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춘향전』의 문화원형 연구

        하성백 ( Sung Baig Ha ) 택민국학연구원 2013 국학연구론총 Vol.0 No.11

        고전문학은 문화기호와 서사 구조로써 민족의 역사와 문화와 정서를 담고 있다. 민족 정서는 민족의 정체성을 규정하는 요소로서 어느 민족이 오래 전부터 사회문화적으로 고유하게 간직하고 있는 문화를 의미한다. 문화와 정서의 상관관계에 서한민족의 정서와 문화는 집단주의적 성향이 강하다. 그리고 오랜 역사 동안 한 민족의 공동체성이 강한 이유도 이러한 문화와 정서가 집단주의와 관계중심적으로 표출되었기 때문이다. 이렇게 문화와 민족정서가 연관이 있다. 문화와 민족정서의 상관관계가 있다면 문화원형도 민족정서와 상관관계의 논점으로 연구할 수 있는 가능성을 보여준다. 민족의 문화원형이 되려면 민족정서의 근원이 어디서부터 시작되었는지를 알아야 거슬러 갈 수 있다. 이러한 근원적 뿌리에서 시작된 민족적 정서라는 것은 넓은 의미에서 문화원형의 개념에 포함되는 것이다. 한민족 정서의 근원을 꼽으라면 대부분은 고유정서로서 ‘한’과 ‘흥’을 대표적으로 꼽을 것이다. 『춘향전』은 “단군신화”의 신화적 원형과 민족의 ‘열녀설화’,‘암행어사설화’, ‘신원설화’ 등의 근원 설화들이 시대를 거치면서 대중들의 소망을 담아서 삽입되었다. 그 삽입과정에서 민족의 정서에 부합되는 많은 ‘한’의 이야기들을 담고 있는 것으로 보여진다. 그래서 인구에 회자되고 시대를 초월해서 읽히고 각색되는 문학작품에는 민족의 문화원형적 요소들이 내포되어 있을 것이다. 그래서 오늘날 가치 있는 문화원형을 고전문학에서 찾고 있다. 한국과 중국과 일본은 같은 동양문화권에 속해 있으면서도‘한’을 대하는 민족의 정서가 다르다. 역사와 지리적 풍토에서 집단공동체가 형성되어 내려오는 과정에서 쌓여서 생긴 정서가 다르기 때문일 것이다. 그래서 한풀이 방식도 다르게 형성되어온 것이고, 각국의 문화 정서의 차이에서 결국 문화원형의 차이도 생기게 된 것으로 여겨진다. 그래서 한국의 고전문학 『춘향전』은 ‘한’을 푸는 이야기로, 일본의 “주우신구라”는 원수를 갚는 이야기로, 중국의 “와신상담”은 원한의 복수 이야기로 각국의 ‘원’의 문화원형을 상징하고 있다고 말할 수 있을 것이다. 고전문학 『춘향전』은 순수한 연애와 평등사상을 고취한 반봉건적 시대각성을 고취하는 민족문학으로서 조선조 문학의 최대걸작으로 꼽힌다. 폭군적인 변학도에 맞서 수절의식을 표방하면서 신분상승을 성취해가는 춘향의 모습은 ‘한’과 ‘신명’의 감정이입을 대중에게 누리도록 해 주었던 것이다. 『춘향전』은 이처럼 주제에서 ‘한’과 ‘흥’의 민족정서와 상관관계를 가지고 있다. 고전문학 『춘향전』은 사랑이라는 영원한 주제와 시대극복정신의 주제를 가지고 있어서 민족 정서와의 상관관계를 가지고 있다고 할 수 있다. 『춘향전』에서 보이는 서사와 등장인물들의 정서도 고난과 인내의 전개를 통해서 민족정서의 뿌리와 맥을 같이 하고 있음을 보여준다. 『춘향전』이 민족정서와 유관한 이유를 밝히기 위하여 단군신화의 신화적 원형의 이야기 성립 배경과 서사 구조를 비교해서 살펴보면 문화와 민족정서의 문화원형적 요소들이 연관되어 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춘향전』에서 춘향이의 ‘되다’의 정서는“단군신화”에도 담겨져있던 신화원형을 이어받아 온 것 같다.“단군신화”가 한민족의 영원한 신화원형이라면 『춘향전』은 문화원형이라는 다른 이름으로 민족의 문화예술 속에 영원히 이어져 가고 있다. 문화와 민족정서의 관계가 있듯이 문화원형도 민족정서와 상관관계가 있다는 것을 『춘향전』의 서사, 주제, 등장인물을 분석하여 연관지을 수 있었다. 이를 토대로 보면 『춘향전』의 정서가 민족정서와 부합되며 대변하고 있기에 문화원형으로서의 가치를 인정받을 수 있다고 여겨진다. 본 고는 『춘향전』의 문화예술의 미학적 이야기에서 문화원형적 소재를 밝히는 연구를 하고자 한다. 연구방법으로는 구조주의 서사학 중 사이무어 체트먼(Symour Chatman)의 서사구조방법론을 사용한다. 서사분석을 통해서 『춘향전』은 ①영원성, ②시대성, ③민족성, ④다면성의 네가지 주제에서 한민족의 문화원형을 내포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그러므로 『춘향전』의 작품 속에는 한민족의 정서를 대표하는 문화원형을 내포하고 있다고 말할 수 있다. 이 문화원형으로서 보편적이며 고유한 민족정서는 부단히 시대를 초월해서 민족의 마음을 고무하기 위해 부활된다. 본 고는 『춘향전』의 문화원형을 통하여 고전문학이 가지고 있는 문화예술의 미학적 가치를 연구하였다. 이를 바탕으로 문학에서의 문화원형 가치의 중요성이 높아지고, 많은 고전문학에 내재된 문화원형이 개발되어 대중의 요구에 맞게 시대적 현실을 반영하여 재창작되기를 기대한다. 그래서 인문학의 중요성이 더욱 인식되고, 인문학에 내재한 문화 원형의 가치에 대한연구가 활발해지기를 기대한다. Classic literature holds the nation`s history, culture, and the sentiments as a cultural symbol and narrative structure. Racial sentiments as the element of the regulatory elements of ethnic identity, it means the unique socio-cultural culture that any nation kept for a long time. On the correlation between sentiments and culture of Korean people have a strong group inclination. Also a strong reason why one nation with the long history of community has such a stong group inclination is that its culture and sentiments were expressed in relationship-centered way. In such a way culture and racial sentiments are associated. If there is correlation between cultural and racial sentiments, cultural prototype also shows the possibility of researching in correlation issues. To be a racial group`s cultural prototype, we need to know where the cultural sentiment`s source started. This kind racial sentiment that started in the roots of this fundamental concept is included in a broad sense of cultural archetype. If we are to choose the source of racial sentiments of Koreans, it would most likely be “sad” and “happy”. "Chunhyang-jeon " has been inserted the wishes of the masses through the ages of the “Dangun myth`s” mythical archetype and ethnic ``narrative of a woman of chaste``, ``narrative of a royal secret inspector’ and ‘narrative identity’. It is believed that many stories contain ``sad’. The adaptation of literary works that are read and talked about through the people timelessly, there must be the elements of the ethnic group`s cultural archetype. So these days we are looking for valuable cultural archetype in the classical literatures. Though Korea, China and Japan belong to the same oriental culture, it is different how one nation thinks of “sad”. Different emotions of these three countries are due to its history and geographic climate in the process of the formation of community groups. So the spite way has been formed differently, and it is considered that there are differences in the cultural prototype due to the difference in their cultural sentiments of these countries. So Korea`s "Chunhyang-jeon " is the story of releasing “sad”, Japan`s “Chusingura” is the story of vengeance and China`s “anger” is the story of revenge. They represent each country`s cultural archetype. The classical literature "Chunhyang-jeon " is regarded as a masterpiece of the Joseon Dynasty literature which awakens pure love and idea of equality which was anti-feudal in that era. Chunhyang`s avocation of fidelity while achieving upward mobility of status against the tyrants Byun Hak-Do, gave the public enjoyment of empathizing their own ‘sad’ and ‘excite’. "Chunhyang story`s” theme has correlation between racial sentiments` “sad” and “happy”. The the classic literature "Chunhyang-jeon " have correlated with the subject of the eternal theme of love and the spirit of the age to overcome the racial sentiments. The characters` sentiments and narratives have the racial sentiment`s roots and legacy through the development of suffering and patience. When you compare the background of Dangun myth`s mythical archetype of establishedment and narrative sturcture we can see that culture and the elements of racial sentiment`s cultural archetype are correlated. "Chunhyang story`s" Chunhyang`s “became” is rooted from Dangun myth. If “Dangun Myth” is Korean`s eternal mytical archetype, then “Chunhyang story” is continued its name as cultural art. As there is a correlation between culture and racial sentiments, there are correlation between cultural archetype and racial sentiments and we can see it by analyzing “Chunhyang story”`s narratives, themes, and characters. Based on this, “Chunhyang story”`s sentiments and racial sentiment are matched up and credited that it can be valued as cultural archetype. In this research, I want to study "Chunhyang-jeon " as the subject matter of cultural archetype from it aesthetic story. I use Symour Chatman`s narrative stracturalism as method of this study. Through narrative analysis of four different themes, we can see that "Chunhyang-jeon " contains (1) eternality, (2) time period, (3) ethnicity (4) various aspects of cultural archetype. As cultural archetype, it will inspire the hearts of the nation through its timeless and universal racial sentiments. Through this research of "Chunhyang-jeon "`s cultural archetype, we studied the aesthetic value of art in the classical literature. Based on this we expect to see the increse in the importance of racial archetype in literature and to reflect the comtemporary realities in classical literature through the development and recreation of cultural archetype in various classical literatures.

      • KCI등재

        원불교 문화원형의 의의와 활용 방안

        신광철 ( Kwang Cheol Shin ) 한국신종교학회 2009 신종교연구 Vol.21 No.-

        오늘날 문화산업은 21세기 인류 사회를 이끌어 갈 핵심 동력 산업으로 주목 받고 있다. 문화산업의 부각과 함께 중요성을 더 해 가고 있는 것이 문화콘텐츠이다. 문화콘텐츠 창작의 열쇠를 이루는 것이 그것의 원천 자료를 확보하는 것이다. 문화콘텐츠 창작을 위한 원천자료 확보 작업이 진행되면서, 문화의 원형적 요소에 대한 관심이 증폭되고 있다. 종교는 가장 중요한 문화원형 가운데 하나이다. 종교 문화원형의 발굴, 정리 및 활용에 대한 모색은 문화콘텐츠 창출의 토대 구축뿐만 아니라, 종교간 이해의 지평을 확대하는 데에도 도움이 될 것이다. 불교, 유교, 천주교, 개신교 등 거대종교의 경우, 이미 상당한 수준에서 문화원형의 활용이 이루어지고 있는 것에 비해, 민족종교의 경우 상대적으로 문화원형의 활용이 잘 이루어지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민족종교 문화원형에 대해서는 전체적인 관심과 함께, 개개 전통에 대한 실제적인 연구가 이루어져야 한다. 본 논문에서는 민족종교 문화원형에 대한 주제를 개괄적으로 정리하는 한편, 개별 전통 연구로서 원불교 문화원형의 발굴, 정리 및 활용방안을 모색하였다. 원불교는 민족종교 가운데에서도 문화원형 관련 인프라를 잘 구축하고 있으며, 활발한 문화 활동을 펼치고 있다. 원불교역사박물관, 성지, 아카이브 등 기본 인프라를 구축하고 있을 뿐만 아니라, 의례 및 수행에 있어서도 표준적인 체계를 정립해 가고 있다. 무엇보다도 원불교는 방송을 활용한 포교와 함께 디지털 네트워크를 통한 문화적 활동에도 깊은 관심을 지니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다음과 같은 몇 가지 논의를 실시하였다. 첫째, 원불교 문화원형의 의의를 설정하였다. 둘째, 원불교 문화원형 활용의 현황을 정리하였다. 셋째, 원불교 문화원형의 범위를 설정하고, 추가적인 문화원형 발굴 작업을 실행하였다. 넷째, 원불교 문화원형 활용의 구체적인 방향과 방법을 제시하였다. Current culture industry is now the center of attention as a core power of 21st century and cultural contents is becoming more important with it. The key of creating cultural contents is to secure its original source. Consequently, concern about archetypal elements is increasing. Religion is one of the most important cultural archetype. To explore ways towards discovery, arrangement, and application of religious cultural archetype will help not only in establishing basis for creating cultural contents but also in extending sphere of mutual understanding among religions. While huge religions like Buddhism, Confucianism, Christianity are already utilizing cultural archetype at a high level, the application of cultural archetype is not relatively active in ethnic religions(original Korean religions). As for ethnic religions, we need to do practical research about individual traditions along with total view of ethnic religions` cultural archetypes. On the one hand, I tried to arrange issues about ethnic religions on the whole, on the other hand, I attempted to find out ways for discovery, arrangement, and application of Won Buddhism`s cultural archetype as a individual study. Won Buddhism has built up well the foundation of cultural archetype and is doing cultural activity vigorously among ethnic religions. Won Buddhism has its history museum, holy places, and archive, and is setting up standard system in ritual and self-discipline. Above all, Won Buddhism has deep interest in cultural activity through digital network along with missionary work through broadcasting. I discussed about some issues in this essay as following. First, I attempted to set up the meaning of Won Buddhism`s cultural archetype. Secondly, I arranged the current situation of applying Won Buddhism`s cultural archetype. Thirdly, I tried to establish the bounds of Won Buddhism`s cultural archetype and to find out additional cultural archetype. Fourth, I proposed concrete direction and method to make the best use of Won Buddhism`s cultural archetype.

      • KCI등재

        아시아(Asia) 문화원형으로서 검무의 문화콘텐츠적 가치 -한국․인도․중국․일본 검무를 중심으로-

        정은영 한국체육철학회 2017 움직임의철학 : 한국체육철학회지 Vol.25 No.1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cultural content value of the sword dances of Korea, India, China and Japan as an Asian cultural archetype. Although the four countries' sword dances have the microscopic differentiation due to differences in cultural contexts and ecological environments, they share a common trait when viewed from a macro perspective. The sword dance as an Asian cultural archetype has religious and historical traditionality and archetypal value, as a typical cultural heritage embodied through intangible cultural forms. In addition, the archetypal cultural value of the sword dance refers to the potential cultural possibilities that source data can be collected and reconstructed, and utilized as various cultural contents. This cultural archetype is the object of preservation and utilization as a source of cultural contents. If the sword dance can be used as convergence with a variety of media technology fields and research contents as a unique cultural archetype, it will be a medium that allows us to recreate new values that we have not realized and to communicate them more effectively to the public. It will also make dancers develop new ideas and major themes in creative dance. As a result, the sword dance as Asian cultural archetype has the value of cultural archetype and potential, the value of ritual feature and festivity, cultural content applicability and economic value, etc. 본 연구는 아시아 문화원형으로서 한국, 인도, 중국, 일본 검무의 문화콘텐츠적 가치를 알아보는데 그 목적이 있다. 4개국의 검무들은 문화사적 문맥과 생태적 환경의 차이에 따른 미시적 변별성에도 불구하고 거시적 관점에서 관찰할 때 공통된 특질을 공유하고 있다. 아시아 문화원형으로서 검무는 무형의 문화적 형식을 통해 구현하는 전형적 문화유산으로서, 종교적 역사적 전통성 및 원형적 문화가치를 지닌 것이다. 또한 검무의 원형적 문화가치는 원천자료가 채취되고 다양한 문화콘텐츠로 재구성되어 활용될 수 있는 잠재적인 문화적 가능성을 지칭한다. 이러한 문화원형은 문화콘텐츠의 원천으로서 보존과 활용의 대상이 된다. 고유한 문화원형으로서의 검무가 다양한 매체기술 분야와의 융합 및 연구로 콘텐츠로서 활용된다면 우리가 미처 깨닫지 못한 새로운 가치를 재 창출해내고 그것을 대중들에게 좀 더 효과적으로 전달할 수 있게 해주는 매개체가 될 것이다. 더불어 무용가들에게 창작 춤에 새로운 아이디어나 주요 주제로 발전 할 수 있을 것이다. 결과적으로 아시아 문화원형으로서 검무는 문화적 고유성과 역사성의 가치, 문화원형성과 잠재성의 가치, 제의성과 축제성의 가치, 문화콘텐츠적 활용성과 경제적 가치 등을 지닌다고 하겠다.

      • KCI등재후보

        『춘향전』의 문화원형 연구

        하성백 택민국학연구원 2013 국학연구론총 Vol.0 No.11

        고전문학은 문화기호와 서사 구조로써 민족의 역사와 문화와 정서를 담고 있다. 민족 정서는 민족의 정체성을 규정하는 요소로서 어느 민족이 오래 전부터 사회문화적으로 고유하게 간직하고 있는 문화를 의미한다. 문화와 정서의 상관관계에 서 한민족의 정서와 문화는 집단주의적 성향이 강하다. 그리고 오랜 역사 동안 한 민족의 공동체성이 강한 이유도 이러한 문화와 정서가 집단주의와 관계중심적으로 표출되었기 때문이다. 이렇게 문화와 민족정서가 연관이 있다. 문화와 민족정서의 상관관계가 있다면 문화원형도 민족정서와 상관관계의 논점으로 연구할 수 있는 가능성을 보여준다. 민족의 문화원형이 되려면 민족정서의 근원이 어디서부터 시작되었는지를 알아야 거슬러 갈 수 있다. 이러한 근원적 뿌리에서 시작된 민족적 정서라는 것은 넓은 의미에서 문화원형의 개념에 포함되는 것이다. 한민족 정서의 근원을 꼽으라면 대부분은 고유정서로서 ‘한’과 ‘흥’을 대표적으로 꼽을 것이다. 『춘향전』은 “단군신화”의 신화적 원형과 민족의 ‘열녀설화’, ‘암행어사설화’, ‘신원설화’ 등의 근원 설화들이 시대를 거치면서 대중들의 소망을 담아서 삽입되었다. 그 삽입과정에서 민족의 정서에 부합되는 많은 ‘한’의 이야기들을 담고 있는 것으로 보여진다. 그래서 인구에 회자되고 시대를 초월해서 읽히고 각색되는 문학작품에는 민족의 문화원형적 요소들이 내포되어 있을 것이다. 그래서 오늘날 가치 있는 문화원형을 고전문학에서 찾고 있다. 한국과 중국과 일본은 같은 동양문화권에 속해 있으면서도 ‘한’을 대하는 민족의 정서가 다르다. 역사와 지리적 풍토에서 집단공동체가 형성되어 내려오는 과정에서 쌓여서 생긴 정서가 다르기 때문일 것이다. 그래서 한풀이 방식도 다르게 형성되어 온 것이고, 각국의 문화 정서의 차이에서 결국 문화원형의 차이도 생기게 된 것으로 여겨진다. 그래서 한국의 고전문학 『춘향전』은 ‘한’을 푸는 이야기로, 일본의 “주우신구라”는 원수를 갚는 이야기로, 중국의 “와신상담”은 원한의 복수 이야기로 각국의 ‘원’의 문화원형을 상징하고 있다고 말할 수 있을 것이다. 고전문학 『춘향전』은 순수한 연애와 평등사상을 고취한 반봉건적 시대각성을 고취하는 민족문학으로서 조선조 문학의 최대 걸작으로 꼽힌다. 폭군적인 변학도에 맞서 수절의식을 표방하면서 신분상승을 성취해가는 춘향의 모습은 ‘한’과 ‘신명’의 감정이입을 대중에게 누리도록 해 주었던 것이다. 『춘향전』은 이처럼 주제에서 ‘한’과 ‘흥’의 민족정서와 상관관계를 가지고 있다. 고전문학 『춘향전』은 사랑이라는 영원한 주제와 시대극복정신의 주제를 가지고 있어서 민족 정서와의 상관관계를 가지고 있다고 할 수 있다. 『춘향전』에서 보이는 서사와 등장인물들의 정서도 고난과 인내의 전개를 통해서 민족정서의 뿌리와 맥을 같이 하고 있음을 보여준다. 『춘향전』이 민족정서와 유관한 이유를 밝히기 위하여 단군신화의 신화적 원형의 이야기 성립 배경과 서사 구조를 비교해서 살펴보면 문화와 민족정서의 문화원형적 요소들이 연관되어 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춘향전』에서 춘향이의 ‘되다’의 정서는 “단군신화”에도 담겨져있던 신화원형을 이어받아 온 것 같다. “단군신화”가 한민족의 영원한 신화원형이라면 『춘향전... Classic literature holds the nation's history, culture, and the sentiments as a cultural symbol and narrative structure. Racial sentiments as the element of the regulatory elements of ethnic identity, it means the unique socio-cultural culture that any nation kept for a long time. On the correlation between sentiments and culture of Korean people have a strong group inclination. Also a strong reason why one nation with the long history of community has such a stong group inclination is that its culture and sentiments were expressed in relationship-centered way. In such a way culture and racial sentiments are associated. If there is correlation between cultural and racial sentiments, cultural prototype also shows the possibility of researching in correlation issues. To be a racial group’s cultural prototype, we need to know where the cultural sentiment’s source started. This kind racial sentiment that started in the roots of this fundamental concept is included in a broad sense of cultural archetype. If we are to choose the source of racial sentiments of Koreans, it would most likely be “sad” and “happy”. "Chunhyang-jeon " has been inserted the wishes of the masses through the ages of the “Dangun myth’s” mythical archetype and ethnic 'narrative of a woman of chaste', 'narrative of a royal secret inspector’ and ‘narrative identity’. It is believed that many stories contain 'sad’. The adaptation of literary works that are read and talked about through the people timelessly, there must be the elements of the ethnic group’s cultural archetype. So these days we are looking for valuable cultural archetype in the classical literatures. Though Korea, China and Japan belong to the same oriental culture, it is different how one nation thinks of “sad”. Different emotions of these three countries are due to its history and geographic climate in the process of the formation of community groups. So the spite way has been formed differently, and it is considered that there are differences in the cultural prototype due to the difference in their cultural sentiments of these countries. So Korea’s "Chunhyang-jeon " is the story of releasing “sad”, Japan’s “Chusingura” is the story of vengeance and China’s “anger” is the story of revenge. They represent each country’s cultural archetype. The classical literature "Chunhyang-jeon " is regarded as a masterpiece of the Joseon Dynasty literature which awakens pure love and idea of equality which was anti-feudal in that era. Chunhyang’s avocation of fidelity while achieving upward mobility of status against the tyrants Byun Hak-Do, gave the public enjoyment of empathizing their own ‘sad’ and ‘excite’. "Chunhyang story’s” theme has correlation between racial sentiments’ “sad” and “happy”. The the classic literature "Chunhyang-jeon " have correlated with the subject of the eternal theme of love and the spirit of the age to overcome the racial sentiments. The characters’ sentiments and narratives have the racial sentiment’s roots and legacy through the development of suffering and patience. When you compare the background of Dangun myth’s mythical archetype of establishedment and narrative sturcture we can see that culture and the elements of racial sentiment’s cultural archetype are correlated. "Chunhyang story’s" Chunhyang’s “became” is rooted from Dangun myth. If “Dangun Myth” is Korean’s eternal mytical archetype, then “Chunhyang story” is continued its name as cultural art. As there is a correlation between culture and racial sentiments, there are correlation between cultural archetype and racial sentiments and we can see it by analyzing “Chunhyang story”’s narratives, themes, and characters. Based on this, “Chunhyang story”’s sentiments and racial sentiment are matched up and credited that it can be valued as cultural archetype. In this research, I want to study "Chunhyang...

      • KCI등재

        문화원형 기반 캐릭터 콘텐츠산업의 OSMU 전략연구

        임원갑 동방문화대학원대학교 문화예술콘텐츠연구소 2023 문화와예술연구 Vol.23 No.-

        문화원형은 전통문화와 다른 의미로 해석된다. 한 사회의 주요한 행동양식이나 상징체계를 문화라고 한다면 문화원형은 민족 또는 지역의 특징을 잘 담고 다른 것과 구별되는 원래모습에 해당되는 문화라 할 수 있고 전통문화는 과거부터 현재에 이르는 사회의 관습이나 행동양식 등을 일컫는다. 문화원형을 한국문화콘텐츠진흥원에서는 ‘한국적인 정체성, 나아가 고유성을 가진 문화에 대한 원천자료를 지칭하는 것으로 문화원형은 콘텐츠 제작을 위한 원천소스 또는 원천자료‘라고 하였다. 문화원형이라는 말이 본격적으로 사용된 것은 20여년 된다. 2002년 문화관광부와 한국콘텐츠진흥원이 ’문화원형 디지털콘텐츠화 사업‘을 진행하면서 문화원형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게 되었고 문화원형이라는 말이 보편화되었다. 그러나 문화원형 발굴에 대한 결과물에 치중하다보니 다양한 산업에서 원천콘텐츠로 활용되지 못하고 있다. 1990년대 중반부터 대중문화를 중심으로 우리나라의 문화가 외국에서 인기를 얻는 한류는 우리나라의 한류(韓流)는 아시아를 넘어 국가를 초월하여 전 세계로 퍼져나가고 있다. 1990년대에 드라마와 영화를 시작으로 게임과 K-pop 등 다양한 형태의 문화를 전 세계인이 교감하고 있다. 무엇보다 한류는 소셜미디어, OTT 플랫폼들과 결합하여 동시 다발적으로 확장되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발굴사업을 통해 발굴된 문화원형과 그 밖에 무궁무진한 우리나라의 문화원형(Culture Archetype)에 대하여 더욱 다양해지고 있는 유통 채널을 활용하는 등 캐릭터 콘텐츠에 대한 OSMU(One Source Multi Use)를 확보할 수 있는 접근방법론과 활용 가능성을 고찰해 보고자 하였다. 우선 본 연구에서는 캐릭터 콘텐츠의 IP관리 체계와 OSMU의 전개 유형을 알아보고 문화원형을 기반으로 하는 OSMU 사례 등을 분석하여 문화원형을 기반으로 하는 캐릭터 콘텐츠의 OSMU에 대하여 전략적 관점에서 진흥방안을 제안하고자 한다. Cultural archetypes are interpreted in a different way from traditional culture. If a society's main behavioral pattern or symbolic system is called culture, the cultural archetype can be said to be a culture that contains the characteristics of a nation or region and is distinct from others, and traditional culture is the customs or customs of society from the past to the present. Refers to behavioral patterns, etc. The Korea Creative Content Agency defines cultural archetypes as ‘referring to source data on culture with Korean identity and uniqueness, and cultural archetypes are the original source or source material for content production.’ The term cultural archetype has been used in earnest for about 20 years. In 2002, as the Ministry of Culture and Tourism and the Korea Creative Content Agency carried out the ‘Cultural Archetype Digital Content Project’, interest in cultural archetypes increased, and the term cultural archetype became common. However, due to the focus on the results of discovering cultural archetypes, it is not being used as source content in various industries. Since the mid-1990s, the Korean Wave, in which Korean culture has gained popularity abroad, centering on popular culture, has spread beyond Asia and across the world. Starting with dramas and movies in the 1990s, people around the world are interacting with various forms of culture, including games and K-pop. Above all, the Korean Wave is expanding simultaneously in combination with social media and OTT platforms. Therefore, this study secured OSMU (One Source Multi Use) for character content by utilizing increasingly diverse distribution channels for the cultural archetypes discovered through the excavation project and the infinite number of other cultural archetypes in Korea. We attempted to consider possible approach methodologies and their potential for use. First, this study investigates the IP management system of character content and the development type of OSMU, analyzes cases of OSMU based on cultural archetypes, and proposes a promotion plan for OSMU of character content based on cultural archetypes from a strategic perspective.

      • KCI등재후보

        문화원형기반 창작아카이브의 특성과 활용방안에 관한 연구

        황동열,윤미화 한국무용기록학회 2007 무용역사기록학 Vol.13 No.-

        문화원형 소재는 민족 정체성을 표현하고 전통 문화자원을 디지털콘텐츠로 새롭게 재구성한다는 점에서, 경제적 가치와 문화적 가치를 모두 내포하고 있는 중요한 연구라 할 수 있다. 문화콘텐츠의 경쟁력 창출을 위해서는 문화원형이 전략적으로 발굴되고 개발될 필요가 있으며, 특정한 창작소재의 일환으로 이해할 필요가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문화원형 디지털콘텐츠 개발사업의 성과를 바탕으로 문화원형 창작소재 개발 및 활용 방안에 대하여 성찰하고, 경쟁력 창출을 위한 문화원형기반 창작아카이브의 역할 모델을 정립, 새로운 패러다임을 구축하는 방향을 점검하는데 그 목표가 있다. 연구 결과, 문화원형기반 창작아카이브는 이미 개발된 문화콘텐츠와 타 기관이 개발한 유사 콘텐츠를 분류체계에 의거 재분류, 체계화하고, 이를 토대로 신규 개발함으로써 창작소재의 활성화를 가져올 수 있으며, 나아가 콘텐츠의 스토리텔링(storytelling) 전환 및 문화원형의 활용과 OSMU(One Source Multi Use) 등의 확장된 기능을 통하여 공공재적 기능과 산업재적 기능의 두 축으로 활용되어 콘텐츠의 활용을 다양화하고 효율성을 제고할 것으로 보인다. 문화원형을 기반으로 한 창작아카이브의 궁극적 목표는 이러한 새로운 시스템 구축을 통한 자율적인 재생산 기반을 조성하여, 창작소재 활용을 극대화하고 선진화하는 것이며, 창작아카이브의 구축 및 운영은 글로벌 문화콘텐츠 선도국가 구현이라는 국가적 목표를 충족시켜주는 가장 확실한 대안이 될 수 있을 것으로 예측할 수 있다. To seek the elements of our cultural archetype, in the view of an expression of Korean identity and new reconstruction of traditional cultural resources into digital contents, could be very meaningful culturally and economically. To gain competitive cultural contents, it is necessarily required to discover cultural archetype strategically, and which should be also understood as a means to create certain items. In that sense, based on the existing performance that cultural archetype-digital contents development business has achieved, this study discusses mainly how to develop and use cultural archetype materials for creation and deals with the establishment of the role model of cultural archetype-based creation archive to have competitive edge and various measures to build a new paradigm as well. From several researches, cultural archetype-based creation archive could be obtained through re-classifying and systematizing the already-developed cultural contents and similar ones developed by other institutions. Moreover, we could expect that the application of contents would be more diversified along with its enhanced efficiency through contents' conversion into storytelling, cultural archetype application and the extend functions of OSMU(One Source Multi Use), which all will be used as two pillars of both public good function and industrial one. The ultimate purpose of creation archive based on cultural archetype is to lay a foundation for an autonomous re-production basis through such new system building-up, and maximize and advance the use of elements for creation. And it is predicted that building and operating creation archive will be undoubtedly the surest alternative to the realization of the government's ambitious hope of becoming a global leader with rich cultural contents.

      • KCI등재

        문화적 측면에서 미야자키하야오 작품연구

        임용섭 한국만화애니메이션학회 2019 만화애니메이션연구 Vol.- No.55

        This study is to analyze how the Japanese cultural archetypes were described in Hayao Miyazaki’s animations. The analysis subjects of animations were ‘The Princess Mononoke (1997),’ ‘The Wind Rises (2013),’ ‘My Neighbor Totoro (1988),’ and ‘The Spiriting Away of Sen and Chihiro (2001).’ Their cultural archetypes were classified in view of visual sense to be analyzed as three stratifications of cultural archetypes including ‘time axis,’ ‘spatial axis,’ and ‘subject axis.’ Hayao used the subjects of Japanese culture frequently in his works with Japanese background. Of course, the reason of frequent exposures with the subjects of Japanese culture is due to the uniqueness of Japanese traditional cultural format that is remained in the Japanese culture. Also, with respect to the subject selections of cultural archetype, he made tangible and intangible subjects related to Kami belief repetitively emerged in his works, which the cultural subjects were used as the critical tools to describe the narration or small tools with common background. Those who watched his animations may recall the subjects of Japanese culture in his works repeatedly used. Hayao’s repetitive expression methods of Japanese cultural archetypes can be considered to be successful in informing not only his animations but also Japanese culture. Moreover, Hayao’s review on the culture was not limited to Japanese cultural archetypes but to use the cultural archetypes from other countries as the subjects, demonstrating the intermediality relationship among cultures integrating with Japanese culture. What the author wants to reveal in this article are to develop the uniqueness of cultural archetype for the Korean animations although the same context of Hayao’s animations are developed and to broaden the utility and expandability rather than suggesting the subjects superficially so as to secure the interrelationship and seek the creative methods. 본 논문은 미야자키 하야오(Hayao Miyazaki)가 일본문화원형을 애니메이션 속에서 어떻게 표현하고 있는가에 대해 분석하였다. 연구 대상은 애니메이션 <모노노케 히메(The Princess Mononoke)>(1997), <바람이 분다(The Wind Rises)>(2013), <이웃집 토토로(My Neighbor Totoro)> (1988), <센과 치히로의 행방불명(The Spiriting Away Of Sen And Chihiro)>(2001)이며, 각 작품들 속 문화원형성을 시각적 측면에서 분류한 후 이를 다시 ‘시간 축’, ‘공간 축’, ‘주제 축’의 세 가지 문화원형 층위의 틀로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하야오는 일본을 배경으로 한 자신의 작품에서 일본문화 소재를 자주 사용한 것으로 나타났다. 물론, 이는 일본문화 속에 잔재(殘滓)하고 있는 일본 전통 문화양식의 특수성 때문일 것이다. 또 그는 문화원형 소재들 중에서도 유독 가미 신앙과 관련된 유·무형의 소재를 작품 속에 반복적으로 등장시켰다. 즉 이 문화 소재들을 서사를 풀어나가는 중요한 도구로, 또는 평범한 배경의 소도구로 사용한 것이다. 하야오의 애니메이션 작품을 자주 관람했던 수용자라면, 아마도 그가 반복적으로 사용했던 일본문화 소재들을 기억할 것이라 사료된다. 하야오가 계획한 일본문화원형의 반복·표출 방법은 그의 애니메이션뿐만 아니라 일본문화를 알리는 데도 큰 영향을 미쳤다고 볼 수 있다. 게다가 하야오의 문화에 대한 천착은 일본문화원형성 연구에 그치지 않고, 타국의 문화원형 소재를 일본문화와 혼합‧배치하는 시도로 나타났으며, 이를 통해 문화 간 상호매체성 관계를 보여주기도 하였다. 본 논문의 목적은 하야오와 같은 맥락의 애니메이션을 제작하지는 않더라도 한국 애니메이션을 위한 문화원형성의 특수성을 발굴하고, 소재의 평면적 제시가 아닌 그 활용성과 확장성을 넓혀 상호실증적 관련을 확보한 창작 방법이 필요함을 밝히는 데 있다.

      • KCI등재

        우리문화원형 디지털콘텐츠화사업의 산업적 활용도 증진을 위한 정책방안 개발

        임학순(Haksoon Yim) 서울행정학회 2006 한국사회와 행정연구 Vol.16 No.4

        The article concerns the public policy for promoting the cultural archetype digital contents, which were developed by the Korean Culture and Content Agency(KOCCA) since 2002, in terms of the cultural content business. The focus of the article is on the improvement of the policy relevance to the cultural content business, especially animation industries. For this reason, the article analyzes the value and characteristics of the cultural archetype digital contents as a subject matter of the cultural content in the field of the animation industries. As a result, it is not certain that the cultural archetype digital contents would be used as a subject matter of the animation industries. This uncertainty is associated with the fragmented interaction system among actors from the cultural content industries, the cultural archetype-related organizations and the public organizations. In addition, the classification system of the cultural archetype digital contents has not been established in terms of the cultural industries. Since the initial stage, the policy programs has sought to expand the development of the individual projects rather than the combination of the individual projects. The article concludes that the integrated policy strategies for the promotion of the cultural archetype digital contents should be established in a systematic way in the future.

      • KCI등재

        특집 : 한국한문학연구의 문화적 지평-콘텐츠화를 통한 현실과의 소통 ; 문화원형의 의의와 삼국유사

        고운기 ( Woon Kee Ko ) 우리한문학회 2011 漢文學報 Vol.24 No.-

        문화콘텐츠학에서 문화원형은 그 저변이자 창작소재로서의 의의를 지닌다. 더불어 콘텐츠의 창작소재를 찾아나갈 때에 우리 것의 순도(純度)와 정도(精度)를 가늠하는 잣대이다. 그러나 학계와 관련 단체에서는 창작소재를 문화원형이라 불러버렸다. 창작소재는 문화원형의 의의를 가진 데서 찾는자료이다. 창작소재가 곧 문화원형은 아닌 것이다. 이 논문에서는 먼저 이같은 관행을 바로 잡고자 하였다. 나아가 창작소재로서 전통문화가 어떤 문화원형의 의의를 가지는지 밝혔다. 창작소재의 문화원형으로서 성격을 다루는 것은 콘텐츠 개발의 방향을 잡을 수 있다는 데서 무척 중요하다. 그러자면 문화원형의 개념 규정을 보다 실제적인 차원에서 다시 시도해야 한다. 이를 위해서는 여러 소재의 검토에 입각한 귀납적 방법이 필요하다. 소재는 삼국유사를 중심으로 찾았다. 이 논문에서 자료의 검토를 통해 제시하는 문화원형의 유형은 심성원형(心性原形)과 행위원형(行爲原形)이다. 심성은 마음으로, 행위는 몸으로 현현(顯現)하는 공통적인 양태이다. 심성원형과 행위원형은 불가분의 관계 속에 하나가 되는 경우가 많다. 하나의 이야기 속에 내적으로 심성원형이 바탕을 이룬다면 행위원형은 외적으로 나타난다. 안과 밖은 결국 하나로 긴밀히 연관되는 까닭이다. Archetype implies significance since it provides the very foundation of culture contents academic area and it also possess values as sources for contents creation. In addition, it becomes a proper assessment standard of the degree of purity and precision of traditional culture. Nevertheless, the academia and the related organizations have been regarding sources for creation themselves as cultural archetypes despite of the fact that those sources actually are the materials extracted from the significance of cultural archetypes. So from the standpoint that cultural sources for creation is not exactly in accordance with cultural archetype, this study aims for straighten out those customary misconceptions Futhermore, the archetypal importance of traditional culture as source for creation is clarified in the study. That is, dealing with the character of sources for creation as cultural archetype is so significant that it is able to guide the right direction to further contents development. For that reason, the practical-level attempt on the definition of cultural archetype should be inevitable by priority, then inductive method based on the examination of various materials are necessary simultaneously. And the study primarily deals with the materials from Samkukyusa. The deducted categories of cultural archetype from the consideration of related documents in this study are mind-originated archetype and action-originated one, then both types have a concomitant feature under the circumstances that the former appears in mind and the latter in action. Both of them are mostly in an inseparable relation, and in case of a single narrative, mind-originated type formulates the internal basis, the other externally emerges. It is because that inside and outside have close correlation.

      • KCI등재

        청주의 문화원형을 통한 예술 콘텐츠 개발 사례 연구

        어일선,한정수,진운성 한국연기예술학회 2021 연기예술연구 Vol.21 No.1

        문화원형(Acrchetype)에 대한 관심은 문화관광부와 한국 콘텐츠 진흥원에서 진행한 ‘문화원형 디지털 콘텐츠화 사업’을 계기로 각계에서 관심이 촉발되었고, 이에 따라 한국의 역사, 전통, 풍물, 생활, 문화, 예술, 지리 등 다양한 분야에서 우리의 ‘문화원형’이 발굴되고 있다. 문화원형은 한국 문화 콘텐츠 연구 에서 중요하게 다루어지고 있으며, 문화원형에 대한 폭넓은 정의로는 전통문화 가운데 그 민족 또는 그 지역의 특징을 잘 담고 있어 다른 지역과 차별화된 문화를 지칭하고 있다. 충북지역 중에서도 청주는 문 화원형을 활용하여 문화예술 콘텐츠 개발의 필요성을 직시하고, 이에 따라 문화원형을 토대로 한 문화예 술 콘텐츠 개발에 힘쓰고 있다. 더불어 세계 최초의 금속활자인 ‘직지심체요절’ 등 청주가 가지고 있는 다양한 문화원형을 통해 연극, 영화, 뿐만 아니라 국악, 무용 등 원소스 멀티 유즈(One Source- Muti Use) 의 개념을 활용하여 다양한 예술로서 표현하고 있다. 문화원형을 중심으로 한 문화예술콘텐츠의 개발은 지역의 특수성과 특성을 매개로 하고 있기 때문에 다양한 부분에서 지역민들의 삶의 질을 향상시키고, 애향심을 고취 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을 뿐만 아니라, 지역의 문화원형을 통한 지역의 특수성도 살펴 볼 수 있기 때문에 문화예술계에서는 중요한 연구대상이자 개발의 필요성이 있다고 할 수 있다. 이에 따 라 본 연구에서는 청주의 다양한 문화원형 중, 건축분야의 유형문화재인 <망선루>, 미술분야의 유형문화 재 <을축갑회도>, 마지막으로 역사적 사실을 근간으로 한 인물과 그 인물을 중심으로 한 <서원향약>을 중심으로 문화원형을 공연예술에 접목한 사례를 연구해 보고자 한다. 이를 통해 ‘기록문화도시 청주’는 기록의 산문화인 문화원형을 통한 문화예술콘텐츠의 개발을 통해 문화예술도시로서의 청주로 한 단계 더 발돋움해 나갈 수 있다고 본다. Interest in Acrchetype was triggered by the ‘Cultural Circle Digital Contents Project’ conducted by the Ministry of Culture and Tourism and the Korea Cultural Contents Promotion Agency. ‘Our cultural archetype’ is being discovered in various fields such as, art and geography. Cultural archetypes are considered important in the study of Korean cultural contents, and the broad definition of cultural archetypes refers to a culture that is differentiated from other regions as it contains the characteristics of the people or regions among traditional cultures. Among the Chungbuk region, Cheongju faces the necessity of developing cultural and artistic contents by utilizing cultural archetypes, and accordingly, is striving to develop cultural and artistic contents based on cultural archetypes. Through various cultural archetypes such as 'Jikji Simcheyojeol', which is the world's first metal type, Cheongju uses the concepts of One Source-Muti Use, such as plays, movies, as well as Korean traditional music and dance. Accordingly, in this study, among the various cultural archetypes of Cheongju, <Mangseonru>, a tangible cultural property in the field of art, <Eulsaenggaphoedo>, and finally <Seowon> focusing on figures and figures based on historical facts. Accordingly, ‘Cheongju, the City of Recorded Culture’ has the potential to develop as an element of performance and performing arts by incorporating storytelling through cultural archetypes possessed by the region in order to grow one step further as a culture and art city. Accordingly, in this study, Cheongju I would like to study the case of the development of cultural and artistic contents using local cultural archetype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