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응용언어학적 관점에서 정리한 영어 관사의 사용법

        김정란 서울神學大學校 2005 교수논총 = (A)collection of treatises Vol.17 No.-

        How to use English articles (and how to teach their proper uses to students) is a perpetual problem for non-native speakers of English, especially for Korean speakers, whose native language lacks the article system. However, the author believes the challenge can be met if we utilize linguistic theories and knowledge and modify them. Heim's and Russel's theories on definite and indefinite NPs are introduced in an informal, revised version especially with the teaching situation in mind. And it is shown a lot of cases of English definite and indefinite NPs can be explained either in terms of Heim(1982) or Russel(1905).

      • KCI등재

        용해, 확산, 분출의 정의와 교과서 서술에 대한 재고찰

        박종윤 ( Jong Yoon Park ) 한국과학교육학회 2011 한국과학교육학회지 Vol.31 No.6

        Previous studies showed that many secondary school students and teachers have difficulties in distinguishing the phenomena of dissolution and diffusion, as well as the phenomena of diffusion and effusion. In this study, currently accepted term definitions of dissolution, diffusion and effusion were searched from the IUPAC Gold Book and the physical chemistry textbooks, and the points to differentiate the definitions were sought. Also, the term definitions of these three phenomena in the secondary school text books and the college general chemistry textbooks were surveyed and compared to the currently accepted definitions. It was found that dissolution is formation of one new phase from mixing two phases, while diffusion is the migration of matter down from the concentration gradient. The "concentration gradient" is considered to be a key point to distinguish diffusion from the dissolution. However, the concentration gradient was not mentioned in the definitions of diffusion in most of the secondary school textbooks and the college general chemistry textbooks. Effusion is differentiated from diffusion by the gas molecules escaping from the container through a tiny hole without collision. The definition of effusion was not found in most of the secondary school textbooks.

      • KCI등재

        한국어 사전에서의 연결 어미의 뜻풀이에 대하여

        이은경 ( Yi Eun-gyeong ) 인하대학교 한국학연구소 2016 한국학연구 Vol.0 No.41

        본 논문에서는 한국어 사전에 제시된 연결 어미 뜻풀이의 문제점을 체계성과 일관성의 측면에서 분석하여 한국어 사전에서 연결 어미의 뜻풀이를 제시할 때 고려해야 할 점들을 검토하였다. 2장에서는 한국어 사전에서의 연결 어미 뜻풀이를 체계성의 관점에서 검토하였다. 각 사전 내에서 동일한 의미 범주에 속하는 연결 어미의 의미 범주 관련 정보를 기술할 때 각기 다른 용어를 사용하여 뜻풀이가 체계적이지 않다는 점을 살펴보았다. 3장에서는 한국어 사전에서의 연결 어미 뜻풀이를 일관성의 관점에서 검토하였다. 첫째, 연결 어미의 관계 의미의 기준을 어디에 두고 기술하였는지를 검토하였다. 한국어 사전에서는 대등적 연결 어미의 경우는 대체로 선행절과 후행절의 관계 의미를 기준으로 기술하여 일관성을 보였으나, 종속적 연결 어미의 경우는 후행절에 대한 선행절의 관계 의미를 기준으로 뜻풀이를 하기도 하고 그렇지 않은 경우도 있어 일관성을 보이지 않았다. 둘째, 한국어 사전의 뜻풀이에서 사용하는 선행절 및 후행절 관련 문법 용어가 일관성을 보이지 않았다. 셋째, 한국어 사전에서는 연결 어미 뜻풀이의 형식도 다양하게 사용되어 일관성을 보이지 않았다. 넷째, 한국어 사전의 연결 어미 뜻풀이에서는 뜻풀이 방식의 측면에서도 일관성을 보이지 않았다. The aim of this paper is to analyze the problems of the definition of connective endings in Korean dictionaries. When we define the meaning of connective endings in Korean dictionary, we must consider a systematic definition and consistent definition. In chapter 2, we examine whether the description of semantic category of connective endings in Korean dictionaries is systematic or not. The problem of systematic definition of connective endings in Korean dictionaries is that the same semantic category of connective endings is described in different terms. In chapter 3, we examine whether the definition of connective endings in Korean dictionaries is consistent or not. The definition of connective endings in Korean dictionaries is inconsistent in the matter of the criteria of a description of semantic relation on clause linking, the use of grammatical terms, the form of definition, and the method of definition.

      • KCI등재

        슬라브어 단일언어사전에서 공간 어휘의 의미기술 - “오른쪽”, “왼쪽”을 지시하는 슬라브어 어휘를 중심으로-

        정정원 한국슬라브어학회 2019 슬라브어연구 Vol.24 No.2

        The article examines the definitions of the Slavic words referring to “left” and “right” in Russian, Polish, Czech, BCS, and Bulgarian monolingual dictionaries. Many English and Korean monolingual dictionaries describe “Right” as “the side of your body that is to the east if you face the north” and “Left” as “the side of your body that is to the west if you face the north”. Those cannot be the best definitions because the explaining concepts “North”, “South”, “East”, “West” are more complicated and more abstract than the explained concepts “Left” and “Right”. Moreover, “North” and “South”, on their turn, are sometimes defined as “the right/left direction of your body, if you face the east” in many monolingual dictionaries, making a chain of circular definitions. On the other hand, Slavic and other European monolingual dictionaries share the similar definition of “Left”, describing it as “the side of the body where the heart is located”, which must have begun in Le Dictionnaire de l'Académie Françoise in the 18th century and expanded to other European language dictionaries because it is more intuitive and persuasive. As for “Right”, Russian dictionaries define it as “the side that is opposed to the left”, whereas many other Slavic and European monolingual dictionaries describe it as “the side of body where the heart is not located”. The latter description seems to be better and the “heart” also can function as a core concept in defining “Right”. Some Slavic dictionaries distinguish between “the absolute left/right side” with their own inner directions (e.g. the left/right hand, leg, eye, etc.) and “the relative left/right side” varying depending on the observant’s position (e.g. the left/right tree, street, person etc.), while others do not, though they differ in semantic and syntactic valency. The definitions of “the political left / right” are very similar in most Slavic monolingual dictionaries. The Slavic dictionaries written during the Cold War describe “the political right” with negative words, while using more neutral words in describing “the political left”. Some Russian monolingual dictionaries written or revised after the collapse of the Soviet Union continue to define “the political right” with non-neutral words, such as “hostile to the progress (враждебный прогрессу)” and “reactionary(реакционный)”, though now in Russia, “the political left”, such as the Russian Communist Party (КПРФ), oppose to new social and political changes and propose retrospective, reactionary policies. Historically, “Right” obtained positive connotations in Slavic language as well as in many other languages, while “Left” – negative connotations, because the overwhelming majority of people are right-handed. The Slavic dictionaries describe “Right”s derived positive meanings, such as “guiltless”, “correct”, “just”, “genuine”, “noble”, “legal”, etc. and “Left”s derived negative meanings, such as “secondary”, “illegal”, “clumsy”, etc. above all, with the help of their synonymous adjectives¸ but this kind of description is undesirable, because it can cause a circular definition. Though the fixed phrases, idiomatic expressions and derived forms are very important element in a dictionary that can help the users expand their vocabulary, they are added after the given word’s definition only in the Great Dictionaries such as the 17-volumed Russian dictionary БАС and the 15-volumed Bulgarian dictionary РБЕ, and 19-century Russian dictionary СД, and sometimes they even lack the proper definitions.

      • KCI등재

        지식, 사용, 그리고 지시

        김보현 대동철학회 2019 大同哲學 Vol.87 No.-

        기술적 지시론은 화자가 이름을 사용하여 대상을 지시하는 것은 대상이 유일무이한 특 성을 지니고 있으며 화자는 그것을 알고 한정기술구로 표현할 수 있기 때문이라고 말한다. 이에 반하여, 인과 역사적 지시론은 화자는 이름을 고리에서 고리로 전달하는 언어공동 체의 일원이기 때문에, 이름사용자들 사이에 형성되어 대상에까지 거슬러 올라가는 소통 사슬의 도움을 받아 대상을 지시한다고 주장한다. 예를 들어, 어린애가 태어나서 그의 부 모가 그에게 이름을 지어주고 친지들에게 그에 관하여 말하면, 사람들은 그를 그 이름으로 부른다. 그 이름은 다양한 소통수단을 통해 마치 사슬처럼 고리에서 고리로 퍼져 나간다. 인과 역사적 지시론자들은 기술적 지시론이, 지시체에 대해 잘못 알고 있거나 또는 거 의 모르는 사람도 그것을 지시할 수 있다는 사실을 제대로 평가하지 못한다고 비판한다. 그들은 다음과 같은 이유에서, 그들의 지시론이 기술적 지시론보다 더 나은 지시상(指示 像)을 제시한다고 주장한다. 즉, 그들의 지시론에서는 이름을 그 임자에게 연결하는 끈이 화자의 바른 지식이 아니라 사용된 이름들 사이의 고리사슬이고 그 결과 그 이론은 지시를 지식에서 해방시키고 위의 사실을 올바로 평가한다는 것이다. 인과 역사적 지시론에서는 이름은 이전의 이름에서 지시를 빌려오고 따라서 화자의 믿 음(지식)에 들어맞는 대상이 지시체가 되는 것이 아니기 때문에, 그런 지식이 필요 없다고 주장된다. 그러나 나는 그런 주장에 동의하지 않는다. 명명식에 참석한 사람들은 지시체에 관해 소위 대면지라는 것을 지니고 있다. 이들이 처음으로 사용하는 이름들은 지시를 빌려 올 이전 이름이 없고 따라서 지시체에 들어맞음으로써 지시체를 식별하게 하는 화자의 지 식(한정기술구)이 필요하다. 나는 이런 점에서 인과 역사적 지시론이, 최소한 부분적으로 는 기술이론의 반복이라고 본다. 그뿐 아니라, 명명식에서 최초 이름 사용자가 대상을 오인 함으로써 인과사슬 위에 있는 이름들이 모두 지시체를 지시하지 못 할 위험 또한 지적한다. The description theory of reference says a speaker can refer to an object by its name because the object uniquely possesses its properties which the speaker is to know and mention in the definite description. Compared to that, the causal-historical theory of reference asserts that a speaker can refer to an object with the help of a chain of communication going back to the object which has been established among the users of the name, for he is a member of a community which passed the name on from link to link. For example, when a baby is born and his parents give him a name and talk about him to their friends, people call him by that name. Through various means of communication, the name is spread from link to link as if it were a chain. Causal-historical Theorists criticize the description theory for not doing justice to the fact that even a speaker with false knowledge or without any knowledge of the referent can refer to it. They claim that the causalhistorical theory presents a better picture of the reference than the description theory, because for the former, the bond connecting the name to it's bearer is not the speaker's true knowledge, but the causal link among the used names; with the result that it liberates reference from knowledge and deals with the above fact correctly. The causal-historical theory is claimed not to need any true knowledge about the referent because a name borrows reference from its previous name lest the referent should be the object of which the beliefs (knowledge) are true. But I do not agree to this claim. The persons who were present at the naming ceremony have the so called knowledge by acquaintance about the referent. The names used first by those people have no previous name to borrow reference from and require a backing of the speaker s descriptions (knowledge) identifying the referent by its fitting them. In this respect I argue that the causal theory is at least partially a repetition of the description theory. In addition to that, I pointed out the danger that all the names on the causal link of the used names come to fail to refer to the referent owing to misidentification by the first speaker at the naming ceremony.

      • KCI등재

        ‘우리 마누라’와 험티덤티 문제

        최성호(Choi Sungho) 한국분석철학회 2016 철학적 분석 Vol.0 No.36

        일부일처제가 비교적 엄격한 혼인제도로 자리잡은 한국사회에서 복수 일인칭 대명사를 포함하는 ‘우리 마누라’라는 한국어 표현이 폭넓게 사용된다는 사실은 상당히 흥미로운 언어현상임이 분명하다. 어떻게 한국어를 사용하는 유부남들이 ‘우리 마누라’를 사용하여 자신의 부인을 가리킬 수 있는지에 대한 체계적인 설명이 요구된다 하겠다. 정대현은 최근 한정기술구에 대한 도널렌의 속성적/지칭적 용법의 구분을 통하여 그러한 설명을 시도하지만, 그것은 곧 강진호의 반대논변에 직면한다. 이런 배경 하에서 본 논문은 ‘우리 마누라’에 대한 정대현의 설명, 그리고 그에 대한 강진호의 반대 논변을 비판적으로 검토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먼저 필자는 정대현에 대한 강진호의 반대논변이 충분히 견고하지 못하다는 것을 논증할 것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필자는 ‘우리 마누라’에 대한 정대현의 설명이 틀렸다는 강진호의 생각에 동의하고, 이에 정대현에 대한 한층 견고한 반대논변을 제시할 것이다. Monogamy has been a strict social norm for Koreans for centuries. Curiously enough, however, the expression, ‘Uri manura’, whose wordfor-word English translation is ‘Our wife’, has wide currency among Korean speakers. How is it possible that a Korean-speaking husband can refer to his wife by using ‘Uri manura’? This cries out for a systematic theoretical explanation, semantic and/or pragmatic. Professor Daehyun Chung gives a shot at such an explanation by relying on Donnellan’s famous distinction between the referential/attributive uses of definite descriptions. But this has come in for Professor Jinho Kang’s severe criticism. Against this backdrop, the goal of this paper is to bring under scrutiny Chung’s explanation of how ‘Uri manura’ works and Kang’s criticism of it. Keeping this in mind, I will first find faults with Kang’s criticism and pronounce that it doesn’t hold water. But this doesn’t mean that I find Chung’s explanation agreeable. On the contrary, I will present what I take to be decisive criticisms of it, which is hoped to demonstrate, once and for all, that Chung’s explanation is a mistake.

      • KCI등재

        개념 정의 분석을 통한 평생교육학과 사회교육학의 학문적 정체성 탐색

        오혁진(Oh, Hyuk Jin) 한국평생교육학회 2009 평생교육학연구 Vol.15 No.4

        평생교육에 대한 관심의 증진에도 불구하고 평생교육학의 정체성에 대한 의문이 제기되고 있다. 이러한 정체성 혼란의 원인에는 ‘평생교육’ 개념의 모호성과 더불어 유관용어인 ‘사회교육’과의 복잡한 관계도 한 몫을 하고 있다. ‘평생교육학’이나 ‘사회교육학’의 학문적 정체성을 확립하기 위해서는 먼저 그 기초용어인 ‘평생교육’과 ‘사회교육’을 개념의 세 가지 정의방식인 기술적 정의, 조작적 정의, 강령적 정의로 분류한 후 각각의 학문적 성립 가능성을 검토해 보는 것이 필요하다. ‘평생교육’의 경우 세 가지 정의방식에 의한 개념 모두 독자적이고 차별화되며 객관적인 학문의 성립을 위한 기초로서 부적합한 것으로 분석된다. 한편, 학습의 관점에서 교육학을 재구성하려는 새로운 접근방식은 평생교육의 기술적 정의에 기초해 있으나 평생교육학과는 별개의 학문인 ‘평생학습학’으로 인식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사회교육의 조작적 정의에 기초할 때 응용학문으로서의 ‘사회교육학’이 성립될 수 있으며, 구체적인 현장과 대상, 모학문적 관점에 의해 다양한 하위분야로 구분될 수 있다. 현재 ‘평생교육학’은 ‘평생교육’ 개념의 슬로건적 성격으로 인해 사실상 ‘평생학습학’과 ‘사회교육학’을 포괄하고 있기에 정체성 확립이 필요하다. 또한 진정한 ‘평생교육학’은 ‘학교교육’과 ‘사회교육’을 통합하기 위한 별개의 응용학문으로 인식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과거의 역사적 전통을 계승한 사회교육학의 회복과 발전도 요구된다. In spite of specially increasing interest in lifelong education, there is also deep anxiety about identity crisis of the science of lifelong education. One essential cause of this crisis is the vagueness of the concept of 'lifelong education', and its complex relationship with the relevant concept of 'social education'. In order to establish the identities of the science of lifelong education and the science of social education, we must examine their basic concepts, i.e., 'lifelong education' and 'social education', with the criteria of three types of general definitions - descriptive definition, stipulative definition, and programmatic definition. In the case of 'lifelong education', it seems that all types of definitions are not suitable to establish independent, unique and objective science. And it is desirable that we designate the new theoretical approach which is trying to reconstruct educational logics in the view point of 'learning' as 'the science of lifelong learning'. And we can establish 'the science of social education' on the basis of stipulative definition of 'social education'. Also, we can devide it into many sub-areas according to specific fields, objects and viewpoints of various sciences in the background. The present science of lifelong education includes actually 'the science of lifelong learning' and 'the science of social education' together owing to its nature of slogan. So, we must discern between the two things, and it is desirable that we recognize the real 'science of lifelong education' as another specific applied science to integrate school education and social education.

      • KCI등재

        『백석시의 물명고』의 어석방법과 국어사전의 문제점

        고형진 고려대학교 한국어문교육연구소 2020 한국어문교육 Vol.30 No.-

        This article was written to introduce Definition method of 『Baek Seok Poetry’s Mulmyeong Go』, and to present the problems and complementary points of the current Korean dictionary based on the usages tried in Baek Seok’s poems. Poets usually transcribe words acquired from their life experiences into poetry, thus, an attempt is made to interpret these words through the analogy of similar words and also by trying to interpret them in a word form analysis, assuming that the words used will remain at least in the literature. Also, pictures and maps are attached in addition to definitions because they complement the limitations of the textual descriptions. Baek Seok used the words that he acquired from his life, and he spoke the perfect standard Korean language, so his poems serve as an important basis for judging the correctness of definitions in Korean dictionary. Based on this point and based on their usage in Baek Seok’s poetry, entry words needing to be modified in Korean dictionary were identified. In addition, it was pointed out that, in Korean dictionary, only a small portion of the usage is given, and that, in Baek Seok’s poems, there are many good examples to complement this. Finally, it was pointed out that in the case of vocabulary regarding plants, adding feature descriptions of their appearances would help make Korean dictionary more useful. 이 글은 백석 시어 분류사전인 『백석 시의 물명고』에서 시도한 어석 방법을 소개하고, 이 사전을 통해 확인된 백석 시의 용례를 바탕으로 현행 국어사전의 문제점과 보완점을 제시하기 위해 쓰여 졌다. 시인들은 자신의 생활체험에서 체득한 말을 시로 적기 때문에 그가 구사한 시어들은 적어도 그 유사단어의 흔적이 문헌들에 남아 있고, 말을 만들어 쓰는 경우에도 있는 말을 조합해서 쓴다는 점에 착안하여 이 책에선 유사단어의 유추와 형태분석의 시도를 통해 난해어의 어석을 시도하였다. 또 그림은 문자적 설명의 한계를 보완해주고, 지도는 등고선을 비롯한 지도표시를 통해 독자들에게 상상을 통해 사진 보다 훨씬 더 광범위한 경치를 떠올리게 해 주기 때문에 어석에 그림과 지도를 첨부하였다. 백석은 평안 방언과 함경 방언, 그리고 표준어를 모두 정확히 구사했기 때문에 그의 시들은 국어사전의 정오를 판단하는 데 중요한 근거가 된다는 점에 착안하여 백석시의 용례를 바탕으로 현행 국어사전에서 수정 내지는 보완할 필요가 있는 표제어들을 제시하였다. 현행 국어사전엔 용례가 누락되거나 부실한 경우가 많은 점을 지적하고, 북방 어휘와 표준어를 다양하고 정확하게 구사한 백석 시에 이를 채워 줄 좋은 용례가 많다는 점을 구체적인 사례를 통해 소개하였다. 마지막으로 식물 어휘의 경우 과학적 사실의 설명에 기초하되, 외양의 특징에 대한 묘사를 첨가해야 보다 실효성 있는 국어사전이 될 수 있음을 지적하였다.

      • KCI등재

        러셀의 기술이론과 그에 대한 스트로슨의 비판

        최용호 범한철학회 2010 汎韓哲學 Vol.58 No.3

        러셀의 기술이론은 분석적 전통의 핵심적 논의 주제였고 현재까지도 논의되고 있다는 점에서 지난 100년 동안의 언어철학에 큰 전환점이 되었다고 할 수 있다. 이 논문의 목적은 기술이론을 그 의미론적 측면에서 검토하는 데 있다. 그런데 기술이론은 많은 부분을 프레게의 의미론에 의지하고 있다. 따라서 프레게의 의미론을 먼저 살펴본 다음, 러셀이 프레게의 의미론의 어떤 점을 수용하고 어떤 점을 거부하는지를 살펴본다. 나아가 러셀의 의미론이 기술이론에서 어떻게 작동하는지도 살펴본다. 그런 다음 사용 개념에 입각해서 기술이론을 비판하려는 스트로슨의 입장을 음미한다. 이 둘 사이의 요점을 음미하다보면 러셀과 스트로슨은 상이한 언어관을 갖고 있음을 알 수 있다. 그렇지만 그러한 언어관의 차이는 근본적으로 그들의 철학관의 차이, 그리고 진리관의 차이에서 일어난다. Russell’s Theory of Descriptions has become one of the Archimedian points in the philosophy of language during the past 100 years, to the extent that it was and is key issue in analytic tradition. This paper aims to examine what is Russell’s semantics in his Theory of Description. But the theory is depending on Frege’s semantics in various aspects. Thus it needs to be examined Frege’s one frist, and Russell’s later. Furthermore I consider how Russell’s semantics is working in his theory. And then the point of Strawson’s view is examined that attempts to criticize the theory by concept of use. Finally, we will see that there are two different kinds of the views of language for them. But we will see that the difference is caused by their views of philosophy and by their views of truth.

      • KCI등재

        The Evolution of Grammatical Description in Late Antiquity and the Early Middle Ages

        Jang, Jee Yeon 한국서양고전학회 2010 西洋古典學硏究 Vol.40 No.-

        이 논문은 고대 후기와 중세 초기의 라틴어 문법서의 특성을 살펴봄으로써 이 두 시기에 나타나는 라틴어 문법학의 발전 양상을 파악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라틴어 문법이 가지고 있는 교육적 목적과 언어로서의 라틴어에 대한 접근 방법은 라틴어가 사용되던 각 시대의 사회적, 종교적 상황에 따라 다르게 나타난다. 고대 라틴어 문법의 용도는 수사학적 글쓰기와 문학의 올바른 해석을 위한 준비 작업이었던 반면, 중세 초기에는 기독교의 언어로서의 라틴어의 위상이 확립됨에 따라 신앙을 위한 언어 교육의 목적이 전면에 부각되었다. 중세 초기의 문법학자들은 고대부터 전해져 내려온 라틴어 문법서들을 기독교화시켰고, 고대 문법서에서는 상세히 다루어지지 않았던 라틴어의 어형변화에 더 많은 중점을 둔 문법서들을 만들었다. 9 세기에는 여러 세기에 거쳐 공고히 기반이 다쳐진 라틴어 문법 지식에 기초하여 문법학과 논리학의 접목을 시도하려는 경향이 나타났다. 이것은 라틴어로 대변되는 언어 자체에 대한 이론적 사유의 시발점으로 작용하여 12 세기 이후 문법학의 발전에 큰 영향을 끼쳤다. This article aims to provide a general overview on the Latin grammatical tradition in Late Antiquity and the early Middle Ages focusing on the distinctive features of the grammatical works produced in each period. The purpose of grammatical teaching and the attitude towards the Latin language were changed after the establishment and expansion of Christianity as the official religion of Western Europe. In Antiquity the grammatical instruction was regarded as the preparatory work for the rhetorical composition and the correct interpretation of literary works. When the Latin language has become the language of the Church, there arose an urgent need to reshape the traditional Latin grammars into the grammars suitable for Christian students. At the same time, Latin had to be learned by the students all over the Western Europe who had almost no knowledge of the language. These kinds of situation led to the development of Latin grammars with much more emphasis on the formal aspects of the language. In the early ninth century, scholars and teachers began to investigate the Latin language per se and they found a way of integrate grammar and dialectics through the medium of definition. Thus the Latin grammars and grammatical commentaries of the early Middle Ages successfully paved the way for more theoretical grammatical expositions which appeared from the twelfth century onward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