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펼치기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문화 영역 ODA 관점에 따른 한ㆍ아랍 문화교류 활성화 방안

        김향림 경희대학교 문화예술경영연구소 2013 문화예술경영 Vol.3 No.-

        우리나라 국제문화교류는 문화다양성에 기반을 둔 소통 중심의 쌍방향적 교류를 목적으로 한다. 하지만 아랍연맹국가와의 문화교류 시 문화교류 및 문화외교 차원에서의 단발성 교류만 진행되 고 있으며, 이들 지역 개발도상국 같은 경우는 국가수교행사 이외에는 문화교류가 전무하다 시피 하다. 우리나라 정부와 아랍연맹 국가는 그동안 문화적 교류가 부진하였던 점을 반성하고, 양 국 가 간의 상호 이해와 협력 증진을 목적으로 2008년 한국과 아랍연맹 22개국이 한-아랍소사이어 티(Korea-Arab Society: KAS)라는 공익비영리재단을 설립하였다. 현재 KAS는 우리와 아랍지역과 의 유일한 문화교류 매개기관으로 상호문화를 존중하는 문화교류 활성화에 박차를 가하고 있지 만, 교류 현황을 보면 여전히 정부 대 정부의 문화외교 수준에서의 교류가 주가 되고 있다. 이에 본 논문은 문화 영역 ODA(Official Development Assistance: 공적개발원조)의 관점을 가지고 아랍 연맹국가와의 교류 시 문화다양성에 기반을 둔 소통 중심의 문화교류 활성화 방안에 대해 제언하 고자 한다. 이를 위해 문화 영역 ODA의 개념과 사업 유형에 대해 살펴보고 아랍연맹 및 KAS의 문화교류 현황을 통해 쟁점을 도출하며, 4가지 해결 방안을 모색 하였다. 즉 아랍지역 문화교류 거점지역 개발, 전문 인력의 양성, 문화 영역 ODA 사업 발굴, 그리고 한-아랍간의 가교 역할을 하는 KAS의 역할 확대에 대한 방안을 제안한다. Korea's international cultural exchange has its purpose as communication oriented mutual exchange based on the cultural diversity. However, in culturally exchange with the Arab League, only the sporadic exchanges are being implemented in the dimension of the cultural exchange and of the cultural diplomacy; in the case of the developing countries in these areas, though, there are virtually no incidents happening other than the ceremonial events of the establishing diplomatic relations with the countries. Korean government and the Arab League countries have established in 2008 a non- profit organization called ‘Korea-Arab Society: KAS’, for the purpose to promote their mutual understanding and cooperation, regretting that there hasn't been enough cultural exchange activities so far. At present KAS is, as the only cultural exchange mediating agency between Korea and the Arab League, expediting their cultural exchange activation with mutual respect of each other's culture; in looking at the current condition, though, it is still mainly the government vs. government cultural diplomacy level exchange. Thus, in this study I'd like to propose the cultural exchange activation strategies based on the communication centered two way exchanges based on the cultural diversity with the cultural ODA (Official Development Assistance) perspective in the cultural exchanges with the Arab League. For this, I reviewed the cultural ODA's concept and their business types to extract the issues through the Arab League and KAS's cultural exchange current conditions, and explored the 4 solution strategies to propose as follows: the Arab League cultural exchange base area development, cultivation of the expert labor force, cultural ODA business development, and KAS' role expansion to include the Korea-Arab bridging.

      • KCI등재

        남한과 북한, 통일의 문화적 조건

        박신의(Park Shin-eui) 한국국학진흥원 2007 국학연구 Vol.10 No.-

        남북 통일의 문화적 조건을 논하기 위해서는 과거의 동질성을 단순 ‘회복’하는 것이 아니라, 새롭게 ‘재창조’되어야 한다는 관점을 둘 필요가 있다. 차이 자체가 갈등의 요인일 수 있지만, 그 자체의 존중과 이해를 통해 훨씬 새로운 차원의 문화적 자원을 얻어낼 수 있다고 보기 때문이다. 실제로 남북문화의 차이는 단순한 갈등의 관계로만 연결되지 않는다, 오히려 북측의 차이가 남측의 예술언어와 문화적 표현방식에 신선한 자극과 상상력, 창의적인 발상을 제공하는 경우도 있다. 그런 점에서 남북문화교류의 접근을 사회통합을 이루기 위한 장치로 볼 필요가 있다. 이러한 접근은 실제로 분단으로 인해 야기된 상호 적대적이며 대결적인 분단체제를 해체하고 온존한 상호이해 기반 체제를 이루는 과정이라 할 수 있다. 또한 남한 사회 내부에 여전한 냉전문화라든가, 반쪽의 역사를 통해 훼손된 전통과 언어, 그리고 각종 자본주의적 이윤추구에 의해 상업화된 우리의 민속문화와 문화적 아노미 현상 등을 성찰하게 되는 계기로 받아들일 수 있다. 동시에 남북문화교류를 자국의 구도가 아니라, 세계화의 흐름 속에서 재규정할 필요가 있다. 무엇보다도 세계화 현상은 상호 체제의 이질성으로 인한 문화적 단절감을 새로운 형태로 진전시키게 된다. 가장 비근한 현실은 곧 북한에 불기 시작한 한류의 영향이다. 그 영향력이 매우 크게 드러나자, 북한은 남한 대중문화에 대한 경계심을 더욱 높게 가질 수밖에 없게 되면서 상호교류에 대해 일정하게 장애요소를 가져오게 되는 것이다. 하지만 북한의 개혁과 개방이라는 과제는 세계화 현상 속에서 더욱 구체적이고 긴급한 요구로 다가오게 된다. 그런 점에서 세계화와 통일의 문제를 입체적으로 조망할 수 있는 스펙트럼이 요구된다. 개혁과 개방에 의한 남북문화교류는 북한 문화시장에 대한 개방을 의미한다. 이 시장은 남한이 독점할 수 없는 개방된 시장일 것이며, 북한 문화시장을 두고 남한을 비롯하여 중국과 미국, 일본의 대중문화가 경쟁하게 될 것이다. 이에 따라 북한의 문화시장에 대한 연구를 통해 적절한 문화상품을 공급할 수 있는 지원체제가 형성될 필요가 있다. 남북문화교류와 이를 통한 사회통합이라는 과제는 다시 동북아 문화공동체라는 구도를 갖게 된다. 결국 남북 통일문화는 곧 동북아의 평화와 번영을 위한 미래적 제언이 아닐 수 없다. 그리고 세계화 기존에 걸맞는 사고와 행동, 다양성 존중, 공존상생하려는 생명존중과 평화 및 국제협력에 대한 존경을 실현하기 위해 편협한 민족주의 또는 국수주의를 과감히 벗어버리는 일이 될 것이다. 또한 남북문화공동체 형성은 남북의 통일을 위한 과정이면서 동시에 한민족의 정체성을 고리로 한 한민족 문화네트워크의 재구축 과정과 병행될 때 세계적 구도가 주어질 수 있다. 이러한 통일을 위한 문화교류의 새로운 구도를 놓고 이를 실행할 여건을 형성하는 문제는 매우 중요한 사안이다. 기본적으로 교류 사업을 동질성에 대한 막연한 가정을 두고 결과물 중심으로만 할 것이 아니라, 예술 창작과 향유, 교육 전반에 걸친 구조에 대한 이해가 선행되면서 교류대상을 창작물 형성 과정에 대한 것으로 전환하는 것도 한 빙안이라 본다. 또한 문화예술 분야에서 지속적인 교류 협력사업이 수월해치야 하는 요구에 따라, 남북문화교류 채널의 제도화와 이와 관련한 법제도 기반 조성을 여건 형성으로 제시할 수 있다. 그런 가운데 『겨레말큰사전』 사업을 통한 언어공동체 형성 작업은 앞서 제안한 구도를 실현할 수 있는 본격적인 작업이라 할 수 있다. 즉, 단순 동질성의 회복이 아니라, 새로운 창조로의 방향에 대한 실천이라는 것이다. To discuss the cultural condition of the unification of North-South Korea, we need to approach this issue from the perspective of 're-creation' of new identity not 'restoration' of past identity. The difference itself can be a factor of conflict, but it also can be seen as a new level of cultural resources based on the respect and understanding of this difference. In fact, the cultural gap between North and South Korea doesn't always indicate the feud. Rather, the North Korean culture provides fresh new vivacity and imagination as well as creative thinking to South Korean cultural expressions and artistic languages. In this sense, the approach to cultural exchange between two Koreas need to be considered as a means for the social integration. This approach, in fact, is the process to dismantle the hostile and competitive atmosphere to each other caused by the political division and eventually to establish mutual understanding based system. And also this means, for example, to have the opportunity to reflect the persisting cold war era attitude in South Korea, the damaged traditional and language by the half split history, commercialized folk culture by the capitalistic interests, and present cultural anomie phenomenon, etc. Meanwhile, we need to redefine the cultural exchange between North and South in more wide spectrum of globalization, not in the local and self-centered perspectives. The globalization, above all, leads to a sense of alienation derived from newly faced heterogeneous cultures and political systems. The easiest example is the influence of Korean Wave called 'Hallyu'. When this Korean Wave appears to be so powerful, North Korean government became even more alert to the South Korean pop culture, and it effects negatively to an extent in North-South cultural exchange. But the reformation and openness to the world of North Korea in the midst of imposing globalization will grow more urgent and concrete. In this sense, we need to have a stereoscopic spectrum to view the globalization and unification issue. The cultural exchange between North and South led by North Korea's social reformation and openness policy means the openness to the North Korean cultural market. This market is an open market which South Korea cannot hold monopoly, and China, United States, and Japan will be fighting over for North Korean culture market. Therefore, it needs to be studied on North Korean culture market and the necessary support system to provide the right cultural product based on these studies will be also required. Also the challenge to build North-South cultural exchange and the social unification enabled by this exchange, will be once again structured in the frame of North-east Asian cultural community. To establish a unified culture of North and South is after all the futuristic proposal for the peace and prosperity of North-east Asia. To be equipped with the mind and action corresponding to global standards, the respect for diversity, the respect for life for co-existence, and again the respect for the peace and international cooperation, we need to discard the narrow mind set of nationalism. Also building the North-South Korean cultural community is a step towards the unification. And the international composition will be possible when it's accompanied simultaneously by the process of re-construction of Korean cultural network anchored in Korean identity. It is a very important issue to satisfy necessary conditions in relations with the newly proposed composition of cultural exchange which fundamentally directs the unification. As a method, the cultural exchange needs to be propelled based on the structural understanding of artistic creation and its enjoyment and education. Also the goal of exchange needs to be shifted from the final product which is made based on uncertain hypothesis of Korean homogeneity to the creation process itself. Following the increasing demands to ease the exchange and coope

      • KCI등재

        대외문화정책 담론의 변천과 국가별 용어 활용 사례분석을 통한 한국 국제문화교류의 개념 고찰

        신혜선,조효정 한국문화예술경영학회 2023 문화예술경영학연구 Vol.16 No.2

        The Republic of Korea enacted the International Cultural Exchange Promotion Act in 2017, which generated heated congressional discussions over the vagueness of the key terminology "international cultural exchange." This situation necessitates a careful review of the term for effective policy implementation. However, this terminology problem is not unique to Korea and represents one of the key challenges currently faced by Korean cultural diplomacy and international cultural exchange policy. This study will shed light on this challenge and provide valuable policy insights and a rationale for policy improvement in the field of Korean cultural diplomacy and international cultural exchange. In the pursuit of a more comprehensive understanding of the crucial terminologies within the realm of cultural diplomacy/international cultural exchange, this study will conduct a multinational comparative analysis through discursive policy analysis. The key findings of this study underscore the dynamic evolution and prospective trajectory of cultural diplomacy, with a particular emphasis on the importance of international engagement and cooperation. Additionally, the study identifies the distinctive approach employed by Korea in the utilization of the term "international cultural exchange," which combines elements of cultural diplomacy with the arts and culture industries. By addressing the terminological ambiguity and proposing recommendations for clarity and precision in the terminology used, the study aims to contribute to the enhancement of the Korean international cultural exchange policy. 2017년에 제정된 「국제문화교류 진흥법」의 입법 심사과정에서 ‘국제문화교류’에 대한 학술적, 실제적 정의의 불명확성이 지적되었다. 이에 주목하여 ‘문화외교’와 ‘국제문화교류’를 둘러싼 국가별 행정 용어 활용 실례, 그리고 이론적 개념을 담론적 정책 분석(discursive policy analysis)에 근거하여 조사·분석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독일, 미국, 영국, 일본, 프랑스를 중심으로 채택된 용어가 어떤 사회적, 정치적 맥락 가운데 나타나는지 살펴보고 용어별 의미에 대한 이해를 도출하였다. 도출된 이론적 정의를 한국 문화정책 맥락에서 이행된 문화교류 정책에 비추어봄으로써 '국제문화교류' 개념 정립에 활용할 수 있는 이론적 자료 제시를 연구의 목적으로 하였다. 국가별 대외문화정책을 지칭하는 용어는 문화외교, (국제)문화협력, 국제문화교류, 국제문화정책 등으로 각 국가의 언어, 문화적 관념과 유관 정책의 진화과정에 따라 다양하게 사용되고 있다. 근래에는 ‘문화외교’로부터 ‘문화협력’을 구분하여 사용하는 추세가 이어지고 있으며, 특히 유럽을 중심으로 문화협력의 개념적 정의와 담론이 조성되고 있다. 한국의 국제문화교류 정책에서도 쌍방향 교류와 문화협력 담론을 수용한 행정체계와 정책과제가 확인된다. 그러나 지원사업을 통해 본 한국 국제문화교류의 추세는 한국 문화예술 분야의 국제 경쟁력 강화 및 국제시장 진출이 주를 이루고 있다. 더불어 2020년 신한류 정책에 쌍방향 교류 담론을 적용함으로써 경제적 파급효과 중심의 한류 정책과 국제문화교류 간 개념 및 정책의 경계가 모호해질 우려가 있다. 이에 국제문화교류 정책 방향의 명확성과 개념 정립을 위해 문화교류 참여 주체 중심의 현장성 및 상호성이 강조된 ‘문화협력’ 개념을 한국 정책 환경에 적합하도록 재해석하고, ‘팔길이 원칙’의 행정체계 적용을 고려해 볼 수 있다.

      • KCI등재

        한중수교 30년, 문화교류의 현황과 과제

        임대근 현대중국학회 2022 現代中國硏究 Vol.24 No.1

        The flow of cultural exchange between Korea and China after the establishment of diplomatic ties can be divided into three periods. The first one(1992~2002) was a mutual search period, which laid the foundation for cultural exchanges led by the two governments. The second one(2002-2016) was a mature period in which cultural diplomacy worked stably and continuously, and efforts were made to expand mutual cultural exchanges. In particular, as the Korean Wave and the Chinese wind formed a tendency for mutual osmosis, cultural trade was actively carried out. However, there were also situations in which various cultural conflicts continued intermittently. The third one(2016-present) is a period of cooling, and cultural exchanges have also entered a period of cooling as bilateral relations face a phase of full-scale conflict. The issues and tasks of cultural conflict between the two countries are as follows. (1) Alternative solutions for resolving cultural conflicts should be discussed and practiced at the level of system, ideology, custom, and sentiment from various angles. (2) It is necessary to manage the problem of ideology, which is an obstacle to cultural exchange. (3) In order to restore and revitalize cultural exchanges, mutual antipathy between the two countries must be overcome. The issues and tasks of cultural trade are as follows. (1) The trade volume of cultural contents has continuously increased. This means that there is still a demand for intercultural contents in the market. (2) Trade in cultural contents is unbalanced.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seek a balanced cultural trade. (3) Distorted patterns of consumption and acceptance of Korean cultural contents are forming in China. In this regard, institutional and international cooperation is necessary. (4) Trade in cultural contents is expanding despite the recent cultural conflict. This means that was not effectively controled the demand for Korean cultural contents in China. Therefore, cultural contents trade will continue to function as a driving force for supporting cultural exchange, so it should be well utilized as a driving force for cultural exchange. Suggestions for successfully carrying out the task of cultural exchange are as follows. (1) The cultural exchange strategy between Korea and China should be promoted on the premise of advancement in the long term, in line with the status of the “strategic cooperative partnership”. For this, the ideological problem must be well managed. (2) It is necessary to discover the demand for Chinese culture that exists in Korea. (3) When acknowledging the frequent cultural conflict between Korea and China, a comprehensive strategy should be sought rather than focusing on China. (4) It is also necessary to promote cultural exchange between the two countries not only at the macro level, but also at the micro level by dividing various areas and classes. (5) Facing the fact that the distribution of cultural contents is now standing on the global trend, it is necessary to make an effort to have the OTT industries of both countries a mutual platform in the long term, and to diversify the entry into the platform of the cultural contents in the short term. (6) The exchange of experts and intellectuals and the establishment of networks should be continued. (7) It is necessary to expand various online exchange programs to overcome the recent COVID-19 pandemic. (8) When the COVID-19 is over and the recovery of the normal stage begins, the latent consumption desire for tourism is expected to explode, so we need to prepare for this.

      • KCI등재

        남북한 문화재보호법제의 상호교류를 위한 기초의 연구:남한의 「문화재보호법」과 북한의 《민족유산보호법》의 비교

        안동인(Ahn Dongin) 중앙대학교 법학연구원 2021 法學論文集 Vol.45 No.2

        남북 관계의 발전적 개선을 위한 제도적 기초로서 법제정비지원을 통한 남북 간의 법제교류 증진이 요청된다. 다만 현재 교착되어 있는 남북 관계를 고려할 때, 우리는 남북 간에 공감대를 형성하면서 보다 쉽게 교류를 확대해 나갈 수 있는 분야에서부터 법제교류 및 법제정비지원을 도모할 필요가 있다. 그리고 우리는 ‘문화재보호법제’를 그 대표적인 분야 가운데 하나로 평가할 수 있다. 이 연구는 북한의 문화재보호법제의 발전 및 변천과정을 살펴보고, 남북한 문화재보호법제의 주요 사항에 대한 비교・검토를 행함으로써 남북한 간 법제교류 및 법제정비지원을 성공적으로 수행하기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하였다. 다만 특히 문화재보호법제는 민족적 긍지의 바탕에 작용하는 것으로서 남한 법제의 일방적 이식의 대상이 아니라 어디까지나 법제의 상호교류의 대상이며, 따라서 상당 부분 북한의 특수성을 고려할 필요가 있다. 이와 같은 법제의 상호교류 과정에서 남북한 간의 신뢰가 제고된다면, 장차 남북 사이의 문화적 동질성에 기초하여 통일을 모색하기 위한 일 방안으로서 남북한 간 문화협정을 체결하거나, 문화재와 관련한 민・관의 상호교류 및 협력을 보다 증진시키기 위한 남북합의서를 체결하는 방안도 강구해 볼 수 있을 것이다. 혹은 반대로 이와 같은 문화협정 내지 남북합의서의 체결을 통하여 남북한 간 법제의 상호교류가 보다 적극적으로 진전될 수도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이와 같은 법제교류의 제도적 기초를 바탕으로 한반도의 문화재, 즉 민족문화유산의 보호를 위한 남북한의 협력방안을 보다 적극적으로 모색하여야 할 것이다. 그리고 현재 북한이 문화재 국제교류 및 세계유산 등재에 상당한 관심을 지니고 있는 점을 감안할 때, 기존의 경험과 성과를 바탕으로 남북한의 우수 문화재를 세계유산으로 등재하기 위한 남북 공동의 노력과 시도는 남북 관계의 개선을 위한 마중물로서의 역할을 충분히 해낼 것으로 기대된다. 또한 이의 연장선상에서 해외 반출 문화재의 환수를 위한 남북 공동의 노력 역시 요청된다 할 것이다. As an institutional basis for the developmental improvement of inter­Korean relations, it is requested to promote legal exchange between the two Koreas through legal technical assistance. However, considering the inter­Korean relations that are currently stalemate, we need to promote legislative exchange and legal technical assistance in areas where exchanges can be expanded more easily while forming a consensus between the two Koreas. And we can evaluate the Cultural Heritage Protection Act as one of its representative fields. This study looked at the development and transition process of North Korea s cultural heritage protection legislation, and compared and reviewed the major issues of the inter­Korean cultural heritage protection legislation to provide basic data for successful inter­Korean legislative exchange and legal technical assistance. However, in particular, it is important to keep in mind that the cultural heritage protection legislation works on the basis of national pride, and is not a subject of unilateral transplantation of the South Korean legislation, but a subject of cross­fertilization of legislation.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consider the specificity of North Korea to a large extent. If trust between the two Koreas is enhanced in the process of such legislative exchange, it may be possible to find a plan to conclude a cultural agreement between the two Koreas as a way to seek reunification based on cultural homogeneity between the two Koreas in the future. In addition, it is possible to devise a plan to conclude a South­North Korean agreement to further promote public­private exchanges and cooperation related to cultural heritage. On the contrary, it is thought that the inter­Korean legislative exchange could be promoted more actively through the conclusion of such cultural agreements or South­North Korean agreements. It is necessary to actively seek a plan for cooperation between the two Koreas to protect the cultural heritage of the Korean Peninsula, that is, national cultural heritage, based on the institutional basis for such legislative exchange. In addition, given that North Korea currently has considerable interest in international exchange of cultural heritage and World Heritage listing, the joint efforts and attempts by the two Koreas to list outstanding cultural heritage as a World Heritage Site based on previous experiences and achievements are expected to serve as priming water for improving inter­Korean relations. As an extension of this, joint efforts by the two Koreas to recover cultural heritage taken out of the country will also be called for.

      • KCI등재

        문화교류 관점에서 본 조선시대 무용의 전파구조

        성은미 한양대학교 우리춤연구소 2023 우리춤과 과학기술 Vol.19 No.1

        This study seeks to clarify the transmission structure in which court dance and civil dance exchanged in the Joseon Dynasty within the broad category of cultural exchange. Based on the theoretical background of cultural diffusion theory that culture evolves through exchange with other cultures, this study analyzes the structure of diffusion between court dance and folk dance in the Joseon Dynasty. For the analysis, I drew from Clark Wissler’s intentional and natural diffusion as well as Jeong Su-il’s direct and indirect diffusion. I collected data from Annals of the Joseon Dynasty, Akhak Gwebeom (樂學軌範), Jeongjae Mudoholgi (呈才舞蹈笏記), Uigwe (儀軌), Eupji (邑誌) and personal anthologies. The study was conducted with a focus on human exchange in terms of the practical factors of diffusion. The findings are as follows. First, dance cultural exchange in the court was classified as intentional diffusion, including the two-way direct propagation among gisaengs and the one-way indirect propagation between gisaengs and audiences. Next, dance cultural exchange in the private sector was classified as natural diffusion, including the two-way direct propagation between gisaengs and entertainers and the one-way indirect propagation between gisaengs and audiences. Applying the cultural exchange theory of cultural anthropologists, this study is expected to expand the field of dance studies by providing a starting point for studying the change and development of dance from the viewpoint of cultural studies.

      • KCI등재

        지역의 국제문화교류 현황과 과제 - 경상남도 사례를 중심으로 -

        변철희 한국국제문화교류학회 2021 문화교류와 다문화교육 Vol.10 No.3

        This thesis aimed to seek for the tasks necessary for the promotion of regional international cultural exchange focusing on the case of Gyeongsangnam-do. For this, this thesis collected and comparatively analyzed various data such as Gyeongsangnam-do international cultural exchange business plan, press release of regional newspaper with public trust, online survey, and untact interview. As a result, the international cultural exchange in the regional level could be analyzed as inter-regional cooperative/exchange project, and internationalization & localization project for regional cultural resources. As the tasks for the vitalizations of region-centered international cultural exchange, this thesis suggested the establishment of mid/long-term plan for international cultural exchange by regional subjects, support of international cultural exchange and cultivation of regional specialized manpower in private sector, and vitalizations and specialization of international cultural exchange using regional resources. 본 논문은 경남도의 사례를 중심으로 지역의 국제문화교류 진흥을 위해 필요한 과제들을 모색해 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경남도 국제문화교류 사업 계획서 분석, 공신력있는 지역신문 보도자료 분석, 온라인조사, 비대면 인터뷰 등 다양한 자료를 수집하여비교 분석하였다. 그 결과 지역 차원의 국제문화교류는 지역 간 협력 및 교류사업, 지역 문화자원의 국제화 및 지역화 사업으로 분석될 수 있었다. 이를 통해 지역 중심의국제문화교류 활성화를 위한 과제로서 지역 주체의 국제문화교류 중장기 계획 수립, 민간 영역 국제문화교류 지원과 지역의 전문 인력 양성, 지역 자원을 활용한 국제문화교류 다양화 및 특성화를 제언하였다.

      • KCI등재

        1763년 계미통신사 조엄의 사행과정과 문화교류 연구

        황은영 강원대학교 인문과학연구소 2019 인문과학연구 Vol.0 No.63

        The 1763 Gyemitongsinsa (Mission to Japan) was the 11th Tongsinsa (Diplomatic envoy) dispatched during the late Joseon period, the main envoy, Jo Eom, the vice-envoy, Lee In-bae, the chief administrative officer, Kim Sang-ik, the official literateur, Nam Ok, the secretaries, Seong Dae-jung, Won Jung-geo and Kim In-gyeom, the official interpreters, Choi Hak-ryeong, Lee Myeong-yun, Hyeon Tae-ik, the scribes, Hong Seong-won and Lee Eon-woo, the office of the special counselor, Kim Yu-seong, the western doctor, Lee Jwa-guk, the oriental doctors, Nam Du-min and Seong Ho were dispatched. In this ambassadorial mission, in both Joseon and Japan, of the greatest variety Sahaengrok (Travel sketches) and of the greatest variety Pildamchanghwajib (Written conversations and poetry exchanges) were written, so it is found that literati of Joseon and Japan met and made vigorous interchanges. This study examined social intercourses with the Japanese people by the process and stage of the organization of this 1763 Tongsinsa and looked for the image of cultural exchange through that. Especially, examining the cases, dividing cultural exchange into art exchange, book exchange, technology introduction, and information collection, this study investigated the characteristics and significance of the cultural exchange of the 1763 Gyemitongsinsa. More or less, the awareness of Japan as barbarian still continued existing among Joseon literati. In Japan, too, with the development of studying abroad, the width of empathy with Joseon’s delegation was promoted externally, but at the same time, the basis of nationalistic thought became formed together. Nevertheless, after the ambassadorial mission as well as during the ambassadorial mission period, indirect exchange has continued, e.g. They exchanged letters to each other, collected and indulged in reading each other’s writings and all literati in Joseon and Japan shared various collected data with their acquaintances. In other words, the scope of exchange between the two countries further broadened and even developed into fine art exchange. The 1763 Gyemitongsinsa was a crystal in which the preceding Tongsinsa’s cultural exchange condensed, and that is time when the true look of the cultural exchange between Joseon and Japan and width of empathy, “cultural diplomacy” appeared the best. 1763년의 계미통신사는 조선후기에 파견된 11번째의 통신사로 정사 趙曮을필두로 부사 李仁培, 종사관 金相翊, 제술관 南玉, 서기 成大中・元重擧・金 仁謙, 역관 崔鶴齡・李命尹・玄泰翼, 사자관 洪聖源‧李彦佑, 화원 金有聲, 양의 李佐國, 의원 南斗旻・成灝 등을 파견하였다. 이 사행에서는 조선과 일본 모두 최다종의 사행록과 최다종의 필담창화집이 집필되어 조선과 일본의문사들이 만나 활발한 교류를 가졌음을 알 수 있다. 본고는 이러한 1763년 통신사의 구성 과정과 노정별 일본인과의 교유를 살피고 이를 통한 문화교류의 모습을 찾아보았다. 특히 문화교류는 예술 교류, 서적 교류, 기술 도입과 정보의 수집으로 나누어 사례를 검토함으로써 1763년계미통신사의 문화교류의 특징과 의의를 살펴보았다. 정도의 차이는 있겠지만여전히 조선 문사들에게 일본에 대한 蠻夷 인식은 계속 존재하였다. 일본에서도 유학의 발달로 외형적으로는 조선의 사행원과의 공감의 폭이 증진되었지만 동시에 국수적 사상의 기조도 함께 형성되어 갔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사행의 기간 동안에는 물론이고 사행이 끝나고 나서도서로 서신을 주고받기도 하고, 상대의 저술을 수집하여 탐독하는 등 간접적인교류가 계속 이어졌으며, 조선과 일본의 문사는 모두 자신들이 수집한 여러자료들을 지인들과 나누었다. 즉 양국의 교유범위와 공감의 폭이 더욱 넓어졌고, 순수예술 교류로까지 발전하였다. 1763년 계미통신사는 앞선 통신사들의문화교류가 응집된 결정체로서 조일 문화교류 본 모습인 ‘문화외교’가 가장 잘나타난 시기인 것이다.

      • KCI등재

        전문성 중심 문화예술분야전문인력 양성과정 개선 방안: ‘권역별 국제문화교류 전문가 양성사업’ 사례를 중심으로

        최보연,김세훈 한국예술경영학회 2016 예술경영연구 Vol.0 No.37

        Recently there has been a growing number of publicly-supported cultural workforce development programs in the Korean arts and cultural sector. Those included are ‘Culture and Arts Education Specialist’, ‘Local Culture and Arts Specialist’, as provided by law(respectively, Support for Culture and Arts Education Act and Local Culture and Arts Promotion Act), as well as ‘Cultural Welfare Specialist’ and ‘International Cultural Exchange Specialist’ established under the policy demand. This reflects not only the increasing tendency that the arts and cultural sector has become gradually segmented by profession; but also the heightened expectation for the enhanced performance and specialized skills of arts and cultural workforce. Comparatively, however, little attention has been paid to what would serve as a criteria to evaluate the expertise within the arts and cultural sector, how each program understands or differently specifies the expertise in the respective areas of arts education, cultural welfare, local culture and arts promotion and international cultural exchange. Systematic analyses have hardly been tried to examine how each program can enhance the expertise in its respective areas. Given that these programs are initiated by the government so as to develop arts and cultural workforce at the professional level, it is essential to promote more in-depth scholarly discussions of the expertise criteria for those working in the arts and cultural sector; explore what specific professional competencies are required for them and exactly how they can be further developed by workforce training programs. Since the arts and cultural sector is not only diverse but also highly departmentalized, it would be unreasonable to examine the expertise of professional workforce in the sector as a whole. Therefore, drawing on the case analysis of “Next Professional Training for International Cultural Exchange” managed by Korean Arts Management Service(KAMS), this study attempts to examine the effects of the program from the perspective of the expertise development. It also offers some practical suggestions for further improvement in the systemization of the arts and cultural workforce training programs. 최근 공공영역을 중심으로 문화예술분야 전문인력 양성과정 운영 사례가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다. 이러한 양성과정은 문화예술교육사나 지역문화전문인력과 같이문화예술교육진흥법, 지역문화진흥법 등 근거법령에 기초하여 운영되는 경우도 있고, 문화복지 전문인력이나 국제문화교류 전문인력과 같이 행정적, 정책적 필요성에 기반을 두고 추진되는 경우도 있다. 문화예술분야에서의 전문인력 양성과 관련된 이와 같은 다양한 교육과정 운영은 그만큼 문화예술분야가 세분화되어 가고 있다는 측면을 반영함과 동시에 문화예술분야 종사인력의 전문성에 대한 기대 또한증가되어 가고 있음을 보여준다. 그러나 각 세부 영역별 전문인력 양성과정이 다루고 있는 전문성의 내용이나 기준, 또한 전문성을 증진시키기 위한 각 양성과정에대한 체계적인 분석은 상대적으로 매우 미흡하게 나타난다. 이러한 맥락에서 문화예술분야의 전문인력이 갖추어야 할 전문성의 기준은 무엇이고, 그들의 전문성, 전문역량을 강화하기 위해서는 어떠한 내용들이 중점적으로 검토되어야 하는지를 살펴보는 것은 향후 공공분야 문화예술 전문인력 양성과정 운영을 위해 반드시 필요하다. 문화예술분야는 그 성격과 특성이 매우 다양하여 문화예술분야 전반을 아우르는 전문성의 내용을 검토하는 것은 타당하지 않다. 따라서 이 연구는 문화예술분야 중에서도 국제문화교류 분야의 전문인력 양성을 위해 예술경영지원센터에서 운영하고 있는 ‘권역별 국제문화교류 전문가 양성사업’을전문성개발이라는 관점에서 접근하여 분석함으로써, 전문인력 양성과 관련하여 검토되어야 할 사항들이 무엇인지 살펴보고, 이를 통해 문화예술분야 전문인력 양성과정이 보다 체계적으로 운영되기 위한 시사점을 제시하고자 한다.

      • KCI등재

        국제문화교류 지원에 대한 평가 연구 : 2020년 국제문화교류 실태조사의 예산, 인원, 정책, 전담 부서 영역을 중심으로

        김보배,이윤석 한국국제문화교류학회 2023 문화교류와 다문화교육 Vol.12 No.5

        This paper aims to examine the characteristics, financial resources, performance methods, and obstacles of businesses for international cultural exchange projects. Using the first international cultural exchange survey data, we tried to see how each project entity, worker size, project cost, number of departments in charge of work, and number of professionals correlate with the international cultural exchange policy system. Most businesses have structured international cultural exchange projects as part of additional projects, lacking the departments and professioinals on this international cultural exchanges. Second, the lack of necessary budget was the most common obstacle to the implementation of international cultural exchange projects, and it was found to be a lack of networks with foreign organizations and artists, and a lack of professional manpower. Third, looking at the evaluation of policy support methods and systems, there is currently a lack of institutional functions that act as a control tower and a lack of manpower in the area of international cultural exchange. There are many studies on social needs and aspects of individual programs in the field of international cultural exchange, but it was rare to analyze the overall structure in various ways and identify policy factors for actual businesses. Therefore, this study has important implications in that it examined the direction of effective policies and cultural topography for businesses with experience in carrying out project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