image and video in each learning screen. Especially, this system maximize learning effectiveness through interaction with learner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