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Froude Scaling 기법을 적용한 헬기 비상부주 장비 해수면 안정성 입증 시험

        장인기(In-Ki Chang),류보성(Bo-Seong Ryu),김정훈(Joung-Hun Kim),김영진(Young-Jin Kim) 한국항공우주학회 2015 韓國航空宇宙學會誌 Vol.43 No.12

        해상 운용 헬리콥터는 비상부주를 적용하여 탑승자의 안전한 탈출을 위해 일정시간 이상 안정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어야 한다. 규정에서도 헬기가 해상에 착륙 후 승객이 탈출할 수 있는 충분한 부양시간을 요구하고 있다. 이를 위해 국내개발 헬기의 비상부주 장비는 해수면에서의 안정성 입증을 위해 “Froude Scaling” 기법을 적용하여 수조시험을 수행하였다. 시험 형상 및 조건은 헬기 하중조건과 요구되는 규격을 고려하여 설정하였다. 시험결과 요구 조건인 해상 상태 코드4와 손상조건 해상 상태 코드2에서 안전성이 있음을 확인하였다. A marine helicopter should remain sufficiently upright to permit safe evacuation of all personnel with a flotation system. And the rule requires that after ditching in water, the adequate flotation time will allow the occupants to leave the rotorcraft. To this end, stability test of the emergency flotation system for Korean marine helicopter was performed by using “Froude scaling method” in water tank. Test configuration and conditions were determined in consideration of the helicopter loading condition and related specifications. Test results meet the stability requirements at sea state code 4 and sea state code 2 with puncture conditions.

      • KCI등재후보

        축소 모형 실험을 통한 정거장내 적정 배연방식에 관한 연구

        이호근,김명우,이필영,김남석,Lee. Ho-Keun,Kim. Myoung-Woo,Lee. Phill-Young,Kim. Nam-Suk 한국방재학회 2008 한국방재학회논문집 Vol.8 No.4

        지하철터널에서 화재가 발생하면, 열차는 가장 가까운 정거장으로 대피하여 승객들을 하차시켜야 한다. 실제로 대구지하철 화재사고가 이러한 방식으로 대응 하였으나 큰 인명 피해를 초래하였다. 지하철 정거장의 화재배연시스템은 열차화재에 대응할 수 있도록 설계되어 있지 않기 때문에 화재열차의 정거장 진입시 예상치 못한 피해를 유발할 수 있으며 피해방지를 위한 정거장 선로부의 배연계획 수립이 필요하다. 본 연구의 목적은 정거장 선로부의 열차화재시 효율적인 배연방식을 연구하고 승객의 피난 동선 확보를 위해 상층부로의 역류 방지대책을 축소모형실험에 의하여 수립하는 것이다. If fire is occurred in the subway, the train must be moved to the closest station and make passengers get off the train. As a matter of fact, the Fire of Dae-gu Subway was coped with this way. But, the fire smoke extraction system of real subway stations have not designed to deal with fire of trains yet. Therefore, we have to establish a plan of station railroad for preventing from unexpected damage when the fired train comes to the station.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stablish the effective smoke extraction measure that is to prevent stations from damage by the scale-down experiment.

      • KCI등재후보

        축소 모형 실험을 통한 정거장내 적정 배연방식에 관한 연구

        이호근,김명우,이필영,김남석 한국방재학회 2008 한국방재학회논문집 Vol.08 No.04

        If fire is occurred in the subway, the train must be moved to the closest station and make passengers get off the train. As a matter of fact, the Fire of Dae-gu Subway was coped with this way. But, the fire smoke extraction system of real subway stations have not designed to deal with fire of trains yet. Therefore, we have to establish a plan of station railroad for preventing from unexpected damage when the fired train comes to the station.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stablish the effective smoke extraction measure that is to prevent stations from damage by the scale-down experiment. 지하철터널에서 화재가 발생하면, 열차는 가장 가까운 정거장으로 대피하여 승객들을 하차시켜야 한다. 실제로 대구지하철 화재사고가 이러한 방식으로 대응 하였으나 큰 인명 피해를 초래하였다. 지하철 정거장의 화재배연시스템은 열차화재에 대응할 수 있도록 설계되어 있지 않기 때문에 화재열차의 정거장 진입시 예상치 못한 피해를 유발할 수 있으며 피해방지를 위한 정거장 선로부의 배연계획 수립이 필요하다. 본 연구의 목적은 정거장 선로부의 열차화재시 효율적인 배연방식을 연구하고 승객의 피난 동선 확보를 위해 상층부로의 역류 방지대책을 축소모형실험에 의하여 수립하는 것이다.

      • 터널 화재시 배연속도가 연소율변화에 미치는 실험적 연구 - Heptane 풀화재 경우

        유홍선,양승신,Ryou, Hong-Sun,Yang, Seung-Shin 한국터널지하공간학회 2005 터널기술 Vol.7 No.2

        본 연구는 터널내 화재시 배연속도가 연소율 변화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기 위하여 Froude scaling에 의해 1/20 크기로 축소한 모형화재 실험을 수행하였다. 화원으로는 4.5cm~8.5cm의 헵탄을 사용하였으며 발열량은 3.71~15.6 kW이다. 연소율은 로드셀을 이용하여 산출하였고, 연기거동을 파악하기 위하여 K형 열전대를 이용하여 온도분포를 측정하였다. 풍동은 터널 상류 한쪽부분과 연결하였고, 터널 공간의 배연속도를 제어하기 위하여 풍동의 인버터를 조정하였다. 헵탄 풀화재인 경우 배연속도가 증가할수록 충분한 산소의 공급으로 연소율은 증가하였으며, 같은 무차원 속도($\bar{V}$) 일때 화원 크기가 작아짐에 따라 연소율은 증가하였다. In this study, the 1/20 reduced-scale experiments using Froude scaling were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ventilation velocity of the variation of burning rate in tunnel fires. The heptane square pool fire with heat release rate ranging from 3.71~15.6 kW were used. The burning rate of fuel was obtained by measuring mass using load cell and temperature distributions were measured by K-type theomocouples in order to investigate smoke movement. The ventilation velocity in the tested tunnel was controlled by inverter of the wind tunnel. In heptane pool fire case, the increase in ventilation velocity incresed the burning rate due to the direct supply of oxygen to the fire plume. For the same dimensionless velocity($\bar{V}$), burning rate increased as the size of pool fire decreased.

      • KCI등재후보

        터널화재시 배연속도가 연소율변화에 미치는 실험적-Heptane 풀화재 경우

        양승신,유홍선 사단법인 한국터널지하공간학회 2005 한국터널지하공간학회논문집 Vol.7 No.2

        In this study, the 1/20 reduced-scale experiments using Froude scaling were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ventilation velocity of the variation of burning rate in tunnel fires. The heptane square pool fire with heat release rate ranging from 3.71~15.6 kW were used. The burning rate of fuel was obtained by measuring mass using load cell and temperature distributions were measured by K-type theomocouples in order to investigate smoke movement. The ventilation velocity in the tested tunnel was controlled by inverter of the wind tunnel. In heptane pool fire case, the increase in ventilation velocity incresed the burning rate due to the direct supply of oxygen to the fire plume. For the same dimensionless velocity(), burning rate increased as the size of pool fire decreased. 본 연구는 터널내 화재시 배연속도가 연소율 변화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기 위하여 Froude scaling에 의해 1/20 크기로 축소한 모형화재 실험을 수행하였다. 화원으로는 4.5 cm~8.5 cm의 헵탄을 사용하였으며 발열량은 3.71~15.6 kW이다. 연소율은 로드셀을 이용하여 산출하였고, 연기거동을 파악하기 위하여 K형 열전대를 이용하여 온도분포를 측정하였다. 풍동은 터널 상류 한쪽부분과 연결하였고, 터널 공간의 배연속도를 제어하기 위하여 풍동의 인버터를 조정하였다. 헵탄 풀화재인 경우 배연속도가 증가할수록 충분한 산소의 공급으로 연소율은 증가하였으며, 같은 무차원 속도()일때 화원 크기가 작아짐에 따라 연소율은 증가하였다.

      • 도로터널 화재발생시 연기유동에 관한 축소모형실험 연구

        김정엽,신현준,강세구,안경철,Kim, Jung-Yup,Shin, Hyun-Joon,Kang, Se-Gu,Ahn, Kyung-Chul 한국터널지하공간학회 2004 터널기술 Vol.6 No.2

        도로터널내 화재가 발생한 경우 자연환기와 종류식 환기시스템에서의 연기유동에 대한 연구가 수행되었다. Froude Scaling에 기초한 1/18 축적의 축소모형실험장치가 제작되었으며, 화원으로는 연료심지를 이용한 14.55kW 규모의 연소기가 사용되었다. 화원으로부터 등비간격으로 터널천정부근과 수직방향의 온도분포가 측정되었으며, 연소가스의 농도가 피난대피구 입구에서 측정되었다. 연구결과로서 자연환기시스템에서 비상대피구가 225m 간격으로 설치되어 있을 경우 비상대피구 구간의 연기확산시간은 256초가 되며, 20MW의 화재강도에 대해 화염역류를 완전히 방지하기 위해서는 터널풍속을 2.8m/s로 형성해 주어야 한다. In this study, smoke movement in tunnel fire with natural and longitudinal ventilation systems has been investigated. Reduced-scale experiments were carried out under the Froude scaling using 14.55kW fire source with a wick and experimental data is obtained with 1/18 model tunnel test. Temperature profiles were measured under the ceiling and vertical direction along the center of the tunnel and poisonous gas was measured at emergency exit point. The results show that refuge time for 225m intervals of emergency exit in case of natural ventilation systems is 256 seconds and critical velocity for sufficient back-layer prevention is 2.8m/s for fire strength of 20MW.

      • KCI등재후보

        도로터널 화재발생시 연기유동에 관한 축소모형실험 연구

        김정엽,신현준,강세구,안경철 사단법인 한국터널지하공간학회 2004 한국터널지하공간학회논문집 Vol.6 No.2

        In this study, smoke movement in tunnel fire with natural and longitudinal ventilation systems has been investigated. Reduced-scale experiments were carried out under the Froude scaling using 14.55kW fire source with a wick and experimental data is obtained with 1/18 model tunnel test. Temperature profiles were measured under the ceiling and vertical direction along the center of the tunnel and poisonous gas was measured at emergency exit point. The results show that refuge time for 225m intervals of emergency exit in case of natural ventilation systems is 256 seconds and critical velocity for sufficient back-layer prevention is 2.8m/s for fire strength of 20MW. 도로터널내 화재가 발생한 경우 자연환기와 종류식 환기시스템에서의 연기유동에 대한 연구가 수행되었다. Froude Scaling에 기초한 1/18 축적의 축소모형실험장치가 제작되었으며, 화원으로는 연료심지를 이용한 14.55kW 규모의 연소기가 사용되었다. 화원으로부터 등비간격으로 터널천정부근과 수직방향의 온도분포가 측정되었으며, 연소가스의 농도가 피난대피구 입구에서 측정되었다. 연구결과로서 자연환기시스템에서 비상대피구가 225m 간격으로 설치되어 있을 경우 비상대피구 구간의 연기확산시간은 256초가 되며, 20MW의 화재강도에 대해 화염역류를 완전히 방지하기 위해서는 터널풍속을 2.8m/s로 형성해 주어야 한다.

      • KCI등재

        터널 화재시 종류식 환기가 연소율 변화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실험적 연구

        양승신(Seung Shin Yang),김성찬(Sung Chan Kim),유홍선(Hong Sun Ryou) 한국암반공학회 2005 터널과지하공간 Vol.15 No.1

        본 연구는 터널대 화재 발생시 종류식 환기가 연소율 변화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기 위하여 Froude scaling에 의해 1/20크기로 축소한 모형화재 실험을 수행하였다. 화원으로는 8.5 ㎝-14.5 ㎝의 메탄올을 사용하였으며 발열량은 3.57 - 10.95㎾이다. 연소율은 로드셀을 이용하여 산출하였고, 연기거통을 파악하기 위하여 K형 열전대를 이용하여 온도분포를 측정하였다. 풍동은 터널의 한쪽부분과 연결하였고, 터널 공간의 배연속도를 제어하기 위하여 풍동의 전압을 조절하였다. 메탄올 화재인 경우 배연속도가 증가할수록 냉각효과로 인하여 연소율은 감소하였으며, 또한 같은 무차원속도(⊽)일때 화원 크기가 커짐에 따라 연소율은 감소하였다. In this study, the l/20 reduced-scale experiments using Froude scaling were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longitudinal ventilation on the variation of burning rate in tunnel fires. The methanol square pool fires with heat release rate ranging from 3.57 ㎾ to 10.95 ㎾ were used. The burning rate of fuel was obtained by measured mass using load cell and temperature distribution were measured by K-type theomocouples in order to investigate smoke movement. The wind tunnel was connected with one side of the tested tunnel, and logitudinal ventilation velocity in the tested tunnel was controlled by power of the wind tunnel. In methanol fire case, the increase in ventilation velocity decreased the burning rate due to the direct cooling of fire plume. for the same dimensionless velocity(⊽), burning rate decreased as the size of pool fire increased.

      • SCOPUSKCI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