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의열단의 對日 거사계획과 박열의 의열투쟁

        김명섭(Kim, Myung-Seob)(金明燮) 한일민족문제학회 2020 한일민족문제연구 Vol.38 No.-

        Founded on Nov. 9, 1919, Chosun Euiyeoldan(義烈團) steadily waged a righteous struggle. In the wake of the failure of the first general attack plan in Korea, the Euiyeoldan reorganized its departments into classified, executive, and propaganda departments from the first half of 1922, establishing a command system, and promoting the second plan through the operation of a number of the first half of 1922. The Euiyeoldan held a secret general meeting in June 1923 and a group of members in October to publicize the Japanese attack at home and abroad. The event in Japan was planned to be carried out in October when the wedding of the Japanese crown prince is scheduled. As a result, Kim Won-bong(金元鳳) dispatched his members to Taiwan, Tokyo, Kobe, Osaka, and Yoko Hama from the first half of the year. The practice of living in Tokyo was left to a group of Park Yeol(朴烈). In the spring of 1922, Park Yeol met Choe Hyok-jin(崔爀鎭), a member of the Euiyeoldan, and signed an agreement with Kim Han(金翰) in Seoul around the fall to deliver the bombs to Tokyo. Park Yeol negotiated the purchase of the bomb through the Shanghai Euiyeol Group and is believed to have succeeded in bringing the bomb safely to somewhere in Tokyo. However, he planned to go on a grand march in October, but he was frustrated when the unexpected September 1 earthquake in Kanto occurred and was arrested during the Korean massacre. Despite the failure, the Euiyeoldan’s plan to move to Japan continued. The attack against Japan, which was carried out by Kim Ji-seob on January 5, 1924, was followed by the “Gyeongbuk Uyoldan Incident” in which 11 members of Beijing’s Euiyeoldan unit were arrested after being smuggled into Korea to collect funds for bomb purchases aimed at attacking Tokyo. In the heart of imperialism, the righteous army’s plan to stage a massive Euiyeoldan struggle against Japan Empire was steadily pursued until the winter of 1922 and 1925. 1919年11月9日に創団された朝鮮義烈団は絶えずに義烈闘争を続けた。第 1次国内総攻撃計画の失敗を切っ掛けとして義烈団は1922年上半期から機密 部や實行部·宣傳部等に部署を再編、指揮体系を打ち立てた。また多數の 爆弾工場を運営しながら、第2次投彈計画を進めた。 義烈団は1923年6月、秘密總會を、10月には団員慰労会等を開催し、日 本国内攻撃を対内外に公表した。日本總攻擊計画は皇太子の結婚式が予 定された10月の中執行に移るつもりだった。団長金元鳳は上半期から臺灣を含 め、東京と神戸·大阪·横浜等の日本各地に団員を派遣、準備に着手し た。東京での計画執行は朴烈を中心とする不逞社に委ねられた。朴烈は1922 年、春、義烈団員崔爀鎭を会ったし、秋頃にはソウルの金翰と協約して、密 かに爆弾を東京に運ぶ用意をした。 また、朴烈は上海にある義烈団体を通じて、爆弾購入を協議し、無事に東 京の或所まで爆弾を運ばれたと思われる。だだ、10月中実行に移る積もりだっ たが関東大震災の朝鮮人虐殺のなかで、朴烈が逮捕され、計画の実行はや むをえず中止された。 失敗にも関わらず義烈団の対日本總攻擊計画は続けた。此れによって展開 された攻撃が1924年一月5日の金祉燮の義擧であり、また、北京の義烈団 員 11名が、東京攻撃を目標し、爆弾購入の資金を募集するため国内に密派されたが、逮捕されてしまった、‘慶北 義烈団事件’がその例である。帝国主義 の心臓部で大規模の義烈闘争を展開しようとした義烈団の対日本總攻擊計画 は1922年から1925年、冬まで、絶えずに推進されたのである。

      • KCI등재

        일제의 밀양지역 탄압기구 설치와 탄압 양상 - 의열단의 밀양경찰서 투탄의거 직전까지를 중심으로 -

        전성현(Jeon, Sung-Hyun) 부산경남사학회 2021 역사와 경계 Vol.121 No.-

        이 글은 의열단의 밀양경찰서 투탄의거의 한 동인으로써 밀양지역에 설치된 탄압기구와 그 탄압 양상에 주목했다. 밀양에는 청일전쟁 이후부터 일본군과 일본헌병대가 수비대와 분견대의 형태로 주둔했다. 특히 1907년부터 1909년까지 수비대와 분견대가 밀양에 주둔하며 조선의 식민지화에 저항하던 의병의 진압에 나서 많은 피해자를 양산했다. 나아가 ‘헌경통일’과 강제병합으로 헌병분견소와 출장소가 여전히 다수 설치되어 이 지역의 치안 유지는 물론 독립운동에 대한 탄압에 나섰다. 그 결정적인 사건이 3.1운동에 대한 대대적인 폭력적 진압(밀양 사건)이었다. ‘밀양 사건’인 밀양 태룡리시장 시위는 당시의 인식에서 사실 여부와 상관없이 전국적으로 대표할 만큼 치열한 저항운동이었고 대대적인 탄압을 받은 사건이었다. 특히 시위를 폭력적으로 진압한 일본 군경 측의 보고가 발포를 누락하고 사상자 수도 축소했지만, 미국 선교사와 영국 외교관의 보고에서 각기 다른 네 방면의 정보 제공에 의해 그 실상을 알렸고, 이를 당시 대한민국임시정부 등 해외독립운동가들은 가장 대표적인 탄압 사례, 학살 사건으로 이해했다. 이와 같이 밀양 태룡리시장 시위의 ‘학살 사건’은 당대인의 기억 속에 3.1운동의 대표적인 탄압 사례로 알려져 있었기에, 그 탄압기구인 밀양헌병분견소(밀양경찰서)는 당연히 의열단의 첫 번째로 처단되어야할 기관이 될 수밖에 없었을 것이다. 물론 김원봉을 비롯한 의열단 다수와 투탄의거를 실행한 최수봉이 밀양 사람이기 때문에 의열투쟁의 대상이 될 수밖에 없었겠지만, 그 이상으로 밀양경찰서가 일제 탄압의 전국적 상징성을 지니고 있었다고 볼 수 있지 않을까 한다. This thesis focused on the suppression agency installed in the Miryang area, which was one of the causes of the Euiyeoldan"s bombing of the Miryang Police Station, and the aspect of its suppression. After the Sino-Japanese War, the Japanese army and the Japanese military police were stationed in Miryang in the form of garrison and detachment units. In particular, the garrison and detachment units were stationed in Miryang from 1907 to 1909 to suppress the Righteous Army who resisted Japanese colonization, producing many victims. Furthermore, due to the "unification of the military and the police" and the forced annexation of Japan, a number of military police depots and branch offices were still set up to maintain public order in the area and suppress the independence movement. The decisive event was the massive violent suppression of the March 1st Movement (Miryang Massacre). The Taeryong-ri market protest where the "Miryang Massacre" took place was a fierce resistance movement that represented the whole country regardless of whether it was true or not, and it was an event that was heavily repressed. In particular, the Japanese military and police, which violently suppressed the protests, concealed the firing and reduced the number of casualties. On the other hand, American missionaries and British diplomats informed the world of the massacre. At that time, independence activists abroad, including the Provisional Government of the Republic of Korea, understood this as the most representative case of oppression and massacre. As such, the “massacre” of the Taeryong-ri market demonstration was known to the people of the time as a representative case of repression of the March 1st Movement, so the Miryang Police Station, the subject of the massacre, must have been an institution that the Euiyeoldan must punish.

      • KCI등재
      • KCI등재

        의열단원 박재혁(朴載赫)의 생애와 부산경찰서 투탄(投彈)

        박철규 ( Park Chul-kyu ) 부산광역시 시사편찬위원회 2019 항도부산 Vol.37 No.-

        박재혁(朴載赫)은 1895년 5월 17일 범일동 183번지에서 독자로 태어났다. 15세되던 해에 아버지를 여의고 어머니, 여동생과 생활했다. 1911년 3월 22일 부산진사립육영학교를 졸업하고, 1915년 3월 22일 부산공립상업학교를 제4회로 졸업했다. 박재혁은 부산공립상업학교 재학 중에 최천택, 김병태, 박홍규 등과 함께 『동국역사』를 비밀리에 등사하여 배포했다. 3학년 때에는 최천택, 김병태, 박홍규, 오재영 등과 구세단(救世團)을 결성하고, 민족의식을 고취하는 단보를 발행하여 부산과 경상남도 일대에 배포했다. 박재혁은 1917년 6월 부산을 떠나 3년 이상 상해와 싱가포르 등지를 왕래하면서 인삼 등의 무역업에 종사했다. 동시에 동지들과 교류하면서 독립운동에 기여할 방법을 찾고 있었다. 그러던 중 3.1운동을 계기로 독립운동에 대한 신심을 다져 투신하기로 결심했다. 부산경찰서가 타격대상으로 지목된 것은 당시 의열단이 3.1운동 이후 기존의 독립운동노선에 방향전환을 선언하고 조직됐는데, 제1차 국내기관총공격 계획이 1920년 6월에 발각되어 실패하고 관련자 전원이 체포됐다. 이에 의열단에서는 빠른 시간 내에 성과를 거두어 이를 반전시켜야 할 필요성 요구됐기 때문이다. 또한 부산은 일본에서 조선으로 가는 관문이며 전형적인 식민도시로 개발됐으며, 제2의 오사카로 불렸기 때문에 상징성이 컸다. 거사 준비 과정에서 박재혁은 부산경찰서장 하시모토(橋本秀平)가 고서적을 좋아한다는 정보를 입수하고, 무역업을 하던 경험을 살려 중국 고서 상인으로 위장했다. 1920년 9월 14일 오후 2시 30분 경 부산경찰서에 들어가 공무가 있는 것처럼 가장하고, 하시모토 서장의 오른쪽 가까이 접근하자, 서장이 집무를 멈추고 그쪽으로 몸을 돌리려는 찰나, 자신이 의열단임을 밝히고 투탄했다. 당시 하시모토 서장은 경상을 입었다. 박재혁도 부상을 입어 탈출하지 못하고 현장에서 체포됐다. 박재혁은 부산지법의 1심부터 1921년 3월 31일 진행된 경성고법의 3심까지 일관되게 ‘살인미수죄’가 적용됐다. 박재혁은 부산지방법원에서 무기징역을 선고받았다. 그러나 검사의 공소로 대구복심법원에서 진행된 재판에서는 원심이 파기되고 박재혁은 사형을 선고받았다. 결국 박재혁은 1921년 3월 31일 3심인 경성 고등법원에서 사형이 확정됐다. 박재혁은 체포된 후 고문과 폭탄 투척 당시의 상처로 고통을 겪는 와중에 폐병까지 얻게 되었지만 기개는 꺾이지 않았다. 1921년 5월 11일 오전 11시 20분에 대구 감옥에서 사망했다. Jae-hyuk Park was born as the only son in 183 Beomil-dong on May 17, 1895. At the age of 15, his father passed away and he lived with his mother and sister. On March 22, 1911, he graduated from Busanjin Primary School, and on March 22, 1915, he was the fourth graduate of Busan Public Commercial School. While attending Busan Public Commercial School, Jae-hyuk Park secretly reproduced and distributed 『Dongguk History』 with Cheon-taek Choi, Byeong-tae Kim and Hong-gyu Park. In his third grade, he formed Gusedan(救世團) with Cheon-taek Choi, Byeong-tae Kim, Hong-gyu Park, and Jae-young Oh, and issued a noticed to promote national identity in Busan and the whole region of Gyeongsangnam-do Province. Jae-hyuk Park left Busan in June 1917 to Shanghai and Singapore for more than three years to work in the trade industry. At the same time, he was seeking ways to contribute to the independence movement while interacting with his companions. He then decided to devote himself to the independence movement after the March 1 Independence Movement. Busan Police Station was targeted as the attack after the March 1 Independence Movement when Euiyeoldan had been organized by declaring the change of direction to the existing independence movement, and it was when everyone involved was arrested upon failure of the first national full-scale attack plan in June 1920. As a result, Euiyeoldan needed to achieve results and reverse the situation in a short time. Busan was also a gateway from Japan to Joseon and was developed as the typical colonial city, and had its symbolism as it was called as the second Osaka. In preparation for the rebellion, Jae-hyuk Park obtained information that Hashimoto, the Busan police chief, liked ancient books and disguised himself as the Chinese ancient book dealer by taking advantage of his experience in trade business. At about 2:30p.m. on September 14, 1920, he entered the Busan Police Station pretending to be on duty, approached chief Hashimoto from the right side and threw a bomb after declaring himself as a member of Euiyeoldan when the chief turned his body towards him. At that time, chief Hashimoto was slightly injured. Jae-hyuk Park was arrested at the scene after failing to escape due to his injury. Jae-hyuk Park was consistently charged with 'attempted murder' from the first trial of the Busan District Court to the third trial of the Gyeongseong High Court on March 31, 1921. Jae-hyuk Park was sentenced to life imprisonment at the Busan District Court. However, the appeal by the prosecution annulled the original decision at the trial at the Daegu High Court, and Jae-hyuk Park was sentenced to death. Eventually, Jae-hyuk Park was sentenced to death as his final judgment on March 31, 1921 after the third trial of the Gyeongseong High Court. Jae-hyuk Park suffered from lung diseases due to tortures after arrest and injuries from the bomb, but his spirit was never thwarted. He died in Daegu prison at 11:20a.m. on May 11, 1921 before the execution.

      • KCI등재

        부산출신 金仁泰 ․ 金鉼泰 형제의 생애와 독립운동

        김영범 부산광역시사편찬위원회 2022 항도부산 Vol.43 No.-

        This article is prepared primarily to examine and clarify the entire life course and path through independence movement of Kim Byungtae(金鉼泰), who was a cadre member of the Euiyeoldan(義烈團). In addition, similar path and facts related to his elder brother Kim Intae(金仁泰) are investigated and illuminated as far as possible for the first time. The brothers were born in 1896 and 1899 respectively in Dongnae(東萊) County, which has been transformed to be a main area of the present Busan Metropolitan City. The two men began to follow the anti-Japanese course samely after graduating from middle school. In 1915, Kim Intae went to China, and entered a college in Shanghai. About the beginning of the year of 1919, he participated in the New Korean Youngmen’s Party(新韓靑年黨) and infiltrated the fatherland to prepare for the March 1st Movement. Successively he went to Paris, and worked as an agent of the Communication Bureau of the Korean Delegation to the Paris Peace Conference during several months, using the pseudonym ‘Kim T´ang’(金湯). Though his acts and whereabouts after the move to the United States with Kimm Kiusic(金奎植) are remained unclear, it is confirmed that he returned to Korea in 1933 and went again to China a year later, unfortunately followed by being forced to return home by the Japanese police. Kim Byungtae who had exiled to China in 1918 joined the Euiyeoldan in Shanghai in 1920, and contributed to the bombing undertaking by Park Jaehyuk(朴載赫) against the Busan Police Station. Then he acted constantly at the center of the ranks of Euiyeoldan Movement until 1935, as a secretary to and a sworn brother of Kim Wonbong(金元鳳), the all-the-time head of the organization. After the foundation of the Korean National Revolutionary Party(朝鮮民族革命黨), he served continuously in the central executive committee of the party until 1945, especially as a secretary and the closest aide to Kim Wonbong, under the pseudonym ‘Kim Bin’(金斌) or ‘Cho Bin’(曺斌). Even after the August 15th Liberation, he remained in Shanghai to maintain the legacy of the N.R.P., at the same time to manage the party’s foreign relationship with the Chinese authorities. Thus he lived in China at least until 1957, and seemingly met the end of life there. 이 글은 의열단운동과 부산(사람들) 사이에 어떤 관련이 있었는지에 대한 관심에서 출발하여, 부산출신 의열단 간부였던 김병태의 독립운동 행로를 생애과정 연구의 관점에서 전면 고찰하는 데 주안점을 두고 쓰인 것이다. 곁들여 필자는 그의 형 김인태의 생애도 독립운동 행보와 그 좌절에 초점을 맞추면서 처음으로 추적 탐사해 보았다. 동래 좌천동에서 각기 1896년과 1899년에 태어난 형제는 중학 졸업 무렵부터 민족의식을 벼리며 항일행로를 밟기 시작했다. 1915년 상하이로 건너간 김인태는 대학을 다니다 1919년 신한청년당원이 된 것으로 보이며, 3.1운동 준비를 위한 국내잠입 활동 후 파리강화회의 한국대표부의 일원으로 파견되어 ‘김탕’이라는 이명으로 활약했다. 그러다 곧 미국으로 건너갔는데, 한인사회의 정치적 기류에 잘 융합되질 못했는지 뜻을 펴지 못하고 내내 소외되는 처지에 놓여 있다가 1933년에 귀국했다. 1년 후 새 포부를 품고 중국으로 갔지만 일경에 의해 강제 송환되고 마는 비운을 겪었다. 1918년 중국으로 망명한 김병태는 1920년 상하이에서 의열단에 가입하여 박재혁의 부산의거가 성사됨에 기여했고, 김원봉의 의형제이자 기밀비서가 되어 1935년까지 줄곧 의열단운동 대오의 중심부에서 활동했다. 민족혁명당 창당 후에도 내내 기밀비서 직을 맡아 1945년까지 김원봉의 정치적 보좌역을 자담했다. 일찍이 한 중국인의 양자가 되어있던 그는 8.15 광복 후에도 상하이에 남아 10년 이상 재류하면서 처음에는 조선민족혁명당․인민공화당의 명맥 유지에, 뒤에 가서는 한인사회 결속에 주력했다. 형제는 둘 다 심지 굳은 독립운동가로 살아가려 했음이 분명하고 정치적 선택에서 비슷한 면이 있었다. 그러나 각자의 입지와 성취도와 생애 후반의 모습에서는 상이점이 꽤 있었음도 확인된다.

      • KCI등재

        상해 구국모험단의 조직과 활동

        송민지 한국민족운동사학회 2020 한국민족운동사연구 Vol.0 No.102

        상해 구국모험단은 1919년 6월 중국 상해 지역에서 조직된 폭탄제조 단체이다. 구국모험단은 대한민국임시정부 초기에 독립전쟁을 준비하는 단계에서 무기, 그 중에서도 폭탄제작을 담당한 단체였다는 점에서 중요하다. 본 논문에서는 이러한 중요성을 가진 구국모험단의 조직과 활동을 본격적으로 분석해 보고자 한다. 구국모험단은 1919년 6월 12일 중국 상해 프랑스 조계지 長濱路 愛仁里 24호에서 조직되었다. 단장은 김성근이며 단원들은 안창호와 관계가 있는 사람들로 구성되었다. 상해에 중앙 본부를 두고 중국 봉천, 길림, 러시아 신한촌 지역에 여러 지부를 설치하였다. 구국모험단은 1919년 11월 20일 대표적인 지방 조직인 러시아 신한촌에 지부를 설치하여 자금을 모집하고 폭탄제조를 실시했다. 신한촌에 지부를 설치한 것은 독립전쟁을 실시하려는 임시정부의 준비단계라고 볼 수 있다. 구국모험단의 대표적인 활동은 폭탄제조이다. 구국모험단은 임시정부로부터 받은 자금, 혹은 지부로부터 모은 자금으로 폭탄을 제조했다. 또한 구국모험단은 폭탄을 구입하거나 운반하는 역할도 하였다. 폭탄은 주로 서간도 지역에 있는 독립군에 운반되었다. 더불어 폭탄제조 기술자를 양성하는데도 힘썼다. 외국인 교사를 초빙하거나 외국 기술을 직접 배워오는 등 외국기술을 적극적으로 수용하였다. 이로써 유능한 폭탄제조 기술자를 배출할 수 있었다. 하지만 구국모험단은 폭탄의 잦은 폭발로 인하여 1920년 6월 이후로 공식적인 활동이 불가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단원들은 임시정부 또는 의열단과 협력하여 계속해서 폭탄을 제조했다. 구국모험단의 의의로는 임시정부가 수립된 이후 외교적인 방법 이외에도 무장투쟁을 준비하고 있었다는 사실을 보여준다는 점이다. 또한 구국모험단이 자발적으로 무기를 생산해낼 수 있는 역량을 키우기 위해 수단과 방법을 가리지 않았다는 것이다. 마지막으로 구국모험단이 해외 각지에서 조직적이고 체계적으로 활동하였다는 점이다. 이처럼 구국모험단의 활동은 1920년대 초반 임시정부의 독립전쟁을 준비과정에서 중요한 부분을 차지한다고 볼 수 있다. Shanghai National Salvation Adventure Group is a bomb-making organization formed on Shanghai, China on June 1919. Shanghai National Salvation Group holds significance as an organization in charge of making weapons, especially bombs, in the process of preparing the independence war in the early stage of Provisional Government of the Republic of Korea. Thus, this study analyzed the organization and activities of National Salvation group in details. Shanghai National Salvation Adventure Group was organized on 24 ho, Aein-ri, Jangbin-ro, French Concession, Shanghai, China on June 12, 1919. With the central organization in Shanghai, National Salvation Adventure Group installed several branches on Shenyang, Jilin in China and New Korean town(新韓村) in Russia. Kim Sung-geun is regarded as the central head office and group members were composed of people who are related to Ahn Chang-ho. On November 20, 1919, National Salvation Adventure Group installed a branch on the representative local organization, New Korean Town in Russia to raise fund and make bombs. Installing the branch in New Korean Town can be seen as the provisional government’s preparation for practicing independence war. The representative activity of National Salvation Adventure Group is a bomb making. National Salvation Group made bombs with the fund from the provisional government of fund raised from the branches. In addition, National Salvation Adventure Group in charge of purchasing and carrying bombs. Bombs were mainly sent to the independence group in Western Kando(西間島). Furthermore, National Salvation Group focused on cultivating technicians for making bombs. National Salvation Adventure Group actively invited foreign teachers and accommodated foreign technologies by learning directly. This resulted in cultivating competent technicians specialized in making bombs. However, National Salvation Adventure Group couldn’t continue official activities after June 1920 due to frequent explosion of bombs. Nevertheless, the members cooperated with the provisional government and Euiyeoldan to continue bomb making activities continuously. National Salvation Group holds following significances. First, it shows the historic fact that people were preparing for armed struggles other than diplomatic measures after founding the Provisional Government of the Republic of Korea in Shanghai. Second, National Salvation Adventure Group used all ways and means to cultivate the capacity to produce weapons independently. Lastly, National Salvation Group continued organized activities in overseas regions. All activities of National Salvation Group played important role in the provisional government’s preparation for independence war in early 1920s.

      • KCI등재

        김익상의 생애와 의열투쟁

        김용달(Kim Yong-Dal) 독립기념관 한국독립운동사연구소 2011 한국독립운동사연구 Vol.0 No.38

        한국독립운동에는 의열투쟁이라는 독특한 방략이 있었다. 이는 죽음을 무릅쓰고 온 인류에게 자유와 정의의 메시지를 전달하고, 민족의 대의를 밝히는 것이다. 이런 점에서 의열투쟁은 테러와 매우 다르다. 우선 테러는 개인이나 일부 집단 혹은 단체의 사사로운 이익을 위한 것이지만, 의열투쟁은 공공의 이익을 위한 것이다. 공격대상 또한 테러는 불특정 다수로 삼아 선량한 시민의 피해가 크지만, 의열투쟁은 침략 원흉이나 공공의 적 또는 식민기관이나 단체 등 소수로 특정한다. 또한 의열투쟁은 정정당당하게 거사의 목적·이유·주체를 밝히지만, 테러는 그렇지 않다. 달리 말하면 의열투쟁은 부귀와 영화를 위한 것도, 개인의 공명심에 의한 것도 아니다. 크게는 천하의 정의와 인류의 보편적 가치를 실현하며 역사의 물줄기를 바꾸고, 작게는 사회를 변혁하고 민족의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것이다. 그렇다고 의열투쟁이 어느 날 갑자기 이루어지는 것은 더욱 아니다. 거기에는 의사와 열사가 오랫동안 견지해온 사상과 철학, 조국애와 민족혼이 녹아 있는 것이다. 이 연구는 바로 그 같은 독립운동의 전형을 보여주는 김익상의 생애와 의열투쟁을 고찰한 것이다. 김익상은 불우한 처지에서 성장하면서 제대로 교육을 받지 못하고, 철공소 공원과 연초회사 직원으로 호구지책을 삼았다. 하지만 어려서부터 품었던 비행사의 꿈을 포기하지 않았다. 나아가 그 꿈을 이루기 위해 나섰다가 의열단 단장 김원봉을 만나 조국광복과 민족독립이라는 더 큰 꿈을 갖게 되었다. 그래서 한순간의 망설임도 없이 자원하여 조선총독부 투탄 의거를 결행하였고, 또 상해 황포탄에서 다나카 기이치를 저격하는 의거를 단행하였다. 김익상이 결행한 두 의거는 시쳇말로 크게 성공하지 못했다. 당초의 목적을 이루지 못했기 때문이다. 하지만 의거는 성패와 관계없이 실행 그 자체가 성공이라고 할 수 있다. 조선총독부 투탄 의거는 3·1운동 이후 이른바 '문화정치'를 펴며 한국 민족이 그에 동조하고 있다는 일제의 선전을 보기 좋게 받아친 것이다. 다른 한편으로 일제가 자랑하던 물샐틈 없는 치안망을 뚫고 식민통치의 심장부를 타격함으로써 식민지배에 신음하던 한국 민중에게 통쾌감을 주었을 뿐만 아니라 또 다른 의열투쟁을 불러일으킨 계기로 작용하였던 것이다. 이후 추진된 의열단의 제2차, 제3차 대규모 '암살·파괴'투쟁의 계획과 실천도 여기에 힘입은 바 클 것이다. 나아가 황포탄 의거는 국내는 물론 중국, 일본 등 동아시아만이 아니라 거기에 관련된 영국, 미국 등 서구에도 한국민족의 독립문제를 널리 알리는 계기가 되었다. 따라서 의거의 성패여부와 상관없이 의열투쟁의 본연의 뜻인 '한국민족의 독립의지' 표출이라는 메시지를 전 세계에 전달할 수 있었던 것이다. 더구나 김익상은 의거 후 법정에서도 자신의 의거가 민족독립과 조국광복을 위한 것이라고 당당하게 밝혔고, 그렇기 때문에 죽음도 두려워하지 않았다. 결국 김익상은 조국광복을 눈앞에 두고 일본 경찰에 끌려가 종적이 묘연해지고 말았지만, 그 숭고한 애국애족의 뜻은 후세에 길이길이 남을 것이다. In Korean Independence Movement, there was a peculiar stratagem called heroic struggle. It is to deliver the message of freedom and justice to human beings at the sacrifice of himself and clarify the great cause of a nation. Heroic struggle was not for his own wealth, honor and glory and it was not performed by his own ambition. It is a struggle form to realize justice in the world and the universal value of human beings in a broad sense, and to bring about a change in history and society, and to resolve the problem of a nation in a narrow sense. In the article, I examined Kim, Ik-sang's life and his heroic struggle, who was the model of such a stratagem in Korean independence movement. Kim, Ik-sang grew up in a poor family and was not adequately educated. He worked at an ironworks and a tobacco company as an employee to make a living. But he didn't give up his dream to be a pilot ever since childhood. Furthermore, setting off in search of his dream, he met Kim, Won-bong, the leader of Euiyeoldan (an armed organization for national independence), and came to have the bigger dream, that is, the restoration of independence of his fatherland and national independence. Therefore he carried out a worthy undertaking to throw a bomb to the colonial Japanese Government in Korea without hesitation, and then he carried out a worthy undertaking in Huangputan, Shanghai. His two undertakings were not performed successfully because he couldn't accomplish his initial purpose, however, his performance itself was a success regardless the success or failure of the undertakings. His worthy undertaking to throw a bomb to the colonial Japanese Government in Korea was to shoot back the Japanese propaganda that Korean people sympathized with Japanese cultural policy after the Samil Independence Movement. Meanwhile, as he dealt the heart of the colonial government a blow evading strict security, he gave thrilling feelings to the oppressed Korean people under the Japanese colonial rule and brought about another heroic struggle. Since then, the second and the third plan and performance of the large scale assassination and destruction would be bolstered by his worthy undertaking. Furthermore, his undertaking in Huangputan, Shanghai served as a momentum to let Western countries like England and America as well as home and East Asian countries including China, Japan and others know Korean independence issue. Therefore, regardless the success and failure of his undertaking, it could deliver the message of Korean people's independence will, the real meaning of heroic struggle, all over the world. Moreover, before the court he grandly expressed that his worthy undertaking was performed for the restoration of independence of his fatherland and national independence. Therefore he did not fear death. In the end, he died for his country, however, his devotion to his country and to his people will live forever.

      • KCI등재

        천진교민단의 결성과 활동

        양지선 한국민족운동사학회 2016 한국민족운동사연구 Vol.0 No.89

        On December of 1921, Gyomindan(僑民團) was officially established in Tianjin area. TainjinGyomindan consolidated the existing Hanminhoi, as well as the Young Men’s Association(靑年會) and the House Wives’ Association(婦人會), and was formed according to the Article 7 of Gymindan Regulation in the Ministry of Interior’s Order No.4. Gyomindan was activated and maintained by Korean immigrants’ obligatory money. However, Gyomindan that annually held the Independence Memorial Ceremony took a lot of debts and suffered from the debts for the ceremony. At this time, Yeojingoryeoindongjehoi(旅津高麗人同濟會) was organized in Tianjin, and the organization began to function as Gymindan which became not so active. While Gyomindan tried to hold its general meeting in 1924 and to reorganize the system, personnels of Yeojingoryeoindongjehoi dominated the power of Gyomindan’s steering committee. Eventually, the head of Gyomindan, Kim Jeong, expelled Han Minje and Yi Weonik from Gyomindan, and organized a detached force to maintain his authority. As such disorders continued, the status of Gyomindan fell down and the support for Gyomindan drastically decreased. In order to resolve the situation Yu Segwan became the head of Gyomindan. While Yu Segwan was elected for the head through the process of re-election, actually it was nothing but the new formation of Gyomindan. As Yu Segwan became the head, the activities of Gyomindan shifted from propagation such as the annual 3ㆍ1 memorial ceremony to educational affairs such as the establishment of the 3ㆍ1 Kindergarten. 천진교민단은 대한민국임시정부 내무부령 제4호 교민단제에 의해 조직되었다. 교민단은 한민회를 중심으로 청년회와 부인회 등 천진지역의 각종 군소 한인단체들의 통합을 기반으로 하였다. 교민단은 천진지역 한인들의 의무금으로 유지되었으나, 교민들의 의무금만으로 단을 유지하고 활동하기에는 어려움이 있어 활동에 제약을 받았다. 그러나 민단시기와 달리 교민단은 재정난에도 불구하고 임시정부로부터 인적ㆍ물적 지원을 받을 수 없었다. 이러한 어려움을 극복하기 위해 교민단장 김정은 재선을 통해 새로운 세력을 받아들이기 시작했다. 주현측과 박일경 등 흥사단원들이 대표적이다. 교민단 내에서 흥사단 계열이 함께 활동하면서 천진지역에서 국민대표회 개최 준비가 이루어지기 시작했다. 1923년 천진에서 여진고려인동제회가 조직되었다. 동제회의 존재는 교민단에 타격을 주었다. 두 단체 모두 천진지역 한인들을 기반으로 운영되고 있었기 때문이다. 1923년에는 매년 개최해 오던 3ㆍ1기념식과 국치기념행사도 거행하지 못하는 지경에 이르렀다. 교민단은 새로운 재정확보 방안을 모색했고, 천진에 미육군으로 주둔하고 있던 이치겸을 통해 『신한민보』에 글을 싣고 독립전쟁자금 모집을 시도하였다. 결국 재정 악화로 활동을 중단한 교민단은 동제회 인사들을 수용하게 되었고, 이들이 교민단의 의사결정 기구인 의사회를 통해 교민단을 사실상 장악하였다. 그런데 이때 한민제와 이원익의 독립원조발언 사건이 알려지면서 교민단장 김정이 이 사실을 『독립신문』에 싣고 교민단에서 그들을 공식적으로 제명시켰다. 단에서 이들을 제명한지 얼마 지나지 않아 단장 김정의 단비 횡령 사실이 알려지고 말았다. 이 사건으로 김정은 교민단장에서 해임되었다. 그러나 김정은 자신의 자리를 지키기 위해 별동대를 창설하고 지지세력을 모아 단장직을 유지하려 했다. 이 때문에 천진지역 내 교민단의 위상이 추락하였고, 교민들의 지원이 감소하면서 사실상 교민단은 해체 위기에 놓이게 되었다. 1926년 4월 1일 교민단원들이 김정을 배제하고 간부를 새롭게 선출해 유세관이 단장에 선출되었다. 단명 역시 한교민단으로 변경하는 등 교민단의 쇄신을 통해 해체위기에서 벗어나고자 했다. 김정의 단비횡령사건으로 의열단과 다물단 계열이 교민단의 전면에 나서게 된 것이다. 한교민단의 해체 역시 의열단과의 관련성을 입증해 준다. 나석주의사의 투탄의거로 한교민단의 간부 최천호, 이승춘 등이 피체되었고, 이후 남아 있던 단원들 역시 중국 각지로 뿔뿔이 흩어졌다. 이러한 상황에서 한교민단이 운영해 오던 삼일유치원 또한 문을 닫고 말았다. 이후 천진지역에서 한교민단의 활동은 더 이상 찾아볼 수 없게 되었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