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어린이 식생활교육의 현황과 새로운 가능성 탐색 -미각교육의 적용 가능성을 중심으로-

        김현주 한국실과교육학회 2013 한국실과교육학회지 Vol.26 No.2

        이 연구의 목적은 어린이 식생활교육의 현황을 파악하고, 외국의 식생활교육 사례 조사를 통해 미각교육의 적용 가능성을 탐색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다음과 같은 방법을 적용하였다. 첫째, 어린이 식생활교육의 현황 파악은 초등학교 2007 개정 실과 교육과정 및 2009 개정 교육과정, 선행연구에 대한 분석에 기초하였다. 둘째, 어린이 식생활교육의 새로운 가능성 탐색은 외국에서 주목받고 있는 식생활교육 사례 중 미각교육 사례를 중심으로 이루어졌다. 셋째, 미각교육의 적용 가능성 탐색을 위하여 현재 우리나라에서 진행되고 있는 미각교육의 기초적인 사례를 분석하고, 외국의 사례에서 얻은 시사점을 접목할 수 있는 방안을 강구하였다. 외국의 경우 일본은 식육기본법을 마련하여 법과 제도의 차원에서 변화를 시도하였고, 이탈리아에서는 슬로 푸드(slow food)와 스쿨 가든(school garden) 제도를 통해 식생활교육 개념의 또 다른 시각을 제시하고 있다. 교육현장의 식생활교육에서 제3의 길을 접목한 프랑스의 미각교육(sensory education)은 앞으로 우리가 나아가야 할 식생활교육에서 관심을 기울여야 할 부분이다. 우리나라 미각교육은 지금까지는 정규 교육과정에서 체계적으로 이루어지지 않고 있지만, 텃밭 교육농장, 유기농 학교 급식, 미각교육 프로그램, 초등학생용 미각교육 교재 및 지도서 개발 등의 사례를 통해 점차 확대되고 있다. 미각교육은 식재료 고유의 맛을 기억하게 하는 것으로 식재료가 처음 음식에 섞이기 이전의 맛에 대한 다양성을 경험하고 그 맛이 어떻게 변해가는 지를 알게 하는 것이다. 식재료의 고유한 맛, 자연이 내는 맛의 다양성에 대한 감각을 키워주는 것은 현재 조작된 재료와 중독된 입맛에 길들어져 있는 우리 아이들에게 스스로 식생활을 관리하는 능력을 길러주는 방안이 된다. 정규 교육과정인 실과교육이 이론과 체험 중심의 식생활교육에서 가치와 감성 중심의 미각교육으로 전환될 때 다가치적, 인간 중심적 구조를 지향하는 실과교육 목표가 실현될 수 있으며, 통합 생활교과로 자리매김할 것이다. 이를 위해 실과교과에서는 미각교육의 궁극적인 목표가 무엇이며 어떤 내용, 범주, 위계와 방법에 따라 가르치고 배울 것인가 등 식생활교육 환경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대안 마련에 나서야 할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recount dietary education in practical arts education and analyze foreign cases of dietary education to lay the foundation for setting a new direction of Korean dietary education. For this purpose, an attempt was made to investigate objectives of dietary education in practical arts education of 2007 revised educational curriculum and 2009 revised educational curriculum and analyze the contents and present state of dietary education in regular curricula at primary and secondary levels. A comparative analysis was made with foreign cases of dietary education to suggest a direction of dietary education and emphasize sensory education. As for overseas cases, Japan established the Dietary Education Basic Law in pursuit of legal and institutional changes, and Italy suggests another view of the concept of dietary education through slow food and the school garden system. Sensory education in France where educational practice has found the third way for dietary education is the part we need to pay attention to in future dietary education. Sensory education is to make one remember the unique taste of ingredients, experience diverse tastes of those ingredients before they are first mixed into food, and understand how those tastes go through changes. The efforts to promote senses for the unique taste of ingredients and a variety of natural tastes can allow children currently accustomed to manipulated ingredients and addictive tastes to be more competent in dietary management. If practical arts education in the regular curriculum makes a shift from theory- and experience-based dietary education to value- and sensitivity-based sensory education, it can attain the objective of practical arts education that pursues a multi-value, human-centered structure, which will then be settled as an integrated living subject. To do this, the subject of practical arts education needs to make efforts to create dietary education environment in terms of the ultimate objective of sensory education and its contents, categories, hierarchy, and methodology for teaching and learning.

      • KCI등재

        해방 이후 초등 실과 식생활 교육의 역사와 방향

        김정원 한국실과교육학회 2010 한국실과교육학회지 Vol.23 No.3

        Recent changes in the national curriculum and the establishment of several laws on dietary education raised the necessity of reviewing the history of dietary education in elementary school to suggest the desirable direction of dietary education in Korea. The changes in the dietary education in the subject of Practical Arts was reviewed for the years of 1945~2010 by using the cyber textbook museum and recent textbooks published. The contents of dietary education in practical arts were focused on cooking skills of various Korean food in 1950s and 1960s. Scientific approach such as nutrition and nutrients, and food group was made in 1970s, and the changes in dietary pattern due to the economic development were reflected in the curriculum 1980s. Dietary manner was always dealt in the textbook regardless of the changes in the curriculum. Foreign dietary life was introduced since early stage of national curriculum, however, the traditional dietary life is stressed in recent curriculum. By the changes in food groups and cooking utensils in the textbook, the lifestyle of each period could be observed. Due to the gradual decrease in total hours of class for practical arts, the dietary education contents also were reduced. In addition, 2009 revision of national curriculum is threatening Practical arts by the introduction of subject group and intensive study system. Recent increase of children's obesity and degenerative diseases is closely related with the shrink of dietary education. In order to solve this problem, much efforts to solidify the status of practical art as a central subject on dietary education should be made by utilizing the current opportunity such as the establishment of Food Education Law. In addition, comprehensive dietary education using whole curriculum including practical arts, education and training for teachers on dietary education, and collaboration among stakeholders on health and dietary education including government are suggested. 본 연구에서는 식생활교육 관련법이 제정되고 국가 교육과정이 개정되는 현 시점에서, 해방 이후부터 2009년 개정 교육과정까지 지난 65년간 식생활교육 내용의 변천사를 초등 실과 교과서 분석을 통해 고찰해 보고 향후 바람직한 식생활교육 방향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분석에 사용된 교과서는 사이버교과서박물관(www.textlib.net)에서 제공되는 자료와 최근 검인정 교과서를 사용하였다. 실과 식생활 교육내용은 해방 이후부터 1960년대까지는 일상 식생활 영위에 필요한 각종 밥과 반찬 만들기 등 조리 실기에 치중하였다. 1970년대 이후는 영양과 영양소, 식품군 등 과학적인 식생활 교육접근이 이뤄졌고 1980년대 이후에는 외식, 매식 등 소득수준 향상에 따른 식생활 패턴의 변화를 담아내고 있었다. 그러나 식사예절 부분은 전 교육과정에 걸쳐 강조된 것을 찾아볼 수 있다. 서구 식문화는 1~3차 교육과정에 걸쳐 도입되었고 이후 7차 및 2007 개정교육과정에서 전통식생활 강조하는 방향으로 회귀하였다. 시대변화에 따라 식품군, 조리도구 등이 변화하는 것을 통해 생활양식의 변화를 읽어낼 수 있었다. 또한 교육과정 초기에 비해 실과 교육학년 및 시수가 축소됨에 따라 식생활 교육내용도 축소되었다. 더욱이 2009 개정 교육과정에서 실과는 교과군 및 집중이수제 도입에 따른 위축의 위기에 처하게 되었다. 최근 어린이 비만의 증가나 생활습관병의 증가는 식생활 교육 축소와 무관하지 않으며, 이의 해결을 위해서는 최근 마련된 식생활교육기본법 및 식생활교육기본계획을 초등 식생활교육의 기회요인으로 활용하여 실과 교과를 식생활교육 중심 교과로 그 위상을 공고히 하여야 할 것이다. 더불어 실과를 중심으로 초등 교육과정의 총체적 활용을 통한 식생활 교육 실시, 교사 대상 식생활교육 및 연수 강화, 그리고 정부를 비롯한 각 이해당사자의 협력을 통해 식생활교육을 범국가적인 운동으로 전개해 나가야 할 것이다.

      • KCI등재후보

        2015개정 실과교육과정에 기반한 예비교사 교육 방안- 실과 식생활 영역 심화 강의에 대한 비교 분석 -

        이성숙 한국실과교육학회 2016 한국실과교육학회지 Vol.29 No.3

        This study compared and analyzed the operation conditions of dietary life areas in intensified course of practical arts education in national university of education in Korea in order to provide basic materials for preliminary teachers education and the results of the study were as follows. Intensified course class of dietary life area includes 17 subjects in 11 universities with theory and practice for 7~8 semesters. Subjects opened included 'Dietary Life Education', 'Cooking Science and Practice', and 'Food·Nutrition (Education)' and these classes aimed at acquiring cooking methods, improving cooking abilities and developing cooking abilities to apply to real life at 'Cooking Science and Practice'. ‘Dietary Life Education’ focused on educational theory of dietary life area and teaching ability of dietary life class, followed by education of basic theories of nutrition, food, cooking, and right dietary life, and education of taste appears newly. The contents of classes included curriculum contents in cooking science and practice, and food and nutrition (education), and the themes of classes were mainly 'cooking practice', followed by 'cooking principles of food'. Lecture and practice were used as teaching and learning methods and paper test was mainly used as evaluation method.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connectivity with dietary life area of practical arts education curriculum revised in 2015, the subjects related to ‘cooking science and experiment’ showed the lack of contents in 'balanced dietary life', 'characteristics of food materials and taste of food' and included three areas in the subject related to 'dietary life education'. It seems to be desirable that classes of dietary life area based on the above results consist of 'dietary life education' and 'cooking science and practice' with three credits respectively for two subjects and 'dietary life education' is good for one subject. It will be desirable that ‘dietary life education’ should be composed to include the theory of dietary life education, food, cooking, dietary culture, safety and taste education, 'cooking science and practice' to include cooking science, cooking principles and taste education. Especially, complement for safety and taste education, major items of dietary life area of practical arts education revised in 2015, is needed. 이 연구는 전국 교육대학교 실과 심화과정 식생활 영역의 운영 실태를 비교, 분석하여 예비교사 교육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기 위해 실시하였으며 결론은 다음과 같다. 식생활영역 심화과정 강좌는 11개교에서 17개 과목이 개설되어 있었고, 대부분 이론과 실습을 병행하여 이루어지고 있었으며, 이수 시기는 주로 7~8학기이었다. 개설 과목은 ‘식생활교육’, ‘조리과학 및 실습’, ‘식품영양’ 관련 과목으로 구분되었으며, 강의 목표는 ‘조리과학 및 실습’에서는 조리 방법 습득, 조리 능력 함양, 조리 시 식품의 변화, 실생활에 적용 능력 등이 주를 이루고 있었다. ‘식생활교육’에서는 식생활영역 교육 이론, 식생활 수업의 지도능력 함양이 가장 많았고 다음으로 영양학, 식품학, 조리학 관련 기초 이론, 바른 식생활 등이 주를 이루고 있었고, 미각교육이 새롭게 등장하고 있었다. 강의 내용은 조리과학 및 실습과 식품영양은 교과 내용학 이었으며, 강의 주제(강의 내용)는 ‘조리 실습’이 가장 많았고 다음으로 ‘식품별 조리 원리’가 주를 이루고 있었다. 교수학습 방법은 강의와 실습이 주로 활용되고 있었으며, 평가 방법은 지필 평가가 가장 많았다. 2015 개정 실과교육과정 식생활 영역과의 연계성을 분석한 결과 ‘조리과학 및 실험’관련 과목은 ‘균형 잡힌 식생활’, ‘식재료의 특성과 음식의 맛’ 내용이 미흡하고 ‘식생활교육’관련 과목은 3영역을 골고루 포함하고 있었다. 이상의 결과를 바탕으로 실과 심화과정 식생활 영역의 강의 구성은 ‘식생활교육’과 ‘조리과학 및 실습’으로 3학점씩 2과목으로 하는 것이 적당하며, 1과목일 경우에는 ‘식생활교육’이 적합할 것으로 보인다. ‘식생활교육’은 식생활교육론, 식품, 조리, 식문화, 안전, 미각교육 등이 골고루 포함되도록 구성하고, ‘조리과학 및 실습’은 조리과학, 조리 원리, 미각 교육을 포함한 실습 위주의 교과목을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으로 보인다. 특히 2015 개정 실과교육과정 식생활 영역의 중점 사항인 안전과 미각교육에 대한 보완이 필요하다.

      • KCI등재

        생활과학으로서의 초등 식생활 교육내용 분석

        김정원(Kim Jeong Weon) 한국실과교육학회 2005 한국실과교육학회지 Vol.18 No.1

        The present study investigated the food and dietary education contents in the primary school curriculum to diagnose the current situation and to suggest the direction of the future curriculum. All the primary level textbooks of the 7th curriculum were reviewed and the contents related with food and dietary education were counted and analyzed. Total 134 contents were found among 10 essential subjects, and they could be classified into 4 major categories of food(40%), nutrition(23%), dietary culture(23%), and simple motivation using food(13%). Again, the major categories could be classified into 13 sub-categories, and among which educations on traditional dietary culture(18%) and healthy dietary practice(19%) occupied the largest and followed by food hygiene(10%), food science(8%), cookery science(6%), basic nutrition(4%), dietary etiquette(4%), and food distribution & economics(4%). Among 10 subjects, ‘Practical Arts’, ‘Physical Education’, ‘Korean’, ‘Social Science’, and ‘Science’ were the 5 major ones having food and dietary education contents.‘Practical arts’ contained education contents for cookery science and nutrition, ‘Physical education’ for healthy dietary practice and food hygiene, ‘Korean’ for traditional Korean diet and healthy dietary practice, ‘Social Science’ for food economics, food culture and healthy dietary practice, and ‘Science’ mainly for food science, respectively. Although it was desirable to have many subjects dealing with the advantages of traditional Korean diet as an educational content, the education to prevent the childhood obesity in 5th or 6th grade was too late and it should be started with the lower grade children. In spite of the fact that ‘Practical Arts’ is supposed to be the core subject regarding food and dietary education, some of the contents were over lapped in ‘Physical Education’, and the contents on food hygiene were covered in ‘Physical Education’ rather than in ‘Practical Arts’. The fact that food and dietary education is covered in various subjects tells us the importance and usefulness of these areas; however, the levels and contents need to be adjusted by positioning ‘Practical arts’ subject in the center of the curriculum. And for that purpose, it will be necessary to change the name of the subject from ‘Practical Arts’ to ‘Science & Technology for Life’.

      • KCI등재

        식생활교육이 건강식생활 실천 및 식생활교육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충남 식생활교육네트워크 활동지역과 비활동지역 비교를 중심으로-

        최루미,강국주,조춘봉 한국외식경영학회 2018 외식경영연구 Vol.21 No.1

        This study was designed to compare the dietary-related education experience group with the inexperienced group and at the same time, to analyze the influence relationship between healthy dietary practice and satisfaction according to the perception level of dietary education necessity. The subjects and scope of the survey were analyzed by questionnaire survey method in the areas of dietary education network system in Chungcheong province and in the inactive areas of elementary, middle, high school, college students and the general public. The t-test and the linear regression analysis were used as the analysis tools. The analysis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there was a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perception of necessity of dietary education among the group with and without dietary education experience. Second, dietary education influenced the practice of healthy diet life. Third, dietary education influenced the satisfaction of dietary education. Fourth, satisfaction with dietary education affects healthy dietary practice. 본 연구는 식생활 관련 교육 경험이 있는 집단과 경험이 없는 집단을 비교하고, 동시에 식생활교육 필요성의 인식 정도에 따라 건강 식생활 실천 및 만족도의 영향관계를 분석하기 위하여 설계되었다. 조사대상 및 범위로는 충남도내 사단법인 식생활교육네트워크 체제로 활동하고 있는 지역과 인근의 비활동 지역 초․중․고․대학생 및 일반인들을 대상으로 설문지조사 법에 의하여 분석하였다. 분석도구로는 t-검정과 선형회귀분석을 이용하였으며, 분석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식생활교육 경험이 있는 집단과 없는 집단 간의 식생활교육 필요성 인식은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식생활교육 경험이 있는 집단과 없는 집단 간의 건강식생활 실천 정도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식생활교육은 식생활교육 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식생활교육 만족도는 건강식생활 실천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 KCI등재

        초등학교에서 교과기반 통합식생활교육 적용 방안 연구(II)

        김정현(Kim, Jung-Hyun),전세경(Jeon, Se-Kyung) 한국실과교육학회 2010 한국실과교육학회지 Vol.23 No.4

        초등학교 식생활교육의 대상자는 우리나라의 성장기 초등학생이다. 일생을 통해 이 시기는 신체의 양적 측면의 성장 발달과 기능적 측면의 확대가 이루어지는 시기이므로, 식생활을 통한 영양건강관리의 역할과 올바른 식생활행동을 형성하는 중요한 시기이다. 본 연구는 학교식생활교육의 궁극적 목표와 지향에 대한 방안 및 학교생활의 다른 요소와는 어떤 관련성을 갖는가에 대해 탐색해 보고고 이해하기위하여, 초등학교 전 학년에서 담임교사가 교과를 기반으로 한 식생활교육의 통합적용 방안을 마련하여 실제 적용해 보고자 하였다. 초등학교에서의 교과기반 식생활교육의 통합적용은 성장기 초등학생의 생 활 속에서의 식생활의 내용을 교과교육적 접근법으로 전개할 수 있도록 준비하였으며, 관련 분야에서 유기적으로 협조하여 교육의 효과를 극대화하여야 할 수 있도록 학교식생활교육에 대한 전문성과 교사중심교육으로서 통합적용하였다. 이를 통하여 본 연구에서는 초등학교 식생활교육 적용 방안 제시를 위하여 교과기반 통합적용, 학교식생활교육 환경의 통합적용 등에 대하여 논의하였으며, 이는 초등학교에서의 학교식생활교육의 정착 마련을 위한 기반이 되고자 한다.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was to apply the integrated dietary education based curriculum for elementary school. Recently dietary education in school faces an important role and as a way to solve various dietary problems, it is an imperative to do integrated application of dietary education and to systematically constructs the contents of dietary education for elementary education. Even thought elementary school student learns diverse subjects in each different place and time, the result of learning must be placed in same student mind. We were able to structuralize the nature and characteristics, educational goals, framework of contents based on subject curriculums. We have carried out the dietary education program on how and what the program is actually conducted for from first to sixth grade elementary school students. In order to teach philosophical, historical, literature, artistic, and religious elements of dietary education, efforts need to be made to specify the contents of curriculum centered on integrated subjects with consideration of development stages and to systematize them by grade and school. In the field of school dietary education, integrated dietary education has been recognized as a basis of curriculum to effectively realize the ideal dietary education of a elementary school students. We hope to achieve a standard framework for educational goal and curriculum contents for dietary education program.

      • KCI등재

        초등 식생활교육 연구 동향 및 방향성 탐색 1) 이 은 주 (서울교육대학

        이은주(Lee, Eun-Ju) 한국실과교육학회 2017 한국실과교육학회지 Vol.30 No.1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suggest the desirable direction for dietary education in elementary school by investigating the trend of researches on dietary education in elementary school. This study analyzed 115 researches about dietary education in elementary school published from 2009 when Dietary Education Support Act was established to 2016. Research contents were categorized as dietary life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17.4%), the recognition and current state of dietary education(21.7%), development of dietary education program(54.8%) and the direction of dietary education in elementary school(6.1%). The major dietary problems were skipping meals, the safe and healthy choices of snacks and unbalanced diets and the dietary habits and nutrition knowledge of the elementary school students needed improvement and Teachers, parents and students recognized the necessity of dietary education starting from the lower grades. the nutrition teacher was recognized as the person in charge of dietary education. However, the nutrition teacher had difficulties in teaching due to the burden of school food service and the lack of the time assigned to dietary education. As a result, the homeroom teachers role became more important as they could teach consistently throughout all of schools. Dietary contents about eco-friendliness and gratitude were the two main subjects of the Dietary education support act that needed reinforcement. the most frequent theme of dietary education program was dietary habits and the number of studies aimed at 5grade students was the highest. Dietary education is more effective for lower grades than upper grades. but a longer education period is needed. Dietary education which includes contents of eco-friendliness, health and gratitude should raise dietary life competency and include more dietary life experience learning activities. In addition, comprehensive dietary educational system spanning the whole elementary school curriculum that can be used by the homeroom teacher must be established. 본 연구는 식생활교육지원법이 제정된 2009년부터 2016년까지 발행된 ‘초등 식생활교육’ 관련 논문 115편을 분석하여 연구 동향을 파악하고 초등 식생활교육의 바람직한 방향을 제시하 고자 하였다. 분석 논문을 연구 주제별로 분류하였을 때 초등학생의 식생활 실태 관련 논문이 20편(17.4%), 초등 식생활교육 인식 및 실시현황 26편(22.6%), 초등 식생활교육 프로그램 관련 논문이 62편(53.9%), 초등 식생활교육 방향 7편(6.1%)이었다. 초등학생의 식생활 실태를 살펴보면, 아침결식, 건강하고 안전한 간식 선택, 편식 등이 주요한 식습관 문제로 나타났고, 영양지식과 식습관 모두 보통 수준으로 개선이 필요하였다. 식생 활교육의 필요성은 교사, 영양교사, 학부모, 초등학생 모두 필요하다고 하였고, 저학년부터 시작하여야 한다고 하였으며 식생활교육 담당자는 영양교사로 인식하고 있었다. 그러나 영양교 사의 급식 업무 부담, 교육과정상 시간 배당 부족 등으로 직접 교육 비율이 낮아 일과 시간중 식생활지도를 지속적으로 할 수 있는 담임교사의 역할이 중요하다. 식생활교육지원법에서 강조하고 있는 식생활교육 내용 중 환경과 배려 부분 교육이 수행도가 낮아 내용 보강이 필요하다. 초등 식생활교육 프로그램 개발 현황을 살펴보면 식습관 관련 프로그램, 식습관과 영양지식을 함께 교육한 프로그램, 바른 식생활 교육 프로그램이 많았다. 5학년을 대상으로 한연구가 가장 많았으며 1학년을 대상으로 한 연구는 없었고, 저학년⋅고학년 비교 연구에서 저학년이 고학년에 비해 교육 효과가 좋으나 더 장시간의 교육이 필요하다고 하였다. 초등 식생활교육은 저학년부터 식생활교육이 가능하도록 초등학교 전 학년을 위한 식생활 교육 내용 체계 구축이 필요하다. 또한, 교육과정상 지속적 교육이 가능한 창의적 체험활동 시간에 활용 가능한 식생활교육 내용 및 교재 개발이 요구된다. 교사용 지침서 개발 및 교사 연수를 통해 담임교사가 일과시간 및 급식시간에 지속적으로 식생활교육을 할 수 있도록 해야 할 것이다. 또한, 교육 선호도와 효과가 높은 실습 및 체험활동을 적절히 포함한 식생활교 육이 되어야 할 것이다

      • KCI등재

        초등교사의 바른 식생활 실천이 바른 식생활 교육의 필요성에 미치는 영향

        전세경,임소진 한국실과교육학회 2017 한국실과교육학회지 Vol.30 No.4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elementary school teachers’dietary practice and its necessity for including diet-related content into the curriculum and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dietary practice on the necessity for dietary content education. From November 16 to 27, 2015, 580 questionnaires were distributed and 555 questionnaires were used for data analysis. Data were subjected to SPSS 23.0. Descriptive statistics were conducted to identify the 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subjects. The one way ANOVA, Pearson 's correlation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were conducted to determine the effect of dietary practice of elementary school teachers on the necessary contents for dietary education. The results showed that most teachers were highly perceived the necessity of dietary education. The mean score of healthy eating habits was the highest in teachers' correct eating habits. A significant difference was found between the necessity of right dietary education and the mean of right diet practice according to teaching career group. The necessity of right dietary education and the correlation of related variables showed that the necessity of right dietary education and correct dietary practice were highly correlated. The result of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showed that the more teachers practiced the dietary of the area, the higher the necessity of education in the area they perceived. These results support the implementation of correct dietary education and the activation of proper dietary education. 본 연구의 목적은 초등교사들의 바른 식생활 실천 정도와 바른 식생활 교육 필요성에 대한 인식을 살펴보고, 바른 식생활 실천 정도가 바른 식생활 교육의 필요성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고자 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전국의 초등교사를 대상으로 2015년 11월 16일부터 27일까지 설문지 580부를 배부하여 회수된 555부를 최종 분석에 사용하였다. 분석을 위해 SPSS 23.0 프로그램을 사용하였고, 기술통계, 일원분산분석, 피어슨 적률상관관계수를 사용하였다. 초등교사들의 바른 식생활 실천이 바른 식생활 교육필요성에 미치는 영향력을 파악하기 위해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 교사들은 바른 식생활 내용 중 배려와 감사의 교육 필요성을 가장 크게 인지하고 있었다. 교사들의 바른 식생활 실천에서 건강친화적 식생활 영역의 평균이 가장 높게 나타났다. 교직 경력 집단에 따라 바른 식생활 교육 필요성과 바른 식생활 실천의 평균에 유의미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바른 식생활 교육 필요성과 관련 변인들의 상관관계 분석 결과, 바른 식생활 교육 필요성과 바른 식생활 실천 변인들은 높은 정적 상관관계를 보였다. 다중회귀분석 결과 교사 자신이 실천하고 있는 바른 식생활 영역일수록 해당 내용의 교육 필요성을 높게 인지하고 있었다. 이와 같은 결과는, 올바른 식생활 교육의 구현과 바른 식생활교육의 활성화에 도움을 줄 수 있다.

      • KCI등재

        식생활교육이 건강식생활 실천 및 식생활교육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충남 식생활교육네트워크 활동지역과 비활동지역 비교를 중심으로-

        조춘봉(Cho, Chun-Bong),최루미(Choi, Roo-Mi),강국주(Kang, Kook-Joo) 한국외식경영학회 2018 외식경영연구 Vol.21 No.1

        본 연구는 식생활 관련 교육 경험이 있는 집단과 경험이 없는 집단을 비교하고, 동시에 식생활교육 필요성의 인식 정도에 따라 건강 식생활 실천 및 만족도의 영향관계를 분석하기 위하여 설계되었다. 조사대상 및 범위로는 충남도내 사단법인 식생활교육네트워크 체제로 활동하고 있는 지역과 인근의 비활동 지역 초․중․고․대학생 및 일반인들을 대상으로 설문지조사 법에 의하여 분석하였다. 분석도구로는 t-검정과 선형회귀분석을 이용하였으며, 분석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식생활교육 경험이 있는 집단과 없는 집단 간의 식생활교육 필요성 인식은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식생활교육 경험이 있는 집단과 없는 집단 간의 건강식생활 실천 정도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식생활교육은 식생활교육 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식생활교육 만족도는 건강식생활 실천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This study was designed to compare the dietary-related education experience group with the inexperienced group and at the same time, to analyze the influence relationship between healthy dietary practice and satisfaction according to the perception level of dietary education necessity. The subjects and scope of the survey were analyzed by questionnaire survey method in the areas of dietary education network system in Chungcheong province and in the inactive areas of elementary, middle, high school, college students and the general public. The t-test and the linear regression analysis were used as the analysis tools. The analysis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there was a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perception of necessity of dietary education among the group with and without dietary education experience. Second, dietary education influenced the practice of healthy diet life. Third, dietary education influenced the satisfaction of dietary education. Fourth, satisfaction with dietary education affects healthy dietary practice.

      • KCI등재후보

        푸드플랜에서의 식생활교육 필요성과 실행과제 탐색

        이경애 한국실과교육연구학회 2020 實科敎育硏究 Vol.26 No.1

        본 연구에서는 푸드플랜의 수립 필요성, 개념과 정의, 성격, 구성요소, 범위로부터 푸드플랜에서 의 식생활교육의 필요성을 도출하고, 국내외 사례분석을 통해 푸드플랜에서 식생활교육의 역할과 내용을 살펴봄으로써 이를 바탕으로 푸드플랜에서 식생활교육의 실행방안과 과제를 제시하였다. 푸드플랜에서 식생활교육의 필요성을 탐색한 결과, 푸드플랜은 식품의 다양한 기능과 식품을 둘 러싼 다양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수립되는데 이러한 관점에서 식생활교육이 중요한 역할을 할 수 있다. 또한 푸드플랜의 개념이나 정의에서 나타난 식품과 관련된 문제해결, 이러한 문제 해결에 따 른 사회적 비용절감, 사회적․환경적 지속가능성은 지속가능한 식생활교육의 지향점이자 교육목표 가 된다. 식생활교육은 다양한 식생활 이슈의 관리와 해결에 기여할 수 있는 사회정책의 일환이므 로 푸드플랜 성격에 부합되며, 푸드플랜은 식품과 관련한 전 분야에 대한 계획이므로 푸드플랜의 교육영역에 식생활교육이 포함되어야 한다. 식생활교육이 잘 연계되어 있는 국내외 푸드플랜을 분 석한 결과, 외국의 푸드플랜의 식생활교육 계획은 실행 주체, 사업내용과 방법이 구체적으로 제시 되어 있었고, 학교 식생활교육 뿐 아니라 일반 성인과 취약계층 대상의 식생활교육 계획도 분명하 게 제시되어 있었다. 반면에 우리나라 푸드플랜의 식생활교육 계획에서는 사업내용이나 방안의 구 체성이 부족하였고, 먹거리 취약계층에 대한 식생활교육 계획은 없었다. 푸드플랜에서 식생활교육 이 제대로 실행되기 위해서는 실행안에 식생활교육의 내용과 사업주체, 방법이 구체적으로 명시되 어야 하며, 정부 부처간의 통합된 푸드플랜과 전략이 수립되어야 하고, 민관 거버넌스 구축이 필요 하며, 푸드시스템과 연계되고 지속가능한 식생활로 확대된 교육내용이 다루어져야 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plore the necessity of dietary education from the establishment background, concept and definition, nature, component, and scope of food plan, examine the role and contents of dietary education in food plan by the foreign and domestic case analysis, and suggest practical tasks for dietary education in food plan. As a result of exploring the necessity of dietary education in the food plan, the food plan is established to solve the various functions of food and various problems surrounding food. In this regard, dietary education can play an important role in food plan. In addition, solution of food-related problems in the concept or definition of food plans, reduction of social costs, and social and environmental sustainability are the orientation and educational goals of sustainable dietary education. Since dietary education is part of a social policy that can contribute to the management and resolution of various dietary issues, it fits the nature of the food plan. Since the food plan is a plan for all areas related to food, dietary education should be included in the education area of the food plan. As a result of analyzing domestic and foreign food plans that are well connected with dietary education, dietary education plans in foreign food plans presented with detailed contents and methods of implementation, and included not only school dietary education but also dietary education for adults and vulnerable groups. On the other hand, the dietary education plan of domestic food plans lacked the specifics of the project contents and actions, And there was no dietary education plan for the vulnerable groups in domestic food plans. In order for the dietary education to be properly implemented in the food plan, the contents, targets, and action plans of dietary education should be specified in the implementation plans, integrated food plans and strategies should be established between government departments, and public-private governance needs to be established. And dietary education content linked to food systems and extended to sustainable eating should be addressed.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