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노하우로서의 倫理 : 프란시스코 바렐라의 인지과학과 동양철학 연구

        유권종(Yoo, Kwon-Jong) 한국동양철학회 2010 동양철학 Vol.0 No.34

        급진적 구성주의의 학문 연구를 주도했던 인물들 가운데 한 사람인 프란시스코 바렐라(1946~2001)의 강연집 『윤리적 노하우』는 동양의 전통적 가르침이 정립했던 것을 윤리적 노하우라는 관점으로 조명한 내용을 담고 있다. 그의 저서는 동양철학 전공자에게 연구의 중요한 진전을 가져올 수 있는 계기를 마련해주고 있음에 틀림없는 것이다. 본 연구는 바렐라의 견해를 분석하고, 그의 관점과 연구 내용을 동양철학 연구 특히 유교 연구에 적용할 수 있는 가능성과 그 방향을 탐구하였다. 본 연구의 순서는 인지과학의 흐름과 프란시스코 바렐라의 학문, 『윤리적 노하우』의 체계와 주요 관점, 윤리에 관한 지식의 본질, 윤리를 노하우로 보는 것이 타당한가? 동양철학 연구의 새로운 관점의 논의로 구성되었다. 본 연구에서는 동양철학연구에 적용가능한 『윤리적 노하우』의 특징적 구도를 네 가지로 파악하였다. 그 내용은 첫째 현대인의 윤리적 실천의 현실에 관한 그의 문제의식, 둘째 서구철학적 사고 내지는 초기 인지과학의 계산주의적 모델의 극복과 구성주의 모델의 확립, 셋째 존재론적 이원론의 구도를 넘어서는 생명론적 일원론의 구도로의 전환, 넷째 숙련에 의한 자기창조의 원리 등이다. One of leading members of radical constructivism on the basis of cognitive science, Francisco J. Varela's Ethical Know-how, which is a collective publication of his speeches, newly explains the Asian traditional teachings as a very useful and meaningful wisdom depending on a new conception of ethical know-how he developed. It is sure that his work gives a moment to specialists of Asian traditional thoughts. This article is for the analysis of his ideas about the ethical know-how and at the same time for a search for possible way to apply his ideas and methodology to the studies of Asian traditional thoughts. This study is going on with the order as follows; current stream of cognitive science and Varela's researches, the principle of Ethical Know-how and main viewpoints, the essence of knowledge of ethics, the explanary structure of Ethical Know-how, and new viewpoint of Asian philosophical studies. According to this study, his ideas and theoretical points that can be applied to the studies of Asian traditional thoughts are summarized as follow; his strong and consistent willingness to improve the low level practice of ethics in contemporary societies up to a higher level practice, changing the thinking model for the improvement leaving from the Western philosophical tradition or the computational style of the early cognitive science settling to radical constructivist model, establishment of the monistic principle on the basis of the life itself with rejection of the ontological dualism, and construction of autopoiesis(self-organization) by means of mastery of the know-how.

      • KCI등재

        무도윤리의 예(禮)와 윤리적 노하우(know-how)

        이상호,황옥철 한국체육철학회 2017 움직임의철학 : 한국체육철학회지 Vol.25 No.4

        This paper is to suggest the new approach on understanding of Li(禮) of martial arts. The established studies of it focus on what it is and why it needs as Eastern philosophical view. But what we know it is different from how we practice. It’s true meaning is all not as Li(禮) for country, it for teacher, and it for each other. It accomplishes when Li(禮) should be applied as normal behaviors and it has unconsciously capability to couple the moral situations. For which, we need to analyze the Li(禮) of martial arts as approach of how-know. Rather, the view of know-what is knowing what Li(禮) is and should follow the Li(禮). This does not supply the concrete solution in terms of the realization of Li(禮) to ourselves. To turn the immediate realization of Li(禮), we need the conscious turn to action itself from first-personal approach. This connects the know-how of Li(禮). Li(禮) should do as everyday occurrence of which we take immediate practice like eating, walking, and sleeping and so. It really means the authentic realization of Li(禮). For which ethical know-how of Li(禮) gets theoretical validity when we reflect the results of cognitive science. 본 연구에서는 무도의 예에 대한 새로운 접근의 필요성을 제기하고자 한다. 기존 무도의 예와 관련된 연구는 예가 무엇이고 왜 필요한지를 다양한 동양적인 사상의 관점에서 설명해 왔다. 하지만 예를 안다는 것이 직접 예를 실천하는 것과는 다르다. 무도의 예는 국가에 대한 예, 상호간의 예, 스승에 대한 예가 모든 것이 아니라, 일상적인 행위로 자신에게 적용되고 무의식적으로 행할 수 있는 능력을 갖출 때 완성된다. 예가 무엇이고 어떻게 해야 하는지를 파악하는 것은 노왓(know-what)의 관점이다. 하지만 예의 실현이라는 측면에서 본다면, 그것만으로 윤리적 문제를 해결할 수 없다. 어떻게 예를 실천할 수 있을까? 문제는 남아 있기 때문이다. 예의 즉각적인 실천으로 전환되기 위해서는 일인칭의 관점에서 행위 그 자체에 대한 인식전환이 필요하다. 이를 위해서는 예의 노하우(know-how)에 관심을 돌려야 한다. 예의 노하우는 자신이 자연스럽게 즉각적으로 예를 실천하는 것이다. 예라는 것이 우리가 일상적으로 밥 먹고 살아가는 행위와 마찬가지로 즉각적으로 실행될 때, 진정한 무도의 예가 완성된 것이라 할 수 있기 때문이다. 이러한 예의 윤리적 노하우의 이론적 근거는 인지과학의 결과를 충분히 반영하고 타당성을 확보해야 한다.

      • KCI등재

        동아시아 공동체와 공존의 윤리

        유권종 ( Kwon Jong Yoo ) 동양철학연구회 2010 東洋哲學硏究 Vol.62 No.-

        본 연구는 논의가 활발해지는 동아시아 공동체 건립 구상과 관련하여 윤리학적 관점에서 지역 공동체의 성립과 지속의 근거가 되는 것으로서 공존의 윤리를 제안하고 이를 실질적으로 성취할 수 있는 원리를 논한 것이다. 전체적인 논의의 내용은 크게 둘로 나누었는데 첫째는 `동아시아 공동체 논의의 맥락과 방향`에 관한 논의로서 지역공동체 윤리의 모색의 필요성을 밝혔고, 공동체가 공존의 윤리를 통해서야 비로소 상호 이질적인 동아시아 각국의 문화적 맥락이 조화를 이룩할 수 있음을 밝혔다. 그리고 공존의 윤리를 형성하기 위한 논의는 각국의 전통 윤리의 가르침을 공동체의 맥락에 맞도록 재해석하는 방법과 진정한 공존의 원리에 대한 깨달음에 근거해야 함을 논하였다. 둘째는 `한국의 윤리학적 전통의 재해석`에 관한 논의로서 한국의 윤리학적 전통 가운데 재해석해서 공동체의 윤리로 삼아야 할 핵심적 내용과 원리를 밝혔다. 이 논문에서는 서구의 윤리학적 방법과 더불어 전통윤리를 함께 지역공동체에 요구되는 공존의 윤리로 삼아야 한다는 점을 전제하고 특히 전통 윤리의 가능성을 찾으려고 하였다. 그 탐구의 방법으로 원용한 것은 인지과학의 한 부류인 근본적 구성주의자들의 사고, 그들이 주장하는 윤리의 노하우, 그리고 그들이 제시한 공존의 윤리라는 개념등이다. In this article an ethics of co-existence is suggested from the viewpoint of contemporary ethics under the relation to the current debates for the construction of East Asian community led by Korean government and the substantial principle for the accomplishment of the ethics is also discussed. Whole body of this article is split into two part. In the first chapter the necessity of searching a new ethics for the community is explained and the idea that very different and various contexts of culture of every country in East Asia will be harmonized necessarily by membership with respecting the ethics of co-existence and therefore the community will run lonr forever is also discussed. And how to construct the ethics is discussed as follow: the first is to re-interpret the traditional ethics according to new ask of the community and the second is that new ethics will have to be based on every member`s self-awakening of the principle of co-existence. In the second chapter a few and important ideas and methods of the Korean traditional ethics which will be necessary in developing the ethics of community are explained and the way and direction how to re-interpret them is discussed. In this article on the assumption that traditional ethics must go along with the Western ethics, especially the potentialities of Korean traditional ethics are studied. The methods of the study are from the viewpoints of the radical constructivists, and the concept of ethical know-how, and ethics of co-existence they suggested.

      • KCI등재

        ‘종심소욕불유구(從心所欲不踰矩)’에 대한 현대적 해석 - F. J. Varela와 D. Narvaez를 중심으로

        김민재 부경대학교 인문사회과학연구소 2022 인문사회과학연구 Vol.23 No.2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terpret the ‘從心所欲不踰矩’ part of the words and actions left by Confucius in a modern way. In particular, ‘從心所欲不踰矩’ was highlighted, focusing on the thoughts of cognitive scientist F. J. Varella and moral psychologist D. Narvaez. ㉠ To this end, this study first looked at the existing interpretations of the phrase, but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basic interpretation, but there were large and small differences in implications depending on what kind of being Confucius was perceived by the thinker or what academic characteristics of the thinker. ㉡ Subsequently, in this study, the meaning and related keywords of ‘ethical know-how’ presented by Varella were summarized, and in light of this, the ‘從心所欲’ part of ‘從心所欲不踰矩’ was interpreted in a modern way. Although Varella and Confucius's academic perspectives do not exactly coincide, it has been confirmed that they can be communicated to some extent in terms of ‘immediacy’, ‘experience’, and ‘enact’. ㉢ In addition, the meaning and characteristics of the ‘ethical expertise’ presented by Narvaez were summarized, and in light of this, the ‘不踰矩’ part of the ‘從心所欲不踰矩’ was interpreted in a modern way. Although Narvaez and Confucius's academic perspectives do not exactly coincide, it has been confirmed that they can be communicated to some extent in terms of ‘ethical schemas’, ‘ethical skill’, and ‘ethical intuition’. ㉣ Finally, this study suggested that the connection between cognitive science・moral psychology and Confucius thought should be further deepened, and that reinterpreted ‘從心所欲不踰矩’ should be approached at the level of school and social (lifelong and culture) education and used in classes. 본 연구의 목적은 공자(孔子)가 남긴 언명들 중 ‘종심소욕불유구(從心所欲不踰矩)’ 부분을 현대적으로 해석하는 것이다. 특히 인지과학자인 프란시스코 J. 바렐라(F. J. Varela)와 도덕 심리학자인 다르시아 나바에즈(D. Narvaez)의 논의를 중심으로 ‘종심소욕불유구’를 조명하고자 하였다. ㉠ 이를 위해 본 연구에서는 먼저 해당 구절에 대한 기존의 풀이들을 살펴보았다. ‘마음이 원하는 바를 좇아도 법도에 어긋나지 않는다.’라는 해석에 있어서는 큰 차이가 없지만, 풀이를 시도한 사상가가 공자를 어떠한 존재로 인식하고 있었는지, 혹은 사상가의 학술적 특징은 무엇인지 등에 따라 해석의 이면에 자리하는 함의에는 다소 간의 차이가 있음을 확인하였다. ㉡ 이어서 본 연구에서는 바렐라가 제시한 ‘윤리적 노하우(ethical know-how)’의 의미와 관련 키워드들을 정리하고, 여기에 비추어 ‘종심소욕불유구’ 가운데 ‘종심소욕’ 부분을 ‘심(心)’과 ‘욕(欲)’의 풀이를 중심으로 현대적으로 해석하였다. 바렐라와 공자의 학문적 관점이나 연구방법론이 정확히 합치하는 것은 아니지만, ‘즉시성’・‘경험’・‘구성’ 등의 측면에서 볼 때 일정 수준 이상 소통될 수 있다는 점을 확인하였다. ㉢ 그리고 나바에즈가 제시한 ‘윤리적 전문성(ethical expertise)’의 의미와 특징들을 정리하고, 여기에 비추어 ‘종심소욕불유구’ 가운데 ‘불유구’ 부분을 주자(朱子)와 다산(茶山)의 주석을 중심으로 현대적으로 해석하였다. 나바에즈와 공자의 학문적 관점이나 연구방법론 역시 정확히 합치하지는 않지만, ‘윤리적 스키마’・‘윤리적 기술’・‘윤리적 직관’ 등의 측면에서 볼 때 일정 수준 이상 소통될 수 있다는 점을 확인하였다. ㉣ 끝으로 본 연구에서는 향후 인지과학・도덕 심리학과 공자 사유의 연결을 더 심층적으로 개진하고, 재해석된 ‘종심소욕불유구’를 학교 및 사회(평생・교양) 교육의 목표 차원에서 접근, 수업에도 적용할 것을 제언하였다.

      • KCI등재

        나바에츠 통합적 윤리교육모형을 활용한 도덕교육 개선 방향

        석자춘(Seok Jachun),정창우(JEONG CHANG WOO) 한국도덕윤리과교육학회 2017 도덕윤리과교육 Vol.- No.54

        나바에츠는 윤리적 기술 혹은 윤리적 노하우의 체화를 인격교육의 지향점으로 설정한다. 윤리적 기술은 네오콜버그주의자들의 ‘공동의 도덕성’관점을 기반으로 ‘도덕 스키마’ 이 론을 점진적으로 발전시킨 결과물에 해당된다. 이와 같이 점진적인 이론적 발전 과정을 거친 윤리적 기술에 대한 논의는 인지과학과 사회인지이론 등을 비롯한 다양한 경험과학의 연구 성과를 효과적으로 활용하여 사회적 기술 발달을 위한 윤리교육 모형을 구축하는 단계로 이 행하게 된다. 즉 윤리적 기술에 대한 이론 정립을 기반으로, 나바에츠는 윤리적 기술을 교수 하는 실천적 이론으로서 ‘통합적 윤리교육모형(IEE)’을 제시한다. 그리고 발달론적 관점에 서 신경과학에 기반을 둔 ‘삼층윤리이론(TET)’을 통합적 윤리교육모형의 이론적 토대로 설 정한다. 본 연구는 이와 같이 포괄적인 이론적 배경에 기반을 둔 통합적 윤리교육 모형을 통 해 오늘날 우리 도덕교육의 개선 방향을 탐색하고자 한다. Darcia Narvaez's major interest is to develop an educational model to embody Ethical Skills or Ethical Know-How as a anchor point for moral and character education. Ethical Skills are the gradually developed outgrowth from Moral Schema, based on a viewpoint on Common Morality. The discussion on Ethical Skills accepts constructive criticism from empirical scientific research including cognitive science and social cognitive theories. Narvaez came up with the Integrative Ethical Education Model as a practical theory to instruct Ethical Skills. Narvaez also set up the Triune Ethics Meta Theory based on as neuroscience of the brain as the theoretical basis of the Integrative Ethical Education from the viewpoint of developmental theory. This study tries to inquiry the compass of the improvement in moral education through applying Darcia Narvaez's Integrative Ethical Education Model based on the comprehensive theoretical basis.

      • KCI등재

        나바이스(D. Narvaez)의 도덕적 전문성 모형의 도덕 교사 교육적 함의

        김하연 ( Kim Ha-yeon ) 한국윤리교육학회 2017 윤리교육연구 Vol.0 No.44

        본 연구는 도덕 심리학자 나바이스의 도덕적 전문성 모형이 도덕 교사 교육에 갖는 함의를 탐색하는 것에 목적이 있다. 이러한 연구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나바이스의 도덕적 전문성 모형의 개념과 목적을 살펴보고, 도덕적 전문성 모형을 설명하는 핵심 개념인 `초보자에서 전문가로의 접근, 도덕적 스키마, 도덕적 기술, 체화된 인지로서 도덕적 노하우`를 중심으로 각각의 이론적 기초와 의미를 고찰함으로써 도덕적 전문성 모형에 대한 이해를 도모하였다. 이러한 논의를 토대로 하여 도덕적 전문성 모형에 따른 도덕 교사의 역할을 `배려를 제공하는 도덕적 본보기, 교실 및 학교의 도덕적 분위기 조성자, 안내된 참여의 기회 제공자, 가정 및 지역 사회와 연계한 도덕 교육의 구심점`으로 제시하고 그에 따라 요구되는 자질을 논의하였다. 이러한 도덕 교사의 역할 수행 능력 및 자질 함양을 위해, 현행 도덕 교사 양성 교육 과정 및 현직 교육 과정을 분석하고 이에 기초하여 도덕 교사의 양성 교육과 현직 교육이 나아가야 할 방향을 제안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finding implications to ethics teacher education of moral psychologist D. Narvaez`s Ethical Expertise Model. In order to achieve this purpose, this study reviews the concept and purpose of Narvaez`s model. The concepts of novice-to-expert pedagogy, moral schema, moral skills, and ethical know-how as embodied cognition which are main concept of Narvaez`s model were discussed to promote the understanding of Moral Expertise Model. Based on these discussions, ethics teacher`s role and required qualities by Moral Expertise Model was presented as moral exemplar who is provider cares, moral climate creator of classroom and school, provider chance of guided participation and center point of ethics education linked to family and community. In addition, the direction of preservice and continuing ethics teacher education was suggested to cultivate ethics teacher`s ability and quality.

      • KCI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