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학교 정원을 활용한 생태교육 프로그램이 중학생들의 생태소양 함양에 미치는 효과

        이진웅 ( Jin Woong Lee ),서민수 ( Min Su Seo ),정길우 ( Gill Woo Jeong ),김정희 ( Jeong Hui Kim ) 한국현장과학교육학회 2021 현장과학교육 Vol.15 No.4

        오늘날의 지구 생태계가 생태학적 위기 상황에 직면하고 있다는 생태학적 위기의식이 확산되면서 이를 인식하고 극복하기 위한 노력으로 생태교육의 필요성이 제기되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중학생들의 생태소양 함양을 위해 과학 교과의 「생물의 다양성」 단원을 재구성하여 학교 정원을 활용한 생태교육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이를 수업에 적용하여 중학생들의 생태소양 함양에 미치는 효과를 분석하였다. 연구 대상은 대도시의 중학교 세 곳을 선정하여 생태교육 프로그램으로 수업을 진행한 실험 집단과 교실에서 교수매체를 활용하여 수업을 진행한 비교 집단으로 구분하였고, 이들의 생태소양을 측정했다. 그리고 생태교육 프로그램에 대한 만족도 평가와 반구조화된 인터뷰를 추가로 진행했다. 연구 결과, 생태소양을 구성하는 생태학적 지식은 집단 간 유의미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하지만 생태소양을 구성하는 생태적 태도는 실험 집단 학생들이 비교 집단 학생들보다 더 높은 생태적 태도 그리고 강한 생태중심주의와 약한 인간중심주의를 보여 생태교육 프로그램이 생태소양 함양에 긍정적인 영향을 준 것으로 판단된다. 생태교육 프로그램에 대한 만족도 평가 결과는 모든 항목에서 높은 점수를 보여 생태소양 함양을 위한 생태교육 프로그램으로서 부족함이 없는 것으로 판단된다. 한편, 학생 인터뷰 내용을 바탕으로 프로그램을 보완했다. 생태교육 프로그램을 통해 학교 정원에서 「생물의 다양성」 단원을 학습한 학생들은 생태적 지식형성뿐만 아니라 생태적 태도 형성에도 긍정적인 영향을 받아 이를 통해 생태소양을 함양하고 증진하였다. 따라서 중학교 과학 교과 시간에 학교 정원을 활용한 생태교육 프로그램을 적용한다면 학생들의 생태소양이 함양되고 증진될 것이다. As the ecological crisis awareness that today’s global ecosystem is facing an ecological crisis situation is spreading, the need for ecological education is being raised as an effort to recognize and overcome it. Therefore, in this study, the ecological education program using the school garden was developed by reorganizing the 「Bio-diversity」 section of the science curriculum to cultivate the ecological literacy of middle school students. By applying this to the class, the effect on the cultivation of ecological literacy of middle school students was analyzed. The study subjects were selected from three middle schools in large cities, and their ecological literacy was measured by dividing them into an experimental group in which classes were conducted through an ecological education program and a comparative group in which classes were conducted using instructional media in the classroom. In addition, satisfaction evaluation and semi- structured interview on the ecological education program were conducted. As a result of the study, the ecological knowledge that constitutes ecological literacy did not show any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groups. However, as for the ecological attitude constituting ecological literacy, the experimental group students showed higher ecological attitudes, strong ecocentrism and weak anthropocentrism than the comparative group students. Therefore, it is judged that the ecological education program had a positive effect on the cultivation of ecological literacy. Satisfaction evaluation results for the ecological education program showed high scores in all items, so it is judged that there is no shortage of ecological education program for cultivating ecological literacy. Meanwhile, the program was supplemented based on student interviews. The students who studied 「Biological Diversity」 in the school garden through the ecological education program were positively affected not only in the formation of ecological knowledge but also in the formation of ecological attitudes, thereby cultivating and promoting ecological literacy. Therefore, if the ecological education program using the school garden is applied to the middle school science curriculum, the ecological literacy of the students will be cultivated and promoted.

      • KCI등재

        Capra의 생태계 원리 기반 생태교육 프로그램이 중학생들의 생태소양 함양에 미치는 효과

        최소영 ( Choi So-young ),김기대 ( Kim Kee Dae ) 부산대학교 과학교육연구소 2019 교사교육연구 Vol.58 No.4

        본 연구 목적은 Capra의 생태계 원리를 기반으로 하여 생태소양 함양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이를 적용하여 중학생들의 생태소양 함양에 미치는 효과를 분석하고 교육효과를 탐색하는 것이다. Capra의 생태계 원리와 관련된 중학교 과학과 교육과정 성취기준을 분석하여 프로그램 세부 활동 주제를 선정하였다. 최종적으로 생태소양 함양 프로그램 및 주제별 학생 활동지를 개발하였다. 연구 대상으로 지역의 중학생 6명을 실험 집단으로 선정하여 총 26차시 동안 연구를 진행하였다. 프로그램 적용이 끝난 후, 실험 집단과 비교 집단에서 생태소양 평정척도 검사 결과를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실험집단의 전체적인 생태소양이 비교집단보다 높게 나타났으며, 생태소양을 구성하는 인지적, 정의적 및 행동적 요소별 비교에서도 실험집단이 비교집단보다 높게 나타났다. 따라서 생태소양 함양 프로그램은 중학생들의 생태소양을 함양시키는데 긍정적인 영향을 주는 것으로 판단된다. 또한, 프로그램에 참여한 50%의 학생들은 생태소양 구성요소 중 정의적 영역이 가장 중요하다고 응답하여 생태교육 프로그램 개발 시 정의적 영역과 관련된 활동들의 비중을 높이는 것이 의미가 있다고 제안된다. 전반적으로 프로그램에 대한 호감도, 유익성 및 동기부여 측면에서 학생들은 프로그램을 긍정적으로 평가했다. 이러한 생태소양 함양 프로그램이 과학과와 관련된 교육과정에서 적용된다면 학생들의 생태소양이 늘어나 생태계 보전과 지속가능한 삶을 영위하는데 기여하게 될 것이다. The aim of this study is to develop programs for fostering ecological literacy based upon the ecological principles of Capra, apply for middle school students and analyse the effects of the ecological education. We analysed both the ecological principles of Capra and related achievement bases of science curriculums at middle school and selected the detailed activity themes of the programs. As results of these analyses, final 26 hour programs for fostering ecological literacy and activity plans per themes were developed. The programs were applied to 6 middle schoolers in Chungbuk region. After the applications of the ecological education programs, we analysed the results of evaluation index inspection for the control and treated groups. This analysis demonstrated that the overall ecological literacy of the treated group was higher than that of the control group and the values of three elements, cognitive, just and active composed of the ecological literacy in the treated group were higher that those in the control group. So, we concluded that the programs for fostering ecological literacy have a positive possibility to increase ecological literacy. And the half students agreed the highest importance of the cognitive elements of ecological literacy, which have the implications of priority on the activities related with the cognitive elements. The students responded affirmatively to favorability, availability and motivation of the programs. These programs for fostering ecological literacy and their applications can give contributions to ecological conservation and sustainable lives.

      • KCI등재

        초등교육에서 생태적 소양의 의미

        주은정 ( Eun Jeong Ju ) 서울敎育大學校 初等敎育硏究所 2016 한국초등교육 Vol.27 No.2

        이 연구는 생태학적 위기를 극복하기 위한 궁극적인 방안을 생태적 소양 함양이라고 보고, 초등교육에서 그 의미를 고찰하며 초등교육에서 생태적 소양 함양의 중요성과 방법을 논의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생태주의, 생태적 소양 연구 동향 등을 살펴본 후 생태적 소양의 의미를 정리하였다. 또한 생태적 소양이 초등교육에서의 의미를 고찰하고 실천을 위한 방향을 모색하였다. 생태적 소양의 이론적 배경이 되고 있는 생태주의는 다양한 스펙트럼을 가지고 있지만 공통적으로 생태학에 근간을 두고 있으며 참여적, 체제적, 전체론적이라는 특징을 지닌다. 생태주의 패러다임에서 생태적 위기의 극복은 생태적 소양(ecological literacy)을 갖춘 인간을 길러내는 것을 궁극적인 방법으로 보고 있다. 생태적 소양은 지구상의 삶을 가능하게 해주는 자연계(natural systems)를 이해하고 이를 실생활에서 이용할 수 있는 능력을 말한다. Capra (2003), Orr (1992), Berkowitz et al.(2005), Cutter-MacKenzie and Smith(2003)의 연구를 바탕으로 생태적 소양의 의미를 정리하면 생태학을 이루고 있는 기본 개념들을 이해하고 생태적 감수성을 통해 생태중심적 태도를 지니는 것이다. 생태적 소양이라고 하는 것은 생태학에 대한 기본 원리를 이해하는 것과 그에 따라 살아가는 것을 의미하므로 생태학에 대한 기 본 원리를 이해하는 것은 생태적 소양 함양에 있어서 가장 기본이 되는 것이라 할 수 있다. 생태적 감수성은 자연의 변화에 대해 민감하게 반응하며 자연에 대한 감정이입적 시각을 가지는 개인을 길러내는 정의적 특성을 말한다. 생태중심적 태도란 자연을 인간을 위한 도구나 인 간을 둘러싼 환경, 단순한 탐구의 대상으로만 바라보지 않고 그 자체로 가치가 있는 존재로 바라보는 태도로 정의할 수 있다. 특히 어린 시기에는 자연에 대한 경험에서 생태적 감수성을 키우고 이를 통해 생태적 지식, 생태중심적 태도를 갖추어 나가는 것이 중요하므로 초등교육 에서는 이를 위한 교사연수, 교육과정, 환경 개선 등의 실천적 방안을 마련해야 할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plore the meaning ecological literacy and discuss the importance and practical method of it. In this study, the ultimate way to overcome the ecological crisis was assumed promoting ecological literacy. For the study, I investigated trend of previous study related with ecological literacy and ecologism and defined the elements of ecological literacy. Then, I explored the meaning of ecological literacy in elementary education and practical way for leaning it. Ecologism, which is theoretical background of ecological literacy, has a wide spectrum, but commonly rooted in ecology and has the participatory, systemic, and holistic features. The elements of ecological literacy based on the study of Capra (2003), Orr (1992), Berkowitz (2005), and Cutter-MacKenzie and Smith (2003) are ecological knowledge, ecological sensibility and eco-centric attitude. Especially, promoting ecological literacy through the experiences in nature is important. A practical plan, including teacher training, curriculum, improve the environment for it should be prepared in elementary education.

      • KCI등재

        인류세에 지속가능한 디자인의 기초로서 동양적 자연관에 기반한 생태소양

        장주영 한국디자인문화학회 2019 한국디자인문화학회지 Vol.25 No.4

        In this study, the concept of ecological literacy was considered as the basis for sustainable design in the catastrophic geological era of Anthropocene. Ecological literacy is the basic concept for developing new capabilities and critical skills to understand the seriousness of environmental problems and to respond effectively for it. In this study, the theory of ecology, ecological design, and ecological literacy was historically examined. And with the discussion of ecological literacy in design education, six ecological principles for design were presented and linked to design concepts to present the theoretical frame-work for ecological literacy. This research proposed the new concept of ecological literacy, which is the basis of sustainable design as a new ecological cultural paradigm, by combining Asian traditional ecological thinking as the foundation for the ecological thought. 본 연구에서는 인류세라는 재앙적 지질시대에서 지속가능한 디자인을 위한 기초로서 생태적 소양의 개념을 고찰하였다. 생태소양이란 환경문제의 심각성을이해하고 그에 효과적으로 대응하는 새로운 역량과비판적 능력을 개발하기 위한 기초개념이다. 본 연구에서는 이를 위해 생태학 및 생태디자인, 그리고 생태소양의 이론을 역사적으로 고찰하였다. 그리고 디자인교육에서의 생태적 소양에 대한 논의와 함께 디자인을 위한 핵심 생태 원리 6가지를 제시하고 이를 디자인 개념과 연결하여 생태소양의 이론적 프레임을 도출하였다. 그리고 이러한 생태소양의 기반이 되는 세계관으로서 동양 전통의 생태주의적 자연관을 접목하여 새로운 생태적 문화 패러다임으로서 지속가능한 디자인의 기초가 되는 생태소양 개념을 제안하였다

      • KCI등재

        세계화 시대의 생태리터러시를 함양하는 기독교교육

        조미영 연세대학교 신과대학 연합신학대학원 2020 신학논단 Vol.101 No.-

        The globalization and the wave of neoliberalism in the 21st century are causing the crisis of the ecosystem without origin by consuming finite resources and destroying the natural environment for profit creation. The acceleration of ecosystem crises across the globe makes people feel a sense of crisis about whether humans and other life forms are any longer sustainable on Earth. To solve this problem, human beings need to respect the complexity of living environment more and need the ability to understand the natural world and use it in everyday life. In this context, this study examines how to find alternatives by focusing on the concept of ‘shalom’ in the theological approach to the global environmental crisis, and proposes Christian education to cultivate ecological literacy as a method. The ‘Shalom’ of the Bible means that humans enjoy peace in all relationships, and the realm of peace extends beyond mankind to the natural world, the creation world of God. Therefore, Christians facing the crisis of the global environment first recognize that the creation world created by God is the creature of God like man, and furthermore, it is necessary to stand in this position of the earth, not the human position. And as responsible actors, human beings should do their best to care for the creation world with the sovereignty given by God. To this end, the ecological literacy presented in one way means the qualities and abilities to understand and practice the core principles of God’s creation world, or ecosystem, in order to create a sustainable society and community. This ecological literacy can be an important competency in establishing a peace relationship with the global environment in which humans live and achieving a sustainable society. Christian education that cultivates ecological literacy have to start from the perception of ecological paradigm. Human beings are the ones who have to communicate with the environment surrounding them, and peace is the state of harmony and coexistence in these various relationships. Therefore, arousing the diverse and complex relationships of human life, especially interdependence with the global environment, can be seen as the epistemological foundation of Christian education that cultivates ecological literacy. Based on the transition to ecological system thinking, it will be possible to create and spread sustainable peace culture when ecological conscience and style are fulfilled and ecological responsibility is fulfilled through ecological literacy education. 21세기의 세계화와 신자유주의의 물결은 이윤의 창출을 위해 유한한 자원을 소모하고 자연환경을 파괴함으로써, 유래 없는 생태계의 위기를 초래하고 있다. 지구 도처에서 발생하는 생태계 위기의 가속화는 인간을 비롯한 생명체들이 지구상에서 더 이상 지속가능한가에 대해 위기의식을 느끼게 한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 인간은 살아 있는 환경의 복잡성을 보다 존중할 필요가 있으며, 자연계를 이해하고 일상생활에서 이용할 수 있는 능력이 요구된다. 이러한 맥락에서 본 연구는 지구환경의 위기에 대한 신학적 접근에서 ‘샬롬’ 개념을 중심으로 고찰하여 어떻게 대안을 찾을 수 있는지 검토해보고, 하나의 방법으로 생태리터러시를 함양하는 기독교교육을 제안하였다. 성서의 샬롬은 인간이 모든 관계에서 평화를 누리는 것을 의미하는데, 평화의 영역은 인류를 넘어서 하나님의 창조세계인 자연세계까지 확장된다. 지구환경의 위기에 직면한 그리스도인은 먼저 하나님이 만드신 창조세계가 인간과 같은 하나님의 피조물임을 인식하고 나아가 인간의 입장이 아닌 이 땅의 입장에 서는 일이 필요하다. 그리고 인간은 책임 있는 행위자로서 하나님이 주신 통치권으로 창조세계를 돌보는 역할에 최선을 다해야 한다. 이를 위해 하나의 방법으로 제시한 생태리터러시는 지속가능한 사회와 공동체를 만들기 위해 하나님의 창조세계, 즉 생태계의 핵심원리를 이해하고 이를 토대로 실천하는 자질과 능력을 의미한다. 이러한 생태리터러시는 인간이 살아가고 있는 지구환경과 평화의 관계를 맺고 지속가능한 사회를 이루어나가는 데 중요한 역량이 될 수 있다. 생태리터러시를 함양하는 기독교교육은 생태학적 패러다임에 대한 인식으로부터 출발해야 한다. 인간은 자신을 둘러싸고 있는 환경과 관계 맺고 소통해야 하는 존재이고, 평화는 이러한 다양한 관계 속에서 조화와 공존의 상태를 이루는 것이기 때문이다. 따라서 인간 삶의 다양하면서도 복잡한 관계들, 그중에서도 특히 지구환경과의 상호의존성을 일깨우는 것이 생태리터러시를 함양하는 기독교교육의 인식론적 토대라고 볼 수 있다. 이러한 생태학적 체계 사고로의 전환에 기초하여 생태리터러시 교육을 통해 생태적 양심 및 양식을 갖고 생태적 책임을 다할 때에, 지속가능한 평화문화의 창출과 확산이 가능하게 될 것이다.

      • KCI등재후보

        생태교육의 내용과 전망

        김기대 한국홀리스틱교육학회 2015 홀리스틱융합교육연구 Vol.19 No.1

        현재 생태계의 위기를 극복하기 위하여 생태주의 환경관이 필요하다. 이 연구에서 생태주의 환경관을 포함하고, 생태학에 기반한 생태교육의 내용과 전망을 분석하였다. 우리는 생태교육을 통하여 생태학의 기본 원리를 이해하고 어떻게 조화를 이루어 사는 능력을 학습하여야 한다. 생태교육의 목표는 생태학의 기본 원리를 이해하고 함께 사는 것을 이해하는 능력인 생태소양을 증진시키는 것이다. 생태소양은 인간과 사회, 자연계가 서로 어떻게 관계하고 있고, 인간과 사회가 지속가능하게 관계하는 방법에 대한 이해를 포함한다. 생태소양의 요소로 생태적 지식, 생태중심 태도, 생태 감수성을 들 수 있다. 이 연구에서는 기초 생태학 개념과 생태학 원리 및 법칙에 입각한 생태적 지식의 종류를 분석하였다. 분석한 생태적 지식은 공통점과 유사점을 고려하여 7가지로 범주화하였다. 생태교육은 근본적으로 생태학의 원리에 기반한 교육이고 근본적인 삶의 변화를 목표로 한다. 생태교육의 교수 학습 방법, 생태교육 관련 교육과정과 생태교육의 평가 방법은 앞으로 생태교육에서 연구되어야 하는 분야이다. 홀리스틱 교육 비전의 원칙은 생태교육과 일치하며 홀리스틱 교육은 실현하는 분야가 될 것이다. The aim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contents and prospects of ecological education that is based upon ecology and includes the environmental views of ecology. We learn to get abilities to understand basic principles of ecology and live in harmony with ecosystem through ecological education. The goal of ecological education is to enhance ecological literacy, understanding ecological basic principles and living together with surrounding things. Ecological literacy includes understandings about how humans, society and ecosystem are related and how humans and society live sustainably. The elements of ecological literacy are composed of ecological knowledge, attitude toward ecology and ecological sensitivity. As a result of this study, ecological knowledge is classified according to basic ecological conceps and ecological principles and law, considering commons and diferrences. Finally, ecological education is based on ecological principles inherently and is pursuit of life changes. The studies of teaching, curriculum and evaluation methods in ecological education are urgently needed. The principle of holistic education goes well with ecological education and ecological education is one of fields to make realize holistic education.

      • KCI등재후보

        기초 생태소양을 반영한 논생태계 체험프로그램 개발

        김선휴(Sun Huh Kim),김기대(Kee Dae Kim) 중앙대학교 한국교육문제연구소 2013 한국교육문제연구 Vol.31 No.4

        본 연구의 목적은 생태소양의 성격을 탐색하며, 생태소양을 갖추기 위하여 누구나 익혀야할 기초적인 생태원리들을 선정하고, 선정된 생태원리들을 이해하기 적합한 논생태계에서 체험 프로그램을 제시하는데 있다. 생태소양의 자연과학적 측면으로서 생태계 이해를 익혀야할 기초적인 생태학적 개념들을 탐색하였다. 장상호의 학문의 구조에 대한 생각과 생태학자들이 생태계를 이해하는 데 중시한 개념들에 근거하여 생태학적 기초요소에 관한 연구자들의 결과를 비교하였다. 생태계 제 요소간의 상호작용을 중시하는 Klemow의 11가지 생태개념이 기초생태소양을 함양하는데 상대적 적절성을 보였다. 이에 근거하여 논생태계 프로그램에서 익힐 생태개념들로 Klemow가 제시한 개념들을 사용하였다. 논생태계는 다원적 특성, 습지로서의 특성을 가지고 있으며, 생태소양을 학습할 수 있는 학습의 장소이며, 학습의 대상이다. Klemow가 제시한 생태개념들에 근거하여 논생태계의 가치를 탐구한 결과 생태계를 이해하는 데 필요한 생태 개념들을 익히고, 생태소양을 함양시키기에 논생태계는 적합하다. Independent Investigation Method(IIM) 프로그램을 적용한 선행연구 분석을 통하여 과학적 탐구활동을 하기에 적합한 프로그램임을 확인하였다. IIM 프로그램이 적용된 논생태계 체험프로그램과 통하여 학습자들은 10가지 생태 개념들을 논에서 확인하도록 구성되었다. 학습자는 논생태계 프로그램을 통하여 생명현상, 물질순화, 에너지 흐름, 그 속에 인간의 역할을 살펴볼 수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sought features of ecological literacy, selected basic principles of ecology  which everyone should learn, and proposed appropriate learning of how and where to understand the  ecological principles chosen. Orr’s ecological literacy has features of natural science, humanities, and  sociology. Ecological literacy represents understanding of ecological principles based on natural science  as well as humanistic and sociological recognition about human life in ecosystems. Basic ecological  concepts for the understanding of ecosystems were investigated in regard to natural science enhancing  ecological literacy. Ecologists’ various opinions about ecological foundation elements were compared  from Jang’s structure of study and the concepts emphasized for ecologists to understand the  ecosystem. Basic ecological concepts of Klemow which emphasize the interaction between the elements  of ecosystems were relatively adequate rather than those of other researchers for the understanding of  ecosystems. On the basis of these results, the paddy field experience program was composed of Klemow ’s basic ecological concepts. By the analysis of previous studies to which the IIM program have been  applied, the IIM program is suitable for scientific research activities and is a learning tool to investigate  paddy field ecosystems. With the IIM program for paddy field ecosystem experience program, learners can  understand the kinds of 10 ecological concepts in paddy fields. The paddy field ecosystem is easy to  access compared to other ecosystems. In addition to exploring a variety of biological phenomena as well  as providing our daily food, paddy fields are historical places of our national agricultural culture.  Throughout the paddy field ecosystem experience program, paddy fields are expected to be refocused.

      • 생태소양 관점에 따른 2022 개정 중학교 과학과 교육과정의 생태전환교육 관련 내용 분석

        서정아(Jung-Ah Suh) 조선대학교 교과교육연구소 2024 敎科敎育硏究 Vol.44 No.2

        기후 변화에 따른 위기를 대비하여 개정 교육과정은 생태전환교육을 2022 강조하고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2022 개정 중학교 과학과 교육과정의 생태전환교육 요소를 생태소양의 관점으로 분석하여 시사점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분석 대상은 2022 개정 및 2015 개정 과학과 교육과정의 성취기준 및 부연 내용이며, 이를 생태소양의 인지적, 정서적, 실천적, 과정적 영역으로 구분하고, 교육과정별, 영역별, 학문분야별로 비교 분석하였다. 2022 개정은 2015 개정에 비해 성취기준이나 부연내용에서 생태소양 관련 내용이 증가하였으며, 각 영역별로도 그 수가 증가했다. 그러나 영역별 빈도 분포는 유사하여, 두 교육과정 모두 인지적, 과정적, 실천적 영역 순서로 많았으며 정서적 영역의 수가 가장 적었다. 세부 영역별로 분석한 결과 두 교육과정 모두 지속가 능발전 지식이 가장 많았고 생태감수성 영역이 가장 적었다. 학문 분야별로 분석한 결과 공통, 생명과학, 지구과학 분야가 많았고 물리학, 화학 분야의 수는 적었다. 자연에 대한 경이로움을 느끼는 정서적 영역의 경험이 생태소양의 함양을 위해 중요하다는 선행 연구들을 고려해볼 때 정서적인 영역의 성취기준에 대한 체계화와 세분화가 필요하다. 또한 과학의 학문 분야별로 고르게 생태소양 관련 내용을 도입할 필요가 있다. 생태소양 내용이 교육과정에 체계적으로 명시되어진다면 현장에서 생태전환교육을 구현하는 것에 실질적인 도움이 될 것이다. In preparation for the crisis caused by climate change, the 2022 revised curriculum emphasizes ecological transformation education. This study analyzed the elements of ecological tranformation education in the 2022 revised middle school science curriculum from the perspective of ecological literacy. The subjects of analysis were the achievement standards and supplements of the science curriculum in 2022 and 2015. They were divided into cognitive, affective, practical, and process areas of ecological literacy, and compared and analyzed by curriculum, area, and academic field. In the 2022 the content related to ecological literacy increased compared to the 2015 in all areas. However, the frequency distribution were similar in both curricula, which is in the order of cognitive, process, and practical areas, and the number of emotional areas was the smallest. As a result of analyzing by detailed area, both curricula had the most knowledge of sustainable development and the least area of ecological sensitivity. As a result of the analysis by academic field, there were many common, life science, and earth science fields, and the number of physics and chemistry fields was small. Considering that the experience of affective areas, such as feeling the wonder of nature, is important for the cultivation of ecological literacy, more standards of emotional areas are needed. It also proposes to introduce ecological literacy-related content evenly for each academic field of science. If the contents of ecological literacy are systematically specified in the curriculum, it will be of practical help in implementing ecological conversion education in the field.

      • KCI등재

        예비 역사 교사의 생태 리터러시 증진을 위한 커리큘럼 개발

        강화정,김민정 서원대학교 사범대학 부설 교육연구소 2023 교육발전 Vol.42 No.4

        The role of education in responding to the climate crisis is becoming more important. Ecological transformation education emerged reflecting on modern education, which had considered growth and development important. ‘ecological literacy’ is a methodology for embodying ecological transformation education. At this time, the historical perspective helps to read the origins and changes of the ecological environment problem. Recently, discussions on the history of ecological environment have also begun in history education. The premise of the discussion is ‘what role can history education play’ in growing students into ecological citizens and citizens with ecological competence. With the ecological environment emerging as an important topic for education and history education, the "ecological environment history curriculum for prospective history teachers" is needed. This article proposed the direction and content of the curriculum. 기후위기가 심화됨에 따라 위기에 대응하고 이를 타개하기 위한 교육계의 고심도 커지고 있다. 생태전환교육은 성장과 발전을 중요시해왔던 근대 교육을 반성하고 교육의 생태문명적 전환을 모색하기 위한 시도이다. 생태 리터러시는 생태전환교육을 구체화하기 위한 방법론으로서 이때 역사적 시선은 생태환경 문제의 기원과 변화의 과정을 읽어내어 그 본질을 파악하는데 유용하다. 역사교육에서 생태환경의 시선을 담기 위한 논의와 실천은 이제 막 시작되었다. 논의의 전제는 생태 시민, 생태적 역량을 지닌 시민으로서 학생의 자기 형성에 역사교육의 역할을 모색하는 것이다. 생태환경이 교육 및 역사교육의 중요한 의제로 등장한 상황에서 예비 역사교사 양성 과정에서도 생태환경의 문제와 생태환경사를 다룰 필요가 있다. 본고는 사범대 역사과 교과교육과정 속에 생태환경사 교육 커리큘럼을 구성할 때 그 방향과 내용을 제안하였다.

      • KCI등재

        초등학생의 식물에 대한 경험 분석 및 생태적 소양과의 관계

        주은정 ( Eun Jeong Ju ),김재근 ( Jae Geun Kim ) 한국초등과학교육학회 2013 초등과학교육 Vol.32 No.4

        This study was conducted for investigating the characteristics of children`s experiences in plants and their relationship with ecological literacy. 578 primary students participated in our survey, who consisted of 240 urban and 338 semi-rural children. The questionnaire for this study was composed of items about their experiences in plants and ecological literacy. Children`s experiences in plants were classified to 5 factors; indirect/observable, living, investigative, negative, and active experiences in plants. The most important factor of them is indirect/ observable experience which tends to be passive. Children`s ecological literacy and experiences in plants were not different with a place of residence but had difference with sexual. Most children`s experiences in plants had correlation with ecological literacy. Ecological sensibility was the most important variable for explanation of the relation between children`s ecological literacy and experiences in plants. It is recommended that supplying experiments in plants to children is important for promoting their ecological literac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