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흰쥐 관류간장에서 세포 외부 칼슘이온이 Epinephrine에 의한 Glucose Output에 미치는 영향

        최병주,김종서,김중영 慶北大學校 醫科大學 1990 慶北醫大誌 Vol.31 No.4

        세포 외부 칼슘 이온이 epinephrine에 의한 glucose output에 미치는 영향을 관찰하고자, 흰쥐 관류 간장을 사용하여 세포 외부칼슘 이온의 존재 유무에 따른 glucose output의 변화를 관찰하고 또한 세포막을 통한 칼슘 이온의 유입 기전에 대하여 부가적인 정보를 얻을 수 있도록 칼슘 통로 봉쇄제인 nifedipine, diltiazem, verapamil등을 사용하여 그 변화를 비교 관찰하였든 바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흰쥐의 간을 Krebs-Henseleit bicarbonate buffer(KHB)로 관류시켰을 때 30분간의 전관류(preperfusion)후 glucose기초생성(basal production)은 0.36±0.11mM이었으며 3×10 exp(-10)에서부터 3×10 exp(-6)M까지 epinephrine농도를 증가시켜 주입함에 따라 glucose output는 점차 증가하여 epinnephrine용량에 의존적인 반응을 나타내었다. 그리고 세포 외부 칼슘 이온이 epinephrine(3×10 exp(-7)M)의 반복투여에 의한 glucose output에 미치는 영향을 관찰한 바 CaCl_2제거로 인하여 glucose최대생성(maximal production)이 유의하게 감소되었으나 다시 정상KBH용액으로 대치한 조건하에서 epinephrine주입시 glucose output는 대조군의 값과 유사하게 회복되었다. 또한 세포 외부 칼슘 이온이 지속적인 epinephrine(3×10 exp(-7)M) 투여에 의한 glucose output에 미치는 영향을 관찰한 결과 각시간에서의 glucose output값은 정상 KHB용액보다 CaCl_2가 포함되지 않은 KHB용액으로 관류시켰을 때 더 적은 경향을 나타내었다. 한편 epinephrine주입 동안 glucose output의 최고치가 나타나는 시간에서 각 칼슘 통로 봉쇄제의 억제효과를 비교하였을 때 diltiazem, nifedipine, verapamil 순서로 억제효능이 증가되었다. 이상의 결과로 미루어 보아 epinephrine에 의한 당원 분해 활성화 작용에는 세포내 저장소에서부터의 칼슘 이온 유리가 매개되어 있고 지속적으로 당원 분해 반응을 자극하거나 세포내의 저장소로 칼슘 이온을 충원하는데 세포외부의 칼슘 이온의 유입이 필요할 것으로 생각된다. The influence of extracellular calcium ion on epinephrine mediated glucose output was studied in perfused rat liver. When the liver separated from fed rats was perfused with Krebs-Henseleit bicarbonate buffer(KHB), glucose was continuously released into the perfusate, and the basa glucose concdentration was 0.36±0.11mM after 30 minutes preperfusion. Infusion of epinephrine from 3×10 exp(-10) to 3×10 exp(-6)M for 3minutes resulted in a concentration-dependent glucose output. After equilibriated state of the epinephrine-induced glucose output was shown in the normal medium, calcium-free medium substituted for the normal medium. By repeated pulse infusion of epinephrine(3×10 exp(-7)M), the glucose output diminished with calcium-free medium. When the liver was reperfused with normal medium, epinephrine-induced glucose output was increased again. Glucose output by the long-term(10 minutes) infusion of epinephrine(3×10 exp(-7)M) in KHB perfusion medium was much larger in the system perfused with CaCl_2. In order to provide additional information on the mechanism of calcium entry across the plasma membrane, it was observed that calcium channel blockers affect glucose output induced by long-term infusion of epinephrine(3×10 exp(-7)M): The amount of glucose output induced by epinephrine was much smaller in the diltiazem(3×10 exp(-5)M)-, nifedipine(3×10 exp(-6), 3×10 exp(-5)M)-, and verapamil(3×10 exp(-7), 3×10 exp(-6), 3×10 exp(-5)M)-treated perfusion system than in the control perfusion system. These results suggest that the epinephrine mobilize calcium ion from the intracellualar store to activate glycogenolysis, and entry of extracellular calcium ion into the cell is required to obtain a sustained hormonal stimulation of glycogenolysis and to supply the intracellular calcium store.

      • P017 : The efficacy and safety of continuous infusion of low dose epinephrine for treating severe acute urticaria

        ( Taek Geun Lee ),( Seung Hyun Moon ),( Hyun Hwang Bo ),( T Aegwang Kwon ),( Hyun Ho Son ),( Sook Kyung Lee ) 대한피부과학회 2014 대한피부과학회 학술발표대회집 Vol.66 No.2

        Background: Epinephrine can relieve severe symptoms of urticaria. There has been no previous study on the continuous infusion of epinephrine in uncontrolled acute urticaria. Objectives: This study was aimed to assess the efficacy and safety of continuous infusion of low-dose epinephrine for severe acute urticaria. Methods: From August 2010 to July 2014, 34 severe acute urticaria patients who were uncontrolled symptoms by conventional treatment, were treated with continuous infusionof low-dose epinephrine. They received 1mg epinephrine HCl mixed with 1L of normal saline for 40cc/hour. Blood pressure were checked on 0, 30, 60 and 90 minutes after onset of epinephrine. Results: Low-dose epinephrine significantly improved the clinical symptom. The mean duration of clinical symptom after epinephrine was 3.64 days. Adverse effects were observed in 2(5.8%) patients, and were palpitation & chest discomfort. The average variation of blood pressure after continuous infusion of epinephrine was -3.23mmHg. There were no significant side effects to suggest stopping epinephrine injection. Relapse of urticaria after injection of epinephrine was occurred at 1(2.9%) patient. Of the 34 patients who were followed for at least 1 month after completion of epinephrine injection, 31(91.1%) patients weresymptom free, and 3(8.8%) patients used antihistamine. Conclusion: This study shows that continuous injection of low-dose epinephrine is an efficacious and safe treatment option for treating acute urticaria.

      • 미추 마취시 국소마취제에 첨가한 Clonidine과 Epinephrine의 효과 비교

        이상길,김시오,임동건,홍정길,박진웅,김병권 慶北大學校 醫科大學 1996 慶北醫大誌 Vol.37 No.2

        목적 : 경막외로 투여한 clonidine과 epinephrine은 진통작용 뿐만 아니라 국소마취제의 효과를 증진시킨다. Clonidine의 진통효과는 척수내의 presynaptic and postsynaptic α_2 -adrenoceptor에 의한 통증 신호를 차단함으로 이루어지며, 또한 용량에 따라서 혈압과 맥박수를 떨어뜨리기도 한다. 이 연구의 목적은 clonldine과 epinephrine을 미추 마취시 투여하여 진통 지속시간과 혈역학적인 변화를 관찰하기 위함이다. 대상 및 방법 : 미국 마취과학회 분류 1급 및 2급에 해당하는 47명의 환자를 대상으로 하였다. 미추 마취시 clonidine(2㎍/㎏), lidocaine(20c.c.), bivon®(1.5c.c.)을 투여한 군은 28명이었으며, clonidine 대신 epinephrine(0.1c.c.)을 투여한 군은 19명이었다. Clonidine군과 epinephrine군의 혈역학적 변화는 초기와 35분동안 5분 간격으로 혈압과 맥박수를 비교하였으며, 진통지속 시간의 비교는 5point verbal scale(1 ; comfortable, 2 ; mildly uncomfortable, 3 ; very uncomfortable, 4 ; In pain, 5 ; in bad pain)을 사용하여 4번에 해당할 때까지의 시간을 기준으로 하였다. 결과 : 두 군간에 혈역학적인 변화는 유의한 차이가 없었으며, 진통지속시간에 있어서는 epinephrine군은 202±52분, clonidine군은 237±44분으로 통계학적인 의의가 있었다(p<0.05). 결론 : 미추마취시 epinephrine 대신 clonidine(2㎍/㎏)의 사용은 특별한 혈역학적인 변화 없이 진통지속시간의 연장에 도움이 된다. Background : Epidural clonidine is reported to produce analgesia in human and to prolong analgesic action of local anesthetics. Epidural epinephrine is also above. Clonidine blocks transmission of pain information by activating presynaptic and postsynaptic α_2-adrenoceptors in the spinal cord. Clonidine also produced dose dependent decreases in blood pressure and heart rate. We were to evaluate the differance of analgesic duration and hemodynamic changes between clonidine and epinephrine which additived to local anesthetics during caudal anesthesia. Method : The patients' number is 47 cases(ASA class Ⅰ and Ⅱ). Clonidine group(N=28) received clonidine(2㎍/㎏), lidocaine(20cc), bivon(1.5cc) and epinephrine group (N=19) received epinephrine(0.1cc), lidocaine(20cc) and bivon(1.5cc.). We measured blood pressure and heart rate to compare clonidine and epinephrine group for 35 minutes. We used 5 point verbal scale(1 ; comfortable, 2 ; mildly uncomfortable, 3 ; very uncomfortable, 4 ; in pain, 5 ; in bad pain) to compare analgesic duration between clonidine and epinephrine group and considered the analgesic duration when the verbal scale reached number 4. Results :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hemodynamic changes between two groups. The duration of analgesia in clonidine group showed significant longer (p<0.05) than epinephrine group. Epinephrine group is 202±52 minutes and clonidine group is 237±44 minutes. Conclusion : We concluded that caudal clonidine(2㎍/㎏) has longer analgesic duration than caudal epinephrine without remarkable hemodynamic changes.

      • 수온변화와 Epinephrine에 의한 자라의 심맥관계 및 신장기능의 변화

        김선희(Kim, Suhn-Hee),조경우(Cho, Kyung-Woo),설경환(Seul, Kyung-Hwan),고규영(Koh, Gou-Young) 대한생리학회 1987 대한생리학회지 Vol.21 No.2

        수온변화에 따른 심맥관계 및 신장기능의 변화와 생체실험을 통한 온도에 의한 adrenoceptor의 변형을 알아보기 위해, 무마취 자라에서 18℃에서 25℃로 수온을 증가시 나타나는 혈압, 심박동수 및 신장기능의 변화를 관찰하고, epinephrine 1 ug/kg과 10 ug/kg을 상이한 온도에 노출된 자라의 정맥내 투여하여 나타나는 효과를 비교하였다. 1) 18℃에서 25℃로 수온을 증가시킴에 따라 심박동수는 현저히 증가하여 일정하게 유지되었으나, 혈압 및 혈장 renin 활성도는 변화하지 않았다. 온도증가에 의해 뇨량, 사구체여과율 및 전해질 배설량의 현저한 증가를 보였으나 90분부터는 서서히 감소하기 시작하였다. 2) 수온 18℃에 노출된 자라에서 epinephrine은 dose-dependent한 양상으로 혈압 및 심박동수를 증가시켰으며, 다량의 epinephrine 투여시 작용시간은 현저히 연장되어 있었다. 25℃에 노출된 자라에서는 epinephrine에 의한 혈압상승 효과 및 심박동수 증가는 나타났으나, dose dependency나 작용시간의 차이는 발견할 수 없었다. 3) 동량의 epinephrine에 의한 혈압 및 심박동수의 증가효과는 18℃와 25℃에 노출된 자라에서 유의한 차이를 발견할 수 없었으나, 18℃에 노출된 자라에서 epinephrine의 작용시간 및 반감기가 현저히 연장되어 있었다. 4) Epinephrine 투여에 의해 뇨량, 사구체여과율 및 전해질 배설량의 증가를 관찰하였으며, 이는 dose-dependent 양상이었다. 그러나, 신장효과의 유의한 차이는 상이한 온도에 노출된 두 군에서 발견할 수 없었다. 이상의 결과로, 온도증가에 의한 이뇨 및 sodium 배설효과는 혈관이완에 의한 사구체여과율의 증가에 기인한 것으로 사료되며, 상이한 온도에 노출된 자라에서 epinephrine 효과의 차이를 발견할 수 없었던 것은 본 실험에서 가한 좁은 범위의 온도의 변화 내에서는 adrenoceptor의 변형이 나타나지 않을 것이라고 추론하였다. 그러나 저온에서의 epinephrine의 작용시간의 연장은 아마도 epinephrine의 파괴 효소의 활성도의 감소인 것으로 사료된다.

      • 슬관절경수술 후 Morphine, Bupivacaine 그리고 Epinephrine을 함유한 Bupivacaine의 관절내 주사가 술 후 진통에 미치는 효과

        정락경,한종인,김종학,김치효,이귀용,이춘희,조연진 梨花女子大學校 醫科大學 醫科學硏究所 1996 EMJ (Ewha medical journal) Vol.19 No.2

        목적 : 슬관절경 수술 후 관절강내 morphime bupivacaine epinephrine을 첨가한 bupivacaine을 주사하여 통증 억제 효과 및 수술 소요시간과 종류가 술 후 통증에 미치는 영향을 비교분석하여 효과적으로 임상에 적용하기 위하여 본 연구를 시행하였다. 방법 : 1994년 8월부터 1995년 7월까지 이화대학부속 목동병원에서 계획수술로 슬관절경 수술이 시행된 19~61세 사이의 남녀 40명을 대상으로 하여 전신마취하 슬관절경 수술 후 생리적 식염수 20ml 투여한 대조군, 생리식염수 20ml고 morphine 1mg 혼합투여군, 0.25%bupi-vacaine 20ml 투여군, 0.25% bupivacaine과 200㎍ epinephrine 혼합 투여군으로 분류하여 술 후 1,2,3, 4 및 24시간동안 VAS 를 이용하여 통증을 비교하였다. 결과 : 1) 통계학적인 의의는 없었으나 대조군에 비하여 bu-pivacaine 및 bupivacaine과 epinephrine혼합투여군이 술 후 1시간 이후부터 24시간까지, morphine 투여군은 술 후 3시간 이후부터 통증 억제 효과를 나타내는 경향을 보였다. 2) 수술시간이 60분 미만의 비교적 간단한 수술인 진단적 슬관절경술등 보다 120분 이상의 마모성 관절성형술에서 술 후 통증은 더 심한 경향을 보였다. 결론 : 본 연구에서 전신마취하 슬관절경 수술 후 술 후 통증을 효과적으로 제거하기 위하여 생리식염수, 생리식염수와 morphine 1mg, 0.25% bupivacaine 50mg, epinephrine 200ug고 0.25% bupivacaine을 각각 20ml 관절강내 투여하여 술 후 1,2,3,4 및 24시간 동안 통증이 정도를 비교하여 bupivacaine및 ep-inephrine과 bupivacaine의 혼합용약을 관절강내 주사한 경우 통증억제 효과를 나타내는 경향을 보였고, morphine은 지연된 통증억제 효과를 나타내는 경향을 보였으나, 통계학적으로 의의있는 차이를 발견할 수 없어 앞으로 morphine과 bupivacaine의 관절강내 투여시 용량 및 용적과 통증 관찰 시기를 적절하게 조절하여 더욱 연구해야 할 것으로 사료된다. Objectives : There are controversies about the analgesic effects of intraaarticular morphine and local anethetics bupivacaine. This study sought to compare the effects of saline with mor-phine, bupivacaine with or without epinephrine, administrated intraarticularly upon pos-toperative pan following arthroscopic knee surgery under general anesthesia. Methods : In a double-blined, randommized manner, 40 patients received one of saline(20ml, n=10), morphine(1mg in 20ml NaCl, n=10), bupivacaine(0.25%, 20ml, n=10), bu-pivacaine with epinephrine(0.25%, 20ml, 200ug of epinephrine, n=10) intaarticularly at the completion of surgery. The pain scores by VAS were determined after 1,2,3,4 and 24 hours after intraarticular administration. Results : There were no significant statistical differences between four groups in the pain score. The maximal pain scores were 37.5 in control group, 48.0 in morphine group, 33.6 in bupivacaine group postoperative 1 hour and 32.9 in bupivacaine with epinephrine group pos-toperative 2 hours. The pain scores were decreased as the time went by and were minimin as 21.4 in control group, 17.6 in morphine group, 11.2 in bupivacaine group and 12.3 in bu-pivacaine with epinephrine group 24 hour postoperatively. Conclusion : Though there were no significant statistical significances with those doses, there were tendencies that the bupivacaine group with or without epinephrine had the postoperative analgesic effect rather than control group, and morphine group had a slow onset of analgesic ef-fect. So, we should study to decide the dose or volume of the drugs and appropriate time to evaluate for the anagesic effects after knee arthroscopy further.

      • Changes in Cardiovascular and Renal Functions by Temperature and Epinephrine in the Freshwater Turtle, Amyda Japonica

        김선희,조경우,설경환,고규영,Kim, Suhn-Hee,Cho, Kyung-Woo,Seul, Kyung-Hwan,Koh, Gou-Young The Korean Physiological Society 1987 대한생리학회지 Vol.21 No.2

        수온변화에 따른 심맥관계 및 신장기능의 변화와 생체실험을 통한 온도에 의한 adrenoceptor의 변형을 알아보기 위해, 무마취 자라에서 $18^{\circ}C$에서 $25^{\circ}C$로 수온을 증가시 나타나는 혈압, 심박동수 및 신장기능의 변화를 관찰하고, epinephrine 1 ug/kg과 10 ug/kg을 상이한 온도에 노출된 자라의 정맥내 투여하여 나타나는 효과를 비교하였다. 1) $18^{\circ}C$에서 $25^{\circ}C$로 수온을 증가시킴에 따라 심박동수는 현저히 증가하여 일정하게 유지되었으나, 혈압 및 혈장 renin 활성도는 변화하지 않았다. 온도증가에 의해 뇨량, 사구체여과율 및 전해질 배설량의 현저한 증가를 보였으나 90분부터는 서서히 감소하기 시작하였다. 2) 수온 $18^{\circ}C$에 노출된 자라에서 epinephrine은 dose-dependent한 양상으로 혈압 및 심박동수를 증가시켰으며, 다량의 epinephrine 투여시 작용시간은 현저히 연장되어 있었다. $25^{\circ}C$에 노출된 자라에서는 epinephrine에 의한 혈압상승 효과 및 심박동수 증가는 나타났으나, dose dependency나 작용시간의 차이는 발견할 수 없었다. 3) 동량의 epinephrine에 의한 혈압 및 심박동수의 증가효과는 $18^{\circ}C$와 $25^{\circ}C$에 노출된 자라에서 유의한 차이를 발견할 수 없었으나, $18^{\circ}C$에 노출된 자라에서 epinephrine의 작용시간 및 반감기가 현저히 연장되어 있었다. 4) Epinephrine 투여에 의해 뇨량, 사구체여과율 및 전해질 배설량의 증가를 관찰하였으며, 이는 dose-dependent 양상이었다. 그러나, 신장효과의 유의한 차이는 상이한 온도에 노출된 두 군에서 발견할 수 없었다. 이상의 결과로, 온도증가에 의한 이뇨 및 sodium 배설효과는 혈관이완에 의한 사구체여과율의 증가에 기인한 것으로 사료되며, 상이한 온도에 노출된 자라에서 epinephrine 효과의 차이를 발견할 수 없었던 것은 본 실험에서 가한 좁은 범위의 온도의 변화 내에서는 adrenoceptor의 변형이 나타나지 않을 것이라고 추론하였다. 그러나 저온에서의 epinephrine의 작용시간의 연장은 아마도 epinephrine의 파괴 효소의 활성도의 감소인 것으로 사료된다.

      • KCI등재

        1:200,000 에피네프린 리도카인의 소개

        감명환(Myong-Hwan Karm) 대한치과의사협회 2018 대한치과의사협회지 Vol.56 No.1

        INTRODUCTION The most commonly impacted tooth is the third molar. An impacted third molar can ultimately cause acute pain, infection, tumors, cysts, caries, periodontal disease, and loss of adjacent teeth. Local anesthesia is employed for removing the third molar. This study aimed to evaluate the efficacy and safety of 2% lidocaine with 1:80,000 or 1:200,000 epinephrine for surgical extraction of bilateral impacted mandibular third molars. METHODS Sixty-five healthy participants underwent surgical extraction of bilateral impacted mandibular third molars in two separate visits while under local anesthesia with 2% lidocaine with different epinephrine concentration (1:80,000 or 1:200,000) in a double-blind, randomized, crossover trial. Visual analogue scale pain scores obtained immediately after surgical extraction were primarily evaluated for the two groups receiving different epinephrine concentrations. Visual analogue scale pain scores obtained 2, 4, and 6 h after administering an anesthetic, onset and duration of analgesia, onset of pain, intraoperative bleeding, operator’s and participant’s overall satisfaction, drug dosage, and hemodynamic parameters were evaluated for the two groups. RESULTS There were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the two groups in any measurements except hemodynamic factors (P > .05). Changes in systolic blood pressure and heart rate following anesthetic administration were significantly greater in the group receiving 1:80,000 epinephrine than in that receiving 1:200,000 epinephrine (P ≤ 01). CONCLUSION The difference in epinephrine concentration between 1:80,000 and 1:200,000 in 2% lidocaine liquid does not affect the medical efficacy of the anesthetic. Furthermore, 2% lidocaine with 1:200,000 epinephrine has better safety with regard to hemodynamic parameters than 2% lidocaine with 1:80,000 epinephrine. Therefore, we suggest using 2% lidocaine with 1:200,000 epinephrine rather than 2% lidocaine with 1:80,000 epinephrine for surgical extraction of impacted mandibular third molars in hemodynamically unstable patients.

      • KCI등재

        에피네프린 투여에 따른 아나필락시스 환자의 임상학적 양상 비교

        김솔기,박관진,채현석,김영민,김상철,김 훈,이석우 대한응급의학회 2023 대한응급의학회지 Vol.34 No.6

        Objective: Epinephrine is a first-line drug for anaphylaxis, but a poor prognosis can occur if not administered properly. This study compared the clinical features of patients with anaphylaxis in the emergency department (ED) according to epinephrine administration. Methods: This was a retrospective cross-sectional study using ED-based data retrieved from a tertiary university hospital. Patients diagnosed with anaphylaxis between 2018 and 2020 were enrolled in this study. The patients with anaphylaxis were classified according to epinephrine administration, and the clinical features were compared. The adjusted odds ratios (AORs) with a 95% confidence interval (CI) were calculated for the main factors associated with epinephrine use. Results: Among 205 eligible patients with anaphylaxis, 157 (76.6%) were treated with epinephrine. The main contributing factors influencing epinephrine use were patients with cardiovascular symptoms (AOR=2.97; 95% CI, 1.26-7.01) and patients transferred from other hospitals (AOR=0.37; 95% CI, 0.16-0.85). Conclusion: The major factors influencing epinephrine use in the ED when patients with anaphylaxis presented with cardiovascular symptoms were identified. It is essential to prevent potentially fatal consequences in patients with anaphylaxis through appropriate epinephrine administration.

      • KCI등재

        Refractory cardiac arrest 환자에서 high-dose epinephrine의 투여 효과

        최경훈,박금수,임경수,안무업,황성오,강성준 대한응급의학회 1991 대한응급의학회지 Vol.2 No.1

        Despite of extensive research about cardiopulmonary resuscitation, success of resuscitation remains inconstant and unpredictable. One of the most important factors determining successful resuscitation is the coronary perfusion pressure influencing to myocardial blood flow. Epinephrine has been a essential drug of cardiopulmonary resuscitation. Epinephrine increases coronary perfusion pressure and cerbral blood flow by elevation of mean arterial pressure via its alpha-adrenergic activity. Recently, the dose of epinephrine administered during cardiopulmonary resuscitation has been reevaluated in animal model and victims of cardiac arrest. On the basis of the recent controversies about epinephrine dose, 10 consecutive patients with cardiac arrest who failed to respond to standard therapy for 10 minutes were received high dose of epinephrine(10-20 times of the current AHA recommendation). We defined as return of spontaneous circulation(ROSC) if patients developed a sustained spontaneous palpable pulse or blood pressure for 3 minutes or more. Eight of ten patients had recovered spontaneous circulation and two of eight patient with ROSC survived more than 3 days although there was no hospital discharge. This results suggests that high-dose epinephrine therapy caused the return of spontaneous circulation and currently recommended epinephrine dosage may be too low to treat cardiac arrest.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