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凡父 金鼎卨의 '東方學' 형성과정에 대하여(1) -[東方學講座] 이전 시기(1915-1957)를 중심으로

        최재목 동학학회 2011 동학학보 Vol.22 No.-

        이 논문은 金鼎卨(1897-1966. 호는 凡父)(이하 범부)의 ‘東方學’ 형성과정에 대하여, 특히 건국대학교의 東方學硏究所長에 취임(1958, 62세)한 뒤 행하는「東方學講座」에서 동방학 개념을 자각적으로 천명하기 이전 시기(1915-1957)에 한정하여 논의하는 것이다. 이를 통해, ① 범부 사상을 연대기적으로 추적하면서 보다 입체적으로 조망할 수 있고, 또한 ②이 시기(1915-1957)에 그가 조선, 동양, 동방이란 개념을 비록 혼용하고는 있지만 이후 확립할 ‘東方學’의 이론적 기초를 다지는 매우 중요한 기간임을 밝혀낼 수 있을 것이다. 범부의 동방・동방학이란 관점의 자각적 확립은, 그의「연보」등에서 잘 알려진 대로, 1958년(62세) 建國大學校에서 「정치철학강좌」를 담당하고 이와 동시에 같은 대학에 부설된『東方思想硏究所』소장으로 취임하여「易學」・「陰陽論」・「五行思想」등의「東方學講座」를 시작한 시기부터이다. 이때에 ‘卽觀(卽事觀)的’・‘陰陽論的’ 관점 등의 독창적인 ‘東方學 方法論’을 제창한다. 범부는 자신의 학문을 어느 시점부터 (‘東洋學’이 아니라) ‘東方學’이라 명명하고 자각적으로 그 개념을 사용하고, 아울러 그가 구상한 ‘동방학’ 연구의 ‘방법론’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따라서 이 논문에서는 범부가 의도했던 ‘동방학’의 방법론과 그 내용에 대해서 살펴볼 것이다. 범부는 의식적, 자각적으로, 일제강점기가 아닌 해방 이후 건국기에, 동방학의 확립을 지향하여 일반명사였던 동방, 동방학을 고유명사로 변모시켰던 것이다. 이렇게 그에게서 ‘동양・동양학에서 동방・동방학으로’는 단순한 용어나 레토릭의 변화를 넘어서서 범부의 학술상에서 매우 중요한「표현법의 변모」로 지적될 수 있다. 이 변모 속에는 지리적・문화적・민속적・정치적인 의미 정체성(아이덴티티) 즉 ‘경계’의 확립이 엿보인다. ‘동방’이란 경계는 개개인의 신체처럼 민족, 국가라는 ‘하나의(=한)’ 지리적・문화적・정치적・종교적인 신체적 동질성을 ‘넋과 얼(靈魂)・핏줄・핏줄기(血脈)’ 확인을 통해 얻어낸 이른바 ‘한 겨레’ 조선의 ‘고유 장소’인 것이다. 따라서 범부의 ‘동방’・‘동방학’ 논의는 안으로는 ‘건국-민족’, 밖으로는 ‘세계-인류’라는 두 마리 토끼를 잡으려는 전략을 갖는다. 이처럼 이중의 목표를 갖는 범부의 동방, 동방학 논의는, 민족 공동체의 ‘단합・융화’라는 목표를 위해서 문화인류학적인 경계설정의 기초가 되는 ‘언어의 동질성’에 근거한다. 범부에 의해 새롭게 의식적, 자각적으로 구축되는 ‘東方學’이란 범부가 우리의 전통을 새롭게 ‘闡明’함으로써 생겨난 것이며 동방학의 하부 개념인 신라정신, 풍류도, 화랑 등이 결국은 해방 이후 한국의 건국의 논리, 이념 구축과 맞물려 있다. 그런데, 종래의 진행되어 온 여러 연구들에서는 이런 점들이 선명하고도 충분하게 제시되지 않았다. 따라서 이 논문에서는 범부의 학문 과정에서 보이는 동방・동방학이란 관점으로의 자각적 轉化에 초점을 맞추고 그 과정을 추적하면서 동방학 개념을 자각적으로 천명하기 이전 시기(1915-1957)에 한정하여 논의하였다. This paper discuss the establishment of the Oriental Studies(Dongbanghak) of Bombu Kim Jeongseol(1897-1966. penname Bombu)(hereinafter beombu), focused on the previous period of his the Oriental Studies(Dongbanghak) Lectures, began at Institute of Oriental Studies(Dongbanghakyeonguso) of Konkuk University in 1958. Before that, from 1915, he went to Japan for studying, to 1957, the previous period of his the Oriental Studies Lectures at Konkuk University, is very important times for the process of building his own thoughts, especially in view of the Oriental Studies. In this paper, for the study period is limited from 1915 to 1957, because of the limitations of time and the number of paper. And so the next study period that will be discussed in the following paper is from 1958 to 1966, that is, 1958 is the year that Dongbanghak of Bombu is established, 1966 is the year that he is dead. Bombu, before 1958, in his workes uses three types terms, first, Joseon and Joseon culture is related to the Joseon studies(Joseonhak), second, East and Eastern culture is related to the Eastern studies(Dongyanghak), third, Orient and Oriental culture is related to the Oriantal suudies(Dongbanghak). During this period, he have used a mixture of these three terms. It seems to show characteristic of syncretism in his terms. But since 1958, he becomes to use the terms, i.e. Orient, Oriental culture and Oriantal suudies, ano so he almost not used the term East, East culture and Eastern studies, but if he use these, clearly distinguish and strictly separates two. In addition, prior to 1958, he thought the characteristics of culture is Hwarang who is the young boys group(in first girls), physically healthy and beautiful, sons of the nobility in Shlla. They find and play the beautiful mountains and rivers, military training and were practicing singing and dancing. Furthermore they are a shaman involved in the national memorial events. Thus, in Hwarang there are three aspects, that is, the military, the religious, the artistic. They has the spirit of elegance, so called, Pungryu and Pungryujeongsin. He based on the tradition of Hwarang and Pungryu become to build a national ethics(Gukminyunri). As a result, since his Hwarang, Pungryu and Pungryujeongsin, and Gukminyunri will converge on the Eastern studies. Thus, we realize, Bombu's Eastern studies is established through a step-by-step in his life.

      • KCI등재

        ‘東’의 誕生

        최재목(Choi Jae-mok) 한국양명학회 2010 陽明學 Vol.0 No.26

        이 논문에서는 경주가 낳은 두 사상가 즉 수운의 ‘동학’과 범부의 ‘동방학’을 ‘東’의 탄생이라는 ‘視點’에서, 관련 자료를 활용하여, 다시 조명해보면서 범부는 신라 -경주로부터 내려오는 풍류를 잇는 수운의 혈맥을 다시 잇고 있는 것이라 보았다. 먼저 수운과 범부의 ‘東’이란 은유의 배경 찾기로서 다양한 ‘東’의 의미를 우리나라뿐만 아니라 근대기 일본의 논의까지 안목에 두고 살펴보았다. 즉, 〈‘東’ - ‘日出’ 지역 쟁탈전〉, 〈‘西’에 맞선 ‘東’이라는 시점〉, 〈‘東洋’의 의미〉, 〈‘오리엔탈리즘(orientalism)’, ‘옥시덴탈리즘(Occidentalism)’〉, 〈‘빛은 동쪽에서’(Ex Orient Lux) - 한국의 ‘동/동방’ 찾기: 元曉, 塞部〉, 〈타고르가 말한 ‘東方의 등불’ 코리아(조선)〉, 〈‘東’의 우월성’, ‘東洋思想’의 등장〉, 〈근대기 동아시아의 ‘동양’ 논의 - 특히 제2차 세계대전 전후 일본의 ‘동양’-‘아시아’라는 개념논의 - 이 그것이다. 이것은 최치원 등에 의해 ‘동’으로 대표되는 ‘신라 -경주’- 수운의 ‘동학’- 범부의 ‘동방학’으로 전승되는 문화사적 고리를 찾아보고자 하는 것이다. 이어서 수운의 ‘동학’과 범부의 ‘동방학’이 서로 소통하고 있다는 것을 몇가지 증거를 들어 논의하였다. 즉, 〈최근 신라-경주에 대한 새로운 연구들〉, 〈수운, 범부의 ‘해동’-‘신라’-‘경주’로의 눈돌림〉, 〈수운의 ‘다시개벽’에서 범부의 ‘동방르네상스’로〉, 〈신라, 경주 문화의 특수성 규명의 방법-범부의 ‘오증론(五證論)’〉, 〈‘血證’論의 확대-범부의 「崔濟愚論」: 무속(巫俗), 계시(啓示), 한울님[天主]의 강림(降臨)에 주목-〉, 〈범부의 ‘사우맞음(대조화)=풍류’는 수운의 ‘內有神靈外有氣化-侍天主造化定’의 부활〉, 〈수운의 ‘仙道+武道+巫俗’(「劍訣」)와 범부의 ‘花郞道’=종교적 요소(←巫)+예술적요소(←風流)+군사적요소(←武)〉가 그것이었다. 이를 통해서 수운과 범부에게서 공통되는 요소들 ①신라-경주에의 주목, ②‘다시개벽’론-‘동방르네상스’론, ③‘내유신령외유기화’-‘시천주조화정’과 ‘사우맞음(대조화)’=‘풍류’, ④ 예컨대 「劍訣」에서 보이는 ‘仙道+武道+巫俗’의 특질과 ‘花郞道’의 ‘종교적 요소(←巫)+예술적요소(←風流)+군사적요소(←武)’의 특질이 지적되었다. 이렇게 수운과 범부의 연결을 통해 ‘동-동방’ 논의의 평가와 그 의의를 되짚어 보는 것은 이제 시작일지도 모른다. 수운의 동학, 범부의 동방학은 ‘동=동방의 탄생’을 통해 우리 민족의 근저가 되는 ‘문화전통’의 본질적 요소들을 당시의 상황에서 재현하려는 하나의 노력이거나 운동이었음을 우리는 기어갈 필요가 있다. 우리에게 잘 알려진 노래와 영화 ‘신라의 달밤’ 등은 모두 신라-경주의 발견과 재탄생을 의미했고 신라-경주가 근-현대 한국적 맥락에서 또 다른 ‘시공간’으로 새롭게 탄생되던 것처럼 말이다. This study sheds new light on the two thinkers i.e. Suun Choi Jewoo and Bombu Kim Jeongsol who are born in Gyonju of Korea. Suun advanced Donghak(the east studies) against Seohak(the west studies). And Bombu advanced Dongbanghak(the orient studies) against Seobanghak(the occident studies). The Dongbanghak of Bombu, basically, succeed the Donghak of Suun. Suun is known as a close friend with Bombu’s grandfather in Gyonju. And so, Bombu seems to have many chance to hear from his grandfather or the neighbors about Suun. This study, especially, focus on how to born the viewpoint of the east in Suun and Bombu. The two thinkers pay attention to the traditional values and traditional ethos in korean, from the ancient and medieval history to their days, because of the erosion of traditional values Pungryu(taste for the arts and a romantic turn of mind) under the influence of foreign cultures, i.e. Jujahak(Zhuxi studies) one of the Neo-confucianism, the Christian religion, and western culture. Then Suun’s Donghak against Seohak in spirit a shamanist custom as religious ritual for the mountain spirit(仙道/巫俗). And Bombu’s Dongbanghak match for west in ancient and medieval culture, Pungryu of Silla, that is as one of the most important keywords for building nation morals and ethics strategies. Thus, the two thinkers, who is as a tradition-minded person, asserted each Donghak and Dongbanghak studies, as the main purpose of alternative cultural vision for survival strategy in modern korea under the rapidly changing circumstance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