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펼치기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육진방언 어휘의 잔재적 성격

        곽충구 진단학회 2015 진단학보 Vol.- No.125

        Yukjin-dialect area of Hambuk-province in North-Korea is called “relic area" or “dialect island". Unlike phonological system, vocabulary is difficult to say whether it is relic area or not. Phonological system is firm, but vocabulary system is loose, so that the substitution of words may occur easily and vocabulary is closely related to regional culture which is affected by the natural geography and human environment. There are big differences in the terms of house, food, farming tools between the Central-dialect and Yukjin-dialect, but there i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terms of human body and numerals, which have archaic forms. The free forms in Yukjin-dialect remained as fossils in the Central-dialect, and if the forms coexist in both dialects, then Yukjin-dialect is more archaic than the Central-dialect in the semantic or morphological point of view. There are loanwords in Yukjin dialect as a result of contact with other races. I introduced some Jurchen-Manchu, Chinese loanwords which remained in the dialect. For example, “sisyari"(ramie yarn), “huren"(seat for cooking pot and beneath) were directly borrowed from Manchu. And "ullacho"(兀拉草), “mantwi"(饅頭), “baense"(匾食) etc. were directly borrowed from Chinese. In other words, “dɨbe"(←瓠種), “gyeoreupdeung"(←糠燈, Manchu 霞繃hiyabun) etc. were loan translation from Chinese. these are related to culture and lifestyle. Also the vocabulary of Jaegaseung(在家僧) is estimated as Hambuk-dialects at the least 1960’s. 이 논문은 육진방언 어휘의 잔재적 성격을 논의하였다. 어휘는 체계를 이루는 구성 요소들의 관계가 느슨하여 어휘 대치가 쉬 일어날 수 있고 또 그 지역의 자연지리 환경이나 사회 문화의 영향을 받기 때문에 음운처럼 그 잔재적 특징을 말하기 어렵다. 그리하여 먼저 고어의 잔존 여부를 계열 어휘를 통해서 확인하였다. 기초어휘가 많은 수사, 인체어에는 다른 방언에 비해 고어가 다수 잔존해 있지만 상대적으로 가옥, 음식, 농기구 명칭에는 육진방언만의 고유한 방언 어휘는 물론 인접한 이민족 언어로부터 차용한 어휘가 많다는 사실을 확인하였다. 또 중앙어에서는 화석으로 남아 있는 형태가 육진방언에서는 하나의 자립형식(단어)로 쓰이는 예, 육진방언에만 잔존해 있는 고어의 의미, 통합상의 제약 및 유의관계, 그리고 중앙어와 형태는 동일하지만 의미차를 보이는 예 등을 통해서 육진방언 어휘가 잔재적 성격을 지니고 있음을 말하였다. 또한 역사지리학의 관점에서 이 방언에 남아 있는 여진어-만주어, 한어를 직접 및 번역 차용으로 나누어 그 예를 소개하였다. 그리고 20세기 재가승의 언어는 함북방언이라는 사실을 밝혔다.

      • KCI등재

        ≪예산말 사전≫(제1~4권)에 대하여

        김정태 한국방언학회 2020 방언학 Vol.0 No.31

        The Dictionary of Yesan Dialect (Vol. 1-Vol. 4) is a sourcebook of the Yesan dialect, a sub-dialect of the Chungnam dialect. This dictionary, consisting of approximately 15,500 entries, is a long-time collection of researched and collected materials by a native speaker of the Yesan dialect. The entries mainly consist of the dialect forms used in Yesan that differ from the standard language. The entries are in alphabetical order for easier access, but the dictionary only provides standard language indexes in Vol. 1 and Vol. 2. As a dialect sourcebook, the entries display the following characteristics. First, this dictionary presents the dialect forms of words that do not have corresponding counterparts in the standard language. Second, it presents cases in which several dialect forms correspond to one standard expression. Third, this dictionary presents the dialect forms of words that are identical in form in the standard language but have different meanings. Fourth, it includes the Yesan dialects of foreign words. Finally, this dictionary presents detailed information on pronunciation and vowel lengths. More specifically, this dictionary provides detailed descriptions of each entry, including information on declension and word usage, and information in word and footnote forms. The many sentence-level usages in the dictionary are dialect materials that are actually in use in Yesan, and thus will serve as a usual data not only for the general public, but also the researchers of dialects, especially scholars who focus on the phonology, grammar, and vocabulary of the dialect in the Yesan and the Naepo region. However, the fact that each of the four volumes comprises different categories makes it difficult for the general public or researchers to access and use the dictionary, which is why it would be necessary to bind the volumes in the future. ≪예산말 사전≫(제1~4권)은 충남의 하위 방언인 예산 지역의 방언자료집이다. 이는 예산의 토박이 화자가 오랜 기간 조사 수집해온 말들을 모은 것인데, 표제 항목의 표제어가 무려 15,500여 개에 달하는 방대한 양을 보여 주고 있다. 주로 표준어와 형태를 달리하는 예산의 방언형을 표제어로 선정하였고, 검색 수월성을 위해 표제어들을 자모 순서로 배열하였지만, 표준어 색인은 제1, 2권만 제공되고 있어 아쉬운 부분이다. 방언 자료로서 주된 방언형 표제어에는 몇 가지 특색이 있다. 첫째, 대응되는 표준어가 없는 방언형을 제시한 것, 둘째, 하나의 표준어에 대해 여러 개의 방언형이 대응하는 경우를 제시한 것, 셋째, 표준어와 형태가 같지만 의미 차이가 있는 방언형을 제시한 것, 넷째, 예산 방언을 반영한 외래어형을 제시한 것, 다섯째, 발음과 음장에 대한 세밀한 정보를 제시한 것 등이다. 또한 방언형 표제어에 대한 기술 내용도 다양한 편이다. 곡용 및 활용 정보, 어휘와 주석 형식의 또 다른 정보들을 포함하고 있다. 특히 문장 단위의 많은 용례는 현장에서 들을 수 있는 생생한 예산 방언 자료들이다. 따라서 일반인뿐만 아니라 방언 연구자들, 이를테면, 음운, 문법, 어휘 등의 층위에서 예산 지역이나 내포 지역에 대한 방언 연구자들에게는 좋은 자료가 될 것이라고 생각한다. 다만, 네 권이 각각 독자적인 체계로 이루어져 있어, 일반인이나 연구자의 접근성 및 활용도는 낮을 것으로 본다. 차후 합본이 요구되는 부분이다.

      • KCI등재

        변증법의 변증법적 운동 – 모순 변증법에서 코뮨 변증법으로

        이성백 서울시립대학교 도시인문학연구소 2019 도시인문학연구 Vol.11 No.1

        This article investigates two issues while attempting to reconstitute the dialectic. First, this study reassesses the dialectics of Hegel and Marx, the representative modern dialectical thoughts, from the comtemporary perspectives. Second, it also reconsiders the critique of the dialectic by Deleuze that has most powerfully influenced the philosophical discourse on the dialectics in the late 20th century. Then, combining these two issues, this paper suggests a new conception of the dialectic in the conclusion. The “dialectic of contradiction” of Hegel, Marx and Lenin is the one on the real level, which conceptualizes ‘only’ the negativity and the antagonism of the modern civil society. It does not include the dialectical logic on the ideal level which is required in order to sublate this negative reality. In the dialectical thoughts of Hegel and Marx, I can find the different dialectical concept from the dialectic of contradiction, which I will call the “dialectic of commune.” This is the true idea of the dialectic. The historical origin of the commune was the medieval city, whose constitutive principal was the “free association of the free individuals.” The kernel of the critique of the dialectic by Deleuze consists in the argument that the opposition and contradiction oppress the difference. The difference, namely the singularity of the individual, is the highest value of Deleuzean philosophy. Philosophy of the difference is not outside of the dialectic of commune. The free association of the free individuals is the conceptual definition of the dialectic of commune. Thus this paper argues that the difference, the singularity of the individual, is nothing but the starting point and also the core of the dialectic of commune. 변증법의 재구성을 모색하는 본 논문은 크게 두 가지 문제를 다룬다. 첫째는 현대 변증법의 대표적인 사상인 헤겔과 맑스의 변증법을 오늘날의 시대적 지평으로부터 독해한다. 두번째로 20세기 후반기 변증법에 대한 가장 강력한 비판인 들뢰즈의 변증법 비판을 고찰하면서 변증법의 편에서 답변을 시도해 본다. 그리고 이 두 가지 문제를 종합적으로 고려하여 새로운 변증법 개념을 결론적으로 제시한다. 헤겔에서 맑스와 레닌에 이르는 “모순 변증법”은 자본주의적으로 전개되고 있는 현대시민사회의 부정성과 모순성‘만’을 개념화하고 있는 ‘현실’ 변증법에 해당하는 것으로, 이 부정적인 현실을 지양하기 위해 요청되는 새로운 이념적 원리를 담고 있지 못하다. 그런데 헤겔과 맑스의 논의를 다시 살펴보면, “모순 변증법”과는 다른 변증법 개념, “코뮨 변증법”이라고 부르고자 하는 새로운 이념적 차원의 변증법이 있는데, 이 코뮨 변증법이야말로 변증법의 참된 이념이다. 코뮨 개념은 “자유로운 개인들의 자유로운 연합”으로서 중세 도시에서 역사적으로 기원하였다. 들뢰즈의 변증법 비판의 핵심은 대립과 모순가 차이를 억압하고 있다는 점에 있다. 바로 차이, 즉 개인들의 단특성이 그의 철학이 추구하는 핵심이다. 차이의 철학은 코뮨 변증법의 바깥에 있지 않다. 자유로운 개인들의 자유로운 연합이란 코뮨 변증법의 근본정의에서 드러나듯이, 차이의 철학이 추구하는 개인들의 단특성이 바로 코뮨 변증법의 출발점이자 그 핵심이기 때문이다.

      • KCI등재

        이문구 소설에 반영된 충남방언과 실제 충남방언 사이의 간극을 통해서 본 충남방언의 음운론적 특징 - <우리 동네>를 중심으로 -

        이현주 ( Lee¸ Hyun-joo ) 조선대학교 인문학연구원 2021 인문학연구 Vol.- No.62

        이문구는 한국 소설사에 있어서 문학 작품에 방언을 적극적으로 활용한 대표적인 작가 중 하나로, 그의 작품에는 고향 방언인 충남방언이 적극 반영되어 있다. 그런데 문학 작품 속에 반영된 방언은 문학적 장치의 차원에서 ‘선택’되고 ‘창출’된 문학어로, 실제로 사용되고 있는 방언과는 간극이 발생할 수밖에 없다. 이 연구는 필연적으로 발생하는 작품 속의 충남방언과 실제 충남방언 사이의 간극을 통해 소위 전형적이라고 여겨지는 충남방언의 면모를 확인함과 동시에 충남방언의 음운론적 특징에 대해 보다 정밀하게 분석하는 데에 목적이 있다. 형태소 내부에서의 움라우트는 국어 여러 방언에서의 모습과 대부분 일치하나 작품에서 나타나는 움라우트 정도에 비해 실제 충남방언 자료에서 나타나는 움라우트의 정도가 다소 약한 것을 알 수 있다. 이는 움라우트 확대 현상이 일어난 경우, 또는 형태소 경계에서도 마찬가지이며 작가가 작품에 움라우트 실현형을 적극적으로 반영한 것은 작가의 수사 기교의 일종이며 작가의 인식 속에 움라우트 현상은 충남방언의 전형적인 특징 중 하나로 생각되었음을 드러낸다. 그렇지만 현재 많은 충남방언에서 움라우트는 더 이상 공시적인 현상이 아닐 가능성이 높다. ‘어>으’ 고모음화는 작품에서 비어두 위치에서까지 비교적 적극적으로 실현되었던 것과는 다르게 충남방언에서는 대체로 어두 위치의 장음에서 주로 일어나며, 어두 위치의 단음이나 비어두에서는 소극적인 양상을 보인다. ‘에>이’ 고모음화와 ‘오>우’ 고모음화의 경우도 비슷하여, 작가가 여러 유형의 고모음화 실현형을 충남방언의 전형으로 생각하였기에 작품에 적극 반영한 것으로 보았다. 현재 충남방언에서의 고모음화는 환경에 따라 다양한 모습을 보인다. 모음조화의 경우 충남방언의 특징 중 하나인 소위 ‘모음조화 파괴 현상’을 작품에 상당히 적극적으로 반영하고 있다. 이 현상은 충남 북부지역과 충남 남부지역이 차이를 보이는데, 작가는 모음조화 파괴가 적극적인 충남 북부지역의 양상을 반영하였으며 이것 역시 전형적인 충남방언의 특징으로 인식하였기 때문으로 생각된다. Lee Moon-Gu as one of the representative writers in Korean fiction history, he actively used dialects in his literary works, and the Chungnam dialect, the dialect of his hometown, is actively reflected in his works. The dialect reflected in his literary work, however, is a literary language ‘selected’ and ‘created’ as a literary device, so there is bound to be a difference between the real dialect and the one reflected in his work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differences between the real Chungnam dialect and the one in the work in, then check the countenance of the so-called typical Chungnam dialect while analyzing the phonological characteristics of the Chungnam dialect through that. The umlauts inside morphemes are mostly consistent with various Korean dialects but compared to the degree of umlauts in the work, the level of umlauts in the actual Chungnam dialect is rather weak. The artist’s active reflection of umlauts makes one think that it is a kind of rhetoric technique of the author, in the artist’s perception, the umlaut phenomenon is a typical characteristic of the Chungnam dialect. This is true in the case of umlaut expansion and morpheme boundaries. However, it is highly likely that umlauts are no longer synchronic phenomenon in Chungnam dialect. Unlike the use of the ‘어>으’ high-vowelization actively in his work, even all the way to the internal position, in the Chungnam dialect, it occurs mainly in the long sound in the word-initial and shows passively in the short sound or in the internal position. It was similar in the cases of the ‘에>이’ and ‘오>우’ high-vowelization. It is actively reflected in the author’s work as he had the perception that the use of various types of high-vowelizations was typical for the Chungnam dialect. Currently, high-vowelization in the Chungnam dialect show various appearances depending on the environment. In the case of vowel harmony, he actively used one of the characteristics of Chungnam dialect, the so-called ‘vowel harmony break phenomenon’. This phenomenon is different in the north compared to the south of Chungnam. The artist reflected the more active aspects of vowel harmony break, which is from the northern region of Chungnam. This is also thought to be because he perceived it to be a typical characteristic of the Chungnam dialect.

      • KCI등재

        새로 발굴한 방언(21)

        박경래,강영봉,김정대 한국방언학회 2023 방언학 Vol.- No.37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introduce and investigate the new dialect words that are used in a regional dialect in Korea. Nine dialect words are introduced in this paper. This Nine dialect words are all the important linguistic material from the lexical and cultural point of view. This dialect materials were recorded from native speaker's dialogue or dictation. This dialects include three new words in Chungcheong-do, Jeju-do and Kyeongsang-do dialect respectively. Chungcheong-do dialect words were written by Park Kyeongrae(Semyung University). All three words are related with traditional wedding ceremony in Chungcheong-do. Jeju-do dialect words were written by Kang Youngbong(Jeju National University). Two word are mat which related with household items and another word with house. Kyeongsang-do dialect words were written by Kim Jeongdae(Kyeongnam University). One word related with rice farming and another word with the offing and another word is verb. We set out the standard word corresponds to dialect, a part of speech, a definition of the dialect word, a diversity forms of the each dialect word, related area, illustrative sentences and explanation to each dialect word. We can find through this work that the new dialect words makes significant contribution to study of the dialect. And the new dialect words enrich our vocabulary. 이 글은 우리나라 각 지역에서 새로 발굴한 방언 어휘를 소개하는 스물한번째 연재물이다. 여기에서 소개하는 어휘는 해당 지역에서 지금도 자연스럽게 사용되고 있지만 아직까지 어디에도 소개된 적이 없는 어휘들이다. 이번에 새로 소개하는 방언 어휘는 충청도, 제주도, 경상도 지역에서 사용하고 있는 아홉 개다. 여기에 소개하는 아홉 개의 방언 어휘는 대응 표준어가 없거나 있다고 하더라도 형태나 의미, 용법상 차이가 있는 것들이다. 이번에 소개하는 충청도 방언 어휘는 잔치와 관련된 어휘 세 개가 소개되었고, 제주도 방언 어휘는 생활용품으로 쓰이는 자리 종류 두 개와 가옥 관련어휘 하나가 소개되었다. 그리고 경상도 방언 어휘는 중앙어 ‘잇다’에 대응하는 방언형과 ‘낟가리’에 대응하는 방언형, 그리고 바다와 관련된 방언형이각각 하나씩 소개되었다. 이번에 새로 소개하는 아홉 개의 방언 어휘는 해당 지역에서만 쓰이는 것도 있고 해당 지역 외의 다른 지역에서 쓰이는 것도 있을 것이다. 어떤 어휘는 대응 표준어가 있지만 표준어와 형태가 다르거나 용법이나 기능이 다른경우도 있고, 반대로 표준어와 형태는 같지만 용법이나 의미 기능이 다른경우도 있다. 어떤 방언 어휘는 해당 지역에서 흔히 쓰이지만 국어사전에등재되어 있지 않은 것도 있고, 어떤 방언 어휘는 지역 간에 형태적인 차이는 없지만 사회문화적인 차이가 반영되어 의미나 용법 면에서 차이를 보이는 경우도 있다. 이 연재물에서 소개하는 방언형이 사용된다고 제시한 지역 이외의 지역에서도 사용되는 어휘가 있을 수 있고 여기에 제시한 의미나 용법과 차이를보이는 경우도 있을 수 있다는 점에 유의할 필요가 있다.

      • The Usefulness of Dialectic in the Study of Sciences in the Topics , I, 1.

        Kim, Soojung 이화여자대학교 생명의료법연구소 2011 BIOMEDICAL LAW & ETHICS Vol.5 No.2

        Dialectic starts from opinions that are generally accepted, according to Aristotle, whereas demonstration that starts from what is primary and true. Since the premise of demonstration does not rely on any further elucidation for its truth primary, it is primary and any question cannot be raised. Since the premise of dialectic is opinion, a kind of qualification for the truth of the premise is needed. Dialectic can begin by raising the difficulties and inconsistencies of the premise. Dialectic, I propose, is a method used to reveal the grounds on which the opinion depends and to remove the source from which the falsity of the opinion originates. Demonstration is said to be the process by which the truth of propositions can be proved so that scientific truth can be established. If demonstration starts from what is primary and true, then how is it possible for those who do not know these primitive to initiate the demonstration? This paper, through the study of the nature of dialectic, tries to find the role of dialectic in preparing the condition for scientific demonstration. This paper starts with the distinction between knowing the fact and understanding the fact. One cannot claim his or her understanding until he or she knows the fact that it is and the ground or the cause why it is. I claim that dialectic provides useful tool to acquire understanding in the sense that it can help the nonexpert to recognize the first principle of sciences. Until the structure of the premise is exhibited by the dialectic, dialectical propositions are partly false and partly true. To bring out the difficulties and inconsistencies which the premise assumes is a function of the dialectic. After the ground of dialectical propositions is shown, the part on which falsity of the proposition depends can be found and the dialectical problems might be solved. Therefore, I claim, for Aristotle, dialectic can be important tool in the scientific work which precedes the establishment of a complete science.

      • 단양방언의 음운론적 고찰

        장충덕 개신어문학회 2010 개신어문연구 Vol.0 No.32

        This paper aims to look into the phonological characteristics of the dialect of Danyang in Chungcheongbuk-do. Danyang-gun is located in the northeastern end of Chungcheongbuk-do; thus the southeast of Danyang-gun faces Gyeongsangbuk-do and the north of Danyang-gun faces Gangwon-do. Such a geological position cause the contact region affected by the sphere of another dialect. In taking a look into the phonological system of Danyang dialect, 19 consonants are realized in the consonant system as they are in the dialect of the central area; however, in the vowel system, 8 to 10 short vowels are realized. As to the phonological phenomenon, the paper considered glottalization, palatalization, neutralization, substantive syllable-final consonantal alteration, consonant cluster simplification, umlaut, vowel nasalization, monophthongization, and vowel fronting. Among others, consonant cluster simplification, vowel nasalization, monophthongization, and vowel fronting appeared frequently in Dongnam dialect, which demonstrates that Danyang dialect is greatly influenced by Dongnam dialect. Therefore, it is found that although Danyang dialect belongs to the dialect of the central area, it has a character of contact dialect, which is highly affected by Dongnam dialect.

      • KCI등재

        새로 발굴한 방언(11)

        박경래,이기갑,강영봉 한국방언학회 2013 방언학 Vol.0 No.17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introduce and investigate the new dialect words that are used in a regional dialect in Korea. Fifteen dialect words are introduced in this paper. This fifteen dialect words are all the important linguistic material from the lexical and cultural point of view. This dialect materials were recorded from native speaker's dialogue, dictation. This dialects include five new words in Chungcheong-do dialect, five new words in Hamkyeong-do dialect and five new words in Cheju-do dialect. Chungcheong-do dialect words were written by Park Kyeongrae(Semyung University). Two words relate with "소(cow)" and three with derivative adjective from among these five new words. Jeolla-do dialect words were written by Lee kigap(Mokpho University). Three words relate with "the human body" and one with a fish hook, one with a house each new words from among these five new words. Cheju-do dialect words were written by Kang Youngbong(Cheju University). We set out the standard word corresponds to dialect, a part of speech, a definition of the dialect word, a diversity forms of the each dialect word, related area, illustrative sentences and explanation to each dialect word. We can find through this work that the new dialect words makes significant contribution to study of the dialect. And the new dialect words enrich our vocabulary. 이 글은 일상생활에서는 쓰이고 있지만 사전에 등재되어 있지 않은 방언 어휘나 형태소, 속담 등을 새로 발굴하여 소개하는 열한 번째 연재물이다. ‘새로 발굴한 방언(11)’에 소개하는 방언들은 조사 지역의 토박이 화자들이 일상생활에서 사용하고 있는 어휘들로 지금까지 국어사전이나 다른 연구물에 소개된 적이 없는 것이다. 여기에 소개하는 방언 어휘들은 급속한 사회변화로 소멸 위기에 처해 있거나 새 말로 대체되어 가는 과정에 있는 것들이 대부분이다. 방언은 그 방언을 사용하는 지역민들의 삶을 반영하고 있기 때문에 그 지방의 문화나 그 방언이 사용되는 사회적인 맥락을 고려할 때 가장 잘 이해할 수 있고 그 말의 맛과 멋도 가장 잘 드러난다는 점에서 보존의 가치가 크다. 이 글에서 소개하는 방언들도 그것들이 사용되는 지역의 문화나 역사를 가장 잘 반영하는 것들로서 대응 표준어를 찾기 어렵거나 대응 표준어가 있더라도 의미나 형태면에서 많은 차이를 보이는 것들이다. 여기에 소개된 방언형 가운데 어원(語源)은 같지만 지역에 따라 의미의 차이를 보이는 것들도 있고 어휘 체계에서 차이를 보이는 것들도 있다. 이런 어휘들은 시간과 공간의 양면에서 차이를 보이는 것으로 의미의 차이뿐만 아니라 어휘 체계에서 차이를 보이기도 한다. 의미 변화가 어휘 체계 내의 요소들 간의 관계 또는 사회 문화적인 맥락과 관련되어 있기 때문에 이러한 차이가 무엇에 말미암은 것인지를 분명히 설명하기는 어렵다. 같은 어원을 가진 방언형이라고 하더라도 각기 다른 환경에서 언어 외적인 요인에 의해 오랜 시간 영향을 받으면서 사용되므로 형태와 의미 등에 그 지역의 문화를 반영하기 때문이다. 이 글에 소개된 방언 가운데 제주도 방언이 그런 예들의 전형이라고 할 수 있다. 이 글에 소개된 방언은 현재도 충청도, 전라도, 제주도 지역에서 사용되는 말들 가운데서 뽑았다. 이번 연재물에는 충청도 방언 어휘 다섯 개, 전라도 방언 어휘 다섯 개, 제주도 방언 어휘 다섯 개 등 모두 열다섯 개의 방언 어휘를 소개하였다. 여기에 소개된 충청, 전라, 제주도 방언 자료들은 필자들이 거주하고 있는 지역에서 조사된 것들이다. 따라서 표제어로 제시한 방언 어휘가 사용되는 지역을 뜻하는 ‘관련 지역’에는 표시된 지역 이외의 다른 지역에서도 이들 방언형이나 이형태들이 사용될 수도 있다. 이런 경우 해당 방언의 의미도 지역에 따라 다를 수 있다는 점을 유의해야 할 것이다.

      • KCI등재

        天津方言的特征及使用现况考察

        송위수(Song, Wei-Xiu),나민구(Na, Min-Gu) 대한중국학회 2020 중국학 Vol.72 No.-

        天津是中国北方最大的经济商贸中心,天津方言是天津地域文化的典型代表,天津方言生动形象,是中国语言文化花园中的一朵奇葩,天津人幽默风趣的性格主要体现在天津方言中。天津方言并不是指天津全部区域内人们使用的语言,通常指的是天津市内六区及西郊和南郊一部分、东郊小部分本地居民所使用的方言,它是一种特殊的方言岛现象。二十世纪八十年代开始一些社会语言学专家致力于对天津方言的考察研究。本文简明介绍了天津方言岛的形成历史,语音特征和特殊词汇,重点是通过发放实际的问卷调查,考察目前天津方言的使用现状及人们对天津方言的态度,分析天津方言使用情况变化的原因,展望天津方言未来的发展前景,期望更多学者研究天津方言,对天津方言的保护和宣传起积极的作用。 Tianjin is the largest economic and trade center in northern China. Tianjin dialect is a representative dialect of Tianjin local culture. Tianjin dialect is a vivid and wonderful flower in the garden of Chinese language and culture. The simple and unsophisticated folk customs of the people of Tianjin produced the warm and humorous qualities of the Tianjin people, which are mainly reflected in the Tianjin dialect. The Tianjin dialect does not refer to the language spoken by people in every part of Tianjin. It usually refers to the dialect spoken by local residents in six districts of Tianjin, parts of western and southern suburbs and parts of eastern suburbs. It is a special phenomenon of dialect island. Since the 1980s, some social language experts have devoted themselves to studying Tianjin dialect. This paper briefly introduces the formation history, phonetic characteristics and special vocabulary of Tianjin dialect island. Through the actual survey, the emphasis is to investigate the current situation of Tianjin dialect and the people s attitude toward Tianjin dialect, analyze the reasons for the change in the use of Tianjin dialect, and forecast the development prospects of Tianjin dialect in the future. More scholars are expected to study Tianjin dialect and study Tianjin dialect. The protection and propaganda of words play a positive role.

      • KCI등재

        새로 발굴한 방언(16)

        박경래,이기갑,강영봉 한국방언학회 2017 방언학 Vol.0 No.25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introduce and investigate the new dialect words that are used in a regional dialect in Korea. Eleven dialect words are introduced in this paper. This eleven dialect words are all the important linguistic material from the lexical and cultural point of view. This dialect materials were recorded from native speaker's dialogue or dictation. This dialects include three new words in Chungcheong-do and Jeolla-do and five new words in Cheju-do dialect. Chungcheong-do dialect words were written by Park Kyeongrae(Semyung University). Cheju-do dialect words were written by Kang Youngbong(Cheju University) and Jeolla-do dialect words were written by Lee Kigab(Mokpo University). We set out the standard word corresponds to dialect, a part of speech, a definition of the dialect word, a diversity forms of the each dialect word, related area, illustrative sentences and explanation to each dialect word. We can find through this work that the new dialect words makes significant contribution to study of the dialect. And the new dialect words enrich our vocabulary. 이 글은 우리의 일상생활에서 쓰이는 말이지만 국어사전에는 등재되어 있지 않은 방언 어휘를 새로 발굴하여 소개하는 열여섯 번째 연재물이다. ‘새로 발굴한 방언(16)’에 소개하는 어휘는 충청도, 전라도, 제주도 지역의 토박이 화자들이 지금도 사용하고 있으면서 어디에도 소개된 적이 없는 열한 개다. 어떤 어휘는 소멸 위기에 처해 있거나 새 말로 대체되어 가고 있기도 하고, 어떤 어휘는 지금도 일상생활에서 활발히 쓰이고 있다. 이들 어휘는 대응 표준어를 찾기 어렵거나 대응 표준어가 있더라도 의미나 형태, 용법 면에서 많은 차이를 보이는 것들이다. 충청도 방언 어휘는 충청북도 보은 지역 화자에게 조사한 것으로, ‘쭉정이를 걸러내고 남은 잘 여문 알곡’을 뜻하는 말인 ‘원수지’와 ‘곡식 수염이나 흙덩어리, 거름 덩어리를 잘게 부수다’의 뜻으로 쓰이는 ‘몽굴루다’, 그리고 ‘어떤 일이나 행위를 하는 끝에 이어서 줄곧’의 뜻으로 쓰이는 ‘내바지’ 등 세 개가 소개되었다. 제주도 방언 어휘는 ‘집을 지을 때, 바깥벽을 쌓다가 조금 남겨 마감한 맨 윗부분’을 뜻하는 ‘갯취’, ‘두 가닥의 줄을 하나의 단단한 줄로 만들 때, 뒤에서 돌리는 나무 도구’를 뜻하는 표준어 ‘돌물레’에 대응하는 ‘먹호렝이’, ‘둥근 쇠 테두리에 발이 세 개 달린 기구’를 뜻하는 표준어 ‘삼발이’에 대응하는 ‘바레기’, ‘걸을 때 발걸음을 옮겨 놓는 모습’을 뜻하는 ‘발쎄’, ‘낙숫물이 떨어지는 자리로 돌려가며 박은 돌’을 뜻하는 표준어 ‘댓돌’에 대응하는 말로도 쓰이고 ‘비가 올 때 신이 젖지 말라고 골목 양쪽 가장자리나 한가운데로 연이어 박은 돌’을 뜻하는 말로도 쓰이는 ‘숙전’ 등 다섯 개가 소개되었다. 그리고 전라도 방언 어휘는 ‘상대에게 말을 걸 때 부르는 말’로 쓰이는 표준어 ‘여보세요’에 대응하는 ‘에말이요’와 ‘물건을 사고 값을 치를 때 돈을 내밀면서 하는 말’로 쓰이는 표준어 ‘옜소’에 대응하는 ‘에씨요’, 그리고 ‘남편보다 손위의 남자, 즉 시아주버니나 동네의 남자 어른을 가리키거나 부르는 말’로 쓰이는 표준어 ‘아주버니, 서방님’에 대응하는 ‘아잡씨’ 등 세 개가 소개되었다. 어떤 어휘는 다른 어휘들과 함께 어휘체계 내에서 살펴보는 것이 효과적이고, 어떤 어휘는 형태나 의미면에서 독자적인 성격을 가지는 것들도 있다. 또한 개념적인 의미는 같거나 비슷하지만 사회문화적인 배경을 달리하여 얼마간의 의미 차이를 보이는 것들도 있다. 이 때문에 방언형과 표준어형을 일 대 일로 대응시키는 것은 위험하다. 이 글에 소개한 방언 어휘가 사용되는 지역이라고 언급한 지역 외의 다른 지역에서도 사용되는 경우도 있고, 어형은 같지만 지역에 따라 의미나 용법, 기능 면에서 여기에 소개한 표제어와 다른 경우도 있다. 또한 방언형이 표준어와 동일한 형태로 쓰이지만 의미 범주나 용법이 표준어와 다를 수도 있다는 점에 유의해야 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