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아이트래커(Eye-Tracker)의 미술 교육적 활용 방안 탐색- 읽기과정에 관한 선행 연구 분석을 중심으로 -

        전형우(Jeon, Hyung Woo),정현일(Jung, Hyun Il) 한국미술교육학회 2019 美術敎育論叢 Vol.33 No.2

        아이트래커는 지난 10여 년간 국내외의 다양한 연구 분야에서 지속적으로 활용되어 왔다. 아이트래킹 기술은 자외선을 각막에 비춘 후 각막에서 반사되는 자외선을 아이트래커에 장착된 카메라가 추적하여 눈동자의 운동 정보를 분석하는 시스템이다. 눈동자의 움직임이 외부 자극에 대한 단순한 반응이 아니라 뇌의 인지처리과정을 위한 유의미한 운동이라는 점은 최근의 교육 연구 분야에서 아이트래커에 더욱 주목하는 이유가 된다. 눈동자의 움직임과 인지처리와의 관계에 대한 관심은 주로 학습자의 ‘읽기 과정’을 규명하는 연구에서 나타나고 있는데, 이러한 읽기 과정의 특성은 현대 미술교육 연구에서 지속적으로 다루어지고 있는 ‘시각적 문해력’과 그 맥락을 같이 한다. 이에 따라 본 연구에서는 아이트래커를 활용한 기존 연구 중에서 학습자의 읽기 과정에서 나타나는 특성을 탐색한 선행 연구들을 분석하여 시사점을 도출한 후, 아이트래커의 미술교육적 활용 방안을 고찰해보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선행연구를 분석한 결과, 학습자의 문제해결 과정을 분석하는 유형, 기존 이론에 대한 증명 및 확장 방안을 탐색하는 유형, 교수ㆍ학습 방법의 효과성을 검증하는 유형으로 나뉘었다. 이와 같은 세 가지 유형에 따라 아이트래커의 미술 교육적 활용 방안을 각각 도출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미술교육적으로 아이트래커를 활용할 수 있는 몇 가지 아이디어를 제시하는 것에 머물렀지만, 각 아이디어들을 더욱 구체화하는 후속 연구들이 이어진다면 대외적으로 미술교육의 정당성과 신뢰성을 한층 높일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Over the past decade, Eye-tracker has been used in a variety of research fields at home and abroad. Eye-tracking technology is a system that irradiates the ultraviolet rays to the cornea and then the ultraviolet rays reflected from the cornea are tracked by the camera mounted on the Eye-tracker to analyze the motion information of the pupil. The attention of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movement of the pupil and the cognitive processing is mainly found in research that identifies the ‘reading process’ of the learner. The characteristics of the reading process are in line with the ‘Visual literacy’ which is continuously studied in contemporary art education research. Therefor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use of Eye-tracker in art education after analyze the previous studies exploring the characteristics of learner’s reading process among the existing studies using Eye-tracker. As a result of analyzing previous research, it was divided into three types: analyzing the problem solving process of the learner, researching for the plans to prove and expand existing theories, and verifying the effectiveness of teaching and learning methods. Based on these three types, the use of Eye-tracker in art education was derived. In this study, it was only to present some ideas to utilize Eye-Tracker as art education. But if follow-up studies that further refine each idea are followed, it is expected that the legitimacy and reliability of art education can be enhanced externally.

      • KCI등재

        추적안구운동에서 아이트래커의 임상 적용

        문병연,조현국,김상엽,유동식 한국안광학회 2023 한국안광학회지 Vol.28 No.3

        목적: 추적안구운동 평가에서 아이트래커의 임상 적용의 가능성을 찾고자 하였다. 방법: 대상자는 정상 범위의 사위를 갖는 25명(평균 21.04±1.67세)으로 하였다. 임상아이트래커를 이용하여 수평, 수직 및 대각선 방향의 추적안구운동을 측정하였고, BCEA과 SD 면적으로 구하여 분석하였다. 타깃의 이동 범위를 40도(°)로 한정하여 추적안구운동을 평가하였다. 결과: 추적안구운동은 BCEA에 의한 평가에서 수직 방향의 58.42 deg2 에서 왼쪽 대각선 방향의100.60 deg2 까지, SD 면적에 의한 평가에서 수직 방향의 42.45 deg2에서 왼쪽 대각선 방향의 81.57 deg2까지 나타났다. 상대적 비교에서 BCEA와 SD 면적에 의한 평가는 각각 과대평가와 과소평가를 보였다. BCEA와 SD 면적 간의 Spearman 상관계수는 왼쪽 대각선 방향의 0.665로부터 수직 방향의 0.993까지 범위였다. 두 평가 모두 수평과수직 방향이 대각선 방향보다 안정적이고 정확하였다. 결론: 이 연구는 정상적인 사위를 가진 대상자 한하여 아이트래커를 이용하여 여러 주시 방향에서 BCEA와 SD 면적 기준으로 추적안구운동을 평가할 수 있음을 보여준다. Purpose: This study evaluated the feasibility of clinical application of an eye tracker in pursuit eye movements test. Methods: Twenty-five subjects (mean age, 21.04±1.67 years) with normal phoria were included. Pursuit eye movements in horizontal, vertical, and diagonal directions using the Clinical Eye Tracker were measured, and analyzed by calculating bivariate contour ellipse area (BCEA) and standard deviation (SD) area. Pursuit eye movements were evaluated based on 40 deg(°) of the range of the moving target. Results: Pursuit eye movements were from 58.42 deg2 for the vertical direction to 100.60 deg2 for the left diagonal direction in the evaluation by the BCEA, and from 42.45 deg2 for the horizontal direction to 81.57 deg2 for the left diagonal direction by the SD area. In the relative comparison, the evaluation by the BCEA and SD area showed overestimation and underestimation, respectively. The Spearman’s correlation coefficients between BCEAs and SD areas ranged from 0.665 for the left diagonal direction to 0.993 for the vertical direction. In both evaluations, the horizontal and vertical directions were more stable and accurate than diagonal directions. Conclusions: This study demonstrated the feasibility of evaluating pursuit eye movements based on the BCEA and SD area in several directions using the eye tracker for subjects with normal phoria.

      • KCI등재

        아이트래커 장비를 활용한 컨셉 선정 방안에 대한 연구: 반려묘 제품을 대상으로

        이효식,선섭희 한국인더스트리얼디자인학회 2024 산업디자인학연구 Vol.18 No.1

        연구배경 제품 개발 프로세스 중, 도출된 디자인 시안에 대해 적정 디자인을 선정하는 과정은 추후 제품 개발의 방향성에 크게 영향을 미치는 중요한 과정이다. 본 연구에서는 시선을 추적하는 기기인 아이트래커를 활용하여 실 사용자와 이해 관계자를 대상으로 디자인 시안에 대한 디자인 수용 여부를 파악하여 의사결정권자에게 디자인 선정의 객관성을 확보한 내용을 제시할 수 있도록 하고자 하였다. 연구방법 ‘반려묘화장실’과 ‘배변 보관함’의 디자인 컨셉 수용과 선호 여부를 확인하기 위하여 실 사용자와 이해관계자를 대상으로 1차, 아이트래커의 장비 착장 후 제시된 시안을 제안된 시간 안에 자유롭게 보도록 하였다. 시선 추적 데이터를 히트맵, Gaze Plot, AOI 기능으로 분석한 후 디자인 컨셉의 수용과 선호 여부를 파악하고, 2차로 심층 인터뷰을 진행하여 아이트래커의 데이터와 심층인터뷰의 결과가 동일한지를 확인 하였다. 그 결과를 디자인 전문가에게 자문을 진행하여 디자인 선정 안에 대한 적정성을 점검하였다. 연구결과 아이트래커를 통해 도출된 컨셉시안에 대한 사용자와 이해관계자의 시선의 횟수, 시간, 경로 데이터를 심층 인터뷰와 비교 검토하였고 그 결과, 대상자들의 시선추적데이터와 인터뷰 내용이 유사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 다만 구체적인 ‘평가 항목’을 제시 한 전문가평가는 상기 평가와 다소 상이한 결과를 확인할 수 있었다. 결론 본 연구는 아이트래커를 활용한 디자인 선정 방법론이 디자인 컨셉 선정 등 디자인수용에 대한 조사 기법으로 유의미한 방법론이 될 수 있음을 확인한 것에 그 의의가 있었다. 또한 아이트래커를 통해 측정한 결과의 적정성을 확보하기 위해서는 반드시 사용자나 타사용자의 심층인터뷰나 전문가의 자문 등 검증과정이 병행되어야 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 Background The process of selecting an appropriate design from the generated design drafts during the product development process is a crucial step that significantly influences the direction of subsequent product development. This study aimed to enhance design objectivity for decision-makers by employing eye-tracking technology to assess real users and stakeholders acceptance of the design. Methods To gauge the acceptance and preference of 'Litter Box' and 'Defecation Container' designs, users and stakeholders freely reviewed proposed drafts after being equipped with eye-tracking devices in the initial phase. After analyzing gaze-tracking data using heatmap, Gaze Plot, and AOI functions, we assessed the acceptance and preference of the design concepts. A second phase involved conducting in-depth interviews to verify whether the eye-tracking data aligned with the results of the in-depth interviews. The results were validated through consultation with design experts to assess the appropriateness of the design selection. Results We compared gaze frequency, duration, and path data from users and stakeholders regarding conceptual designs from the eye tracker with in-depth interview results, revealing a similarity between eye-tracking data and interview content. However, the expert evaluation with specific 'evaluation criteria' yielded somewhat different results than the previous assessments. Conclusion The study confirms that utilizing eye-tracking for design selection can be a meaningful approach to investigate design acceptance and select design concepts. To ensure the validity of eye-tracking results, validation processes like in-depth interviews with users or others and expert consultations must be conducted simultaneously.

      • KCI등재

        문법교육 연구의 확장과 심화를 위한 아이트래커 활용 가능성 탐색

        최은정 ( Choi Eun-jeong ) 한국어교육학회(구 한국국어교육연구학회) 2018 국어교육 Vol.0 No.163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a positive method of presenting material that can lay theoretical grounds for grammar education. Additionally, this author will discuss how the provision of systematic and scientific material can extend and deepen grammar research. For this study, this researcher has examined the characteristics and status of research using eye-trackers. This paper discusses the educational significance that eye-tracker research has in grammar education and the necessity of related research. Furthermore, this author has studied the possibility of using eye-trackers to extend and deepen grammar education. An eye-tracker is neither the only tool with which we can examine the cognitive process that takes place in the human mind nor a tool that can project the cognitive process on its own. With this complex process of exploration, this researcher hopes that you will consider how to diversify study methodologies in consideration of the distinctiveness of grammar education. This study exhibits limitations in that it has failed to consider grammatical items that are more appropriate for eye-tracker research or provide detailed contents like concrete study methods. In order to develop research on grammar education in balanced ways, this author expects that follow-up research will be carried out to concretize the possibilities explored in this study.

      • KCI등재

        광고의 시지각적 연구를 위한 아이트래킹 방법론의 이해, 현황 및 제언

        김지호(Kim, Gho) 한국광고홍보학회 2017 한국광고홍보학보 Vol.19 No.2

        본 연구는 2006년 이후 10년간 국내에서 수행된 아이트래커 연구 중 광고 분야와 관련된 학회지에 수록된 연구들을 검토하여 아이트래커 연구의 현황 파악 및 적절한 연구 방향을 제시하고자 수행되었다. 이를 위해 <광고연구>, <광고학연구>, <한국광고홍보학보>, <한국심리학회지:소비자·광고> 등 총 4개의 학회지에 수록된 총 22편의 논문을 살펴보았다. 아이트래킹에 대한 이해를 높이고자 사람들의 시선에 대한 시각심리학적 설명을 기술하였다. 또한 연구들을 주제에 따라 분류하여, 경향성을 살펴보고자 하였으며, 아이트래커 활용의 방법론적 관점에 따라 분류하여, 방법론의 적절한 사용 방향을 도출해 내고자 하였다. 아이트래킹 연구가 경쟁력이 있는 접근법임에도 불구하고 아직 뚜렷한 사용 규준이 확립되어 있지 않으므로 이에 대한 용어 및 개념, 분석 방법 등에서 일관성을 갖추고 있지 못한 실정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아이트래킹 연구의 전반적인 경향성과 보완점을 파악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를 통하여, 좋은 후속 연구가 이루어지기를 기대한다.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dentify the current status and to suggest proper direction of EyeTracker research. So It was examining researches included in the Journal related to advertisement field. Then we reviewed total of 22 papers in the four Korea articles since 2006: Advertising Research, Korean Journal of Advertising, Korean Journal of Advertising and Public Relations, Korean Journal of consumer and advertising psychology. In order to improve the understanding of eye tracking, It was described visual psychological theory. In addition, we sought to examine the tendencies by classifying studies by researches. In spite of Eye-tracking research is a competitive approach, There is no established standard of use yet. And there is no consistency in terms, concepts, and analysis methods. In this study, we tried to grasp the overall tendency and the complementary points of eye tracking. Through this study, it is expected that good follow - up research will be done.

      • KCI등재

        이미지 재현 방식과 전공교육이 주시패턴에 미치는 영향

        김연 ( Yan Jin ),안시형 ( Si-hyeong Ahn ),이상원 ( Sang-won Lee ) 한국디자인트렌드학회 2017 한국디자인포럼 Vol.55 No.-

        연구배경 그래픽 기술의 발전과 디바이스 다양화로 인해 건축 환경을 표현하는 방식과 매체 종류가 많아지고 있다. 본 연구는 건축 환경을 표현하고 전달하는 재현방식 중 실제 사진 이미지와 전통적인 스케치 이미지 두 방식에 대한 차이점에 대해 알아보려고 한다. 또한 정보를 읽는 다양한 이해관계자들 사이에서 존재하는 지식수준의 차이가 실제 건축 환경을 인지하고 평가 할 때 어떻게 영향을 주는지에 관해 규명하려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연구방법 먼저 문헌연구를 통해 인지와 태도를 측정하는 디자인 관련 연구에서 아이트래커가 어떻게 사용되는지, 재현 방식을 둘러싼 논의, 지식수준 차이가 태도나 인지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논의들을 알아보았다. 다음으로 아이트래커 장비를 이용하여 지식수준 차이가나는 두 집단 피험자의 자극물에 의한 시선 이동을 데이터화 하고 피험자들이 완성한 설문지 데이터와 함께 종합적인 분석을 하였다. 연구결과 얻어진 데이터로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첫 째, 두 가지 재현방식에 대한 평가는 유의미한 차이가 있다, 둘 째, 재현 방식에 따라 시선운동의 차이가 있었으며, 특히 배경과 전경의 차이 및 빛 효과에 의한 대비가 컸다. 마지막으로 전공자와 비전공자간의 시선운동에도 차이가 있었는데, 전공자는 건축적인 요소에 집중하는 경향을 보인 반면, 비전공자는 사람, 간판 등의 비건축적인 요소에 집중하는 경향을 보였다. 결론 재현방식에 따라 태도나 인지가 다르기 때문에 실제 상황과의 차이를 최소화하기 위해 노력해야 하고 그 방법으로 배경과 주 요소 차이를 뚜렷하게 하는 것, 빛의 효과를 사실적으로 하는 것, 미세한 명암효과를 표현하는 것 등이 있다. 이외 교육에 의한 영향은 비가역적이기에 건축 환경에 대한 일치한 의견을 위해서 참여적인 프로세스가 필요할 것임을 알 수 있다. Background With the development of graphic technology and diversification of devices, there have been various methods and media types presenting architectural environment. This study is to find the differences between the actual photo of images and the traditional sketch images when represent and deliver architectural environment. It is also on a purpose to identify the effects from various stakeholders who utilize and assess the architectural environment in condition that they are at different level of knowledge and understanding. Methods First, through the literature research, investigate the discussion about how eye-tracker being employed in design research, the argument on the method of representations, the impact from the level difference of knowledge/observation on attitudes and cognition from design research. Subsequently, by using the eye-tracker device, perform a comprehensive analysis for a customized data simulated with eye movements and for afterwards questionnaires from two “samples” in terms of the difference in the level of knowledge. Result The experimental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the evaluation towards two types of representation has significant differences. Second, based on the type of representations, there are differences in eye movement. Especially, differences between background and foreground, and differences in contrast of light effects are notably obvious. Finally, there are differences in eye movements from majored and the non-majored people. Majored people tend to focus on architectural elements, while non-majored tend to focus on non-architectural elements such as people or signs. Conclusion Efforts, such as distinguishing the figures and grounds clearly, actualizing the light effects and presenting a slight shade effects, to minimize the gap from practical situation are necessary since attitude or cognition is differed by the type of representations. Furthermore, for a consensus on the architectural environment, the participatory process is also requisite as the educational effects are irreversible.

      • KCI등재

        누가 단순한 디자인을 좋아하는가? 감각추구성향이 디자인 선호에 미치는 영향 -아이트래커를 이용하여-

        김지숙,김지호 한국소비자·광고심리학회 2013 한국심리학회지 소비자·광고 Vol.14 No.1

        본 연구는 소비자의 감성이 중요해진 현 소비시장에서 어떤 디자인이 소비자의 관심을 끌 수 있는지 디자인 단순성에 초점을 맞추어 소비자가 선호하는 디자인을 밝히고자 하였으며, 이를 조절하는 소비자 개인차 변인으로서 감각추구성향을 측정하였다. 또한 디자인 정보를 수집하는 일차적인 감각체계로서 중요한 시각행동을 첫 응시, 응시시간으로 분류하여 평가 과정에서 나타나는 디자인 및 감각추구성향에 따른 시각행동의 차이를 검증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84명의 대학생을 대상으로 고정형 아이트래커(eye-tracker)를 이용하여 실험을 진행하였다. 연구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디자인 단순성과 감각추구성향 및 성별에 따른 시각행동(첫 응시, 응시시간)을 분석한 결과, 디자인이 복잡할수록 첫 응시가 빨랐으며 오랫동안 응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이러한 경향은 소비자의 감각추구성향 및 성별에 의해 조절되었으며, 복잡하거나 중간 디자인에 대해서는 감각추구성향이 높은 소비자나 여성 참가자가 상대적으로 응시가 오랫동안 유지된 반면, 단순한 디자인에 대해서는 감각추구성향 및 성별에 따른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디자인의 단순성 수준과 소비자의 감각추구성향 및 시각행동(첫 응시, 응시시간)에 따른 디자인평가를 분석한 결과, 중간디자인을 선호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선호 패턴 또한 감각추구성향에 따라 달라졌는데, 감각추구성향이 높은 참가자가 낮은 참가자와 비교하여 상대적으로 조금 더 복잡한 디자인에 대해 선호를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소비자의 시선을 오래 이끄는 디자인에 대해 평가가 긍정적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본 연구의 한계점과 의의를 밝혔으며, 마케팅적 시사점을 논의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understand simple or complex design value that is important to aesthetic impression and figure out sensation seeking tendency will moderate simple or complex design preference. Also, classify the eye movement into first fixation and fixation time to examine difference depending on the level of design’s simplicity and complexity and consumer individual difference. For this, 84 undergraduate students participated in this study, and using fixed eye-tracker. The results are as in the following. First, people showed swift first fixation, and continual fixation to complex product design. But this result is moderated by consumer’s sensation seeking tendency. That is, high sensation seeking or female participants show continual fixation to complex design. While for simple product design, there is no difference between low and high sensation seeking participants. Second, there is the most preference to moderately design. But this pattern also moderated by sensation seeking tendency. Explain concretely, high sensation seeking participants are more like relatively complex design. This paper have significance result in the way that using an objective approach to design evaluation and, verifying relation between preference and eye-movements. Based on these results, managerial implication and further study’s supplementation are discussed.

      • KCI등재

        이동형 아이트래커를 활용한 편의점내 POP 광고 효과에 대한 현장실험연구

        김지호 한국자료분석학회 2010 Journal of the Korean Data Analysis Society Vol.12 No.3

        본 연구는 실제 편의점에서 POP 광고의 효과를 알아보는 현장실험으로 진행되었다. 이를 위해 POP 광고의 효과를 측정할 수 있는 이동식 아이트래커를 활용하였다. 이를 통해 소비자들이 자유롭게 움직이면서 어떤 POP 광고에 주의를 기울이는지를 측정하고자 하였다. 그리고 소비자들의 시각적 주의를 설명하기 위한 이론적 배경으로 깊이지각이론을 적용하여, POP 광고의 특성에 따라 광고응시에 어떠한 차이가 나타나는지를 이론적으로 설명할 수 있는지 확인하고자 하였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POP 광고의 면적과 상하위치, 조명조건과 부분겹침에 따른 효과에 대한 가설을 설정하였다. 이동식 아이트래커를 활용하여 20명의 흡연남성을 대상으로 계산대 주변의 담배 POP 광고의 응시효과를 검증하였다. 분석결과 상하위치가 POP광고 응시에 영향을 미쳤으며 이중 사람들의 표준적인 시선높이인 140cm 정도에 위치한 POP 광고를 가장 오래 살펴보았다. 또한 부분겹침 조건의 비교에서는 겹쳐져서 후면에 위치한 것에 비해 전면에 위치한 POP 광고 더 많이 보는 것으로 나타났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whether depth perception cue affects cigarette POP advertising. Researcher used portable eye-tracker that measured visual attention in real convenience shop. 20 smoking male was recruited for this experiment. In this experiments, treatments were size, location(right to left, bottom to ceiling and distance), luminance and partially occlusion. And dependent variables was fixation duration. The results showed that when depth perception cues were given to POP, it make POP effectively attended. In related of human visual habit, pattern of normal gaze influnced POP effects. Generally t here are not motivation for consumer to process POP advertising. Finally, limitations of this paper and future research directions were discussed.

      • KCI등재

        지적장애를 동반한 사지마비형 뇌성마비 아동의 주의집중력 향상을 위한 아이트래커기반 게임화 요소 연구

        정윤아(Yoona-Jeong),우탁(Tack-Woo) 한국게임학회 2020 한국게임학회 논문지 Vol.20 No.4

        본 논문에서는 아이트래커를 활용한 상호작용 요소들과 지적장애아 주의집중력의 특성을 분석하여 디지털콘텐츠를 설계 할 때 활용할 수 있는 게임화 요소들을 제시한다. 사지마비형 뇌성마비 아동에게 아이트래커는 디지털콘텐츠의 접근성을 높여 줄 것이다. 전경적 게임화는 선택적 주의집중력을, 배경적 게임화와 내재적 동기 유발은 주의집중력의 지속을, 전경적 게임화와 외재적 동기 유발은 주의집중의 이동능력을 위해 활용될 수 있다. In this paper, we analyze the interaction features using eye-tracker and the characteristics of attention concentration of children with intellectual disabilities, and present gamification elements that can be used when designing digital contents for them. For children with quadriplegic cerebral palsy, eye-trackers will increase the accessibility of digital contents. Foreground gamification can be used for selective attention concentration, background gamification and intrinsic motivation to sustain attention concentration, and foreground gamification and extrinsic motivation for mobility.

      • KCI등재

        Facebook의 사용자경험연구

        김태양(Tae-Yang Kim),신동희(Dong-Hee Shin) 한국콘텐츠학회 2014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Vol.14 No.7

        본 연구는 소셜미디어 사용자들의 시선경로의 흐름을 통하여 SNS 사용자들의 감성적 경험을 이해하고 사용자 중심의 사용자 환경(UI)에 암시점을 주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페이스북에 노출된 광고에 대한 사용자들의 응시시간 및 태도 분석을 통하여 소셜미디어 마케팅영역에 사용자경험(UX) 중심의 이론적, 실무적 공헌점을 제시하고자 한다. 시선추적 장치인 아이트래커(eye-tracker)를 활용하여 페이스북 사용자들의 UX를 추적한 결과 사용자들의 시선경로는 기존 웹에서의 사용자들이 가지고 있던 시선경로인 F-shape pattern과는 다른 H-shape pattern을 확인하였다. 또한 페이스북에 노출된 광고에 대해 4부분의 관심영역(AOI.1, AOI.2, AOI.3, AOI.4)을 설정하고 페이스북 사용자들이 가장 오래 응시하는 광고의 위치를 분석한 결과 사용자들은 페이스북 오른쪽 상단에서 두 번째 구역인 AOI.2에 가장 오랜 시선을 두었다. AOI.1, AOI.4, AOI.3의 순서로 응시순서를 추적한 실험에서도 페이지 오른쪽 상단에서 두 번째 광고에 대한 태도가 가장 좋았으며 처음과 마지막 그리고 세 번째 광고의 순으로 광고태도가 긍정적인 것으로 조사되었다. This study examines subjects’ eye movement pattern and surveys their attitudes to the exposed advertisements on the Facebook. Different from the F-shaped pattern of the typical Web pages, users’ eye movements on the Facebook have shown a rough H-shape. Even though a large number of users have shown F-shaped pattern on the ordinary Web pages in order to skip the contents of a Web, subjects’ eye-movement pattern on the Facebook has H -shaped pattern due to the unique User Interface (UI) of the Facebook. With the right side and vertical arrangement of ads on the Facebook, users skip the page with having a large H-shaped pattern. In addition, this study set four AOIs(Area of Interest) that are advertising sections comprised on the Facebook Web page and measured fixation length within the AOIs then surveyed subjects’ attitudes about the exposed ads. Through the experiment and survey, this study offers the optimum advertising position that can attract Facebook users’ attention. As the result of experiment and survey, the second ad has the subjects’ highest attitude to advertising and fourth ad is the next effectiveness and first and third ad followed. This study highlights the key implications to provide better user experiences(UX) and marketing strategies to users who are the consumers of companies and organizations which have a plan to put their advertising on the Facebook.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