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환경공간정보의 이해와 활용

        이명진,박욱,송원경,Lee, Moung-Jin,Park, Wook,Song, Wonkyong 대한원격탐사학회 2017 大韓遠隔探査學會誌 Vol.33 No.5

        본 사설은 대한원격탐사학회지의 환경공간정보 이해와 활용 특별호 발간의 배경과 목적 그리고 발간 논문의 의의 고찰을 목적으로 한다. 환경정보는 환경과 관련된 정보(문헌, 통계 및 이미지 등)를 포괄적으로 의미한다. 이러한 환경정보가 지역적으로 발생하는 환경의 변화나 이슈로써 공간적인 형태로 발전하여 환경공간정보로 정의된다. 원격탐사자료는 광역 국지적인 환경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여 환경공간정보에 대한 직 간접적인 자료로 매우 높은 활용성을 지니고 있으며, 몇 가지 개선을 통하여 환경분야에 국한되지 않고 보다 다양한 활용이 가능할 것이다. 이를 위하여 첫째, 환경공간정보 구축 기반기술의 정밀화 및 과학화하여 활용을 증대할 수 있다. 둘째, 기존의 환경공간정보의 개념과 내용을 확대함으로써 활용분야를 넓힐 수 있다. 셋째, 기존 환경공간정보의 활용을 지속적으로 증가시키는 것이다. 본 논문에서는 환경공간정보의 최근 변화(데이터의 형식의 전환 및 ICT(Information and Communications Technologies)와 접목 등)를 반영한 발전방향을 고찰하였다. 특히, 환경공간정보 구축의 기본이 되는 기반기술이 정밀화 및 과학화를 다양한 논문을 통하여 고찰하였다. 위와 관련된 연구를 통해 국내 환경공간정보의 활용을 다각화시키고 이를 활용한 정책개발 및 환경요소의 효율적인 관리가 가능할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review the background and purpose of the special issue on Theory of Environment Geospatial Information and Its Applications in Korean Journal of Remote Sensing. The significance of the paper was also discussed. Environmental information refers to environment related information (literature, statistics, images, etc.) in a comprehensive manner. Such environmental information as a local change or issue of the environment is defined as environmental spatial information by developing in a spatial form. Remote sensing data is very useful as direct or indirect data including environmental spatial information on wide-area and local environment. Various applications will be possible not only in the environmental field through several improvements. For this purpose, first, refining and scientificization of technology to build environmental spatial information could be performed. Second, the application field can be expanded by developing the concept and contents of existing environmental spatial information. The third method is continuous increase of the application of existing environmental spatial information. In this paper, the direction of development was examined that reflects recent changes of environmental spatial information such as conversion of data formats and integration with ICT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s Technologies). In particular, the basic technology for the construction of environmental spatial information was reviewed through various papers. Through the studies related to the above, utilization of domestic environmental spatial information would be diversified. Also, the development of environment policy and efficient management of environmental factors could be possible.

      • KCI등재

        텍스트 마이닝 기법을 활용한 환경공간정보 연구 동향 분석

        오관영 ( Kwan-young Oh ),이명진 ( Moung-jin Lee ),박보영 ( Bo-young Park ),이정호 ( Jung-ho Lee ),윤정호 ( Jung-ho Yoon ) 한국지리정보학회 2017 한국지리정보학회지 Vol.20 No.1

        본 연구의 목적은 빅데이터 분석 기법 중 하나인 텍스트 마이닝 기법을 활용하여 환경 분야의 환경공간정보 활용 연구 동향을 정량적으로 분석하는 것이다. 분석에 활용된 자료는 NDSL (National Digital Science Library)을 통하여 획득한 국내 논문으로 총 869편을 대상으로 하였다. 논문에서 추출된 단어들은 "환경일반", "기후", "대기", 등 환경 분야 10개, "위성영상", "수치지도", "재난재해"등 환경공간정보 20개로 설정된 분류체계에 따라 재분류 되었다. 재분류된 분류 키워드를 통해, 논문에서 해당 키워드의 출현 빈도 및 시계열 변화를 파악하였으며, 상호 간 연관분석을 수행하였다. 첫째, 빈도 분석 결과 환경 분야에서는 "환경일반"(40.85%)이 환경공간정보에서는 "위성영상" (24.87%)이 가장 높은 활용 빈도를 나타냈다. 둘째, 환경 분야에 대한 시계열 분석 결과 1996년부터 2000년까지는 "기후"에 대한 연구 비중이 높았으나, 2001년부터는 "환경일반"에 대한 연구가 증가하였다. 환경공간정보에서는 "위성영상"에 대한 수요가 전 기간에 걸쳐 가장 높았으며, 활용 비율 또한 점차적으로 증가하고 있었다. 셋째, 환경 분야와 환경공간정보에 대한 연관분석 결과 총 80개의 연관 규칙이 생성되었으며, 환경 분야 중 "환경일반"이 "위성영상", "전자지도" 등 총 17개의 환경공간정보와 가장 많은 수의 연관 규칙을 생성하였다. This study aimed to quantitatively analyze the trends in environmental research that utilize environmental geospatial information through text mining, one of the big data analysis technologies. The analysis was conducted on a total of 869 papers published in the Republic of Korea, which were collected from the National Digital Science Library (NDSL). On the basis of the classification scheme, the keywords extracted from the papers were recategorized into 10 environmental fields including "general environment", "climate", "air quality", and 20 environmental geospatial information fields including "satellite image", "numerical map", and "disaster". With the recategorized keywords, their frequency levels and time series changes in the collected papers were analyzed, as well as the association rules between keywords. First, the results of frequency analysis showed that "general environment"(40.85%) and "satellite image"(24.87%) had the highest frequency levels among environmental fields and environmental geospatial information fields, respectively. Second, the results of the time series analysis on environmental fields showed that the share of "climate" between 1996 and 2000 was high, but since 2001, that of "general environment" has increased. In terms of environmental geospatial information fields, the demand for "satellite image" was highest throughout the period analyzed, and its utilization share has also gradually increased. Third, a total of 80 correlation rules were generated for environmental fields and environmental geospatial information fields. Among environmental fields, "general environment" generated the highest number of correlation rules (17) with environmental geospatial information fields such as "satellite image" and "digital map".

      • KCI등재

        건설현장 사전 환경조사를 위한 공간정보의 적용기법

        연상호 ( Sang Ho Yeon ) 한국지리정보학회 2014 한국지리정보학회지 Vol.17 No.1

        건설공사에서 사전 환경조사는 시공 전 현장 조사 서비스뿐만 아니라, 계획 및 설계에서도 매우 중요한 요소이다. USN과 결합된 지형공간정보의 적용은 사전에 건설 현장의 진행 단계마다 조사 및 연구에 매우 경제적인 방법이기 때문에 건설 환경 계획 및 기본 설계의 건설을 위하여 매우 중요한 역할을 수행하여 불필요한 시행착오를 줄일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공간위치를 기반으로 환경 센서와 무선통신 기술을 융합하여 건설현장을 디지털 공간정보 환경으로 전환하고, 현장에 설치된 무선의 소형 환경 센서를 이용하여 각 유비쿼터스 센서에서 측정된 환경 데이터를 싱크 센서가 데이터 수집 처리하고 초소형 Tiny OS 기반의 PC 출력 이미지를 전송하는 방식으로 현재 진행되고 있는 건설 현장의 여러 환경정보를 3차원 지형공간에서 실시간으로 그 환경변화를 모니터링 할 수 있도록 하였다. The environmental survey in advance in the construction works is very important for planning and designing as well as the service of field survey before carrying out construction. The topographical application of spatial information coupled with USN is the very economical method for the survey and research every processing stage of construction field in advance. Therefore the execution of very important role for environmental planning and fundamental designing of construction reduces the unnecessary trial and error through the environmental survey in advance. In this research the environment of existent construction field is transformed to that of digital spatial information by fusing the sensor network with wireless technique on the base of spatial position. In addition, the sink sensor cumulates the environmental data measured from each USN sensor using small wireless environmental sensors installed at the construction site and changes of various environmental data at the present constructing site are able to be monitored at 3-D topographical space in real time by using the method for transmitting the image of PC output based on TinyOS.

      • KCI등재후보

        국토 공간정보 구축을 위한 GNSS 기준점의 신호품질 분석

        박준규,한성만 사단법인 인문사회과학기술융합학회 2015 예술인문사회융합멀티미디어논문지 Vol.5 No.2

        NGII(National Geographic Information Institute) has installed the fist GNSS(Global Navigation Satellite System) CORS(Continuously Operating Reference Station) SUWN for DGPS in 1995 and as of today, the number of CORS are 53. In this study, QC of CORS’s observation data was performed and service status of NGII was investigated. As a result of study, status of satellite survey infrastructure was presented and all CORS’s observation environment was proved satisfactory such as IGS’ CORS’s status. 국토지리정보원은 DGPS 측량 활용을 목적으로 1995년 수원 위성기준점을 설치하였으며 현재 53개소를 운영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국토지리정보원의 서비스와 GNSS 기준점 신호품질 분석을 위해 서비스 현황을 파악하고, TEQC를 이용한 관측자료의 품질평가를 수행하였다. 연구를 통해 현재 우리나라 위성측량 인프라 구축 현황을 파악하였으며, 품질평가를 통해 대부분의 위성기준점 관측환경이 IGS 위성기준점에 준하는 환경임을 제시하였다.

      • KCI등재

        딥러닝과 공간정보 기술을 활용한 도로환경 모니터링 방안 연구

        황정래(Hwang, Jung Rae),오세훈(Oh, Se Hun),남상관(Nam, Sang Kwan),최현상(Choi, Hyun Sang),현재훈(Hyun, Jae Hoon) 대한공간정보학회 2022 대한공간정보학회지 Vol.30 No.1

        기존 지자체에서는 차선과 횡단보도와 같은 도로 노면표시 관리를 민원신고에 의한 수동적인 대응과 주관적인 도로 작업자의 판단에 의해 유지 보수하고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딥러닝(deep learning)과 모바일 매핑 시스템(mobile mapping system, MMS) 기술을 활용하여 도로노면을 체계적으로 관리할 수 있는 모니터링 서비스를 개발하였다. 이를 위해 시흥시 수인로 구간을 대상으로 MMS 장비를 이용해 도로영상정보를 취득하였으며, 데이터 가공작업과 저작도구를 활용하여 학습데이터를 구축하였다. 이후 분석 모형 설계를 통해 도로환경 자동 탐지와 5단계 훼손도에 따른 deep learning 분석 기능을 개발하였으며, 이를 위치기반으로 모니터링이 가능한 서비스를 구축하였다. 개발한 서비스는 체계적인 도로노면 의사결정지원으로 효율적인 도로 관리가 가능할 것으로 기대되며, 향후 스마트도시를 추진하는 지자체에 비즈니스 서비스모델로 제시가 가능할 것으로 판단된다. Local governments manage road surface markings such as lanes and crosswalks by passive responses to complaints reports and the judgment of road workers. Therefore, in this study, we developed a monitoring service that can systematically manage the road surface using deep learning and MMS technology. To this end, road image data was acquired using MMS equipment for the Suin-ro section of Siheung-si, and training data was constructed using data processing and annotation tool. Afterwards, we developed a deep learning analysis function according to the level of damage in 5 steps and automatic detection of the road surface through the analysis model design, and implemented a service that enables monitoring based on location. Our monitoring service is expected to support systematic decision-making for the efficient improvement of road surfaces and be presented as a business service model for smart cities.

      • KCI등재

        GIS를 활용한 공장폐수 위탁관리시스템 구축 방안에 관한 연구

        최병길(Choi Byoung Gil),나영우(Na Young Woo) 대한공간정보학회 2008 대한공간정보학회지 Vol.16 No.1

        본 연구의 목적은 공단지역의 환경개선과 폐수위탁관리체계의 투명성을 확보하기 위해 GIS를 활용한 공장폐수 위탁관리 시스템의 구축방안에 대하여 연구하는데 있다. 공장폐수 위탁 및 수탁처리 전산관리 시스템은 공장폐수 위탁 및 수탁관련 정보 입력과 위탁확인서 출력을 위한 위탁 및 수탁 관리 시스템, 관리자가 기간별, 업종별, 폐수종류별, 업체별 위탁량을 통계분석 할 수 있는 통계분석 시스템, 위탁 업체 및 수탁업체의 공간정보와 공장폐수 위탁량 및 수탁량 분포도를 시민들에게 제공하는 WebGIS 시스템으로 구성하였다. 구축된 공장폐수 위탁관리시스템은 폐수의 발생 시점에서부터 완전 처리까지의 전 과정에서의 정확하고 확실하게 파악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업무의 전산화로 업무처리 시 발생되는 시간적, 경제적 손실을 저감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또한 공장폐수에 대한 정확한 발생량을 관리함으로써 인천지역에서 발생되는 수질오염사고를 사전에 예방하고 오염사고 발생 시 신속한 대처방안을 도출 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WebGIS를 이용한 공장폐수의 위탁량 및 수탁량 분포를 관리함으로써 시민들의 환경오염에 대한 생각을 고취시키고 지속적인 관리가 가능 할 것으로 판단된다. This study purpose is an industrial complex environmental improvement and trust management organization of waste water insurance for transparency of the GIS Application a waste water trust management system about extermination plan. A industrial waste water management system is a waste water management and trust management an input device and the trust a note of confirmation for printer trust management system, of manager by time, by work, a waste water by classify, by organization the trust volume will be the statistics analyze system and trust organization of waste water spacial information and a waste water trust volume and of a waste water volume a distribution chart furnish the citizens information WebGIS system. The has be Extermination a waste water trust management system is a waste water a point of start let's solve this project is grasp. And by computerization work the a time and an economy loss reduce. Be on controling trust and a waste water is distribution controling and citizens about environmentalism will be inspiration by WebGI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