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경험적 소비특성이 감정반응에 미치는 영향 -호텔이용동기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임현정 ( Hyun Jeong Lim ),이화인 ( Wha In Lee ) 관광경영학회 2015 관광경영연구 Vol.65 No.-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he findings of the effects of the experiential consumption characteristics in the hotel business on customers` emotional responses. Especially, this study focuses on the moderating effects of customers` motives between experiential consumption characteristics and emotional responses. This researchers set up hypotheses referring to theoretical backgrounds and conducted a questionnaire for customers who visited the domestic five-star hotels. The findings are as follows. The First, playfulness, symbolism, usefulness and aesthetics had positive effects on customers` positive emotional responses but it had negative effects on customers` negative emotional responses. On the other hand, intercommunity showed the opposite effect. The second, customers` motives had moderating effects between experiential consumption characteristics and emotional responses. When experiential consumption characteristics had significant impact on positive emotions, usefulness is controlled by hedonic motivation and aesthetics is promoted by hedonic and conspicuous motivations. When experiential consumption characteristics had significant impact on negative emotions, symbolism is promoted by conspicuous motivation and usefulness is controlled by hedonic motivation and also aesthetics is controlled by practical motivation. Hotel companies will be able to effectively segment and target market on the basis of this empirical results.

      • KCI등재

        다문화 청소년의 체험활동이 진로태도에 미치는 영향: 자아존중감과 성취동기의 순차적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이래혁 한국학교사회복지학회 2022 학교사회복지 Vol.- No.60

        This study aimed to analyze the influence of experiential activities on career attitude among multicultural adolescents and the serial mediation effect of self-esteem and achievement motivation. For the purpose, this study conducted data analyses on a sample of 1,051 adolescents selected from the ninth wave of the Multicultural Adolescents Panel Study (MAPS) through the SPSS Process macro method. The data analyses yielded the following results. First, multicultural adolescents’ experiential activities had a positive and significant influence on career attitude. That is, participating in more experiential activities increased the level of career attitude. Second, multicultural adolescents’ self-esteem mediated the influence of experiential activities on career attitude. This means that participating in more experiential activities increased the level of self-esteem, which in turn increased the level of career attitude. Third, multicultural adolescents’ self-esteem and achievement motivation serially dual-mediated the influence of experiential activities on career attitude. Namely, participating in more experiential activities increased the level of self-esteem, which in turn increased the level of achievement motivation and finally increased the level of career attitude. Based on the findings, this study suggested ways to help multicultural adolescents more effectively develop career attitude through experiential activities. 본 연구는 다문화 청소년의 체험활동이 진로태도에 미치는 영향과 이러한 영향에 있어서 자아존중감과 성취동기의 순차적 매개효과 분석을 목적으로 수행되었다. 이와 같은 목적을 위해 본 연구는 다문화청소년 패널조사의 9차 년도 자료에서 선별된 1,051명을 대상으로 SPSS Process macro의 방법을 활용하여 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다문화 청소년의 체험활동은 진로태도에 정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미쳤다. 즉, 더 많은 체험활동에 참여하는 것이 진로태도 형성의 수준을 증가시켰다. 둘째, 다문화 청소년의 체험활동이 진로태도에 미치는 영향은 자아존중감에 의해 단순 매개되었다. 이는 더 많은 체험활동에 참여하는 것이 자아존중감의 수준을 높이고, 이어서 진로태도의 수준을 높이고 있음을 보여준다. 셋째, 다문화 청소년의 체험활동이 진로태도에 미치는 영향은 자아존중감과 성취동기에 의해 순차적으로 이중 매개되었다. 이 같은 결과를 통해 더 많은 체험활동에 참여하는 것이 자아존중감의 수준을 높이고, 이어서 성취동기의 수준을 높여 최종적으로 진로태도의 수준을 증가시키고 있음을 알 수 있다. 본 연구의 결과를 기반으로 다문화 청소년의 체험활동을 통해 진로태도의 형성을 보다 효과적으로 촉진하도록 하는 방안을 제안하였다.

      • KCI등재

        관광매력물의 관람형과 체험형에 따른 방문동기, 선택속성 및 관광행태 차이연구

        조성원,윤지환 한국관광진흥학회 2024 관광진흥연구 Vol.12 No.S2

        이 연구는 관광매력물을 관람형과 체험형으로 구분하고, 방문자의 행동을 보다 심층적으로 분석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서 관광매력물 유형에 따른 방문동기, 선택속성, 관광행태 및 만족도에 대한 차이분석과 영향관계 분석을 진행하였다. 표본의 수집은 국내 대표 관광지인 전라남도 여수에 위치한 빅오쇼와 유월드 루지를 대상으로 연구를 진행하였다. 관람형과 체험형 관광매력물을 구분하기 위해 방문객들을 감정반응을 분석하여 감성어 표현이 ‘보는 반응’ 위주인 관광매력물을 관람형으로 ‘하는 반응’ 위주인 관광매력물을 체험형으로 구분하여, 빅오쇼를 관람형, 유월드 루지를 체험형 관광매력물로 구분하였다. 분석 결과 방문동기는신기성 추구가 관람형 관광매력물의 방문자가 높게 나타났으며, 체험형 관광매력물 방문자는 일상탈출과 모험, 사회 동기가 상대적으로 더 높게 나타났다. 선택속성 중 매력성은 관람형 관광매력물의 방문자가, 접근성과 안정성, 시설은 체험형 관광매력물의 방문자가 높게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관광만족은 관람형 관광매력물 방문자는 매력성과 시설 순으로 높게 인식하고 있었으며, 체험형 관광매력물 방문자의 경우 시설, 매력성, 접근성 순으로 인식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연구 결과, 관광매력물 이용에 있어 방문자의 관람형과 체험형에 따라 방문동기와 선택속성 등의 중요도가 다르게 나타나고 관광행태 또한 유의미한 차이를 보이므로, 이 연구를 통해 관광매력물에 대한 연구를 확장하고, 관광매력물의 개발 및 개선 방안 마련에 시사점을제공하고자 한다. This study divided attractions into watching and experiential types and attempted to analyze tourists' behavior more in-depth. For this purpose, difference analysis and influence analysis were conducted on visit motivation, choice attributes, tourism behavior, and satisfaction according to the type of attraction. Sample collection was conducted on Big-O Show and U-World Luge located in Yeosu, Jeollanam-do, which are representative destinations in Korea. In order to distinguish between watching-type and experiential-type attractions, we analyzed the emotional responses of visitors and classified attractions whose emotional expressions are centered on ‘seeing reactions’ into watching-type attractions and those focusing on ‘doing reactions’ into experiential-type attractions. Therefore, the Big-O Show was classified as a watching-type attraction, and U-World Luge was classified as an experiential-type attraction. As a result of the analysis, the motivation for visiting the attractions was the pursuit of novelty, while visitors to the experiential attractions had relatively higher motivations for escaping daily life, adventure, and social activities. Among the choice attributes, visitors to watching-type attractions had higher attractiveness, while accessibility, stability, and facilities were higher among visitors to experiential-type attractions. Lastly, tourism satisfaction was confirmed to be highly perceived in the order of attractiveness and facilities by visitors to watching-type attractions, and in the order of facilities, attractiveness, and accessibility by visitors to experiential-type attractions. As a result of the study, the importance of visit motivation and choice attributes differed depending on the visitor's viewing and experience type when using tourist attractions, and tourism behavior also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s, so this study expanded the research on tourism attractions. In addition, it aim to provide implications for developing and improving tourism attractions.

      • KCI등재

        해안권별 어촌체험마을의 차별화 방안: 관광동기를 중심으로

        정유준 관광경영학회 2020 관광경영연구 Vol.99 No.-

        The changing of industrial structure from 1st to 2nd·3rd is to put the residents living fishing village are aging and moving to the cities for finding better jobs. So many fishing villages lag behind in the quality of living conditions. The government focuses on adding the role of tourism service to revitalize the fishing villages. The experiential fishing village is a specialized village for tourists. This study chose the tourist motivations of experiential fishing village as key factors to attract tourists to the villages, and analyzed differences of tourist motivations according to coastal regions and fellow travelers. Descriptive statistical analysis was implemented for further understanding as well. The survey was conducted for 2 months from May 25th to July 30th in 2018, and 440 valid samples were finally analyzed by SPSS 21.0. The following results were obtained. First, the four factors, 'rest&healing', 'self-improvement&learning', 'interesting experiential' and 'gastronomic' motivation were drawn by factor analysis for tourist motivations scale, and found that the core tourist motivation to visit the villages is 'rest&healing' motivation. Second, the significant differences of the motivations among eastern, southern and western coastal experiential fishing villages were found. Third, significant differences of the motivations depending on tourist companions were verified.

      • KCI등재

        스크린골프 참가자의 소비욕구와 소비동기가 경험소비 및 소유소비에 미치는 영향

        김기오(Kim, Ki-Oh) 한국체육과학회 2012 한국체육과학회지 Vol.21 No.6

        This study aims to understand the effect on experiential and materialistic purchase by consumption want and consumption motives of participants at screen golf.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a total of 221 participants of screen golf. The method of the statistical analysis used in this study, were explanatory factor analysis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As a result of these data analysis, the conclusion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consumption want is shown a significant effect on consumption motives. Second, consumption want is shown a significant effect on experiential purchase and materialistic purchase. Third, consumption motives is shown a significant effect on experiential purchase and materialistic purchase.

      • KCI등재

        대학생의 SNS 이용 동기와 SNS 중독경향성의 관계에서 경험회피의 매개효과

        성요안나(Yoanna Seong),현명호(Myoung-Ho Hyun) 대한스트레스학회 2016 스트레스硏究 Vol.24 No.4

        본 연구는 이용도가 가장 높은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SNS)인 페이스북(Facebook)을 중심으로 대학생의 SNS 이용 동기와 SNS 중독경향성의 관계와 이러한 관계를 경험회피가 매개하는지 알아보고자 하였다. 연구대상은 대학생 279명(남 103명, 여 176명, 연령 21.94±2.76세)이었다. 그 결과 커뮤니케이션, 정보탐색, 엔터테인먼트, 자기확인, 유대감 확인 동기 등 페이스북 이용 동기가 높고 경험을 회피하는 경향이 클수록 SNS 중독경향성이 높아지는 경향이 있었다. 또한 커뮤니케이션 동기, 정보탐색동기 및 자기확인 동기에서 경험회피의 매개효과가 있어서 이들 동기가 높은 사람은 현실이나 정서 등의 경험을 회피하는 경향으로 인해 SNS 중독경향성이 증가하였다. 이러한 연구결과의 의의 및 시사점을 논의하였다. The present study investigates the mediating effect of experiential avoidance on the relationship between undergraduate student’s motives for using Social Network Service (SNS) and SNS addiction tendency. The current study focuses on Facebook as it is the leading SNS in Korea, and the motives for using Facebook are consisted of communication, information seeking, entertainment, self-confirmation and companionship. The total data of 279 undergraduate students (male N=103, M=21.94, SD=2.76) were analyzed. The results of the study validated that all of the motives for using Facebook are positively related to SNS addiction tendency. Experiential avoidance is also positively associated with SNS addiction tendency. Moreover, the mediating effect of experiential avoidance is significant on the relationship between motives for using SNS and SNS addiction tendency except for entertainment and companionship motives. The implications and limitations of the study were discussed.

      • KCI등재후보

        관광경험의 구전동기에 관한 연구

        김민형 ( Kim Min-hyung ),황영현 ( Hwang Yeong-hyeon ) (사)한국마이스관광학회(구 한국컨벤션학회) 2017 MICE관광연구 Vol.17 No.4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explore the word of mouth motivation of travel experience. In order to empirically examine the word of mouth motivation, a survey of university students(n=139) who participated in a field trip was conducted during November 11 to 12, 2014 in Busan, Korea. The results indicate that word of mouth motivation is classified into "helping the tourism destination", "concern for other consumers", "social benefit", "self-enhancement", "venting feeling" motivation. The "self-enhancement" motivation shows significant differences by gender and "concern for other consumers", "social benefit" motivation shows significant differences by the prior visit experience to the destination. The "helping the tourism destination" motivation is significantly higher for satisfied travelers, while "venting feeling" motivation is higher for dissatisfied travelers. Individuals with high network centrality show a high "self-enhancement" motivation, while the group with low centrality tends to spread WOM for venting their feeling. Discussions on theoretical and empirical implications are provided with the direction for future study.

      • KCI등재

        국가중요농업유산지역 방문동기에 따른 체험프로그램의 유형과 추구편익

        윤경식,서기춘,정명철 동북아관광학회 2018 동북아관광연구 Vol.14 No.4

        Currently, there is an agricultural heritage system in Korea and abroad. The Globally Important Agricultural Heritage System, which is being implemented by the World Food and Agriculture Organization, is constantly expanding. In Korea, the Ministry of Agriculture, Food and Rural Affairs has implemented the Korea Important Agricultural Heritage System. Overseas, we are seeking revitalization of rural areas and agriculture through designation as a world important agricultural heritage. The use of agricultural heritage is seen an opportunity to raise awareness of local economies, the environment and local communities. For this purose, we surveyed the visitors of Korea important agricultural heritage 7 sites. The results of the survey were as follows. First, Visitor motivation can be divided into escape type and experiential type motivation. and escape type motivation was confirmed to be higher than experiential type motivation. second, visitors have been interested in agricultural heritage, and high rates of re-visit ar needed to develop programs. third, public toilet hygiene, variety and comfort of accommodation , covenience of parking facilities, convenience of public transportation appeared to be major benefits. 국제연합 식량농업기구(FAO)에서 시행하고 있는 세계중요농업유산제도가 지속적으로 확대되고 있다. 국내에서는 농림축산식품부가 국가중요농업유산제도를 시행하고 있으며, 농업유산 지정을 통해서 농촌과 농업의 활성화를 모색하고 있다. 농업유산의 보전과 활용을 통해 지역경제 활성화, 농업 및 자연환경 보전, 지역공동체에 대한 인식 증대에 기여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본 연구는 국내 농업유산 지역의 관광 잠재성에 주목하면서 효과적인 관광 프로그램 개발에 필요한 기초자료를 제공하는 데 목적을 두었다. 이를 위해 국가중요농업유산 7지역의 방문객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으며, 설문 411부를 데이터로 활용하였다. 자료 분석은 통계프로그램인 SPSS(Ver. 22)를 이용하여 신뢰도 분석, 요인분석을 통한 타당도 검증, 상관분석, 군집분석, 군집별 분산분석, 군집별 교차분석을 진행하였으며,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조사지역을 방문한 사람들의 방문동기는 일탈형 동기와 체험형 동기로 나눌 수 있는데 체험형 동기보다 일탈형 동기가 조금 더 우세하였다. 둘째, 방문객은 농업유산에 대해 상당히 관심이 있는 것으로 확인됐으며, 재방문에 대한 의지가 높아 그에 따른 적합한 프로그램 개발이 요구되었다. 셋째, 공중화장실 위생, 숙박시설의 다양함과 쾌적함, 주차시설, 대중교통 편리가 중요한 추구편익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추구편익은 농업유산 지역의 방문객 증가를 위해 적극적으로 고려되어야 할 요소로 판단된다.

      • KCI등재

        뉴미디어아트의 경험요소가 이용동기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윤여선,안병훈 한국융합학회 2022 한국융합학회논문지 Vol.13 No.4

        디지털 패러다임으로 인한 다양한 매체와 기술의 발달은 문화예술산업과 더불어 시대적 인식 변화를 가져 오고 있고 뉴미디어(New Media)의 혁신적 영향은 예술을 경험하는 환경에도 변화를 가속화 하였다. 디지털 환경의 변화로 기술과 예술이 융복합되어 출현하게 되었고, 상호작용과 참여를 중심으로 하는 뉴미디어아트는 양방향 커뮤니케이션을 가능케 한다. 국내·외 디지털 패러다임에 관한 사례와 뉴미디어아트의 상호작용에 관한 연구가 지속 되고 있으므로 본 연구도 이에 중점을 두고 진행하게 되었다. 본 연구에서는 뉴미디어아트에 있어서 경험요소를 정의하고 이용동기에 미치는 영향에 관하여 검증하고자 하였다. 뉴미디어아트(New Media Art)에 있어서 기존의 경험요소를 이론적 바탕으로 두고 이용동기 요인들을 적용하여 분석한 결과, 경험요소들은 매우 유용한 변수로 적용됨이 검증되었고, 실질적으로 이용동기에 영향을 준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본 연구는 뉴미디어아트에서 상호작용 특성에 따라 경험자의 이용동기에 관한 경로로 사용된 초기의 연구라는 점을 근간으로 결론 및 의의를 논의하였다. The development of various media and technologies as a digital paradigm brought about a change in perception of the times along with the culture and art industry, and the innovative influence of new media accelerated the change in the environment for experiencing art. Technological and art converge and emerge due to changes in the digital environment, and New Media Art centered on interaction and participation enables two-way communication. As research on the interaction between domestic and foreign digital paradigms and New Media Art continues, this study also focused on this. In this study, the elements of experience in New Media Art were defined and their effects on motivation to use them were verified. In New Media Art, based on the theoretical basis of the existing experience factors and applying and analyzing the factors of motivation, it was verified that the factors of experience were applied as very useful variables, and it was confirmed that they actually affect usage motivation. The conclusion and significance of this study were discussed in that it was an early study that was used as a path on the use motives of experienced users according to the interaction characteristics in New Media Art.

      • KCI등재

        음식관광동기에 따른 외래 관광객의 행동의도 연구: 방한 중국관광객을 중심으로

        서민정,하인수 한국호텔관광학회 2019 호텔관광연구 Vol.21 No.2

        본 연구는 음식관광과 관련하여 관광객의 동기차원을 도출하고 음식관광동기, 체험만족 그리고 행동의도간의 영향관계에 대해 연구하는데 목적이 있다. 한국을 방문한 중국관광객을 대상으로 총 271 부를 회수하고 불성실한 설문지를 제외한 총 250부를 최종분석에 사용하였다. 실증분석결과, 음식관광동기는 문화적 체험, 감각적 요인, 사회적 관계, 흥미로움 4가지로 도출하였고, 체험만족은 파인과 길모어의 체험경제이론을 바탕으로 오락적, 교육적, 일탈적, 미적 체험요인으로 분류하였다. 둘째, 음식관광동기는 체험만족에 부분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흥미로움 동기는 모든 체험만족영역차원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고, 감각적 요인은 교육적 체험만족을 제외한 일탈적, 오락적, 미적 체험만족에 가장 크게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 나타났다. 이는 관광객의 특정관광활동의 동기유형에 따라 만족에 차이가 있을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셋째, 오락적, 교육적, 미적 체험만족은 행동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일탈적 체험은 행동의도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미적 체험 만족은 행동의도를 예측하는데 가장 영향력이 있는 변수라고 할 수 있다. 이를 바탕으로 음식관광활성화를 위해 관광객들의 욕구를 충족시키고 음식관광 만족도를 높일 수 있는 효과적이고 차별화된 마케팅 전략 수립하기 위한 시사점을 제공하였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