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내적 언론 자유는 어떻게 구현 가능한가?: 편집권 독립을 넘어

        정영주,박성순 서울대학교 언론정보연구소 2023 언론정보연구 Vol.60 No.4

        최근 몇 년 사이 신문 기업의 최대 주주 변동이 잇달아 발생하면서 인수 이후 모기업 동정 기사나 홍보 기사가 늘어나는 반면 모기업에 부정적인 기사는 삭제 혹은 배제되는 등 편집권 침해 양상이 발생했다. 민주주의에 기여하는 언론의 공적 기능에 대한 우려가 높아지면서 국회에서는 신문법 개정안이 발의되기도 했다. 한국에서는 오랫동안 편집권 독립에 대한 논의가 지속되어 왔으나 미디어 산업 전반의 경쟁이 격화되면서 사주나 경영진, 광고주, 편집국장과 보도국 간부, 시민단체 등 외부로부터의 압력은 더욱 높아지고 편집국 내부와 전문직으로서 기자 개인의 내적 자유는 더욱 악화되고 있다. 이 연구는 이러한 현실을 배경으로 최근 대주주 변동이 있었던 신문사들에서 내적 자유의 침해 양상이 실재하는지, 내적 자유 침해에 대해 기존의 편집권 독립 관련 제도가 실효성이 있는지, 내적 자유 보장을 위한 제도의 필요성과 실현 방안은 무엇인지에 대해 살펴보고자 한다. 최근 대주주 변동을 경험한 한국일보, 서울신문, 전자신문, 헤럴드경제 소속 기자들에 대한 심층인터뷰 결과, 사주와 관련한 취재 지시부터 사주의 사업 영역과 관련한 대관 업무 수행, 사주의 의견과 이념적 성향을 논조에 반영하는 등 다양한 양상으로 편집국의 내적 자유가 침해받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편집권 독립의 상징으로 여겨졌던 편집국장은 사주의 뜻이 반영되는 인사를 통해 사측으로 편입되었고 편집국장 선출제나 임명동의제, 탄핵 제도 등은 편집권 독립을 보장하는데 충분치 못한 것으로 확인되었다. 노조와 공정보도위원회, 편집평의회 등 내부 기구들도 유명무실화 되었다. 기자 개인의 양심이나 자본의 선의에 기대어 언론의 내적 자유를 확보할 수 없다는 데 인터뷰 참여자들의 의견이 일치했으며, 명문화된 편집규약과 편집위원회가 언론의 내적 자유 제고에 도움이 될 것이라는 데 인식을 같이 했다. 2009년 전부개정된 현행 신문법에는 편집위원회 설치에 대한 임의규정만 두고 있을 뿐 편집위원회의 구성 및 운영, 편집규약 마련 등 그 기능에 대한 언급이 부재한 상황이다. 신문법에 임의 규정을 넘어서는 법적 근거를 마련하고 편집위원회의 조직 내지 절차를 중심으로 구성과 역할, 기능에 대한 안내적 규정을 마련할 필요가 있다. 편집규약 제도화는 개별 언론사의 내적 자유를 견인하고 궁극적으로 우리 사회 언론의 자유와 사회적 책임을 제고하는 정책 방안이 될 수 있다. In recent years, a series of changes in newspaper companies' largest shareholders have led to an increase in articles of sympathy for the parent company and promotional articles, while negative articles have been deleted or excluded from the parent company. As concerns about the public function of the media contributing to democracy increased, a revision to the Newspaper Act was proposed in the National Assembly. Discussions on editorial independence have been ongoing in Korea for a long time, but as competition across the media industry intensifies, pressure from outside, including owners, executives, advertisers, editorial directors, press executives, and civic groups, worsens the internal freedom of journalists. Against this backdrop, this study aims to examine whether there is an infringement of internal freedom in newspapers that have recently changed major shareholders, whether the existing editorial independence-related system is effective for internal freedom infringement, and the necessity and realization of the system to guarantee internal freedom. In-depth interviews with reporters who recently experienced major shareholder changes showed that the editorial office's internal freedom was violated in various ways, ranging from reporting orders related to the owner's business area to reflecting the owner's opinions and ideological tendencies. The editor-in-chief, which was considered a symbol of editorial independence, was incorporated into the management through personnel reflecting the will of the owner, and it was confirmed that the selection system, appointment consent system, and impeachment system were not enough to guarantee editorial independence. Internal organizations such as labor unions, the Fair Press Committee, and the editorial council have also become nominal. Interviewees agreed that internal freedom of speech cannot be secured based on the reporter's conscience or the good will of capital, and that the stipulated editorial rules and editorial committees will help enhance internal freedom of speech. The current newspaper law revised in 2009 only has voluntary regulations on the establishment of an editorial committee, but there is no mention of its functions, such as the composition and operation of the editorial committee and the preparation of editorial regulations. It is necessary to prepare a legal basis beyond arbitrary regulations in the Newspaper Act and to prepare guidance regulations for the composition, role, and function, focusing on the organization or procedure of the editorial committee. The institutionalization of editorial rules can be a policy measure that drives the internal freedom of individual media companies and ultimately enhances the freedom of speech and social responsibility in our society.

      • KCI우수등재

        상해 『독립신문』에 실린 이광수의 논설 발굴과 그 의미

        김주현(Kim, Ju-hyeon) 국어국문학회 2016 국어국문학 Vol.- No.176

        이광수는 1919년 상해에 들어가 『독립신문』 주필로 활동했지만, 아직까지 이에 대해 제대로 된 연구는 없는 실정이다. 본고에서는 기존 연구의 문제점과 성과를 바탕으로 상해 『독립신문』에서 춘원의 논설을 찾아내고, 그 의미를 규명해보았다. 그 동안 상해 『독립신문』에서 이광수의 논설을 수습하려는 노력이 몇 차례 있었지만, 정작 그 과정에 적지 않은 오류들이 개입되었다. 1920년에 간행하려던 『독립신문 논설집』에 이광수가 쓰지 않은 작품들이 포함되어 있다. 그리고 김종욱, 김사엽, 김원모 등도 『독립신문』에서 이광수의 논설을 발굴하여 제시했지만, 여러 가지 문제점을 드러내고 있다. 본고에서는 독립신문사의 상황, 춘원의 활동 및 문체 등에 대한 정밀한 고증을 통해 『독립신문』 논설 55편을 이광수의 작품으로 확정했다. 이번에 발굴 및 확정한 논설들에서 상해 시절 이광수의 의식의 단면들을 엿볼 수 있다. 춘원은 1919년 준비론을 주장하다가 1920년 1월부터 혈전론을 내세웠다. 그의 혈전론은 안창호의 연설을 바탕으로 전개되었다. 그러나 1920년 4월에 접어들어 그는 혈전을 하더라도 준비가 필요함을 역설하고, 급진적 혈전론에 대해 부정적 입장을 드러낸다. 한편 그는 논설에서 차츰 공적인 글쓰기에서 사적인 글쓰기로 나아가며, 아울러 우리, 나, 그네 등을 자유롭게 쓰기도 하고, 사투리 및 대화하는 말투를 그대로 구사하기도 했다. 상해 시절 이광수는 문필을 통한 독립운동을 활발하게 펼쳤다. 그러나 그의 논설들은 임시정부와 무관할 수 없었고, 그러기에 주필로서 적지 않은 내적 갈등이 있었을 것으로 생각된다. 『독립신문』의 논설을 통해서 당대 현실에 대해 활발하지만 미처 정리되지 않은 춘원의 인식을 엿볼 수 있다. There have been some efforts to collect and preserve Lee Gwangsu’s editorials in Dongnipsinmoon published in Shanghai. Even though Lee Gwangsu was introduced as the writer in Editorials Collection of Dongnipsinmoon which was supposed to be published in 1920, he worked as both the writer and editor. In other words, this book includes editorials written by other writers. In addition, despite the fact that Kim Jongwook, Kim Sayeop and Kim Wonmo also discovered and put forth editorials, we cannot accept their works at face value because that will lead us to fallacies. This study has determined 55 editorials in Dongnipsinmoon as Lee Gwangsu’s works. Moreover, this research counted “War Between Japan and USA”, “Traditional Value of Independent Movement” and various editorials as Ju Yohan’s works, which were considered as Lee Gangsu’s works until now. Also, this research asserts that a pen-name ‘Yeonyeonsaing’ is Yoon Jongsik. In this study, I insist that "Genius(天才)" is not the pen-name of Lee Gwangsu but I cannot determine who he is. We can peak into Lee Gwangsu’s consciousness during his days at Shanghai through his works this research has discovered. Lee Gwangsu insisted the theory of preparation until 1919, but changed his stance to the theory of bloody war since January of 1920. This shows that he was influenced by Ahn Changho because his arguments were based on Ahn Changho’s speeches. Meanwhile, in April, he expressed negative views about the theory of radical bloody war and emphasized the need of preparation for a bloody war. Meanwhile, he frequently used I in the later editorials. He freely used we, I and they as well as incorporating dialect and spoken language into writing. He moved gradually from public writing to private writing in of Dongnipsinmoon editorials. Lee Gwangsu joined in the independence movement through writings during his stay in Shanghai. Since his editorials could not have been irrelevant to the provisional government, he must have experienced considerable internal conflicts as the chief editor. “The Kando Incidence and the Future Course of Independent Movement” clearly shows this conflict. Lee Gwangsu gave a bitter advice through this editorial in consideration of resigning from Dongnipsinmoon. We still can see Lee Gwangsu’s unarranged perception about the contemporaneous world from his editorials in Dongnipsinmoon.

      • KCI등재

        한일 인공신경망 기계번역의 정확도 및 오류에 관한 품사별 고찰 - 명사를 중심으로 -

        신민철 한국일본어문학회 2024 日本語文學 Vol.100 No.-

        In this study, newspaper editorials translated by Naver Papago were analyzed to examine the accuracy and errors of translations from Korean to Japanese by artificial neural network machine translation. The focus was vocabulary. Prior to the analysis, a vocabulary survey targeting Korean editorials, Papago translations, and Japanese editorials was conducted. The survey was conducted only on independent words, and the analysis was conducted on nouns with the highest proportion. Ninety percent of the 891 nouns in the Korean editorials (802 nouns) had translations that corresponded to both the Papago and Japanese editorials. Among them, 697 nouns were almost identical in the Korean editorials, Papago translations, and Japanese editorials. Papago does not directly translate words or abbreviations in Korean editorials; it translates them into words that are more commonly used in Japanese. The remaining 105 nouns were translated differently in the Papago and Japanese editorials, but most were the same in terms of meaning. However, compared to the Japanese editorials, Papago provided many literal translations for these 105 nouns. In addition, a few errors in the Papago translation were identified. Nevertheless, by considering the noun vocabulary, we numerically confirmed that Papago’s Korean-Japanese translation was excellent in terms of accuracy and quality.

      • KCI등재

        근대 경제·상품 담론의 존재 양상과 분석: 독립신문 논설을 중심으로

        이병철 한국상품학회 2023 商品學硏究 Vol.41 No.6

        독립신문은 정치, 경제, 산업, 수입과 수출, 무역, 산림, 화폐, 은행, 우편, 철도, 선박, 제조업, 외교, 문화, 사상, 교통, 식품, 생물, 의학, 과학 등에 이르기까지, 이른바 근대 국가 건설을 위한 담론의 공간으로 국민 참여를 이끌었다. 따라서 그 안에 담긴 주제 의식의 긴요함과 계몽의 목적성도 구현했다. 이것이 독립신문의 가치이며, 논의에서 주목해야 할 방향성이다. 접근 방법은 자료의 이해적 측에서나 시기의 명시적 파악을 위해 독립신문 체제에 따라 1호 창간 건양 원년(1896)부터 2년(1897, 7월까지), 광무 원년(1897), 2(1898)년, 그리고 폐간되는 3(1899)년으로 나눠 분석했다. 그리고 논설의 핵심 주제와 요약적 제시도 밝혀 그 관련 내용을 구체화할 것이다. 제목이 없는 경우는 논설의 첫 네 어절을 끊어 제목으로 분류하고 제목이 있는 경우도 내용의 변별성을 위해 수록된 제목과 함께 첫 네 어절을 제시했다. 본 논의는 독립신문 발행 기간에 수록된 전체 논설 가운데 근대 국가 건설에 급무였던 경제, 산업과 관련한 담론을 대상으로 자료의 면면을 분석했다. 논설은 신문 제1면에 항상 고정되었고 대부분 1면 첫머리에 왔으나 간혹 주제에 따라 두, 세 번째 위치에 있기도 했다. 이때 첫머리는 주로 시기적 주요 사항을 긴급 공지하는 형태의 광고가 첫머리를 채우기도 했다. 그리고 논설은 주제의 범주에 따라 분량이 상이했기에 연재 형식을 취하기도 한다. 필자가 조사한 바로는 발행된 독립신문 전제 논설은 총 772편, 그 가운데 ‘논설’로 존재하는 311편과 별도 제목이 존재하는 461편 모두 논의의 조사 대상이다. 이렇게 논설란을 토대로 수록된 전체 내용이 온전히 경제, 산업과 관련한 논설은 총 52편이며 그 주제의 다양성도 매우 포괄적이다. 요약해 보면 경제, 산업 관련 논설 텍스트는 건양 원년 11편, 2년 7편, 광무 원년 2편, 2년 12편, 3년 20편을 발견할 수 있다. 독립신문 창간에서 폐간까지는 조선말 건양(建陽)과 광무개혁(光武改革)의 출발이고 그 중심에 놓인 시기였다. 근대 신문 매체로서 신문의 현장성과 시사성을 고려할 때, 이 시기 국가의 위기의식과 국내외 정세를 가감 없이 읽어낼 수 있는 매체이기도 하다. The Independent served as a platform for discourse on a wide range of topics, spanning politics, economics, industry, imports and exports, trade, forestry, currency, banking, postal services, railways, shipping, manufacturing, diplomacy, culture, ideology, transportation, food, biology, medicine, and science, among others. It played a vital role in mobilizing citizen participation in what is commonly referred to as the construction of a modern nation. As such, it encapsulated the significance of the awareness of these themes and the purpose of enlightenment. Adopting an approach for a comprehensive understanding of the material and to explicitly grasp the timeline, I analyzed The Independent's structure. It was divided into several periods based on its publication schedule, including the inaugural year of Geonyang (1896), the second year (until July 1897), the first year of Gwangmu (1897), the second year (1898), and finally, the year it ceased publication (1899). Furthermore, I will elucidate the core themes of the editorials and provide concise summaries to concretize their related content. For cases where there were no titles, I categorized them using the first four segments of the editorials, while for those with titles, I presented the titles along with the first four segments for differentiation. Based on my research, a total of 772 editorials from The Independent were examined. Among these, 311 were categorized as 'editorials,' and 461 had separate titles. All of these were subjects of the investigation. Within this set of editorials, which served as the foundation for the entire content, 52 pieces were entirely focused on economic and industrial themes. The diversity of these topics was quite comprehensive. To summarize, there were 11 editorials related to economics and industry in the first year of Geonyang, 7 in the second year, 2 in the first year of Gwangmu, 12 in the second year, and 20 in the third year.

      • KCI등재

        『독립신문』의 참여 인물 연구

        채백(Baek Chae) 한국언론정보학회 2006 한국언론정보학보 Vol.36 No.-

        이 논문은 『독립신문』의 편집에 어떠한 인물들이 참여하였는가를 규명해 보려는 것이다. 이 문제에 대해서는 그동안 학계의 논의가 매우 부족한 가운데 서재필 자서전 등의 단편적이고 일방적인 기록에 의해 서재필 중심으로 해석하는 경향이 지배적이었다. 이 논문에서는 지금까지의 연구 성과와 밝혀진 자료들을 종합하고 재해석하며 일부 새로운 자료들을 토대로 해서 이 문제에 체계적인 접근을 시도해 보았다. 본 연구에서 사용하게 될 새로운 자료는 서재필의 중추원 고문 계약과 관련된 문서, 선교사 헐버트의 참여와 관련된 그의 서한들, 그리고 아펜젤러의 역할을 언급한 서재필의 편지 등이다. 본 연구의 결과 독립신문에 참여했던 것으로 밝혀진 인물은 서재필, 주시경, 윤치호, 헐버트, 손승용, 이준일, 아펜젤러, 엠벌리, 콥 총 9명이었다. 서재필을 포함한 한국인이 5명이고 외국인이 4명이었다. 이중 사장이나 주필의 역할을 맡았던 사람은 시간적 순서대로 서재필, 윤치호, 아펜젤러, 엠벌리이다. 그밖에 주시경과 손승용이 초창기부터 편집에 참여했으며 헐버트는 영문판 편집일을 초창기 몇 달간 맡았었다. 이들 중 손승용이 유일하게 창간부터 폐간까지 계속 참여했던 인물인 것으로 보인다. 이준일은 회계 업무를 맡았으며 콥은 일시적으로 교정 등의 업무를 도와주었다. 이들 중 헐버트와 콥은 정식 직원은 아니었다. 헐버트는 비공식적인 계약에 의해 초창기에 잠시 참여하였고 콥은 일시적으로 교정을 도와준 인물이다. The aim of this study is to examine who had participated as members of the editorial staffs and their role in the Independent. In spite of the historical significance of the Independent, this topic was not treated properly by related studies. Moreover many studies mainly based on the Philip Jaisohn's autobiography showed the tendency to overemphasize his role. This study tried to overcome the limitations of the existing studies by critical reinterpretation of the historical materials and some new documents. The result of this study shows that 9 persons participated in the Independent. They are Philip Jaisohn, Joo Si-kyung, Yoon Chi-he, Homer B. Hulbert, Son Seung-yong, Lee Jun-il, Henry Gerhart Appenzeller, H. Emberley and George Cobb. Five person including Jaisohn were Koreans and the rest were foreigners. Hulbert took part in editing English edition confidentially during some month from the beginning. Son Seung-yong seems to be the only one man to participate from beginning to end. Lee Jun-il was not a editorial staff but a treasurer, and Cobb participated temporarily in proofreading. Hulbert and Cobb were not official staff.

      • KCI등재

        고정출연심의규정, 소위 ‘소셜테이너(socialtainer) 출연금지법’의 헌법적합성 연구

        문재완 한국공법학회 2011 公法硏究 Vol.40 No.2

        On July 13, 2011, MBC, the second largest terrestrial broadcasting company in Korea, promulgated editorial codes, which prohibit outside political activities of regular casts, such as TV presenters, panelists, and anchors. New codes was embroiled in controversy. Though the broadcasting company emphasizes that new codes has been made to obey the law of objectivity, some argues the codes are against the Constitution. Scholars on the side of unconstitutionality contend that the codes are too vague to implement and excessively infringe regular casts' fundamental right of political speech. This article analyses the constitutionality of new codes. First of all, it examines whether it is constitutional issue or not. For enacting codes by a private broadcasting company may not be considered as a state action. Under state action doctrine, the Constitution applies not to private entities, but to state or local government. But there are exceptions to the doctrine. Private parties are subject to the Constitution when they are performing public functions or sufficiently entangled with the government through funding or regulation. As Korean government holds 70 percents of MBC equity, new codes should be reviewed from the constitutional point of view. Contrary to dominant opinion that two constitutional values, editorial independence of broadcasting companies and freedom of expression of regular casts, collide in new codes, I argue that freedom of expression is not an issue here. For regular casts are not entitled to appear and speak in any TV program considering the editorial independence of broadcasting companies, and they are free to speak in any place outside TV programs. It is totally up to them whether they comply with new codes or they prefer political activities. Therefore, we should focus on rational relationship between editorial independence and new codes when we review the constitutionality of new codes. Supposing that regular casts have freedom of expression here, the constitutional value of editorial independence are heavier than that of free speech right. For new codes are made to abide by the objectivity which is required by the Broadcasting Act. Finally, it should be mentioned that void for vagueness doctrine generally applies to government regulations, and that it cannot strictly apply to private codes. 2011년 7월 13일 주식회사 문화방송이 고정출연의 적합성을 판단하는 심의 규정인 고정출연심의규정, 이른바 ‘소셜테이너(socialtainer) 출연금지법’을 제정하였다. 이 규정은 방송프로그램에 정기적으로 출연하는 고정출연자 등의 언행으로 인하여 방송의 공정성 내지 객관성이 훼손되거나, 회사의 명예와 위신이 손상되지 않도록 고정출연의 적합성을 판단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위 규정에 대하여 위헌이라는 주장이 많다. 고정출연심의규정의 내용이 명확하지 않아 자의적으로 집행될 우려가 있으므로 명확성의 원칙에 반하고, 고정출연자의 표현의 자유를 과도하게 침해하여 과잉금지의 원칙에 반하며, 고정출연자의 양심의 자유 내지 직업의 자유를 침해한다는 것이다. 위 심의규정이 위헌인지 여부를 판단하기 전에, 우선 위헌 여부를 판단해야 할 사안인지부터 검토해야 할 것이다. 기본권은 국가에 대한 개인의 주관적 공권으로서 원칙적으로 국가와 사인의 관계를 규율하는 것이지 사인간의 관계를 규율하는 것이 아니기 때문이다. 설령 이 사안에서 기본권의 대사인적 효력을 인정하더라도 고정출연자의 표현의 자유뿐만 아니라 방송사업자의 방송의 자유도 대사인적 효력을 갖기 때문에 기본권의 충돌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기본권이 충돌한다면 상충하는 두 기본권이 양립할 수 있는 방법을 찾거나 이익형량을 통하여 해결해야 한다. 하지만 그 이전에 기본권이 충돌하는지부터 살펴야 한다. 이외에 고정출연자가 방송의 자유의 주체가 될 수 있는지도 문제된다. 본 사안에서 고정출연자는 언제 어디서든 자유롭게 정치적 발언을 할 수 있으므로 위 심의규정이 고정출연자의 표현의 자유를 직접 규제한다고 볼 수 없고, 고정출연자는 방송출연의 권리가 없다는 점에서 기본권 충돌의 문제는 발생하지 않는다고 판단된다. 설령 기본권의 충돌을 인정하더라도, 고정출연자의 표현의 자유라는 헌법적 가치와 방송사의 방송의 자유라는 헌법적 가치를 비교형량한다면 위 심의규정으로 달성하려는 가치가 제한받는 가치보다 더 크다고 본다. 또한 명확성의 원칙은 국민의 자유와 권리를 제한하는 법률에 적용되는 것이지, 법익의 충돌이나 기본권의 대사인적 효력이 문제될 때에는 적용될 여지가 없다.

      • KCI등재

        『독립신문』의 서술전략

        임선애(Lim seon ae) 한국문화융합학회 2020 문화와 융합 Vol.42 No.8

        본 연구의 목표는 ‘독립신문’의 논설들이 홍보하기, 소개하기, 꾸짖기, 달래기 등의 서술전략으로 당대의 대중들을 계몽하고 있음을 밝히는 데 있다. 미국에서 돌아온 서재필은 당시 조선이 당면한 현안을 국민의 교육, 정부와 국민 및 조선과 외국 간의 상호 소통의 필요 등으로 파악하며, 이를 해결하기 위해서 신문의 발간을 서둘렀다. 신문의 글쓰기는 공적인 글쓰기로 다른 사람과 공유하려고 하는 글쓰기이며, 다른 사람들의 눈으로 읽히게 될 글을 쓰는 것이다. ‘독립신문’ 논설은 전통적인 지배질서체제, 사상, 학문, 사서삼경 등 전통 유학을 부정적인 시선으로 서술하기도 한다. 그러나 ‘독립신문’을 자세히 읽어보면 유학과 한학은 부정하지만 삼강오륜(三綱五倫)의 유교적 가치는 고스란히 담고 있음을 볼 수 있다. 서재필과 윤치호가 서구지식으로 무장되기 이전에 유교적 가치관을 내면화한 인물들이었다는 점은 이를 뒷받침해 줄 근거가 된다. 『독립신문』 논설들은 오리엔탈리즘과 유교적 가치관이 혼재되어 당대의 국가와 구성원이 처한 어려움을 극복하려는 방책을 모색하고 있는 서사이다. 『독립신문』 논설이 지향하는 문명화는 옛것을 버리고 서구의 학문과 문물을 수용하고 배우는 것이었다. 신문의 곳곳에서 유학이 너무 오래전 옛날에 만들어졌고, 허학(虛學)이라고 비판하면서도, 유교의 중심가치관인 삼강오륜(三綱五倫)의 도를 요구하는 이중적인 가치관을 볼 수 있다. 서사전략(Narrative Strategy)은 독자와의 의사소통을 원활하게 진행시키기 위해서 작가가 사용하는 방략 전반을 일컫는다. 『독립신문』 논설은 내용 분석을 통해서 홍보하기, 소개하기, 꾸짖기, 달래기의 서술전략으로 당대의 대중들을 계몽시키고 있다는 점을 밝히고 있다. The goal of this study is to reveal whether the editorials of the Independent Newspaper are narrative strategies that combine values between scholars and Western intellectuals, seeking ways to overcome related difficulties. Seo Jae-pil, who returned from the U.S., hurriedly published a newspaper to resolve an issue, identifying the issues facing Joseon as follows: the education of the people, the need for mutual communication between the government and the people, and the need for mutual communication between Joseon and foreign countries. Newspaper writing is public and intended to be shared with others. The “Independent Newspaper” editorial also describes traditional Confucianism from a negative perspective, including views on the traditional ruling order system, ideology, learning, and librarian Samgyeong. However, if you read the “Independence Newspaper” carefully, you can see that the Confucian values of Samgang Oryun are still reflected in the narrative strategy, although Confucianism and Chinese studies are portrayed negatively. The fact that Seo Jae-pil and Yoon Chi-ho internalized Confucian values before they were armed with Western knowledge is the basis for supporting this hypothesis. In sum, this study reveals that the narrative strategy of the “independent newspaper” thesis is a mixture of orientalism and Confucian values.

      • Circumventing the junta : How Burmese exiles use independent media to foster civic culture and promote democracy

        Daniel Gawthrop 한국언론학회 2009 한국언론학회 심포지움 및 세미나 Vol.2009 No.8-2

        Nearly five decades after toppling the last civilian government, Burma's military leaders continue to rule the once-prosperous Southeast Asian nation by subjecting its population to a litany of human rights abuses. In recent years, the advent of independent media has shed more light on the junta's brutality while allowing Burmese exiles to expand their pro-democracy activist networks. Independent media's influence has become all the more important since the'Saffron Revolution' of September 2007 and Cyclone Nargis in May 2008. Research on independent media by Burmese dissidents provides valuable insight for journalists, as well as human rights campaigns, everywhere. Drawing from interviews with seven Burmese exiled media producers based in Northern Thailand, this paper applies network society theory to an examination of how Burmese exiles use independent media to foster civic culture and promote democracy. It concludes that independent media's editorial independence enhances the public sphere while reducing political fear.

      • KCI등재후보

        연구논문 : NHK공공방송의 “정치적 독립 및 중립”을 둘러싼 일본 언론의 분극화현상에 관한 연구 -주요 신문의 사설 분석

        황성빈 ( Seongbin Hwang ) 국민대학교 일본학연구소 2015 일본공간 Vol.17 No.-

        이 글에서는 일본의 주요 신문의 사설에서 공공방송 NHK의 정치적 독립 및 정치적 중립의 문제가 어떻게 논의되어왔는지를 검토했다. 이를 위해 각 신문의 데이터베이스를 이용해 ‘NHK’를 포함하는 사설을 추출해 담론분석을 시도했다. 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1980년대부터 현재에 이르기까지 NHK를 둘러싼 문제는 꾸준히 주요 신문의관심의 대상이 되었지만, 그 문제의 대부분은 NHK의 경영을 둘러싼 것이었고, 공공방송으로서의 정치적 독립의 문제에 대해서는, 90년대 이전까지만 해도 각 신문사의 입장 차이가 현저히 드러나지는 않았던 것을 알 수 있었다. 90년대 이전에도 리버럴신문과 보수신문의 사이에는 공공방송의 정치적 중립 등 방송법의 조항에 대한 해석에서 미묘한 차이를 노정하기는 했으나, 그 차이가 전면화되어 논쟁의 대상이 되지는 않았다. 이를 둘러싼 리버럴신문과 보수신문과의 입장 차이가 전면화된 것은 공교롭 게도 ‘역사 인식’의 문제, 그것도 이른바 ‘위안부’ 문제, 즉 ‘전시 성폭력’의 문제를 둘러싸고였다. 본문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NHK의 정치적 중립, 공평을 둘러싼 논의가 격화된 것은 2005년과 2007년, 2013년이었는데 모두 ‘위안부’ 문제를 둘러싼 대립이 그 배경에 있었다. 즉 다시 말해서 ‘위안부’ 문제는 공공방송 NHK와 정치와의 관계를 둘러싼 논쟁에서 그 중심에 있었고, 보수신문 측은 ‘역사수정주의’의 운동을 전개하는 데 있어서 ‘위안부 문제’를 그 전위로서 활용해온 측면이 있었던 것이었고, 전후 민주주의를 상징하는 제도로서의 공공방송=NHK는 ‘위안부 문제’를 전위로서 역사수정주의를 전개하는 보수, 우경화의 소용돌이 속에서 그 자유주의적 성격이 형해화 되는 과정을 경험해왔다고 볼 수 있겠다. This paper analyzed how Japanese major newspapers have defined and discussed NHK=the public broadcaster’s norm and responsibility from 1980s now on. For this purpose, I have collected the editorials that included ‘NHK’ using the database of each newspaper, and carried out a discourse analysis on the editorials, focusing on the difference between the liberals(the Asashi and the Mainich) and the conservatives(the Yomiuri and the Sankei). From 1980s to 1990s, the main issue regarding NHK had been its organizational and channel expansion, while political independence and impartiality issue was not a hot-debated issue regardless of the ideological difference between the two camps. However, since late 1990s, some delicate but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the two camps became noticeable with regard to the public broadcaster’s responsibility on political impartiality and fairness in the Japanese public sphere. The liberal papers interpreted the doctrines based on the liberal model, but the conservatives had different perceptions of the same doctrine following the government model. Ironically enough, it has been around the historical issue, especially about ‘the comfort women system’ by the imperial Japanese army that the controversy became extensive between the two camps. When, the controversy around the public broadcaster’s political independence and impartiality became fierce in 2005, 2007 and 2013, the comfort women issue was in the background, or in the center.In other words, the history problem has occupied the central positions in the controversy about the public broadcaster’s norm and responsibility. The paper argued that “the culture war” erupted by the conservative side, which claims to “historical revisionism”, have also been imposed on the discussion about the norms and responsibility of the public broadcaster. In the vortex, the liberal definition of public broadcasting that have been formed after the war and have symbolized the postwar democracy of Japan became a mere facade.

      • KCI등재

        ‘읽고 싶어 훔치기까지 하는 신문’의 비결: 〈옥천신문〉 플랫폼화 사례 분석

        김재영(Jaeyoung Kim) 충남대학교 사회과학연구소 2021 사회과학연구 Vol.32 No.1

        While the phenomenon of news desert is publicly discussed, the Okcheon-Shinmun weekly newspaper is an unusual case. This study aims to find the elements Okcheon-Shinmun’s success. In particular, it focuses on the changes since its inception in 1989 in terms of platformization. Its key has been defined as the core value of the product or service, its openness, user experience, and hybridization. Using this framework for analysis, this study reviews the existing literature, data, and news reports. At the same time, it makes participatory observations and interviews. As a result of the analysis, Okcheon-Shinmun proves that it adheres to the core values of local grassroots weeklies. The degree and scope of openness is practical beyond the functional level. User experience is high enough that a nearly double subscription fee increase does not deter readers. It has been confirmed that it is leading enough to make full use of the online two-track strategy beyond the typical hybridization. The results suggest that as the media environment rapidly changes, it becomes increasingly important to perform the basic functions of the media, at the core of which lies the independence of editorial rights. In addition, the study discusses how Okcheon-Shinmun is easily linked with the future values of the media, such as the subscription economy, participatory journalism, and solution journalism.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