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비저너리 전시’에 관한 연구

        최상명,이재규 한국공간디자인학회 2023 한국공간디자인학회논문집 Vol.18 No.1

        (Background and purpose) After the Industrial Revolution, the national will toward industrial design became a common trend in the modern West. The exhibitions, which were held to raise the level of design and art in the country and public enlightenment, brought numerous discussions on ‘good’ design. Claire Bishop referred to exhibition history as a sub-concept of art history in the 2014 Art Forum; the perception that exhibitions do not cross the path of art is widespread. In particular, design exhibitions were not part of exhibition history, and most studies on design and exhibition focused on exhibits and directing, failing to view the design performance and social context. Therefore, this study aims to analyze the characteristics of visionary exhibitions and to consider the possibility of contextualization by inferring the meaning of exhibition and the flow of the role of design. (Method) The study is composed of two chunks: an examination of visionary exhibitions and an analysis of exhibitions, and analyze major industrial design exhibitions to understand the composition and characteristics of the exhibition. In particular, this study aims to reconstruct the social design significance of exhibitions by focusing on exhibitions that propose a new residential form and lifestyle in residential areas. Three exhibitions were selected as research subjects: the British V&A Museum's <Britain Can Make It> exhibition in 1946, the New York Museum of Modern Art’s <Italy, the new Domestic landscape> in 1972, and the Japanese <House Vision> project in 2011. In Chapter 2, it is presented a comprehensive definition of Visionary Exhibition by summarizing the concept of “Visionary” as a formative language, and identified the major trends in Western design history by analyzing exhibitions designed as part of the role of museums and public education with the rise of modern design after the Industrial Revolution. In Chapter 3, it is analyzed comprehensively three exhibitions by focusing on the period and background. (Results) Although the performance and influence of the exhibitions vary, a clear theme of the future house and a vision for reconstruction after a national crisis were found to contain in all three exhibitions, and it is showed that the exhibitions through collaboration between companies and designers had an experimental attitude. It is also noteworthy that the three exhibitions have gradually changed from national planning to voluntary private-sector participation. This aspect has become more pronounced since design discourses began to detect social problems. (Conclusion) By the goal of design to solve the dark and uncertain realities of post-war and post-disaster, this study is meaningful to confirm the exhibition has expanded the discourse on the social role of design through the issue of ‘What is a good design?’ beyond being a medium that reflects the image of the near future. (연구배경 및 목적) 산업디자인을 향한 국가적 의지는 산업혁명 이후 근대 서구의 공통적인 흐름이 되었다. 자국의 디자인 수준과 산업 경쟁력을 끌어올리고 대중을 계몽시키기 위한 의도로 열린 전시들은‘좋은’디자인에 대한 수많은 논의를 가져왔다. 2014년 『아트포럼』에서 클레어 비숍이 전시사를 미술사의 하위 개념으로 칭한 것으로 주지하듯, 전시가 미술의 경로를 넘지못한다는 인식은 매우 지배적이다. 특히 디자인 전시는 학문적 대상이 되지 못했고 전시사에서 소외당하는 경향이 있었으며, 디자인과 전시에 관한 대부분의 연구들은 전시품이나 연출에 초점을 두어 디자인적 성과와 사회적 맥락을 조망하지 못했다. 따라서 본 논문은 전시가 갖는 의미와 디자인이 갖는 시대적 역할의 흐름 들을 추론하여 비저너리 전시의 특징을 분석하고 맥락화 가능성을 고찰시키는 데에 목적이 있다. (연구방법) 연구는 크게 비저너리 전시에 대한 고찰과 전시 분석으로 두 가지 덩어리로 구성되며, 주요 산업 디자인 전시들을 분석하여 비저너리 전시의 구성과 특징을 파악해 볼 것이다. 특히 주거 영역의 새로운 주거형태와 라이프 스타일을 제안하는 전시에 초점을 맞추어 전시가 갖는 사회적 디자인적 의의를 재구성하고자 한다. 1946년 영국V&A의 <브리튼 캔 메이크 잇> 전, 1972년 미국 뉴욕현대미술관(이하 MoMA)의 <이태리, 새로운 주거의 풍경>, 2013년 일본<하우스 비전> 프로젝트, 세 개의 전시를 분석 대상으로 선정한다. 2장에서는 조형 언어로서 ‘비저너리’의 개념 정리를 통해‘비저너리 전시’의 포괄적인 정의를 제시하고, 산업혁명 이후 근대 디자인의 발흥과 함께 디자인 정책 중 하나였던 박물관의역할 및 대중 교육 일환으로 기획되었던 전시 들을 분석하여 서구 디자인사의 큰 흐름 들을 파악한다. 3장에서는 시기와 배경을중심으로 세 개의 전시를 종합적으로 분석한다. (결과) 전시의 성과와 영향력은 차이가 있으나 세 전시 모두 집의 미래라는 뚜렷한 주제 의식이 발견되었고, 국가적 위기 이후의 재건을 향한 비전을 담고 있었으며, 기업과 디자이너의 협업을 통한 전시들이실험적 태도를 지녔음을 알 수 있었다. 또한 세 개의 전시가 국가적 차원의 기획(top-down)에서 점차 민간의 자발적인 참여(bottom-up)의 성격으로 변모했다는 점은 주목할 만하다. 이러한 측면은 디자인 담론들이 사회적 문제를 감지하기 시작한 이후 더욱 뚜렷해졌다. (결론) 본 연구에서는 디자인이 전후(戰後)와 재후(災後) 등의 어둡고 불확실한 현실을 해결해 줄 것이라는 목표는 전시가 근 미래의 이미지를 투영한 매체임을 넘어 “무엇이 좋은 디자인인가?” 라는 쟁점을 통해 디자인의 사회적 역할에 대한 담론을 확장시켰음을 확인했다는 점에 의의를 둔다.

      • KCI등재

        전시디자인에서 전시참여 속 휴식공간 가능성에 관한 연구 -체험형 인터렉티브 시스템 적용을 중심으로-

        이재률 ( Lee Jaelyul ),이정교 ( Lee Junggyo ) 한국공간디자인학회 2021 한국공간디자인학회논문집 Vol.16 No.4

        (연구배경 및 목적) 최근 전시디자인은 전시공간에서 체험할 수 있는 인터렉티브 시스템을 접목시킨 전시회가 늘어나고 있다. 특히 관람객이 직접 참여하는 전시 방법으로 쌍방향 소통을 할 수 있는 인터렉티브 시스템을 접목시킨 전시회 중심으로 계획되며, 관람객의 참여는 전시 커뮤니케이션 형식에서 중요한 요소가 되었다. 이러한 배경에서 체험형 전시회 참여로 관람객은 더 많은 정보습득과 이해를 위한 상호적 관계가 이루어지는 전시에 대한 참여로 피로가 축적된다. 그래서 관람객의 피로를 최소화 시키기 위해 전시디자인 공간 속에 휴식공간디자인계획은 매우 중요한 환경요소가 되었다. 그러므로 본 연구는 전시공간디자인 속 휴식공간디자인에서 신체적, 심리적, 정신적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는 특성과 요소를 분석하여 전시공간 내부에 휴식공간디자인 계획이 결합할 수 있는 유형과 상호성을 연구하는 것이 목적이다. (연구방법) 본 연구에서는 첫째, 선행연구와 이론적 고찰을 통해 전시디자인의 휴식공간 특성과 피로요소를 추출한다. 둘째, 전시디자인에서 체험형 인터렉티브 유형과 구성요소 및 시스템 특성을 도출한다. 셋째, 전시공간 속 휴식공간디자인의 요소를 피로요소, 휴식형태, 휴식선상개념 세 가지 영역으로 나누어 분석표를 기준으로 비교하여 제안한다. 넷째, 국내외에 있는 사례 5곳을 선정하여 분석표에 대입하며 휴식공간 디자인을 비교 분석하고, 그 결과를 토대로 유의미한 전시디자인의 휴식공간 디자인계획의 가능성을 제안한다. 도출된 특성과 요소를 종합적으로 비교하여 나온 결과를 도출하여 휴식공간디자인계획을 제안한다. (결과) 전시공간 속 휴식공간디자인을 할 때 피로요소, 휴식형태, 휴식선상개념 세 가지 요소 중 휴식선상개념에서 하위개념과 동급개념이 다양한 피로요소와 휴식형태를 포함하며 휴식공간의 기능을 가진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반대로 휴식선상개념이 상위개념인 곳은 피로요소와 휴식형태에서 많은 요소를 포함하지 못한다는 결과를 도출할 수 있었다. (결론) 이번 연구에서는 전시디자인속에 휴식공간디자인을 결합할 수 있는지를 알아보는 것이 목적이었다. 휴식공간디자인 요소를 피로요소, 휴식형태, 휴식선상개념으로 나누어 분석했고 도출한 결과를 비교했다. 전시공간 내부의 휴식공간디자인은 전시공간을 주된 목적으로 디자인을 하며 휴식공간이 전시공간에서 자연스럽게 연결되어지도록 하위개념과 동급개념으로 접근하여 디자인되어야 한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전시디자인에서 휴식공간디자인계획은 하위 개념과 동급개념이 상위개념보다 많은 요소를 포함하고 있다는 것을 발견할 수 있었다. 이번 연구가 향후 전시디자인에서 휴식공간디자인을 함께 계획할 때 기초적인 도움이 되기를 바란다. (Background and Purpose) Recently, exhibition design is increasingly incorporating interactive systems. In particular, it focuses on interaction that allows for two-way communication, and participation of visitors has become an important factor. In this setting, participation in hands-on exhibitions can create fatigue for individuals due to the desire for information acquisition and understanding of various art forms. Therefore, in order to minimize fatigue that may be experienced by participants, the design plan of the rest space is an imperative environmental factor. Therefor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characteristics and elements that can provide physical and psychological services in exhibition space design, and to study the types and reciprocity of the design plan for rest space. (Method) Firstly, the characteristics of rest space and fatigue elements of exhibition design will be extracted through prior research and theoretical considerations. Secondly, there will be derivation of hands-on interactive types and structural components, and exhibition design system characteristics. Thirdly, the rest space elements in the exhibition space will be divided into three areas: fatigue, resting style, and relaxation concept, which will be proposed by making comparisons based on the analysis table. Finally, five domestic and international cases will be selected, where their rest design plan will be applied to the analysis table and compared and analyzed. Based on the results, the possibility of a meaningful exhibition design plan will be proposed. This will be done by comprehensively comparing the derived characteristics and elements. (Results) When designing a rest space in an exhibition, it was confirmed that the sub-concept and equivalent concepts of the three elements fatigue, rest type, and relaxation concept included various fatigue elements and rest types. Conversely, where the concept of relaxation is the top concept, it was able to produce results that did not include many factors within the fatigue elements and relaxation forms. (Conclusion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find out whether the design of the rest space can be combined with the exhibition’s. The elements of rest space design were analyzed by dividing them into fatigue elements, resting styles, and relaxation concepts where the results were compared using the analysis table. The design of the rest space was created mainly for the purpose of combining it with the exhibition space. From these observations, it is ideal for it to be designed with a sub-concept and equivalent concept, and thus, the rest space can blend naturally in the exhibition space. In the exhibition design, it was found that the sub- and equivalent concept contained more elements than the uppermost concept. This study was conducted in the hopes that it will provide basic guidance in planning a rest space design together in future exhibition designs.

      • KCI등재

        인터랙션 디자인 기반의 체험형 전시 공간에서 관람객 경험디자인 만족도 연구

        종유지아 ( Yujia Zhong ),남경숙 ( Kyoungsook Nam ) 한국공간디자인학회 2019 한국공간디자인학회논문집 Vol.14 No.3

        (연구배경 및 목적) 현대 전시는 단순히 전시품만 진열하는 것이 아니고, 관람객, 공간과 전시품의 상호작용 관계를 중시해야 한다. 인터랙션 디자인은 전시 형식을 정적인 형태에서 동적인 형태로 발전시키고, 실제 장면에서 가상 장면으로 전환시켜, 전시공간에서의 감각적 체험을 높인다. 본 연구의 목적은 인터랙션 디자인 기반의 체험형 전시 공간에서 관람객을 대상으로 전시 공간에서의 경험의 만족도에 대한 내용을 조사하였다. 이를 통하여 인터랙션 디자인 기반의 체험형 전시 공간이 나아가야 할 방향에 대하여 제시하고자 한다. (연구대상 및 방법) 본 연구 방법은 문헌조사, 사례조사 및 설문조사의 방법을 병행하여 연구를 진행하였다. 본 연구의 대상은 2018년 이후 서울에 있는 두 개 전시회를 선정하여 이곳을 방문한 적이 있는 관람객을 아동그룹과 성인그룹으로 구분하여 연구 대상으로 하고, 다음과 같은 연구 방법으로 진행하고자 한다. 첫째, 문헌연구를 통해 이론적인 배경 및 요소를 정리하였다. 둘째, 경험 디자인에 대해 연구하고 이를 바탕으로 평가 항목을 제안하였다. 셋째, 사례를 선정하고 평가 항목을 이용하여 관람객에게 설문조사를 통해 경험디자인 특성을 분석하고 만족도를 파악하며, 그 원인을 분석하였다. (결과) 만족도는 성인그룹이 아동그룹보다 높게 나타났다. 성인그룹은 다양한 형태의 전시, 정보의 공유, 의미 있는 감성형성에 만족하였고, 음악이 없고, 작품을 만질 수 없음에 불만족하였다. 아동그룹은 새로운 경험, 다양한 작품형태에 만족하였고, 작품을 만질 수 없고, 전시주제가 어렵다는 불만족 원인을 나타내었다. (결론) 본 연구는 인터랙션 디자인 기반의 체험형 전시 공간에 적용된 경험디자인의 표현 특성을 통해 나타나는 참여성, 역동성과 연상성 3가지 특성을 살펴보고 이를 통해 관람객 경험디자인 만족도를 살펴보았다. 첫째, 참여성의 표현특성 중에 시각적>청각적>촉각적 순으로 만족도가 나타났다. 작품을 통해 관람객의 청각과 촉각을 유도할 뿐만 아니라, 공간에서도 매체를 활용하여 관람객의 오감을 자극하고 직접적인 참여를 유발하면 작품이나 공간에 더욱 다양성을 부여할 수 있다. 둘째, 역동성의 표현 특성 중에 관람객은 체험을 통해 쉽게 조작하여 전시 공간에 잘 활용하고, 적극적으로 다양한 컨텐츠를 활용하여 움직임을 통해 공간의 흐름을 보여주기를 원한다. 셋째, 연상성의 표현 특성에서 연상적 표현의 만족도가 높게 나타났고, 장면 표현은 관람객의 감성을 유도할 수 있고, 새로운 인식을 부여할 수 있어야 할 것이다. 앞으로의 연구에서는 전시주제와 이해의 효과를 극대화 시킬 수 있는 매체를 사용하는 방안이 준비되고, 관람객 중심의 다양한 인터랙션 디자인을 활용한 체험형 전시 공간이 제시되어야 할 것이다. (Research Backgrounds and purposes) Modern exhibitions should not merely display exhibits, but should value the interaction between visitors, space and exhibits. The interaction design develops the display format from static to dynamic, transforms the actual scene from virtual scene to enhance the sensory experience in exhibition spac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satisfaction of the experience in the exhibition space for visitors in an interactive design-based exhibition space. Through this, we will present the direction in which interactive design-based, hands-on exhibition space should move forward. (Research subjects and methods) This research method carried out the study in parallel with the methods of literature survey, case study and survey. The subject of this study is to select two exhibitions in Seoul since 2018 and divide visitors who have visited them into children's and adult groups and conduct them in the following research methods. First, the theoretical background and elements were sorted out through literature research. Second, we studied the experience design and proposed assessment items based on it. Third, we selected cases and surveyed visitors using assessment items to analyze the characteristics of the experience design, identify the satisfaction level, and analyze the causes. (Result) The satisfaction level of the adult group was higher than that of the child group. The adult group was satisfied with various forms of display, information sharing and meaningful sensibility formation, and was dissatisfied with the lack of music and the inability to touch the work. The children's group was satisfied with the new experience, various types of work, and showed the cause of dissatisfaction with the inability to touch the work and the difficulty of the exhibition subject. (Conclusion) This study examined the three characteristics of participation, dynamism and associativity through the expression characteristics of empirical design applied in interactive design-based exhibition space and looked at the satisfaction of visitors' experience design. First, among the expressive characteristics of participatory, satisfaction was shown in the order of visual, auditory, and perceptual. Second, among the characteristics of expression of dynamism, visitors want to easily manipulate it through experience to make good use of the exhibition space and actively utilize various contents to show the flow of space through movement. Third, in the characteristic of expression of associativity, the satisfaction of associative expression was high, and scene expression would have to be able to elicit emotion from visitors and give new recognition. Future research should prepare a plan to use a medium that maximizes the effects of exhibition themes and interests, and provide hands-on exhibition space using various interaction designs centered on visitors.

      • KCI등재

        2009광주디자인비엔날레 유니버설디자인 전시 및 운영에 관한 연구 : 프로젝트전 「살핌(慮)/Salpim Design to Care」의 전시진행을 중심으로

        노만섭 한국브랜드디자인학회 2010 브랜드디자인학연구 Vol.8 No.2

        본 연구는 2009광주디자인비엔날레의 프로젝트전시 중「살핌(慮)/Salpim_Design to Care」전시의 유니버설디자인전시 전개과정을 살펴봄으로써 UD의 기본적 개념과 함께 일반인과 신체적 조건이 다른 사람의 입장을 헤아리기 위한 Universal Thinking의 특성에 대한 전반적인 이해를 돕고자 한다. 이와 함께 UD의 전시가이드라인 설정과 이에 따르는 디자인 원리를 전시공간과 전시연출로 적용하는 것도 관람객들의 UD에 대한 이해를 도울 수 있는 방법임을 밝히고자 한다. 이에 따라 PPP의 평가에 대한 가이드라인 활용은 전시취지와 목적에 맞는 전시디자인 공간구축에 많은 도움을 줄 수 있는 사안이므로 광주디자인비엔날레의 개선과제로 제안함으로써 향후 이와 유사한 유니버설디자인의 전시기획에 필요한 기초자료를 제시하기 위한 목적이 있다. 전시기획서 작성에서부터 전시실행, 전시운영에 이르기까지 재단법인광주비엔날레 전체 전시행사 추진일정에 따라 진행된 전시 프로젝트는 작품 및 전시공간의 철거와 함께 완료되었다. 이와 함께 본 연구는 결과보고의 내용정리를 바탕으로 학술적 성격에 맞게 해석하여 작성하고자 한다. 전시내용의 성과로는 전시장에 연출된 제품과 체험교육을 통해 유니버설에 대한 공감을 이끌어 내는 것이다. 이와 동시에 조건의 차이를 인식하고 나와 다른 조건에 놓인 사람들의 어려움과 이를 배려할 수 있는 방법을 타자(他者)의 눈높이에서 사물을 바라보아야 한다는 시사점을 도출하는 것이다. 이는 바로 획일화된 인간성에 대하여 개개인의 마음과 의식에 이르기까지 폭넓게 포용할 수 있는 다양성을 지닌 문화적 전환점의 계기가 될 것이다. 이에 따라 본 논문을 통해 도출된 제언은 향 후 보다 체계적인 전시진행을 위해 유니버설의 7가지 디자인 원리에 기준을 두고 좀 더 다양한 연구와 이에 따르는 결과들을 전시장과 행사 운영에 적극적으로 도입해야 할 필요성을 제기하고자 한다. This study aims to suggest general ideas about the basic concept of Universal Design (UD) and the feature of Universal Thinking that enhances non-disabled people’s understanding of others with different physical conditions. To that end, in this paper, I will review the process of the Universal Design exhibition titled “Salpim_Design to Care” as seen in the Project Design section of the 2009 Gwangju Design Biennale. In addition, I will ensure that it makes a contribution to audiences’ understanding of UD to set up a UD guideline and apply the principle of designs to exhibitions and managements. Accordingly, I will propose the use of the guideline for the ppp evaluation as a future goal that Gwanju Biennale should meet, given that it can help set up exhibition spaces which can fit well with the purpose of exhibitions. By doing so, I aim to provide basic information necessary for planning future exhibitions utilizing Universal Design, or designs similar to it. The project, “Salpim Design to Care”and the work were developed, exhibited, and removed from the exhibition section, in accordance with the master timetable for all of the events of the Biennale. In addition, based on the report on the exhibition process, I will provide my suggestions for Universal Design exhibitions from the academic perspective. By reviewing the process, I reached the conclusion that the exhibits and firsthand experience activities drew a shared empathy toward the concept of Universal Design from the audience. In addition, the exhibition provided the lesson that we need to appreciate diversity, and try to understand those in different conditions by viewing the world from their standpoint. This will bring a cultural turning point with diversity to broadly embrace individual mind and consciousness of unified humanity limitation. In conclusion, I will suggest the need to reflect the results of a variety of existing studies for Universal Design in actual exhibitions and events on the basis of seven principles of design, thereby making exhibition processes more systematic.

      • KCI등재후보

        전시디자인의 특성을 고려한 전시전문인력 육성에 관한 연구

        권순관 ( Kwon Soon-kwan ) 대한전시디자인학회 2008 전시디자인연구 Vol.5 No.2

        This study is to examine education and training of talents in exhibition culture industry, which emerged as a national growing industry in the age of culture. Currently, as people in Korea are not much aware of exhibition design, exhibition designers in exhibition, one of the crucial functions of museums, are merely playing the role of assistant of curators. Even in the department of interior, a space-related sector just as exhibition design, classes of exhibition design are so insufficient that graduates rarely advance into exhibition areas. As the survey conducted in this study, most of the exhibition related companies have difficulties in finding human resources specialized in exhibition. Ironically, though, a number of interior major graduates are still looking for interior design related jobs. It seems that this is partly because exhibition design and interior design areas provide education programs not accurately predicting the demand and supply.

      • KCI등재후보

        박물관 전시디자이너의 역할에 관한 연구

        윤선영 한국문화공간건축학회 2010 한국문화공간건축학회논문집 Vol.- No.32

        The number of museum already reached own level, therefore we need to consider the quality of the museum. The museum exhibition is special area deals with all kinds of design fields including lighting design, graphic design, product design, interior design, media design and audio/video design. Also it has complicated procedure such as planning, designing, manufacturing and evaluating stages. The exhibition design is the communicative way between museum and visitors, therefore it plays a important role in museum. But there are only four exhibition designers as permanent employee in domestic museums. National Museum of Korea and The National Folk Museum of Korea show the cooperative system of exhibition design and what exhibition designers do in museum. According to the characteristic of exhibition design, exhibition designer has the role in different stages and should be qualified as overall coordinator.

      • KCI등재

        교육적 체험 프로그램을 적용한 교육박물관 디자인에 관한 연구

        신동준 ( Dongjun Shin ) 한국공간디자인학회 2018 한국공간디자인학회논문집 Vol.13 No.3

        (연구배경 및 목적) 오늘날 새로운 생활과 문화의 변화는 교육적 측면에서 새로운 대안과 방안을 필요로 하고 있으며 특히 급속한 새로운 매체의 변화는 보다 안정적인 교육환경과 내용이 강구되어야 하는 상황에 직면해 있다. 특히 우리나라는 교육은 역사적으로 모든 국가적, 사회적 근간을 형성하는 영역으로 도덕적 사회적 영역의 기준이 되어왔으나 오늘날 많은 환경의 변화로 새로운 교육 개념이 정립되어야 하는 현실이다. 이러한 상황에서 교육에 대한 올바른 인식과 역사적, 문화적 내용을 관람객에게 전달하고 새로운 교육 인식을 정립한다는 목적으로 교육박물관 전시공간에 대한 디자인을 진행하였으며 새로운 교육적인 체험 프로그램을 구성하고 적용한 교육박물관 전시공간을 디자인하는데 목적이 있다. (연구방법) 교육박물관 전시 공간 디자인에 대한 연구는 교육과 관련된 역사적 자료를 조사 및 분석하여 새로운 교육적 체험 프로그램을 제시하였으며 체험적인 영역을 극대화하기 위하여 입체적 다양한 요소를 적용한 프로그램을 전개 및 적용하여 전시공간을 디자인 하였다. 또한 연구방법은 교육과 관련된 사료를 분석하여 체험에 대한 프로그램을 종합하였으며 전시주제별 체험 프로그램에 대한 전시연출 매체를 관람자 개념에서 적용하였으며 체험적인 전시 학습 효과를 극대화하는 디자인을 제안 하였다. 교육적 체험 프로그램에 근거하여 전시 공간을 단계별로 명확성 높게 전시 공간 계획 그리고 세부적인 전시연출 매체를 제안하였다. (결과) 새로운 교육적 체험 프로그램에 대한 교육박물관 전시공간은 교육에 대한 역사적 개념과 시대 환경적 측면의 변화 속에서 정립되어야 하는 내용을 전달하는 측면에서 스토리 전개를 디자인 하였다. 또한 전시에 대한 교육 프로그램을 전시공간별로 단계적으로 제시하여 체험적 측면에서 효과를 높이었다. (결론) 본 연구의 교육적 체험적 프로그램 적용은 교육박물관의 방문자에게 새로운 교육 개념을 확립하고 교육적 학습 효과를 기대할 수 있는 참여형 전시 공간이며 다양한 전시 스토리 전개를 높일 수 있는 여러 전시연출 매체 적용을 통하여 많은 교육적 내용을 전달하는 전시공간이 되었다. (Background and Purpose) Today, new ways of life and cultural changes demand the new alternatives and measures in the field of education. Particularly given the rapid change in new media, it is necessary to seek more stable educational environment and contents. Especially in Korea, education is the sector that provides the entire national/social basis in the country’s history and is seen as setting the standard in the ethical/humanistic sector. In reality, however, the new concept of education should be established based on environmental changes. Under this condition, in order to deliver the correct perception of education and historical/cultural contents to viewers and also to establish the new educational perception, this study focuses on the design of exhibition space in an educational museum. It aims to design exhibition space in educational museums by planning, designing, and applying the new educational experience program. (Method) The study of existing research in exhibition space design of educational museums revealed the new educational experience program by researching/analyzing the historical data related to education. In order to maximize the experiential area, the exhibition space was designed by applying story development to visual elements. In terms of research methods, the experience program was also created using through case study analysis of the exploration of exhibition space related to education. By designing the exhibition media of each experience program from the perspective of viewers, a design was proposed that maximized the learning effects of experiential exhibition. Based on the comprehensive experience program in the case study, the exhibition space plan and detailed exhibition media were suggested to increase the clarity of exhibition contents at each stage of the exhibition space. (Results) The story development was designed to ensure that the exhibition space of the educational museum and the new educational experience program would deliver the contents necessary to establishing changes in temporal and environmental aspects and in the historical concept of education. By presenting the educational program in phases in each exhibition space, the effects were increased in terms of experience in order to establish the educational concept. (Conclusions) The application of educational experience program in this study is centered on a participatory exhibition space that could help visitors to the educational museum to establish the new educational concept and also to obtain educational learning outcomes. Through the application of many exhibition media that could increase diverse exhibition story developments, the aim of delivering more educational content could be achieved.

      • KCI등재

        리빙 페어에 있어서 전시 디자인 평가 지표 구축에 관한 연구

        남가림,최익서 한국공간디자인학회 2019 한국공간디자인학회논문집 Vol.14 No.7

        (Background and Purpose)As consumers’ interest in the living market has increased, Living Fairs have emerged that cater to consumers who are interested in space in their lives' style. Companies participating in Living Fairs display their images through the space in an active communication with consumers. In addition, Living Fairs’participants introduce the current interior design and lifestyle trends to the visitors. Living Fair has a lot of input to boost the market through communication space between consumers and living brands. Starting with "Seoul Living Design Fair," which was first held in 1994, several Living Fairs are now held in various exhibition spaces such as KINTEX, COEX, and SETEC. Living Fairs are held every year in showrooms in various regions to revitalize the living market, but few studies have been conducted on how the number of visitors who come to the fair may be increased. The fair space is a representative “show design” space, a single site with thousands of booths in which exhibitions are held by many companies. In this study, an exhibition design evaluation index is created for Living Fairs, as well as the functions of the fair. The exhibition design guidelines' study has began. (Method) Since we would like to study the Living Fair and the exhibition design system applied to the space, we will start with a theoretical review of the Living Fair space and conduct a case study on the type of fair stand to which the exhibition design is applied. In this study, after conducting a data survey on the function and role, operation briefing, and guidelines of fair space, the domestic Living Fair cases are distinguished by personality and go through a process of materialization. Based on the theoretical considerations drawn earlier, it is found that Living Fairs provide a suitable exhibition design evaluation system for effective communication spaces. (Results) This study analyzes the marketing process and operation guidelines before, during, and after Living Fairs. Cases are selected, divided into the components of operation, marketing, and design, and analyzed, allowing the establishment of an exhibition design evaluation index. The evaluation index classifies elements that occur throughout the course of a fair. Thus, this study supports the necessity of forming an evaluation index for exhibition design in Living Fairs. (Conclusions) This study establishes exhibition design guidelines which suited to the background and purpose of Living Fairs. These guidelines can be used for the Living Fairs which will be held in the future. (연구배경 및 목적) 최근 리빙 시장에 대한 소비자들의 관심이 높아지면서 소비자들은 생활 속의 공간에 관심을 가지고 리빙 페어에 참관객으로 방문하기 시작하였다. 리빙 페어에 참여한 기업들은 소비자와 적극적으로 소통하기 위해 기업의 이미지를 효과적으로 보여줄 수 있는 공간을 제공한다. 그뿐만 아니라 당해의 인테리어 디자인 트렌드를 소개하고 라이프스타일을 제안하다. 공간에 참여한 ‘리빙 브랜드’와 ‘소비자’와의 커뮤니케이션이 이루어져 리빙 시장의 활성화에 큰 도움을 주고 있다. 1994년 처음 개최된 ‘서울 리빙 디자인페어’를 시작으로 킨텍스, 코엑스, 세텍 등의 다양한 박람회 공간에서 여러 리빙 페어가 개최되고 있다. 리빙 시장의 활성화를 위해 국내에서 매년 다양한 지역의 전시장에서 리빙 페어가 열리고 있지만, 페어 공간 내에 참가 업체의 참가율과 참관객들의 방문율을 높이기 위한 가이드라인에 관한 연구가 많지 않다. 페어 공간은 많은 기업들이 전시를 개최하여 하나의 현장에서 수천 개의 부스가 들어서므로 가장 대표적인 ‘전시 디자인’의 공간이다. 이 연구에서는 국내 리빙 페어에 있어 전시 디자인 평가 지표 구축 방안에 대한 연구가 필요함에 따라 리빙 페어의 기능/역할 등 배경, 취지에 적합한 전시 디자인 가이드라인을 설정해보고자 연구를 시작하였다. (연구방법) 리빙 페어와 그 공간에 적용된 전시 디자인 체계에 대해 연구하고자 하므로 리빙 페어 공간에 대한 이론적 고찰을 시작으로 전시 디자인이 적용된 페어 스탠드 유형에 관해 사례 조사를 한다. 본 연구에서는 페어 공간의 기능 및 역할, 운영 브리핑, 가이드라인에 대한 자료 조사를 한 후, 국내의 리빙 페어 사례들을 성격 별로 구분하고 유형화 과정을 거친다. 앞서 도출했던 이론적 고찰들을 토대로 리빙 페어가 효과적인 커뮤니케이션 공간이 되는 적합한 전시 디자인 전시 디자인 평가 체계를 도출한다. (결과) 이에 본 연구에서는 리빙 페어 전·중·후 과정 중에 페어 마케팅 프로세스 및 운영 가이드라인을 토대로 분석의 방향을 수립하였다. 앞선 이론적 고찰을 통해 사례를 선정하여 운영, 마케팅, 디자인의 구성요소로 나누어 분석하였다. 이 분석을 통해 전시 디자인 평가 지표를 구축하였다. 평가 지표는 페어의 모든 과정 속에서 일어나는 요소들을 분류하여 구성된다. 그리하여 리빙 페어에 있어서 전시 디자인의 평가 지표를 형성하는 것에 필요성을 증명한다. (결론) 이는 리빙 페어의 배경과 취지에 맞는 전시 디자인 가이드라인을 설정하여 추후에 개최될 리빙 페어들에 재참조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 KCI등재

        엑스포 전시공간에 나타나는 미디어의 융합 표현 경향 연구 -2015년 밀라노 엑스포 전시공간을 중심으로-

        최은신 ( Eun Shin Choi ) 한국기초조형학회 2016 기초조형학연구 Vol.17 No.3

        본 현시대의 복잡성에 대응하며 디자인 개념에 새로운 논리를 제공하는 융합 패러다임에 따라 실험적이고 진보적인 특성을 갖는 엑스포 전시디자인은 더욱 흥미롭고 혁신적인 것으로 진화하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의 목적은 엑스포의 주제를 전달하는 디자인 표현으로 주목받고 있는 미디어와 전시공간의 유기적인 통합으로 나타나는 디자인 표현 경향을 살펴보고 엑스포 전시디자인에 있어 미디어의 융합을 통한 창의적인 디자인 방법과 그 표현의 다양성을 파악해 보고자 한다. 연구의 방법은 문헌연구를 통해 엑스포 패러다임의 변화를 고찰하고, 전시방법으로써 미디어 표현의 중요성을 밝힌다. 2015년 개최된 밀라노 엑스포의 전시관을 대상으로 현장관찰조사와 인터넷 사이트 및 문헌을 통해 전시 공간 사례를 수집하고, 전시디자인에서 미디어와 공간의 융합 표현 경향을 분석한다. 본 연구에서는 현대 엑스포 전시디자인에 나타나는 공간과 미디어의 융합 표현 유형을 미디어와 공간의 구조적 융합과 미디어와 공간의 구성적 융합으로 분류하고, 최근 개최된 2015년 밀라노 엑스포의 전시공간 사례 분석을 진행하였다. 분석의 결과, 공간과 미디어의 융합 표현 경향은 미디어의 공간화, 미디어의 형상화, 미디어의 오브제화로 나타나고 있었다. 이는 공간과 미디어의 유연한 결합을 통한 공간 표현체계와 시공간의 무한한 확장을 의미하며, 비예측적인 전시환경을 통해 관람객의 감각을 자극하고 감성적 커뮤니케이션을 제공한다. 또한 공간과 미디어가 갖는 고유의 특성들을 수렴함으로써 디자인 가치를 재창출하고 창의적인 디자인 개념과 새로운 조형을 가능하게 함을 알 수 있었다. The Expo exhibition design has the experimental and progressive characteristics in accordance with the convergence paradigm that offers a new logic to the design concept in response to the complexity in the current era. On that accoun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eek for the meaning of convergence for exhibition design through the design expression tendency appeared as an organic integration of media and exhibition space that is gaining attention for its design expression to convey the theme of Expo. Furthermore, this study aims to be utilized as preliminary data for a creative design method. In regard to the study method, this study first examines the changes in the Expo paradigm through the literature review. This study then reveals the importance of media expression as an exhibition method. To this end, this study collects the exhibition space cases with the help of field observation survey, Internet sites and literatures mainly for the pavilion at Milano Expo held in 2015. Also, this study analyzes the convergence expression tendency of media and space in the exhibition design. This study classifies the convergence expression types of spaces and media appeared in the modern Expo exhibition design into the structural convergence of media and space and the constitutive convergence of media and space. This study conducted a case analysis on the exhibition space of Milano Expo that was held in 2015. As a result of the analysis, the convergence expression tendency of space and media was appeared in the following forms: medialization of space, imagery of media, objectification of media. This means an infinite expansion of spatial expression system and temporal space through a flexible integration of space and media. Furthermore, it stimulates the sense of spectators through an unpredictable exhibition environment and also offers emotional communication. Add to that, it reflects the unique characteristics of space and media, thereby recreating a design value and also allowing for a creative design concept and new formations.

      • KCI등재

        인터랙션 디자인 표현유형을 반영한 전시공간 특성

        김경태(Kim, Kyoung-Tae),한혜련(Han, Hae-Ryon) 한국실내디자인학회 2016 한국실내디자인학회논문집 Vol.25 No.5

        This study was to research and study whether the types of interaction design perform the effective functions and roles as the exhibition space that audiences want centered in the digital media exhibition space. It was to suggest effective space characteristics through analyzing how the interaction design was expressed at the exhibition space and its application. For the analysis, it completes theoretical inquiry on the classification of the space characteristics according to the concept type of interaction and design characteristics. Based on it, it directly visited the exhibition space that reflected the interaction design centered in Seoul City, experienced the given experience, and designed the analyzing frame by composing a checklist after the observation research. Through the designed analysis, it performed a site questionnaire to audiences. It induced the conclusion as follows after analyzing the case space that reflected the interaction design type. First, the program analysis of the space that has the variability is necessary through a variety of digital analysis as there is a limitation that the characteristic of digital media has. Second, in the concept type of the interaction design, it needs the interaction stage among people that can communicate with audiences and stimulate their senses through vidual factors. Third, in the characteristic of the interaction design, it should try to use effective contents to get over the limitation of the space through the interaction in the designated space in case of exhibition. In the following research, it needs to study on the variety of stage plans in detail by supplying contents to audiences and grafting to the exhibition space continuously through using the interaction design that uses digital media at ther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