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동학군 기록 『학초전』 고찰

        한경희 동학학회 2021 동학학보 Vol.- No.58

        『학초전』은 동학농민군 입장에서 동학혁명의 과정을 밝힌 자료이기에 그동안 관변측의 일방적인 시각을 보완할 수 있는 귀중한 자료이다. 양반사족 출신으로 갑오년(1894) 동학에 입도한 학초 박학래의 행적을 통해 관변측 자료가 담지 못한 동학농민혁명의 전개과정과 농민군의 살아있는 목소리를 드려다보는데 이 논문의 목적이 있다. 예천지역 일대에서 동학혁명에 관한 연구는 보수집강소의 기록인 <갑오척사록>을 중심으로 이뤄졌다. 이에 <갑오척사록>과 「학초전」을 비교 고찰하는 방법을 통해 예천지역의 동학진압 과정을 보다 상세하게 파악할 수 있다. 예천지역 유림과 부호들이 자발적으로 조직한 민보군은 동학군과 대결구도를 갖추고 대치하였으므로 이 두 자료의 비교연구 방법은 아래로부터의 혁명이 갖는 역사적인 의미를 고찰하는데 많은 도움이 된다. 본 논문의 연구내용은 첫째, 「학초전」이 지닌 자료적 가치를 최대한 살리기 위해 1차적으로 전체 내용을 충실하게 정리하면서 학초의 동학입도와 동학지도자로서 펼친 활동을 정리하였다. 둘째, 동학농민군 입장에서 핵심적인 사항을 가려내어 보수집강소 기록 <갑오척사록>과 비교고찰 하였다. 셋째, 동학군이 진압된 이후 여러 건의 특별한 송사에서 학초의 활약을 정리하고 영향력을 살펴보았다. 자전적인 학초 박학래의 기록을 통해 예천지역 일대 동학혁명의 전개과정을 동학군의 입장에서 파악하였다. 「학초전」은 <갑오척사록>의 일방적인 시선을 뛰어넘어 동학농민군의 동학 봉기에 담긴 진정성을 확인시켜주었다. 왕조사회를 비롯한 지역의 유림세력은 농민 중심의 동학군을 도적떼로 간주하여 철저히 진압했다. 『학초전』은 갑오년(1894) 예천지역 동학진압과정을 농민군 입장에서 기록한 자료로 예천의 화지와 금당실에서 동학도들의 도회가 열렸던 사실을 자세하게 담고 있다. 이렇듯 예천지역의 동학혁명의 전개과정을 밝히는 중요한 자료임을 확인하였다. "Hakchojeon" is the first data to reveal the process of the Donghak Revolution from the perspective of the Donghak Peasant Army, so it can create an opportunity to supplement the government's unilateral view.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present the development process of the Donghak Peasant Revolution and the live voice of the peasant army, which the government is missing through the activities of Hakcho Park Hak-rae, a former noble of the aristocracy, who entered Donghak in 1894. Research on the Donghak Revolution in the Yecheon area has been based on the contents of the "Gapochuksa Book," a record of the conservative concentration center, but the process of Donghak suppression in Yecheon area can be more detailed by comparing it with the contents of "Hakchojeon." The comparative study of these two materials is a way to further specify the historical meaning of the revolution from below, as the militias voluntarily organized by intellectuals and the rich in Yecheon were confronted with Donghak-military. The research contents of this paper follow the time flow recorded by Hakcho, and first, to maximize the data value of Hakchojeon, the entire contents of Hakchojeon were faithfully organized, and the activities of Hakcho as Donghak entrance and Donghak leader. Second, the Donghak Peasant Army identified key matters and compared them with the conservative records, "Gapochuksarok." Third, the influence of Hakcho was examined in Gyeongsang-do area by organizing outstanding trials other than Donghak entrance and activities. The biographical records of Hakcho Park Hak-rae showed the development of the Donghak Revolution in the Yecheon area. "Hakchojeon" went beyond the one-sided gaze of "Gapochuksarok" and confirmed the sincerity of the Donghak uprising of the Donghak Peasant Army. Local intellectuals, including the royal society, regarded Donghak-military as a bandit and suppressed it thoroughly. However, the peasantry had a sense of duty to compromise with the conservatives to keep the country safe. "Hakchojeon" was the first record of the Donghak Peasant Army, so it was able to grasp the Donghak Revolution in the Yecheon area (1894) in detail, and the fact that the Donghak gathering was held in Yecheon.

      • KCI등재

        동학농민군의 저항문화와 상징

        김양식 역사학연구소 2018 역사연구 Vol.- No.35

        This paper studied the resistance culture and symbolism of the Donghak peasantarmy through the flags, dances, songs, and rituals used by the Donghak peasantarmy. The flag of the Donghak peasant warfare was used as a form of a distinctresistance culture that symbolized the Donghak peasant army. They presentedpolitical and social struggle goals and points through the banner. The resistanceideology in the flag was justice. The Donghak peasant army was in the realizationof a just society. The behavior of the Donghak peasant army means that the peasantsof the traditional era penetrated the vestiges of the Middle Ages and emerged asmodern political entities. Another resistance culture of the Donghak peasant army has sword dance andsword singing. The sword song was a song of resistance by the Donghak peasantarmy during the Donghak peasant war era. It was an expression of a strong willof the Donghak peasant army who wanted to open up a new world and a gestureof sincere transformation. The new resistance culture that Donghak peasant troops did not experience in traditional village culture was the order of Donghak. The distinction between theDonghak peasant army and the general public came after a certain ceremony, whenDonghak entered the order and recited the order. The Donghak peasant group brokethe reality of repressing their lives and opened a new life and memorized the orderof autonomy. The culture media that encouraged the Donghak peasant army's moraleand gave hope and faith played a role. The anticipation of the Donghak Peasant War that opens up a new era, or thecommotion that praises Jeon Bongjoon, has spread rapidly. In the aftermath of theDonghak Peasants' War, the Donghak Peasant War and Jeong Bong-joon werememorized in the private sector, and a revival reminiscent of historical significancewas passed down. The typical song is Blue Bird song. In the past twenty centuries,the people have been constantly reinterpreting and giving meaning to the song evenin times of hardship, and they have not forsaken their dreams of a new day. It isa future legacy left by the blood of the Donghak Peasant War. 본 논문은 동학농민군이 사용한 깃발, 춤, 노래, 의례를 통해 동학농민군의 저항문화와 상징성을 연구하였다. 동학농민전쟁기 깃발은 동학농민군을 상징할 정도로 뚜렷한 저항문화의 한 형태로 사용되었다. 그들은 깃발을 통해 정치사회적 투쟁목표와 지향점을 제시하였다. 오늘날 우리나라 전형적인 시위문화의 한 형태로 나타나는 깃발의 근대적 원형은동학농민군의 깃발에 있었다. 동학농민군의 깃발에 나타난 저항이데올로기는 성리학에 기반을 둔 정의였다. 동학농민군이 지향한 것은 정의로운 사회 실현에 있었다. 보수지배층은 정의 주체를그들 자신으로 한정하였지만, 동학농민군은 민중으로 이해하였다. 그것은 곧 전통시대의 농민이 중세의 질곡을 뚫고 근대적인 정치적 주체로 등장한 것을 의미한다. 동학농민군의 또 다른 저항문화는 칼춤과 칼노래를 부른 것이다. 칼노래는 1860년경에 수운 최제우가 지은 것으로, 동학농민전쟁기에 동학농민군이 부른 저항의 노래였다. 그것은 새로운 세상을 열고자 하는 동학농민군의 강한 의지의 표현이자 간절한 변혁의 몸짓이었다. 그와 함께 동학농민군들이 평상시 전통적인 마을문화에서 경험하지 못한 새로운저항문화는 동학 주문이었다. 동학농민군이 일반인과 구별되는 것은 일정한 의례를거쳐 동학에 들어와 주문을 암송한 것이다. 동학농민군은 자신의 삶을 억압하는현실의 질곡을 깨고 새로운 삶을 열고자 동학 주문을 외웠다. 동학농민군의 사기를 북돋아주고 희망과 믿음을 준 문화매체는 동요도 한 몫하였다. 새로운 시대를 여는 동학농민전쟁을 예견하거나 전봉준을 상징하는 동요가급격히 퍼져나갔다. 동학농민전쟁 이후에도 민간에서 동학농민전쟁과 전봉준을 기억하고 역사적 의미를 되새기는 동요가 전승되었다. 그 대표적인 동요가 파랑새노래이다. 지난 20세기 민중들은 고난한 세월 속에서도 끊임없이 이 노래를 재해석하고 의미를 부여하면서 새 날에 대한 꿈을 버리지 않았다. 그것은 동학농민전쟁이피로써 남긴 미래유산이 아닐 수 없다.

      • KCI등재

        中国学界研究 “东学”的 资料 分析 - 基于《 知网》数据库和《 万方》平台资料

        Jin-Shan Che,방호범 동학학회 2016 동학학보 Vol.0 No.39

        With the purpose of investigating the current state of researches on Donghak in China, the present study was undertaken using the China National Knowledge Infrastructure database (中国知网CNKI数据库) and the Wanfang Data Knowledge Service Platform (万方知识服务平台), which are the most authoritative and widely used academic databases in China, as well as Baidu, which is the widely used search engine in China. Based on the search words including Donghak, Cheondoism, the March 1st Movement, and the Korean peasant movement, this study was conducted with 8 theses or dissertations and 45 journal articles concerning Donghak. These studies were categorized according to year of publication, order of publication, and contents. The studies on Donghak in China can be summarized into three categories: The first is the studies on the introduction of Donghak. These studies were related to the basic contents of Donghak as well as the comparison between Donghak and Cheondoism and between Donghak and the March 1st Movement. Cheondoism. The Gabo Peasant Movement, the March 1st Movement. and Cheondoism were also introduced separately. The second is the studies on the comparison between the March 1st Movement in Korea and the May 4th Movement in China. Most of these studies demonstrate that the March 1st Movement in Korea directly influenced the occurrence of the May 4th Movement in China. These studies also reveal that some media and intellectuals of China eagerly supported the March 1st Movement in Korea. The third is the studies on the comparison between peasant movements (rebellions) in China and Korea. In other words, the Gabo Peasant Revolution in Korea was compared with the Taiping Rebellion (太平天国战争) and the Yihetuan Movement (义和团运动) in China. The “philosophy of national identity”of Donghak, which was advocated by Suun, is a spiritual mainstay of the Korean people and has great significance and value for the Korean modern history. Even though the Donghak Revolution ended in failure, the essence of Donghak “the thought of Innaecheon (人乃天; Human beings are Heaven)”may make all the world and humanity become one. Studies on Donghak, which are yet insufficient in China, need to be continuously developed. Along with the academic value of Donghak, the thought of Donghak will continuously influence the development of modern society in Korea and China. 본 연구는 중국에서의 동학 연구 현황을 분석적으로 고찰하기 위하여 중국학술계에서 제일 권위 있고 널리 사용되는 《중국지망CNKI수거고(中国知网CNKI数据库)》와《만방지식복무평대(万方知识服务平台)》, 그리고 중국에서 보편적으로 사용되고 있는 검색사이트 “백도(百度)” 를 통해 중국에서 동학 연구가 어떻게 이루어지고 있는가를 살펴보기 위한 것이다. .본 연구는 중국에서의 동학 연구 현황을 “동학”, “천도교”, “삼일운동”, “한국농민운동” 등 검색어를 통해 동학 관련 학위논문 8편, 학술논문 45편을 본 논문의 연구대상으로 하였다. 그리고 이 연구논문을 출판년도, 출판서열, 자료내용을 통해 분류하고 정리하는 작업을 하였다. 중국에서의 동학 연구는 다음 세 가지로 요약될 수 있다. 첫째, 동학을 소개하는 논문들이다. 동학의 기본내용, 동학과 천도교, 동학과 삼일운동을 비교하는 논문이 있으며, 천도교, 삼일운동, 갑오농민운동 등을 단독으로 소개하였다. 둘째, 한국의 “삼일운동”과 중국의 “오사운동”을 비교하는 논문이다. 대부분 논문들은 한국의 삼일운동은 중국의 오사운동에 직접적인 영향을 주었다고 보았으며, 중국의 일부 언론과 지식인들은 한국의 삼일운동을 적극적으로 응원하였다고 한다. 셋째, 중국과 한국의 농민운동(전쟁)으로 비교하였다. 즉 한국의 갑오농민전쟁과 중국의 “태평천국전쟁(太平天国战争)”과 “의화단운동(义和团运动)”을 배경으로 비교하였다. 수운(水雲)이 창도한 동학의 “민족주체성철학”은 한민족의 정신적 축이 되었으며, 한국근대사에서 매우 중요한 의미와 가치를 지니고 있다. 동학혁명은 비록 실패했지만, 동학의 정수인 인내천(人乃天) 사상은 세계와 인류를 하나로 묶을 것이다. 비록 중국에서의 동학연구는 아직 미흡하지만, 동학에 관한 연구는 계속되어야 한다. 동학이 가지고 있는 학술적 가치와 더불어 동학정신은 한국과 중국의 현대사회 발전에도 계속 영향을 미칠 것이다.

      • KCI등재후보

        동학농민전쟁과 종교

        윤선자 국민대학교 한국학연구소 2010 한국학논총 Vol.34 No.-

        This paper reviews the relationship between Donghak Peasant Revolution and the Religion by studying on how and when the idea of anti-Japanese, anti-feudalism Peasant Revolution changed within Donghak and the relationship of the Peasant War and Donghak and the Peasant War and the Catholicism. Donghak emerged as a new religion during the time of Choe Je-u, was transformed into more systematic form by Choe Shihyeong and became more practical by Jeon Bong-jun. During the time of Choe Je-u, the most important issue of Donghak as a new religion was to realize a new society through 'Sicheonju(worshipping God)' and 'Gaebyeok(the dawn of new civilization)'. Choe Shihyeong focused more on humanism than worship of Heaven, which was for organizing the Donghak association and missionary work. Donghak in the 1890s reflected the peasants' political and social needs which led to anti-feudalism reformation and anti-Japanese idea. The first Peasant War was interpreted and practiced Donghak's anti-Japanese, anti-feudalism idea by the demands of the time. Anti-feudalism movement was practiced by peasant government with local governments associated with Donghak organizations. The second Peasant War was started against anti-aggression and peasant armies had to carry out anti-feudalism movement as well. The second Peasant War was led by Donghak leaders in Jeonla area including Jeon Bong-jun. Leadership of Donghak association maintained the religious characters of Donghak and focused on expanding the association. Division into pure religious movement and social reformation within Donghak couldn't be a significant help to the Peasant Wars. The Catholicism, to peasant armies, was the object for destruction that was closely linked to Japanese forces. Even though it was excluded and had the similar form and size of the followers compared to those of the Catholicism, Donghak showed negative views on the Catholicism. The Catholic Church considered Donghak-related peasant wars as rebellion and defined peasant armies as rioters. Peasant armies considered the Catholic Church as the center of foreign forces and had anti-Japanese, anti-Western forces mentality. 이 논문은 동학사상 안에서 반제반봉건의 농민전쟁 이념이 어떻게 시기적으로 변모하는지, 그리고 농민전쟁과 동학, 농민전쟁과 천주교의 관계를 고찰함으로써 동학농민전쟁과 종교의 관계를 추적한 것이다. 동학사상은 최제우 때 신종교로서 모습을 드러냈고, 최시형에 의해 체계적인 모습으로 변화하고, 전봉준을 중심으로 실천적인 모습을 표출하였다. 최제우 때에는 신종교로서 시천주와 개벽을 통하여 새로운 사회를 구현하는 것이 동학사상의 가장 중요한 내용이었다. 최시형은 敬天보다 敬人을 중시하였는데 그것은 동학교단 정비와 포교에 주력하기 위해서였다. 1890년대 동학사상은 농민의 정치사회적 요구가 반영됨으로써 반봉건 개혁사상, 반제사상으로 전개되었다. 제1차 농민전쟁은 동학의 반제반봉건사상을 시대의 요구에 따라 해석하고 실천하였다. 그리고 동학 조직과 관련 있는 집강을 중심으로 농민통치를 펼쳐 반봉건활동을 전개하였다. 제2차 농민전쟁은 반침략을 목표로 시작되었는데 농민군은 반봉건투쟁도 함께 해야만 하였다. 제2차 농민전쟁 때 주도적인 역할은 전봉준 등 전라도지역의 남접 접주들이 담당하였다. 동학교단 지도부는 동학의 종교성을 유지하고 조직을 확장시키는데 관심을 두었다. 순수 종교운동과 사회개혁운동으로 나뉜 동학의 분열은 농민전쟁에 강력한 힘을 줄 수 없었다. 농민군에게 천주교는 외세와 긴밀하게 연결되어 있는 타도해야 할 대상이었다. 조선정부로부터 邪學이라는 같은 대접을 받고, 신자 구성이 비슷하였음에도 동학은 천주교에 부정적이었다. 천주교회는 동학과 연관된 농민전쟁을 반란으로 이해하였고 농민군을 폭도라 규정하였다. 농민군은 천주교회를 외국세력과 연계된 근거지로 생각하여 반제 척양의 입장에서 공격하였다.

      • KCI등재후보

        동학사상과 호남 동학도의 보국안민적 공의론(公義論) 고찰

        이형성 ( Lee Hyung-sung ) 한국사상문화학회 2017 韓國思想과 文化 Vol.86 No.-

        조선은 성리학을 이념으로 건국한 이후, 사상과 사회경제의 다양한 변화가 있었다. 사상적으로는 양명학(陽明學)과 서학(西學)의 유입으로 지식인의 세계관이 넓어지는가 하면, 정치적으로는 임금 서거에 따른 복상(服喪) 문제로 대립된 예송이 붕당을 격화시키기도 하였다. 하지만 영·정조 때에는 탕평책을 실시하여 국가와 사회가 안정되어 문화적으로 발전하였다. 18세기 서세동점(西勢東漸)으로 인하여 조선은 내우외환(內憂外患)의 상황에 처하면서 사회적 부조리가 많이 노정되기에 이르렀다. 조선말기 시대적 `난국(難局)`에 등장한 종교적 사상이 바로 동학(東學)이었다. 동학은 시대를 목도한 자주적 저항 의식의 표출이었다. 또한 그 이면에는 서양과 일본에 대한 `척양왜(斥洋倭)`의 의지도 깃들어 있었다. 특히 동학도는 구법(舊法)을 따르기보다는 새로운 이상세계와 사회질서를 도모하였다. 즉 내적으로 학정에 시달리는 농민 대중을 구하고, 외적으로는 날로 심화되는 제국주의 열강의 침탈을 물리치고, 궁극적으로 포덕천하에 의한 지상천국을 건설하는 것이었다. 본 논문은 동학과 호남 동학도의 연계성을 통해 동학도의 보국안민적(輔國安民的) 공의(公義)를 고찰한 것이다. 먼저 최제우(崔濟愚)와 최시형(崔時亨)이 지향한 동학사상의 종교적 색채를 간략히 살펴보았다. 그리고 당시 호남 위정자의 학정과 아전들의 횡포를 타개하고자 한 전봉준(全琫準)·손화중(孫華仲)·김개남(金開男) 등이 동학의 이념을 지향하면서도 당시 사회적으로 문란한 시폐를 타개하여 사회질서를 수립하고자 하고, 나아가 양왜(洋倭)의 부당한 침략을 저지하여 국권수호를 목표로 한 측면을 다루었다. 더욱이 호남의 동학 농민 운동을 시기에 따라 4단계로 구분하여, 동학사상을 계승한 호남의 동학도가 `보국안민이라는 공의`를 통해 현실의 폐단을 주체적으로 개혁하고자 한 측면을 고찰하였다. During the reigns of King Yeoungjo and King Jeongjo, Tangpyeongchaek(蕩平策: non-partisan, meritocratic recruitment of government officials) was pursued to stabilize the nation and society and facilitate cultural development. However, during the 18th century, Suhsedongjeom(西勢東漸: The powerful western countries are occupying the Asian countries.) put Chosen to crisis both at home and internationally, exacerbating its social ills. As the end of Chosen dynasty ran into a chaos, Donghak rose as a religious ideology. It was an expression of autonomous resistance against the age; it was also a resolution of `cheokyangwoe`: being against the West and Japan. In particular, rather than following old customs, Donghak sought to promote ideal world and social order. Internally, it sought to relieve peasants and the mass from the ills of the governing regime; externally, it aimed to repel the encroaching forces of imperialist powers. This study examines the relationship between Donghak and the followers of Donghak in Honam region in order to assess the public ideals of Donghak: Bogukanmin(輔國安民: to protect the nation and to comfort the people). First, the Donghak ideologies of Choi Je-woo(崔濟愚) and Choi Shi-hyung(崔時亨) are studied for their religious colors. Then the author turns to how the likes of Jeon Bong-jun(全琫準), Son Hwa-jung(孫華仲) and Kim Gae-nam(金開男) pursued Donghak ideologies and built a new social order against the corrupt tides of the time in order to overcome the atrocious governance and the tyranny of civil servants in Honam region at the time; the study also addresses how they tried to fight against unjust invasions by the West and the Japanese in order to protect national sovereignty. Also, the Donghak peasant movement in Honam has been divided into 4 phases so as to assess how Donghak peasant movement of Honam, succeeding Donghak ideology, pursued the public ideals of Bogukanmin in order to autonomously overcome the ills of their reality.

      • KCI등재

        고흥지역의 민족운동과 1894년 동학농민전쟁 - 『高興郡敎區歷史』를 중심으로

        홍동현 순천대학교 남도문화연구소 2018 南道文化硏究 Vol.0 No.35

        Up to now, although active regional case studies on the Donghak Peasant War have been performed, the War has not come into spotlight. It seems that the reason is not only that data were lacking but that studies by region have been performed focusing on major combats. Accordingly, the Donghak Peasant War in Goheung Region has been referred to as part of major combats regardless of its characteristics. Recently, however, as the data named 『The history of Goheung-gun Diocese』 was introduced, it is possible to review even the post-war trends of those who participated in the war with the process of developments in the war. This paper intended to review the regional characteristics of Goheung Donghak Peasant War focusing on 『the history of Goheung-gun Diocese』. As a result, some characteristics based on the activities of Donghak Peasant Army in Goheung Region are as follows: First, the connection of Donghak organizations in Goheung and Taein Regions could be identified. It is expected that this will solve the doubt of the backgrounds where Kim In-bae established Yeongho Dohoso and where Kim Gae-nam advanced to Left Jeolla-do. The Second is the meaning that Donghak believers in Goheung Region attend Geumgu rally. It is necessary to understand the Geumgu rally in the process of an extension of Namjeop force in connection to the first. Namely, Geumgu Rally was held by a so-called ‘Namjeop(南接) Force’ that led Donghak Peasant War to unite Donghak organizations under individual influences in 1894 it could form a network between individual forces. Accordingly, it is thought that Goheung Donghak believers also could systematically participate in Mujanggipo(茂長起包) led by Namjeop Force in 1894. The third is the status and the role of Gheung Donghak Peasant Army during the 1894 Donghak Peasant War. army had considerable organizational power from the time of Mujanggipo, and based on this, they could play a leading role in entering Jeonju Castle. Likewise, even after being withdrawn from Jeonju Castle, they completely controlled the rural community society based on this organizational power and military capability, while they positively provided military support to the surrounding area Kim Gaenam not only extended his power and played a central role in forming a network, but played a role in controlling the rear area staying in Namweon after the second uprising. The fourth is that the Donghak organization in Gheung Region rebuilt quickly Donghak Peasant War in 1894. Song Yeon-ho, etc. who participated in Donghak Peasant War was still alive, and the 1904 Gapjin Innovation Movement by them enabled the region to be rebuilt. Finally, with the background of re-establishing the religious influence of Cheondogyo, History of Goheung is being published. other dioceses, the names of the major persons were arranged and their participation in the 1894 Donghak Peasant War was mentioned within the diocese. Although this is not a sharp break from the view of ‘religion persecution(敎難),’ the meaning should naturally be different if we remind ourselves that many people were recklessly killed by Japanese soldiers in the areas of South Jeolla Province battle experience of Donghak Peasant War. Two years after History of Goheung was written, the fact that March 1st Movement was carried out under the leadership of Cheondogyo Organization including Song Yeon-ho, etc. in Goheung Region will not be irrelevant to this. 그동안 동학농민전쟁에 대한 지역사례연구가 활발히 진행되었음에도 불구하고 고흥 지역 동학농민전쟁은 주목을 받지 못했다. 그 이유는 자료 부족과 함께 주요 전투를 중심으로 한 권역별 연구가 진행되었기 때문으로 보인다. 따라서 고흥지역 동학농민전쟁 은 그 지역적 특징과 상관없이 주요 전투의 일부로서만 언급되어 왔다. 하지만 최근 『고흥군교구역사』라는 자료가 소개되면서 고흥 지역 동학농민전쟁의 전개과정과 함께 동학농민전쟁 참여자들의 이후 동향까지도 살펴볼 수 있게 되었다. 본 논문은 『고흥군교구역사』를 중심으로 고흥 동학농민전쟁의 지역적 특징을 살펴보 고자 하였다. 그 결과 고흥지역 동학농민군의 활동을 중심으로 몇 가지 특징들을 다음과 같이 정리할 수 있었다. 우선 첫 번째는 고흥과 태인 지역 동학조직의 연계성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를 통해 김개남이 전라좌도로 진출하게 된 배경과 함께 김인배의 영호도호소의 설치배경이 해소 될 것으로 기대된다. 두 번째는 고흥지역 동학교도들의 금구집회 참여가 갖는 의미이다. 첫 번째와 연계하여 남접세력이 세력확장 과정에서 금구집회를 이해할 필요가 있다는 것이다. 즉, 금구집 회는 1894년 동학농민전쟁을 주도했던 소위 ‘남접’ 세력이 각자 영향하에 있던 동학조 직을 결집하기 위해서 개최되었으며, 이를 통해 각자 세력 간의 네트워크를 형성할 수 있었다. 따라서 1894년 남접세력이 주도했던 무장기포에 고흥동학교도들 또한 조직적 으로 참여할 수 있었던 것으로 보인다. 세 번째는 1894년 동학농민전쟁 시기 고흥동학농민군의 위상과 역할이다. 고흥동학 농민군 무장기포 당시부터 상당한 조직력을 지니고 있었으며, 이를 기반으로 전주성 입 성에 선봉 역할을 담당할 수 있었다. 또한 전주성 철수 이후에도 이러한 조직력과 군사적 역량을 바탕으로 향촌사회를 완전히 통제하는 한편 적극적으로 주변 지역에 군사적 지원 을 했던 것이다. 특히 김개남이 세력을 확장하고 네트워크를 형성하는데 중심적 역할을 하였을 뿐 아니라 2차 봉기 이후 남원에 잔류하여 후방지역을 통제하는 역할을 담당하였 다. 네 번째는 1894년 동학농민전쟁 이후 고흥지역 동학조직이 재빠르게 재건되고 있다 는 점이다. 동학농민전쟁에 참여했던 송연호 등이 생존해 있었으며 이들에 의해서 1904 년 갑진개화운동을 계기로 완전히 재건될 수 있었다. 마지막으로 천도교 교세 재건 및 확장을 배경으로 『고흥교구사』가 편찬되고 있다는 점이다. 특히 다른 교구사와는 달리 교구 내 주요 인물들의 이력을 정리하는 가운데 1894년 동학농민전쟁 참여를 언급하고 있었다. 이는 비록 ‘敎難’이라는 시각에서 크게 벗어나지 않지만, 동학농민전쟁 당시 일본군과의 전투 경험과 함께 남도 지역에서 일본 군에 의해 자행되었던 학살을 상기한다면 그 의미가 다를 수밖에 없었다. 『고흥교구사』 가 집필된 뒤 2년 후에 고흥지역에서도 송연호 등 천도교 조직이 주도하여 3.1 만세운동 이 전개된 것도 이와 무관하다고 할 수 없을 것이다.

      • KCI등재

        동학농민군의 전주성 점령과 전주화약에 관한 고찰

        성강현 동학학회 2019 동학학보 Vol.0 No.51

        19세기 조선 말기의 동학농민혁명은 조병갑의 학정에 반항한 고부기포가발단이 되었다. 안핵사 이용태의 만행은 고부기포를 동학농민혁명으로 확장시키는 촉매제 역할을 하였다. 전봉준 등 동학농민군은 3월 20일 무장에서 재기포하여 26일 백산 대회를 기점으로 혁명을 본격화하였다. 황토현 전투와 황룡촌 전투의 승리로 자신감을 획득한 동학농민군은 4월27일 호남의 수부인 전주성을 무혈입성해 동학농민혁명의 1차 목표를 달성하였다. 그러나 뒤이어 쫓아온 홍계훈이 이끄는 관군에 의해 연패하면서 위기감에 빠지게 되었다. 또 농사를 주업으로 하는 동학농민군은 농번기의 도래와오랜 타향생활에 따른 피로감도 쌓여갔다. 반면에 조정에서도 동학농민군 토벌을 위해 청국군의 차입을 요청하였고 이는 일본군의 출병으로 이어졌다. 양국 군대의 차입으로 정치불안이 고조되자 조정에서는 양국의 군대를 돌려보내기 위해서는 동학농민군의 해산이 필요했다. 또한 동학농민군을 진압하기에는 병력이 부족했고 관군의 오랜 숙영으로 인해 사기도 저하되어 있었다. 전주화약은 이러한 양측의 필요에 의해 맺어졌다. 동학농민군은 집강소의설치와 폐정 개혁의 실시를 요구했고, 조정에서는 무기의 회수와 동학농민군의 해산을 요구하였다. 양측은 이에 합의하여 전주화약을 맺고 동학농민군은전주성를 빠져나왔다. 조정에서도 중앙군의 일부만 전주에 남기고 철수하였다. 이후 동학농민군은 전라도 군현에 집강소 설치를 수용하여 표면적으로는화약의 내용을 실천하였다. 그러나 동학농민군과 정부군 모두에게 만족할 수없는 불완전한 합의에 불과했다. 전주화약은 우리 역사상 처음으로 관민상화의 기구인 집강소가 설치되어민의가 국정에 반영되는 첫 사례를 만들었다는 점에서 큰 의미가 있다. 이는왕조국가에서 보기 드문 사례로 이후 민의를 국정에 반영할 수 있는 계기를만들었다. 따라서 동학농민군의 전주성 전투를 통해 많은 희생자를 내었지만전주화약을 통해 민의를 국정에 반영할 수 있는 길을 열었다는 점에서 큰 역사적 의의가 있다. 동학농민군의 고부 기포에서 전주 화약까지의 실상을 밝히기 위해서는 관군의 기록과 동학농민군의 기록, 그리고 제3자의 기록을 상호 비교해서 서술해야 한다. 동학농민군의 기록은 기포에서부터 전주 입성까지의 기록을 상세하지만, 완산 전투와 전주 화약에 대해서는 간략하게 서술되어 있다. 반면에관군의 기록은 황토현 전투와 황룡촌 전투 그리고 전주 입성 전투에 관해서는자신들의 과오는 기술하지 않고 간단하게 언급하고 있다. 반면에 승전을 한완산 전투에 관해서는 전과를 십여 배를 부풀리는 과장을 서슴지 않았다. 따라서 동학농민군의 기록이 부족한 상황에서 제3자의 기록은 초기 동학농민혁명의 실상을 밝혀줄 수 있는 중요한 자료이다. 따라서 초기 동학농민혁명의실상을 면밀하게 파악하기 위해서는 관군과 동학농민군, 제3자의 기록을 종합적으로 상호 비교하여 서술하여야 한다. The Donghak Peasant Revolution became the beginning of the Kobu Rebellion which rebelled against the tyranny of Cho Bok-Kap. And Yi Tae 's atrocity became the driving force to develop the Kobu revolt into the Donghak peasant revolution. The Donghak Peasant Army, such as Jeon Bongjun, was sewn on March 20, 1894 in the Armed Forces. The Donghak peasant army, which acquired confidence with the victory of the battle of Hwangtohyeon and the battle of Hwangryongchon, achieved the first goal of Donghak Peasant Revolution by entering the center of Honam, Jeonju Province, on April 27th. However, after the successor Hong, Gye-hoon led a losing streak to the government and fell into a sense of crisis. In addition, Donghak peasant army, which is mainly engaged in farming, has accumulated fatigue due to the arrival of the farming season and the long-time living. On the other hand, the court also asked the King Dynasty army to take down the Donghak peasant army, which led to the dispatch of the Japanese army. As the influx of the two countries led to political instability, the Donghak peasant troops needed to be dissolved in order to return the armies of the two countries. In addition, lack of troops to suppress the Donghak peasant army and long-term residents of the municipal government, the morale was lowered, and necessary reconciliation. The Jeonju Agreement was concluded by the needs of both sides. The Donghak peasant forces demanded the installation of the docking stations and the implementation of the demolition reforms, and demanded the return of weapons and dissolution of Donghak peasant army. The two sides concluded an agreement in the prefecture, and Donghak peasant troops exited Jeonju province. In the mediation, too, only a part of the Central Army left the poles and withdrew. The Donghak peasant army accepted the installation 동학농민군의 전주성 점령과 전주화약에 관한 고찰 | 169 of the docking station in Cholla province and performed the contents of the agreement on the surface. However, it was merely an incomplete agreement that could not be satisfied for the Donghak peasant and government forces. The Jeonju Agreement is meaningful in that it is the first case in which the establishment of an institute which is the institution that harmonizes the people and the people is established for the first time in Korea. This is an uncommon example in the dynasty country, and it has created an opportunity to reflect the people in the aftermath. Therefore, although the Donghak peasant troops gave many casualties through the Jeonju battle, there is a great historical significance in that it opened the way to reflect the people to the national affairs through the Jeonju treaty. In order to reveal the facts from the Kobu to the Jeonju Agreement of the Donghak Peasant Army, the records of the Tribunal, the records of the Donghak peasant army, and records of third parties should be described in comparison with each other. The records of the Donghak Peasant Army detail the record from the uprising to the entrance to Jeonju, but briefly describe the Battle of the Wansan Mountain and the Jeonju Treaty. On the other hand, the records of the Tribunal refer to the Hwangtohyeon battle, the battle of Hwangryongchon and the arrival of Jeonju without simply describing their mistakes. On the other hand, he did not hesitate to exaggerate the fact that he was a victorious battle. Therefore, in the situation that Donghak peasant 's records are lacking, the record of the third person is an important data that can reveal the reality of the early Donghak peasant revolution. In conclusion, in order to grasp the reality of the early Donghak peasant revolutions, the records of the military units, Donghak peasant army, and third parties should be comprehensively compared and described.

      • KCI등재

        19세기 부안 儒生 奇幸鉉의 『鴻齋日記』와 동학농민혁명의 실상

        이선아 동학학회 2019 동학학보 Vol.0 No.50

        This paper examines a new part of Donghak Peasant Revolution taken place at Buan in 1894. Until now, those who studied on Donghak Peasant Revolution has used the texts such as『 The History of Donghak」 and「 The History of Kim Nak-Cheol』 recorded by Donghak Believers. These materials, however, include unintentionally biased historical Facts organized by Donghak Believers’position after end of Donghak Peasant Revolution. Written by a confucian Ki Haeng-Hyeon(1843~?),『 Hongjae Diary』 currently excavated is a useful material to supplement this limitations. He resided in Honghae village Namha-myeon Buan area. He wrote diaries for 45 years from 1866 to 1911. He wrote personal life, observation, current issues, local administration, price fluctuation and so on. Ki Haeng-Hyeon especially recorded activities of Donghak Army around Buan and neighboring area from January to December in 1894. He wrote significant occurrences of Donghak Peasant Revolution such as GoBu Peasant Revolt, BaekSan Assembly, Hwangtohyeon Battle and The Occupation of Jeonju Castle. He did not attend Donghak Peasant Revolution. He, however, recorded Donghak Peasant Revolution which he witnessed and experienced. He did not have any intention. We can approach the historical fact of Donghak Peasant Revolution of Buan, comparing Historical Facts based on records of Donghak Believers with facts of『 Hongjae Diary』. Utilizing records of Buan confucians who did not attend at Donghak Peasant Revolution, we will understand multi layered and various aspects. In addition, it will serve as a momentum to make use of and excavate personal records like『 Hongjae Diary』 as historical materials that can ascertain specifically ‘Historical Images’ of the 19th century. 이 연구의 목적은 19세기 후반 전라도 부안군 남하면[현 주산면] 홍해마을에 거주하던 奇幸鉉(1843~?)이 기록한『 홍재일기』를 토대로, 1894년 부안의 동학농민혁명의 실상에 대해 검토하는 데 있다.『 홍재일기』는 1866년부터 1911 년까지 45년간 쓴 일기로, 개인적 일상뿐만 아니라 견문과 時事, 중앙과 지방의 民政, 매월의 미곡가를 비롯한 물가, 각종 賦稅 행정 등에 대해 기록되어있다. 이 연구의 내용은 다음과 같다. 첫 번째 동학에 가담하지 않은 부안의 유생이 목격하고 경험한 ‘동학농민혁명’에 대해 정리할 것이다.『 홍재일기』에는1894년 3월에서 12월까지 부안 ‘東學人’의 활동 양상과 ‘東學軍’의 동향을 추적할 수 있는 내용이 기록되어 있다. 동학인의 교조신원을 위한 집회 및 고부민란과 백산대회, 황토현 전투, 전주성 함락 등에 대해 現時的으로 기록되어 있다. 두 번째 부안에 都所가 설치된 기간에 기행현이 경험한 동학군의 구체적활동과 함께 그에 대한 향촌사회의 인식과 대응에 대해서도 살펴 볼 것이다. 그동안 부안의 동학농민혁명에 대한 연구는『 東學史』,『 金洛喆 歷史』,『 金 洛鳳 履歷』 등과 같은 동학 관계자의 기록을 주로 활용하여, 동학의 관점과

      • KCI등재

        동학 연구 20년의 회고(1995-2014) - 신관, 신비체험, 그리고 비교연구 -

        임태홍 ( Tai Hong Lim ) 한국철학사연구회 2015 한국 철학논집 Vol.0 No.45

        이 글은 2015년 3월 18일 경북대학교에서 열린 ``동학국가지정기록물 세계기록유산 등재추진 학술용역사업`` 관련 세미나에서 발표한 내용을 재정리한 것이다. 동학과 중국의 태평천국 및 일본의 천리교와의 관련성을 중심으로 필자가 그동안 발표한 동학 논문의 전반적인 소개를 부탁받았는데, 그 자리를 빌려서 필자가 동학관련 석사논문을 제출한 1995년부터 2014년 까지 20년간의 동학 연구를 회고하는 형식으로 발표를 하였다. 필자의 동학관련 연구는 크게 네 분야로 나눌 수 있다. 첫째는 동학 신관 연구이며, 둘째는 동학의 신비체험연구, 셋째는 동학의 사상 연구, 넷째는 동학과 태평천국·천리교의 비교연구다. 이를 본고에서는 제Ⅱ장에서 제Ⅴ장까지 4개장으로 나누어 서술하였다. 동학 신관에 관한 연구는 그동안 학계에서 발표된 논문 편수를 보면 1990년대에 최고조에 달하였다. 필자의 석사학위논문 『동학신관의 형성과정 연구』(1995)는 바로 이때에 발표된 것으로 최제우 → 최시형 → 손병희로 이어지는 신관을 시천주(侍天主) → 양천주(養天主) → 인내천(人乃天)으로 정리하였다. 필자의 뒤에 발표된 논문들도 이러한 흐름을 채택하고 있어 현재는 동학신관의 흐름을 이렇게 이해하는 것이 통설이 되어 있다. 하지만 현재 필자는 손병희 신관을 각천주(覺天主)로 정리하는 것이 그 사상의 핵심을 이해하는데 더 도움이 될 것으로 판단하고 있다. 신비체험 연구는 서구학계나 중국학계에서는 매우 중요한 연구 주제중하나이다. 철저하게 과학적인 근거를 바탕으로 신비체험을 연구한다면 다양한 사상적, 문화적인 연구 성과가 도출될 수있으나, 우리 학계에서는 아직 이 분야 연구가 활발하지 않다. 동학의 신비체험에 대한 연구는 학계에서 필자의 연구를 포함하여 10편을 넘지 않는다. 박사학위를 받은 뒤, 필자의 동학사상 연구는 사실상 이러한 신비체험 연구 성과를 바탕으로 진행된 것이라고 할 수 있다. Retrospection of My 20 Years Studies on Donghak(1995-2014): Views of God, Mystical Experience and Comparative Studies / Lim Taihong My studies on Donghak(東學) could be classified roughly four kinds of topics such as Donghak leaders` views of God, their mystical experience, the thoughts and the comparative studies between Donghak and Taiping Rebellion of China or Tenrikyo(天 理敎) of Japan. In Korea, the studies on the Donghak members` views of God, if evaluated by the number of papers published in the academic journals, reaches its peak in nineties. My thesis for master`s degree, A Study on the Formation of the Concept of God in Donghak(1995), submitted during this period, argued that Donghak leaders` concept of God developed from Choi Jewoo`s thought of ``Attending on God(侍天主)`` to Choi Sihyeong`s thought of ``Bringing up God(養天主)`` and to Son Byeonghee`s ``Human beings are God(人乃天)``. Almost all the studies after this paper, when examining the views of God in the religious body of Donghak, have followed the same concept. Nowadays, it has become a common view. In the English-speaking or Chinese-speaking world, Mystical experience is one of the most important research themes. If carefully investigated by scientific grounds, studies on the unusual religious experiences can show various achievements in the researches on the cultural or ideological fields. In the academic circles of Korea, however, there have been few studies about mystical experiences. The number of the papers on the mystical experiences of Donghak members, including mines, may count no more than 10. After doctorate degree, in fact, this writer``s almost all the study achievements on Donghak can be said to come from the examination on religious experiences in the Donghak society. In the mean time, the most important result of my comparative studies on Donghak may be the thesis for my doctor`s degree, Mystical Experience and its Thought of New Religions in East Asia : Shamanism, Mental Pathology and Spatial Awareness of Hong Xiuquan, Choi Jewoo and Nakayama Miki. This dissertation has not yet been translated in Korean. And It may be the biggest obligation for me to translate it into Korean.

      • KCI등재

        1960년대 동학소설과 박정희 군사 정권의 혁명 담론 : 최인욱 『전봉준』, 이용선 『동학』, 서기원 「혁명」을 중심으로

        우수영 동학학회 2019 동학학보 Vol.0 No.50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a significance of the 1960s' Donghak novels that were published under the revolution discourse, which was produced by the Park Chung-hee Military Regime. As for the contents of this study, the process of being magnified Donghak(東學) in a novel was noted with facing the period that the key word called 'revolution' is positively highlighted by 'Park Chung-hee Military Regime' with entering the 1960s. This process can be considered to be awareness that authors showed on the revolution discourse of the contemporary ruling group rather simply than the revival of literary history in a historical novel. The works, which had been produced as such result, include Choe In-uk's「 Jeon Bongjun(全琫準)」(1967),Lee Yong-seon's「 Donghak(東學)」(1966-67) and Seo Giwon's「 Revolution」(1964-65). Furthermore, the aim was to elicit a significance of DongHak Revolution(東學革命) through embodying the ignorant people's world along with Jeon Bong-jun's existence as a hero of the revolution in these works. In「 Jeon Bong-jun(全琫準)」 and「 Donghak(東學)」, Jeon Bong-jun's image was drawn as an excellent revolution hero who led the people in the realistic situation that couldn't help revolutionizing. The revolution hero Jeon Bongjun was here given shape as a figure who is frustrated by the real world that had been unwaveringly strong despite the revolution of having been led with his superior ability. On the other hand, Jeon Bong-jun in「 Revolution」 was embodied as the leader of the mistrust who is satisfied with individual well-being under the name dubbed revolution, not the image of hero who stood in the lead of revolution in order to reform the reality of horrible people. Jeon Bong-jun in a Donghak novel, who was magnified in the revolution discourse chapter of the military regime, appeared with sympathizing with the dominant discourse dubbed the contemporary nation reconstruction through revolution while revealing the aspect of the excellent revolution hero who leads the ignorant people. Nevertheless, Jeon Bong-jun's image, which was taken shape in a Donghak novel, failed to communicate with the people who were in suppression, and stayed as a negative figure who had tried to keep his position even through removing his subordinate. In other words, unlike the hero who is highlighted in the contemporary revolution discourse, the revolution hero Jeon Bong-jun, who was given shape in a Donghak novel, is falling into the hero who is discouraged by the firm world and into the figure who is denied by the surrounding people. As a result of this study, it could be grasped to be suggested the revolution hero's cry for the people in the 1960s' Donghak novels as a monologue, and the meaning of revolution, which was led by the revolution hero, as a fiction. As such Donghak Novels in the 1960s showed the process which processed the meaning and value to the Revolution related with the discourse of the contemporary ruling group. 이 연구의 목적은 박정희 군사정권이 생산한 혁명 담론 아래 발표된 1960 년대 동학소설의 의미를 분석하는 것이다. 이 연구의 내용으로 먼저 1960년대에 들어서면서 ‘혁명’이라는 키워드가 ‘박정희 군사정권’에 의해 긍정적으로부각되는 시기를 맞아 소설에서 동학이 부각되는 과정에 주목하였다. 이러한과정은 단순히 역사소설의 문학사적 부흥이라기보다는 당대 지배 집단의 혁명 담론에 대해 작가들이 보인 인식이라 할 수 있다. 그러한 결과 생산되었던 작품은 최인욱의『 전봉준』(1967), 이용선의『 동학』(1966-67), 서기원의「 혁 명」(1964-65)이다. 나아가 이들 작품에서 혁명 영웅 전봉준의 존재와 무지한민중의 세계의 형상화를 통해 동학혁명의 의미를 도출하고자 하였다. 『전봉준』과『 동학』에서는 혁명을 할 수밖에 없었던 현실적 상황에서 민중을 이끈 탁월한 혁명 영웅 전봉준의 모습이 그려졌다. 여기서 혁명 영웅 전봉준은 자신의 탁월한 능력으로 이끈 혁명에도 불구하고 흔들림 없이 견고했던 현실 세계에 좌절하는 인물로 형상화 되었다. 반면,「 혁명」에서 전봉준은 참담한 민중 현실을 개혁하고자 혁명의 선봉에 나선 영웅의 모습이 아니라, 혁명이라는 이름 아래 개인의 안위에 머무는 불신의 지도자로 형상화 되었다. 군사 정권의 혁명 담론 장에서 부각된 동학소설 속 전봉준은 무지한 민중을이끄는 탁월한 혁명 영웅의 면모를 드러내며, 혁명을 통한 당대 국가 재건이라는 지배 담론에 공감하면서 등장하였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동학소설에서형상화된 전봉준의 모습은 억압에 처한 민중과 소통하지 못하였고, 부하를 제거하면서까지 자신의 위치를 지키고자 했던 부정적 인물에 머물렀다. 즉 당대 혁명 담론에서 부각되는 영웅과는 달리, 동학소설에서 형상화된 혁명 영웅전봉준은 견고한 세계에 좌절하는 영웅, 주변 인물에 의해 부정되는 인물로추락하고 있다. 이 연구의 결과, 1960년대 동학소설에서 민중을 향한 혁명 영웅의 외침은 독백으로, 혁명 영웅이 이끌었던 혁명의 의미는 허구로 제시되고있음을 파악할 수 있었다. 이와 같이 1960년대 동학소설은 시대 담론과 조응하면서 혁명의 의미와 가치를 제시하는 과정을 보여주었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