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특집 : 한국의 의례 문화; <대한제국 동가도(大韓帝國動駕圖)> 연구

        송희경 ( Song Hee Kyung ) 온지학회 2014 溫知論叢 Vol.0 No.38

        이화여자대학교박물관 소장 <대한제국 동가도>는 고종의 동가행렬(動駕行列)을 그린 궁중기록화이다. 17m가 넘는 이 작품은 손으로 직접 그린 채색화이며, 단시점 복합구도로 완성되었다. 동가도의 인물들은 표정과 동작이 풍부하고 서양화법 일부 도입되었다. 무엇보다도 기존 궁중행사도와 가장 차별화된 점은 ‘왕의 출현’이었다. 이 작품의 동가행렬은 삼군부의 재설이 공식화된 1868년 3월 23일에서 7월 2일 사이의 군대열무의 현장이었다. ‘대한제국’이라는 제목을 비롯한 그림의 문자기록으로 1897년에서 1930년대 사이의 작품으로 추정되지만 채용신의 진작으로 확언하기에는 다소 무리가 있다. 채용신의 원작을 후대에 모사했을 가능성도 높다. <동가도>는 기본 국가 전례의 기록물이 아닌, 고종대의 왕권 재정립 및 군사력 강화정책을 표명하고 기억하기 위한 홍보물이다. <Donga Painting during Empire of Korea>, which is a collection at the Ewha Womans University Museum, is the court documentation painting of King Gojong`s ceremonial walk. It is a 17-meter long colored painting and completed with a complex structure. Figures in Donga Painting have rich facial expressions and gestures while part of Western painting skills is introduced in it. What differentiates Donga Painting from the rest of the court ceremony paintings is the “King`s appearance”. The ceremony walk in the Donga Painting represents a military parade between March 23, 1868 and July 2, 1868, when the Empire officially announced to re-establish the entire army. This documentation painting titled “Empire of Korea”, is suspected to have been completed between 1897 and 1930. There is no affirmation that it is drawn by Chae Yongshin because there is also a chance that it is a copy of Chae`s original work. <Donga Painting> is the documentation painting to represent the re-establishment of royal authority during King Gojong and remember his policies to strengthen military power.

      • KCI등재

        『국역 고려사』 완간과 학술적 의의

        박종기 동아대학교 석당학술원 2012 石堂論叢 Vol.0 No.54

        약 10년 간의 작업 끝에 2011년 완간된 『국역 고려사』는 기존의 『고려사』 역주본 수준을 뛰어 넘는 역작으로, 앞으로 상당 기간 동안 『고려사』 역주본의 표준서로서의 역할을 맡게 될 것이다. 그러한 이유는 다음과 같다. 치밀한 주석과 함께 2000년대까지의 고려사 연구 성과가 반영된 방대한 양의 주석이 이번 역주본에 반영되어 있다. 또한 기존 『고려사』 판본과의 대조를 통해 <원문> 편에 세밀한 교감 및 표점 작업이 이루어 졌다. 그 결과 기존의 역주본과 차원을 달리한, 풍부한 내용의 색인어를 추출할 수 있었다. 편찬 책임자 및 역주자들의 노력이 30책이라는 거질의 역주본을 완성한 밑거름이 되었다. 또한 역사학뿐만 아니라 국문학과 한문학 연구자들의 조직적인 참여도 『고려사』 국역본을 완성하는데 커다란 힘이 되었다. 한국사의 3대 사서 가운데 『조선왕조실록』 『삼국사기』 역주본과 달리, 『고려사』 역주본은 지방에 소재한 동아대학교에서 발간되었다. 이러한 사실은 인문학 연구의 지평이 서울 등 특정 지역에 국한되지 않고, 얼마든지 그 지평이 확장될 가능성을 보여준 점에서 학술사적 의의는 크다고 할 수 있다. 한편 이번 역주본은 시대의 추세에 맞추어 일반인들도 쉽게 접근할 수 있도록 전자출판으로 전환될 필요가 있다. 따라서 『국역 고려사』 역주본 출판은 역주 작업의 끝이 아니라 전자출판이라는 새로운 과제에 대한 도전을 요구받고 있다. The Annotated Goryeosa(국역고려사) which took almost ten years by Donga University in Busan was published completely at 2011. Goryeosa(高麗史) is the one of Big Three History Book in Korea including Chosonwanjosillok(朝鮮王朝實錄;The Annals of Choson Dynasty) and Samgugsagi(三國史記;The Annals of Three Kingdom). The Annotated Goryeosa is composed of 30 volumes. There are two kinds of the annotated book about Goryeosa which was published. The one was published at 1962 to 1966 in north Korea, another one was published at 1965 to 1973 in south Korea. These annotated books composed of 11 volumes each. The Annotated Goryeosa of 2011 is divided into three parts, the original, the translation, the notes. It is very meaningful that this book was published in Busan area, not in Seoul where another Big Two Annotated History book was published. This book will be the standard book for the long time among the annotated books on the history of Goryeo dynasty. It is necessary to change this book into electronic publishing for the general public in the type of CD-ROM next time.

      • KCI등재

        해방 후 지방에서의 법학교육 태동에 관한 연구 : 조선대학의 사례를 중심으로

        이영록(Lee, Young-lok) 조선대학교 법학연구원 2021 法學論叢 Vol.28 No.2

        이 글의 목적은 조선대학을 중심으로 해방 후 지방에서의 태동기 법학교육의 실제를 드러내고, 그 특징 및 역할과 의의를 규명하는 데 있다. 이를 통해 우리 법학교육사가 시기적으로는 해방 이전의 근대에, 지역적으로는 서울 중심의 시각에 치우져 있는 점을 교정해 보고자 했다. 조선대학의 사례를 통해 알 수 있었던 점은 해방 후 지방에서도 일제강점기 이래 이어져 온 법학교육에 대한 수요와 선망이 매우 크게 존재했다는 사실이다. 그런 수요에 부응하고 나선 것이 지역의 법조실무가들이었다. 이 점은 비슷한 시기 법학교육을 시작한 영남의 동아대학의 경우에도 나타나지만, 특히 조선대학의 경우는 극적이었다. 실무가들이 주도한 법학교육은 교과과정이나 수업내용에도 반영되었다. 일제강점기 경성제국대학의 법문학부의 영향이 전반적으로 이어지고 있는 가운데, 상대적으로 실천적 실용성을 가미한 교과과정을 운영하였다. 그러나 법학의 실천성에 밀착하려는 이런 초기 학풍은 전쟁으로 인한 교육 기반의 붕괴, 무엇보다도 겸임일 수밖에 없는 법률실무가 교수들의 불가피한 이탈로 의미 있는 학문적 숙성으로 이어지기 전에 중단되고 말았다. 그 외에도 지방에서의 법학교육은 해방 후 갈 곳을 잃은 젊은 법학 엘리트들에게 연구와 교육을 계속할 수 있는 자리를 제공하는 역할을 담당하였다. 이로써 그들이 향후 우리 법학계의 대표적인 법학자들로 자라는 데도 일조할 수 있었다. 나아가 사회 곳곳에서 법학적 지식으로 사회 발전에 기여한 수많은 졸업생들을 배출함으로써, 열악한 조건에도 불구하고 지역대학으로서 주어진 시대적 소임을 담당할 수 있었다.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uncover the reality of legal education in the beginning period after the national liberation, centered on Chosun University, and to illuminate its characteristics, roles, and significance. I tried to correct the tendency in historical researches on legal education in Korea which had been tilted to pre-liberation period in time, and Seoul area in region. What I found was that in the provincial areas there was a very large demand and desire for legal education which had continued since the Japanese colonial period. It was the local law practitioners who responded to such demand. It led to the characteristics of the relative practicality in the curriculum. And local law colleges provided the opportunity for research and education to young legal scholars, who could not have escaped stalling their careers after the national liberation, but would become prominent law scholars later. Besides, numerous graduates from law colleges in province contributed to the rebuilding of the nation with their legal knowledge in various fields of society.

      • KCI등재

        기획논문 : 『국역 고려사』 완간의 의미와 활용 방안 ; 『국역 고려사』 완간과 학술적 의의

        박종기 ( Jong Ki Park ) 東亞大學校附設 石堂傳統文化硏究院 2012 石堂論叢 Vol.0 No.54

        약 10년 간의 작업 끝에 2011년 완간된 『국역 고려사』는 기존의 『고려사』역주본 수준을 뛰어 넘은 역작으로, 앞으로 상당 기간 동안 『고려사』역주본의 표준서로서의 역할을 맡게 될 것이다. 그러한 이유는 다음과 같다. 치밀한 주석과 함께 2000년대까지의 고려사 연구 성과가 반영된 방대한 양의 주석이 이번 역주본에 반영되어 있다. 또한 기존 『고려사』판본과의 대조를 통해<원문>편에 세밀한 교감 및 표점 작업이 이루어 졌다. 그 결과 기존의 역주본과 차원을 달리한, 풍부한 내용의 색인어를 추출할 수 있었다. 편찬 책임자 및 역주자들의 노력이 30책이라는 거질의 역주본을 완성한 밑거름이 되었다. 또한 역사학뿐만 아니라 국문학과 한문학 연구자들의 조직적인 참여도 『고려사』국역본을 완성하는데 커다란 힘이 되었다. 한국사의 3대 사서 가운데 『조선왕조실록』『삼국사기』 역주본과 달리, 『고려사』역주본은 지방에 소재한 동아대학교에서 발간되었다. 이러한 사실은 인문학 연구의 지평이 서울 등 특정 지역에 국한되지 않고, 얼마든지 그 지평이 확장될 가능성을 보여준 점에서 학술사적 의의는 크다고 할 수 있다. 한편 이번 역주본은 시대의 추세에 맞추어 일반인들도 쉽게 접근할수 있도록 전자출판으로 전환될 필요가 있다. 따라서 『국역 고려사』역주본 출판은 역주 작업의 끝이 아니라 전자출판이라는 새로운 과제에 대한 도전을 요구받고 있다. The Annotated Goryeosa(국역고려사) which took almost ten years by Donga University in Busan was published completely at 2011. Goryeosa(高麗史) is the one of Big Three History Book in Korea including Chosonwanjosillok(朝鮮王朝實錄; The Annals of Choson Dynasty) and Samgugsagi(三國史記; The Annals of Three Kingdom). The Annotated Goryeosa is composed of 30 volumes. There are two kinds of the annotated book about Goryeosa which was published. The one was published at 1962 to 1966 in north Korea, another one was published at 1965 to 1973 in south Korea. These annotated books composed of 11 volumes each. The Annotated Goryeosa of 2011 is divided into three parts, the original, the translation, the notes. It is very meaningful that this book was published in Busan area, not in Seoul where another Big Two Annotated History book was published. This book will be the standard book for the long time among the annotated books on the history of Goryeo dynasty. It is necessary to change this book into electronic publishing for the general public in the type of CD-ROM next time.

      • KCI등재

        인문대학 소속 문예창작학과의 변화와 문예창작학의 존립 방안

        함정임 한국문예창작학회 2022 한국문예창작 Vol.21 No.3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changes in the Department of Creative Writing in the College of Humanities and the plan for the existence of Creative Writing. We look at the changes before and after the integration of the Department of Korean Language and Literature at Dong-A University and the Department of Korean Language and Literature at the Graduate School of Humanities and Social Sciences. Creative Writing, which started as a department unit called the Department of Creative Writing, is reduced to a unit of major lab, and a plan to form a position in the reduced reality is presented. It suggests a method of integrating the subjects of the two areas of theory and practice into one and densely operating them, and a method of driving the continuous learning demand of students who wish to major in creative arts and entering graduate school through close-fitting undergraduate major guidance. Specifically, while examining the reality and operation cases of creative writing education at Dong-A University, which was reorganized into the Department of Korean Language and Literature in the undergraduate department in 2015 and the Department of Korean Language and Literature in the graduate school in 2021, from various angles, focusing on my major, novel creation and research, the position and existence plan of creative writing studies progressing To this end, not only undergraduate and graduate school course development, but also high school summer/winter school program development according to the student-selective high school credit system, development of a program for excavating narrative prototypes of comparative subjects both inside and outside the school, implementation of the research credit system and challenge semester system, which are closely related major systems for undergraduate students, It presents specific cases of development and operation of various creative education programs such as research support for the bachelor's and master's degree program and graduate school's master's course, and fieldwork at home and abroad. Through these cases accumulated over many years, we reconfirm the foundation of the field of Creative Writing, from high school to college and graduate school, and examine the plan for the existence of Creative Writing while seeking a new base expansion. 본 연구는 인문대학 소속 문예창작학과의 변화와 문예창작학의 존립 방안에 대한 점검을 목적으로 한다. 동아대학교 학부 한국어문학과와 일반대학원 인문사회계열 한국어문학과의 통합 이전과 이후 변화 양상을 살펴본다. 문예창작학과라는 학과 단위에서 출발한 문예창작학이 전공랩 단위로 축소되고, 축소된 현실에서 입지를 형성해나가는 방안을 개진한다. 이론과 실습 두 영역의 교과목을 하나로 통합하여 밀도 있게 운용하는 방법과 밀착형 학부 전공 지도를 통해 창작 전공 희망 학생의 지속적인 학습 요구와 대학원 진학을 견인하는 방법을 제시한다. 구체적으로 2015년 학부 한국어문학과와 2021년 대학원 한국어문학과로 개편된 동아대학교 한국어문학과의 문예창작 교육 현실과 운영 사례를 필자의 전공인 소설 창작과 연구를 중심으로 다각도로 살펴보면서 문예창작학의 위치와 존립 방안을 개진해나간다. 이를 위해 학부와 대학원의 교과목 개발은 물론 학생 선택형 고교학점제에 따른 고교섬머/윈터스쿨 참여 및 프로그램 개발, 교내외 비교과 서사 원형 발굴 프로그램 개발, 학부생의 밀착형 전공 심화 제도인 연구학점제와 도전학기제 시행, 학부생의 학석사연계과정 및 대학원 석사과정 진학을 위한 연구지원과 국내외 필드워크 등의 다양한 창작 교육 운영 사례를 구체적으로 제시한다. 다년간 축적해온 사례들을 통해 고교와 대학, 대학원에 이르는 문예창작 전공 영역의 토대를 재확인하고, 새로운 저변 확대를 모색하면서, 문예창작학의 존립 방안을 점검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