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문화다양성법에 대한 입법평가 – 헌법상 문화국가원리 실현과 문화다양성 보호 –

        최경호 한국헌법학회 2023 憲法學硏究 Vol.29 No.3

        문화다양성은 우리의 삶에 어떠한 기여를 할 것인가? 문화다양성이 보호되고 증진되는 사회와 그렇지 못한 사회는 어떠한 차이가 있는 것인가? 「문화다양성의 보호와 증진에 관한 법률」은 입법이후 문화다양성의 보호와 증진에 어떠한 역할을 하고 있고 이를 어떻게 평가할 수 있는가가 본 논문의 연구대상이다. 본 논문에서는 문화다양성법에 관한 사후적 입법평가를 통하여, 우리사회의 문화다양성의 현재를 확인해보고 문화다양성 보호와 증진을 위한 방향성을 제시하였다. 문화다양성법에 대한 본격적인 논의에 앞서 문화다양성의 개념과 헌법상 문화국가의 원리와 문화다양성과의 관계에 대해 검토해보았다. 문화다양성보호법 제정과 시행은 우리나라에서 실질적인 문화다양성보호와 증진에 중요한 기초가 되어야 한다. 문화다양성법은 문화다양성보호와 증진을 통하여 사회 및 집단 간 및 구성원 간에 발생할 수 있는 문화적 충돌을 줄이며 문화적 가치들을 조율할 수 있고, 나아가 개인의 창의성과 자율성 보장을 기반으로 창의적 문화발전에 이바지할 수 있는 법제도적 장치여야 한다. 문화다양성법은 사회구성원들의 가치를 한 가지 방향으로 가게 하는 용광로와 같은 획일적 사회통합이 아니라, 개인이 가지는 다양성이 보호되고 증진될 수 있도록 우리사회를 유도하는데 사용될 수 있는 중요한 도구 중에 하나여야 한다. 아울러, 문화다양성법에 의해 추진될 수 있는 문화다양성은 문화자체가 오랜 기간을 통해 쌓여가는 것처럼 짧은 기간의 성과도 중요하지만 중・장기적 관점에서 보호와 증진의 방향성에 대해 검토할 필요가 있다. 문화다양성 사업의 방향성은 상향식 접근과 하향식 접근 모두 가치가 있고, 적절한 균형이 필요한데, 문화다양성 사업의 경우 상향식 접근이 부족하다는 평가가 있다. 이주민모임, 지방자치단체, 풀뿌리단체, 문화예술단체 간의 문화예술 네트워크를 구축 및 활성화로 문화다양성 확산시키는 모델 등 아래로부터의 문화다양성 확산에 대한 다양한 시도를 늘려가고 국가의 문화다양성 정책은 이러한 방향성을 지원해줄 수 있어야 한다. How does cultural diversity contribute to our lives? What is the difference between a society where cultural diversity is protected and promoted and a society that is not? The subject of this paper is how the Act on the Protection and Promotion of Cultural Diversity plays a role in the protection and promotion of cultural diversity after legislation and how it can be evaluated. The enactment and enforcement of the Cultural Diversity Protection Act should be an important basis for practical cultural diversity protection and promotion in Korea. The Cultural Diversity Act is evaluated as an important law that can operate as a stabilizer in our society. The Cultural Diversity Act should be a legal and institutional device that can reduce cultural conflicts between members of society and groups, coordinate cultural values, and contribute to creative cultural development based on individual creativity and autonomy. Various national policies that can be implemented under the Cultural Diversity Act should help protect and promote practical aspects of cultural diversity. The direction of the cultural diversity project is also important. Both bottom-up and top-down approaches are valuable and need an appropriate balance. Various attempts should be made to spread cultural diversity from below, such as a model to spread cultural diversity by establishing and revitalizing cultural and artistic networks among migrant groups, local governments, grassroots organizations, and culture and arts organizations.

      • KCI등재

        문화다양성과 국제법 -문화다양성협약을 중심으로-

        박병도 ( Byung Do Park ),김병준 ( Byung Jun Kim ) 건국대학교 법학연구소 2009 一鑑法學 Vol.16 No.-

        In our contemporary age of globalization, the matter of cultural diversity becomes a critical agenda of international society. But the process of global ization promoted by rapid development of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gives a challenge to cultural diversity in that it provides an unprecedentedly good condition to build up cultural interactions among nations, while causing imbalance between poor and rich countries. In these situations, it is noteworthy that some of considerations regarding cultural diversity evolve into international norms. As a part of international and institutional approac hes to cultural diversity, the 33rd General Assembly(2005) of United Natio ns Educational, Scientific and Cultural Organization (UNESCO) has adopte d the Convention on the Protection and Promotion of the Diversity of Cultural Expressions (hereinafter called ``the Cultural Diversity Convention``) with a view to recognize why it is necessary to prepare public policies for promotion and protection of original culture in each country, nation, region and community; emphasize international cooperation in preparing those policies; promote proactive international cooperations in underdevelo ped or developing countries with poor cultural infrastructure; and explore possible ways of legal connections with other international rules and syste ms in the interest of effectively coordinating these efforts. Overall, our international society considers the adoption of said Convention as a meanin gful step forward in international activities for protection and promotion of cultural diversity. It is convincing to say that the most significant achieve ment of Cultural Diversity Convention is assuring that culture takes a new standing in international law beyond conventional legal boundaries where importance of cultural diversity has been undervalued in comparison with other conventions. Although there is no doubt that the Cultural Diversity Convention has such a great significance in the aspect of either politics or cultural history, however, it is premature for us to expect any immediate effects of purposes and principles provided in said Convention. Now is the time for many countries to carefully watch how the Article 20 of said Convention (Relatio nships with Other Conventions), a hottest-button issue in terms of said Convention, should be construed and applied in practice. Possibly, the Article 20 of said Convention demonstrates the furthest ideal achievable at present, but it is difficult to confidently assert that this article is enough to achieve any desired goal of said Convention. Besides, the said Conventio n has mandatory provisions defined in very weak expressions, although it uses strong and unambiguous terms to confirm the right for sovereign states to adopt and regulate various means and policies to advocate their own cultural diversity. Such an imbalance causes lower expectations for any effective resolution of disputes for cultural diversity in international society. Hence, it is concluded that successful enforcement of the Cultural Diversity Convention needs to attract more non-membership countries to ratification, even though it has been already enforced in effect. Moreover, it is important that all countries with fundamental differences in cultural system, ranging from advanced countries with developed cultural industry to developing countries with weak foundation for cultural activities, should take practical part in setting and achieving the goals of said Convention. In particular, it is required to make any chance to build a good relationship of said Convention with other existing conventions, as well as relationships of cultural diversity with cultural right, cultural sovereignty and sustainable development, so that all international parties can make efforts to materialize ultimate goals of the Cultural Diversity Convention all over the world.

      • KCI등재

        문화다양성 및 문화다양성 역량에 대한 초·중학교 학생 및 교사의 인식 실태 연구

        장의선,강민경 글로벌교육연구학회 2018 글로벌교육연구 Vol.10 No.3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eek teaching and learning strategies to improve cultural diversity competence in our school education and to come up with policies to support cultural diversity education. We defined the concept of cultural diversity by analyzing the previous research. According to UNESCO Universal Declaration of Cultural Diversity, cultural diversity is necessary for humankind as biodiversity is for nature. This is the main source of exchange works in humankind, renovation and creativity and a factor for sustainable development and the heritage to be shared for all mankind. In this study, Cultural Diversity Competence is defined in three domains; In cognitive domain, " to be aware of the importance of diverse culture and coexistence ", in affective domain, "to believe cultural diversity makes creativity and sustainability in our society" and "to work on cultural exchange". In this study, a survey on the awareness and competence of cultural diversity was done for elementary and middle school teachers and students(sixth graders and 3rd graders in middle schools). The educational implication in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when working on teaching and learning contents, teachers need to students’ interests and have proper understanding on cultural diversity. Second, when working on programs to enhance cultural diversity competence, it would be desirable to appreciate our own cultural identity and add appropriate contents by analyzing other cultures. Third, in respect of ways for cultural diversity education, we need to focus on cross cultural communication competence and also consider affective and cognitive domain. Teachers' awareness and attitude of our own culture and awareness of cultural diversity showed similar to that of students. For the actual condition of cultural diversity education, we found that it is hard to say there is proper cultural diversity education in our schools. There were demands on teacher training in the area of cultural diversity. 본 연구는 문화다양성에 대한 올바른 인식과 문화다양성 역량에 대한 필요성에 주목하여 학생 및 교사의 문화다양성 개념 인식 및 문화다양성 역량 실태를 분석하고, 향후 문화다양성 역량 증진을 위한 교수학습에의 시사점을 도출하고자 하였다. 도출된 시사점은 다음과 같다. 첫째, 교수학습 콘텐츠 개발 및 구성 측면에서는 문화다양성에 대한 올바른 이해와 흥미를 유발하기 위한 자료 개발에 초점을 두어야 한다. 둘째, 교수학습 방법적 측면에서는 자문화에 대한 긍정적 태도 육성과 타 문화에 대한 존중과 함께 타 문화에 속한 사람들과 상호작용을 활발하게 할 수 있는 문화 간 소통 역량 강화에 강조점을 두어야 한다. 셋째, 학교급별 교수학습 방안에서는 추상적․정신적 영역에 대한 학생의 인지 발달 단계와 자신감 및 적극성 등 정서적 영역에서 청소년기의 민감성을 고려하여 차별화된 방안을 모색해야 한다. 문화다양성 역량과 같이 새롭게 강조되거나 범교과적인 교육 내용에 대해서는 교사를 위한 다양한 지원이 필요하다. 교사가 문화다양성 역량을 갖출 수 있도록 지원해야 하며, 학생들의 문화다양성 역량 함양을 위해 수업을 계획․운영할 수 있는 전문성에 대한 지원도 필요하다.

      • 문화다양성 프로그램 개발 및 효과 검증

        박기향 청주교육대학교 교육연구원 2018 학교와 수업 연구 Vol.3 No.2

        As Korea becomes a multicultural society with the change in the members of the society, the demand for substantial multicultural education is increasing at schools. The contents related to multicultural education have been increased and more emphasized in the 2009 Reformed Curriculum in comparison with the 2007 Reformed Curriculum. However, most of the educational activities related to multicultural education are focused on teaching of Korean language and culture, and adaptation to Korean society for the children in multicultural families in Korea. Current used textbooks for the third graders of elementary schools include only fragmental contents, such as learning a foreign musical piece and introducing excellent Korean culture to friends in foreign lands. The need for accessing multicultural education from the viewpoint of cultural diversity is increasing to improve the current multicultural education. Recognizing the problems of the current multicultural education from a critical point of view, the present study aimed at the development of an education program reflecting the perspective of cultural diversity as well as the application and verification of the program. For this purpose, the multicultural education contents found in different subjects for the second semester of the third graders of elementary schools were analyzed and reconstructed for individual cultural diversity areas to develop a teaching and learning program. The developed program was applied to the students to investigate the changes in their recognition of cultural diversity and their attitude of accepting diverse cultures. The research questions of the present study are as follows: 1) Is the recognition of cultural diversity changed by the application of the cultural diversity teaching and learning program?; 2) Does the application of the cultural diversity teaching and learning program contribute to the cultivation of the attitude of accepting diverse cultures by the students?; and 3) What are the advantages of the cultural diversity teaching and learning program in comparison with the previous multicultural education? The study conducted to find the answers to these questions showed the following results. First, the multicultural contents found in the society subject as well as other subjects for the third graders of elementary schools were comprehensively reviewed to develop a cultural diversity program through the reconstruction of the contents with reference to the areas and core values of the cultural diversity education. The application of the developed cultural diversity program showed that the students’ recognition of cultural diversity was positively changed. The students’ recognition was increased in all the four areas of cultural diversity, including the meaning and features of culture, the elements of cultural diversity, the diffusion of cultural diversity, and the recognition and respect of cultural diversity. The improvement of the recognition was particularly significant in the three areas of the meaning and features of culture, the elements of cultural diversity, and the diffusion of cultural diversity. Second, the multicultural acceptance test performed after the application of the cultural diversity education program showed that a positive change was found only in the area of relationship out of the three areas of universality, relationship, and diversity. No positive change was found in the other two areas probably because the baseline values of the students were already high in the multicultural acceptance test, and the period of three months was too short to draw a change in the attitude only by the application of the developed program. In addition, although revised to the level of understanding of the students, the acceptance test items might have been slightly difficult to the students, and thus the attitude might have not been measured accurately by the test. Third, the multicultural education contents dispersed in vario...

      • 문화다양성정책과 교육의 연계에 관한 고찰

        김경숙 공주대학교 교육연구소 2016 교육연구 Vol.30 No.2

        UNESCO adopted the Convention on the Protection and Promotion of the Diversity of Cultural Expression at the 3rd general meeting in 2005. And Korean society increased interest and revitalized discussion over cultural diversity. The Korean government became 110th ratified country by get the agreement in 2010. However, after that, cultural diversity policy only focused on multi-cultural policy. The Korean government established ‘The law on the protection and promotion of the cultural diversity’ in 2014. The purpose of this enactment was enlarge the all-around advanced cultural diversity policy. In company with this, it is expected to push ahead the policy connected with ‘The law on the protection and promotion of the cultural diversity’ including cultural diversity protection and promotion education which companied with training for professional manpower of cultural diversity. Policy can be guaranteed its diffusion of the effectiveness and durability only when the relevant education is supported. In this respect, this paper research the meaning and its value on cultural diversity. It will emphasize the importance of the cultural diversity policy and importance of education. For this process, this paper put examine and will compare the articles of cultural diversity education. It is supposed to exemplify the desirable goal, direction, key values and the contents system of cultural diversity education. UNESCO는 2005년「문화다양성협약」을 체결하였다. 한국정부도 2010년 비준국이 되었다. 그러나 한국의 문화다양성정책은 소극적 다문화주의정책이 주류였다. 이에 한국정부는 2014년 「문화다양성의 보호와 증진에 대한 법률」을 제정하였다. 한 단계 더 발전된 문화다양성정책으로 확대해 나가기 위해서이다. 정책이란 사회 각 영역에서 관련 교육이 뒷받침되어야 기대효과의 확산성, 지속성이 담보될 수 있다. 서구국가에서도 문화 간 차이를 이해시키고 사회 내에서 다양한 문화가 공존하도록 하는 가장 효과적인 채널은 학교교육이었다. 이에 이 글에서는 문화다양성의 함의와 가치, 국제사회에서의 문화다양성 논의, 한국 중등학교 문화다양성 교육과정 현황 및 과제를 분석하고, 문화다양성교육의 목표, 핵심 가치, 교육 주제와 내용 안을 구안해 예시하였다. 그리고 문화다양성교육과 기존 다문화교육과의 관계 검토 및 재설정, 적극적 다문화주의와 상호(간)문화주의 기조의 교육 강화, 특화교육에서 통합교육으로의 전환, 분리교육에서 소통교육으로의 전환, 정부 문화다양성교육프로그램과의 연계 강화, 소수자와 다수자를 모두 포함한 교육과정 구안, 범교과적 접근과 각 교과교육 담당교사의 전문성 함양 필요성 등을 제언하였다.

      • KCI등재

        예비교사의 문화다양성에 대한 인식

        이은희 한국교원교육학회 2017 한국교원교육연구 Vol.34 No.4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pre-service teachers’ perception of cultural diversity with the aim to provide efficient educational material for the multicultural education contents in teacher education and teacher training coursed. The respondents consisted of 575 pre-service teachers who answered a survey which was then analyzed using SPSS 19.0 for Windows was used to conduct frequency analysis, factorial analysis, credibility analysis, χ2-test, t-test, one-way ANOVA, and Duncan’s multiple comparison, K-means cluster.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It conducted a factor analysis of multicultural awareness, cultural diversity.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according to demographic variables: gender, grade, experiences of subject related to Multicultural education. A higher need of the cultural diversity education of pre-service teachers. The pre-service teachers with experience taking courses related to multicultural education multicultural awareness, higher awareness of cultural diversity. According to Multicultural awareness of cultural diversity training groups they were classified. The results were classified as actively cultural diversity groups, passive cultural diversity groups, three groups of selective cultural diversity groups. Actively cultural diversity group was higher awareness of cultural diversity. And for pre-service teachers with highly recognizing cultural diversity to conduct a systematic multicultural education more efficiently, there should be both systematic pre-service education programs at college level and in-service education programs for the teachers in terms of cultural diversity education. 다문화교육의 새로운 패러다임인 문화다양성으로의 인식 전환이 요구되는 시점에, 앞으로 교육현장에서 다문화교육을 실시할 예비교사 575명을 대상으로 2015년 3월 중에 다문화인지도와 문화다양성의 차원, 인구통계학적 특성에 따른 다문화인지도와 문화다양성의 차이를 알아보며, 다문화인지 유형에 따른 문화다양성 인식의 관련성을 조사함으로써 교원양성기관 다문화 교육과정 구성에 교육적 자료를 제공하고자 하였다. SPSS 19.0 Program으로 요인분석, 신뢰도 분석(Cronbach's α), t검증, 일원변량분석(One-way ANOVA), Duncan의 다중비교검증, K평균 군집분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 결과 첫째, 다문화인지도와 문화다양성의 차원에서, 예비교사의 문화다양성 인식에 영향을 줄 것이라고 예측한 다문화인지도의 요인은 문화수용성, 문화정체성, 문화평등성 순으로 나타났고, 문화다양성 요인으로는 다양성 가치, 다양성 기회, 다양성 적용, 다양성 환경 순으로 나타났다. 둘째, 예비교사의 인구통계학적 특성에 따른 차이를 분석한 결과 성별, 학년에 따라 변인에 따른 차이가 있었으며, 무엇보다도 다문화교육의 이해 교과목 수강경험이 있는 예비교사가 문화다양성 인식이 높게 나타났다. 셋째, 다문화인지 유형에 따른 문화다양성 인식의 관련성을 조사하기 위해 다문화인지도 집단을 분류한 결과, 선택적⋅소극적⋅적극적 다문화인지 집단 순으로 나타났으며, 이러한 다문화인지도는 문화다양성 인식에 영향을 주었다. 적극적 다문화인지 집단은 문화다양성 모든 변인에서 높은 인식을 보였다. 이와 같은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제언하면, 다문화교육 수강경험이 있는 예비교사일수록 문화다양성교육에 대한 필요성이 높았으며, 문화다양성에 대해 이해하고 수용할 자세를 지니고 있는 것으로 보아, 교원양성기관 다문화 교육과정 구성에 있어서 기존의 다문화교육의 이해 수준에서 벗어나 적극적으로 다른 문화를 수용하고, 자기 문화의 정체성을 살리며 다양한 문화 가치를 이해하려는 문화다양성 교육내용이 좀 더 구체적으로 제시되었으면 한다. 따라서 앞으로 교원양성기관 다문화 교육과정을 구성함에 있어 가치 중심의 문화다양성 내용이 통합적으로 제시됨으로써, 급속도로 다문화사회에 진입한 우리나라의 다양한 민족과 문화의 유입으로 인한 다양한 다문화적 문제를 실천적으로 해결할 수 있는 적극적 방안으로 모색되어지길 기대한다.

      • KCI등재

        스토리텔링 기반 문화다양성 수업전략 탐색

        정민수,장 성 민 한국다문화교육학회 2014 다문화교육연구 Vol.7 No.3

        본 연구는 스토리텔링의 원리가 문화다양성 수업과 어떻게 연결될 수 있는지를 알아보고 문화다양성 특질에 맞는 수업전략을 개발함으로써 학교 현장의 문화다양성 수업을 개선하여 새로운 문화다양성에 관한 교사용 지도서 개발의 전략과 아이디어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스토리텔링과 문화다양성과 관련된 문헌을 고찰하고 스토리텔링 기반 문화다양성 수업전략의 절차와 구성 요소 등을 형성연구를 통하여 개발하였다. 스토리텔링 기반 문화다양성 수업전략은 스토리텔링의 수업설계 원리와 전략을 문화다양성의 CRP(culturally responsive pedagogy) 교수법에 반영하여 개발하였으며, 스토리텔링의 이야기 구성기법을 매개로 CRP의 3단계 교수전략과 문화다양성 교육의 12가지 핵심개념 및 가치들을 연결하였다. 스토리텔링 기반 문화다양성 수업전략의 구체적인 교수전략 및 수업절차는 다음과 같다. 먼저, CRP 1단계 교수전략은 개념분석학습을 통한 문화다양성의 핵심개념 및 가치 분석 활동으로 수업절차는 문제제기-개념정의-사례발견-개념분석-개념적용으로 구성하였다. 다음 CRP 2단계 교수전략은 가치명료화학습을 통한 문화다양성의 정서 및 심리 공감 활동으로 수업절차는 문제파악-선택하기-긍지다지기-행동하기-명료화하기로 구성하였다. 마지막 CRP 3단계 교수전략은 가상체험학습을 통한 문화다양성의 표현 및 실행 경험 활동으로 수업절차는 과제파악-상황제시-활동선택-체험실시-내면화하기로 구성하였다. 또한 각 단계별 수업전략의 특징에 맞춰 이야기 들어가기-이야기 생각하기-이야기 연결하기-이야기 만들기-이야기 공유하기 단계를 스토리텔링 전략에 접목하였다. 본 연구의 스토리텔링 기반 문화다양성 수업전략은 문헌고찰과 형성연구를 통하여 고안되었으므로 본 수업모형의 현장 가능성 및 효과에 대한 실험연구와 조사연구가 후속 연구로 뒤따라야 할 것이다. This study aims at investigating how story telling principle can be linked with cultural diversity instruction, at developing instruction strategy and strategy, appropriate to cultural diversity traits, at improving cultural diversity instruction, and at offering development strategy and ideas of teacher guide books on new cultural diversity. So this study looked into the literatures, related with story telling and cultural diversity, and developed the procedure and component of cultural diversity instruction strategy based on story telling. This study developed cultural diversity instruction strategy based on story telling by applying instruction design principle and strategy of story telling to CPR (culturally responsive pedagogy) teaching method of cultural diversity. This study organized cultural diversity instruction strategy based on story telling by carrying CPR 3-step teaching method strategy, and 12 core concepts and values of cultural diversity education to story composition method of story telling. Concrete teaching strategy and instruction procedure of cultural diversity instruction strategy based on story telling are as followings. First, the 1st step teaching strategy of CRP is core concept and value analysis activity of cultural diversity through concept analysis learning, and instruction procedure is composed of question presentation - concept definition - case discovery - concept analysis - concept application. Next, the 2nd teaching strategy of CRP is an emotional and psychological empathy activity of cultural diversity through value clarity learning, and instruction procedure is composed of question grasping - selection - pride confirmation - activity - clarification. At last, the 3rd teaching strategy of CRP is expression and action experience activity of cultural diversity through vertical experience activity, and instruction procedure is composed of subject grasping - situation presentation - activity selection - experience implementation - internalization. The culture diversity instruction strategy based on story telling was invented through literature model. So, related with site possibility and effectiveness, experiential study and investigation research are indispensible.

      • KCI등재

        문화공공성과 문화다양성을 제고하기 위한 법적 과제

        김재광 한국공법학회 2015 공법연구 Vol.43 No.3

        In these days, cultural publicness and public diversity have become an important topic in the area of public law. The term of culture in the cultural state based on Constitutional Act of R.O.K takes diversity and publicness as essentials. This study examined the cultural publicness in terms of various laws responding for formal, substantial and procedural cultural publicness. The core of formal cultural publicness are cultural administrative organization and budget. The core of substantial cultural publicness are cultural participation, creation and education. The core of procedural cultural publicness are information disclosure and information provision. The study of cultural diversity also includes various laws such as laws about cultural diversity, multiculture, and cultural city etc. The legal issues for cultural publicness and diversity was proposed below: First, in order to enhance both cultural publicness and cultural diversity, the efforts of central and local governments for ① cultural decentralization-strengthening collaboration and cooperation between central and local government ② realization of cultural publicness and diversity by distribution of legislative power were studied. Second, in order to enhance the cultural publicness, the legal issues like ① legal definition of cultural publicness, ② legal challenges against Culture and Art Promotion Fund, ③ operational challenges of the ‘day of culture’, ④ challenges on the copyright law to enhance cultural publicness were reviewed. Third, ① the general training to enhance the cultural diversity and manpower training, ② strengthening international exchanges and cooperation for cultural diversity, ③ promoting cultural city to improve cultural diversity, ④ relieving social conflicts through raising cultural diversity were proposed as the legal issues to enhance cultural diversity. 오늘날 문화공공성과 문화다양성이 공법의 중요한 화두(話頭)로 등장하고 있다. 우리 헌법이 지향하는 문화국가에 있어서 문화란 ‘자율성․개별성․고유성․다양성․개방성․창조성․공공성’을 그 본질적 속성으로 한다. 문화국가란 문화의 자유와 평등이 보장되고, 국가의 적극적 과제로서 문화의 보호와 육성이 실현되는 국가를 말한다. 문화국가를 건설하기 위해 국가가 반드시 존중하고 또 그 문화정책의 가치기준으로 삼아야 되는 양심의 자유(제19조), 종교의 자유(제20조), 학문과 예술의 자유(제22조) 등을 우리 헌법은 보장하고 있다. 문화국가원리는 국가의 문화정책과 불가분의 상호관계에 있다. 국가와 문화의 관계에 대해서 ‘국가는 문화의 자율성을 보장하는 한편으로 또한 적극적으로 문화를 지원하고 육성해야 한다’는 기본관점을 가지고 있는 것으로 본다. 따라서 문화국가의 헌법적 과제로 대체로 ① 문화적 자율성의 보장, ② 문화의 보호․육성․진흥․전수, ③ 문화적 평등권의 보장을 들고 있다. 대부분의 현대국가는 문화현상의 자율성은 존중하면서도 문화국가를 위한 문화정책을 하나의 문화복지정책의 차원에서 파악하고, 모든 문화현상에 대해서 국민에게 균등한 참여기회를 보장해 주기 위해서 문화․교육단체의 조직과 활동이 민주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도록 최소한의 규제와 간섭을 하는 것이 보통이다. 문화국가의 본질상 문화공공성과 문화다양성을 제고하기 위해서 국가개입이 불가피한 경우가 있을 수 있다. 그러나 이 문제는 필연적으로 문화국가원리에 따른 국가개입의 원리적 한계문제를 제기하게 된다. 문화공공성을 형식적 문화공공성, 내용적 문화공공성, 과정적 문화공공성으로 유형화하여 그에 상응하는 다양한 법제들을 살펴보았다. 형식적 문화공공성은 문화행정조직과 문화행정예산을 핵심내용으로 하므로 문화행정조직제 등이 연구대상이 된다. 내용적 문화공공성은 문화 참여, 창작, 교육을 핵심내용으로 하므로 다양한 문화관련 법제들이 연구대상이 된다. 과정적 문화공공성은 문화 공론장의 형성의 전제조건으로서 참여, 정보의 공개 및 제공을 주요내용으로 하므로「행정절차법」, 「정보공개법」, 「공공데이타법」등이 연구대상이 된다. 한편 문화다양성도 「문화다양성법」, 다문화 관련 법제, 문화도시 관련 법제 등 다양한 법제들이 그 연구대상이 된다. 문화공공성과 문화다양성 제고를 위한 법적 과제로는 첫째, 문화공공성과 문화다양성 제고를 위한 중앙정부와 지자체의 노력으로서는 ① 문화분권 - 중앙정부와 지자체의 협업 및 협력 강화, ② 입법권 분배를 통한 문화공공성과 문화다양성의 실질화를 제시하였다. 둘째, 문화공공성을 제고하기 위한 법적 과제로는 ① 문화예술진흥기금의 존치 및 발전 방안, ② ‘문화가 있는 날’의 실질적 운영, ③ 민관협력을 통한 시민친화형 문화회관의 정립, ④ 문화공공성을 제고하기 위한 저작권제도의 개선 등을 제시하였다. 셋째, 문화다양성을 제고하기 위한 법적 과제로 ①「문화다양성법」상 문화다양성 정의의 재검토 필요, ② 문화다양성 제고를 위한 기반 조성 - 지역문화전문인력 양성 및 국제협력의 강화, ③ 문화도시 육성을 통한 문화다양성정책의 구체화, ④ 사회적 약자와 소수자의 문화적 권리를 보장하기 위한 문화다양성정책의 강화 등을 제시하였다.

      • KCI등재

        문화다양성 역량 교육프로그램 개발1

        송선영 ( Sun Young Song ) , 김항인 ( Hang In Kim ) 한국윤리학회 2015 倫理硏究 Vol.100 No.1

        본 연구의 목적은 2001 유네스코 ‘문화다양성 선언’에 기초하여 문화다양성 역량 교육프로그램을 개발하는 것이다. 문화다양성의 네 가지 원칙, 즉 정체성·다양성·다원주의, 인권, 창의성, 국제연대를 토대로 문화다양성 역량과 교육을 설명하였으며, 문화다양성 교육과 소극적 다문화주의에 기초한 다문화교육과의 비교를 통해 그 의미를 명료화하였다. 문화다양성 교육의 방향으로 ‘정체성과 다양성’, ‘갈등해결과 다원주의’, ‘창의성과 지속가능발전’을 제시하였고, 문화다양성 역량을 문화다양성 감수성, 문화다양성 판단력, 문화다양성 동기화, 문화다양성 실행력으로 구분하였다. 문화다양성 교육과정을 범부, 주제, 소주제, 교육내용, 역량을 순으로 제시하였다. 결론에서는 문화다양성 교육의 실시를 위해 학습자의 발달 수준별 문화 다양성 교육 내용 세분화, 범교과와의 유기적인 연계지도, 역량별 구체적인 교수학습 방법 개발, 교육프로그램의 효과 검증이 후속 연구를 통해 이루어져야 함 을 지적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velop an educational program for cultural diversity competence on the basis of the 2001 UNESCO Universal Declaration on Cultural Diversity. Four principles of cultural diversity, namely identity·diversity·pluralism, human rights, creativity, and international solidarity have been described on the basis of cultural diversity competence and training. Also, this study clarifies the meaning of cultural diversity through the comparison of multi-cultural education. In the direction of cultural diversity education, ‘identity and diversity’, ‘conflict resolution and pluralism’, and ‘Creativity and Sustainable Development’ are presented. This study divides cultural diversity competence with four components: cultural diversity sensitivity, judgment, motivation, and capacity. Cultural diversity education curriculum is composed of categories, themes, sub-themes, and educational content. In conclusion, this study suggests the following researches: specification of contents based on students’ cognitive level, the organic linkage between the contents and subject matters education, development of practical instructional methodology, and test of efficiency on the educational program for cultural diversity.

      • KCI등재

        국내외 주요 제도권 문서에 나타난 ‘문화다양성’ 개념의 해석적 고찰

        장의선(Eui Sun Jang) 글로벌교육연구학회 2016 글로벌교육연구 Vol.8 No.4

        우리나라에서는 지난 2014년 국제사회가 조인한 「문화다양성 협약」의 국내 이행을 위해 「문화다양성 법률」을 제정하고 시행하였다. 이는 유네스코의 「문화다양성 선언」에 근거한 「문화다양성 협약」을 비준한 국가들이 이행해야할 의무이기도 하였다. 따라서 현재 진행되고 있는 문화다양성의 교육적 적용을 위해서는 그 개념적 전거라 할 수 있는 유네스코의 「문화다양성 선언」과 「문화다양성 협약」에 대한 천착과 논의를 토대로 하지 않으면 안된다. 그러나 오늘날 우리나라의 문화다양성 교육과 이를 표방한 관련 정책 및 연구들 중에는 위에 언급한 유네스코의 주요 전거들과 충분히 부합하지 않는 사례가 적지 않고, 그 결과 다문화교육이나 국제이해교육 등에서 다루던 주요 주제나 내용들을 문화다양성 교육의 이름 아래 그대로 가져다 쓰는 등 잘못된 개념 적용에서 비롯된 여러 문제들이 파생되고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유네스코의 「문화다양성 선언」과 「문화다양성 협약」, 그리고 우리나라의 「문화다양성 법률」을 중심으로 국내외 주요 제도권 문서에 나타난 문화다양성 개념을 해석적 관점에서 비평 및 고찰하고, ‘제도권 수준의 이들 문헌에서 확인되는 문화다양성 개념이 적어도 제도권의 교육, 문화 영역에서 표준적 정의로 자리잡아야 한다.’는 점과 ‘문화다양성 교육이 국제 수준의 개념 정의에 정합하도록 기존의 다문화교육과 차별화된 기능을 수행하면서도 상호보완적 관계에서 발전할 수 있도록 양자의 바람직한 관계를 정립해야 한다.’는 점을 강조하였다. Korea legislated and enforced the 「Low on the Protection and Promotion of the Diversity of Cultural Expressions」 to implement 「Convention on the Protection and Promotion of the Diversity of Cultural Expressions」 which was internationally signed in 2014. This was also the responsibility for the countries that ratified the convention according to UNESCO 「Universal Declaration on Cultural Diversity」. Therefore when it come to applying cultural diversity to our education, this would be only possible on the basis of research and discussion of UNESCO 「Universal Declaration on Cultural Diversity」, which is the conceptual chapter and verse of cultural diversity. However, among our cultural diversity related education and some educational policies and studies in this area, we found many of them do not coincide with UNESCO 「Universal Declaration on Cultural Diversity」. Many educational practices that are from so-called multi-cultural education or Education of International Understanding have been applied as part of cultural diversity education and also there is some confusion on the main concept and some of the concepts have been incorrectly, which causes various problems. Therefore, in this study we considered and reviewed the concept of “Cultural Diversity” mainly described in UNESCO 「Universal Declaration on Cultural Diversity」, 「Convention on the Protection and Promotion of the Diversity of Cultural Expressions」, the 「Cultural Diversity Law in Korea and related documents within regime. Then, we suggested that the actual concept of “Cultural Diversity” that are found in above mentioned documents should be the standard definition in Cultural Diversity educatio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