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오메르 파스트의 포스트 시네마에 표상된 다중적 내러티브와 대항기억

        주하영 미술사학연구회 2023 美術史學報 Vol.- No.60

        This paper is a study of the post-cinema of Omer Fast, an artist from Jerusalem, Israel, whose work explores the meaning of war and trauma, history and documentation, archives and memory, through the lens of multiple narratives and counter-memory. His work is concerned with the ways in which national, social, collective and individual memories are mediated and transformed, drawing attention to the relationship between truth and falsehood, reality and fiction, in the way someone’s experience and reality is converted into memory. Through a variety of media, including film, video, and installation, Fast’s practice moves between documentary, drama, and fiction, experimenting with the blurred lines between reality and fantasy. In particular, Fast resists stereotypes and power relations, mixes social and political events with private desires, and creates hybrid films that deviate from conventional cinema, proposing new narratives. His practice is characterized by the hybridity of post cinema, where both factuality and subjectivity are revealed. His work explores the absurdities that arise when discourse and phenomena are displaced, transposed, and dislocated, rather than fixed histories and memories. This is where unexpected collisions and phenomena occur, and new values and meanings emerge from the intersection of disparate parts. This paper will provide a critical perspective on understanding Omer Fast’s post-cinema in terms of counter-memory and multiple narratives 본 논문은 이스라엘 예루살렘 출신 예술가인 오메르 파스트의 포스트 시네마에 관한 연구로, 전쟁과 트라우마, 역사와 기록, 아카이브와 기억의 의미를 탐구하는 파스트의 작업을 다중적 내러티브와 대항기억의 관점에서 살펴보고자 한다. 파스트의 작업은 국가와 사회, 집단과 개인의 기억이 매개되고 변화되는방식에 관심을 두고, 누군가의 경험과 현실이 기억으로 바뀌는 과정에서 진실과 거짓, 실재와 허구 사이의 관계에 주목한다. 파스트의 작업 방식은 영화, 비디오, 설치 등 다양한 매체를 통해, 다큐멘터리, 드라마, 판타지를 넘나들며, 현실과 가상 사이의 모호한 경계를 실험한다. 특히 파스트는 고정관념과 권력에 저항하고, 사회적, 정치적 사건과 사적인 욕망을 뒤섞어 기존의 영화적 관습에서 벗어나 혼종적 필름을 만들며, 새로운 내러티브를 제안한다. 이러한 파스트의 작업 방식은 사실성과 주관성을 모두 드러내는 포스트 시네마의혼종적 특징이기도 하다. 파스트의 작업은 고정된 역사나 기억이 아닌 담론이나 현상이 이동하고, 전치되었을 때, 그 틈에서 벌어지는 부조리한 상황에 대한 탐구이다. 이는 이질적인 부분이 맞닿은 곳에서 예기치 못한 충돌과 현상이 일어나고, 새로운 가치와 의미가 생겨나는 부분이기도 하다. 따라서 본 논문이 오메르 파스트의 포스트 시네마를 혼종성과 대항기억의 측면으로 이해하는데 있어 비판적 시각을 제공하기 바란다.

      • KCI등재

        김기덕 영화 <빈집>에 나타난 대항-현행화로서의 교육

        김영철 ( Young Chul Kim ) 한국교육인류학회 2012 교육인류학연구 Vol.15 No.2

        이 논문은 영화 <빈집>의 내용적 층위에 초점을 두어 ‘대항-현행화’로 요약될 수 있는 영화 이미지를 기술하고 해석한다. 대항-현행화는 잠재성을 규정가능성을 가진 것으로 보고, 현행성의 우발적 지점을 강조하며, 결국 잠재성과 현행성을 위계 없이 동등한 자격으로 내재성의 평면에 위치 지운다. 이 논문은 영화 자체와 전체를 존중한다는 의도에서 <빈집>의 시퀀스를 자세히 기술한 뒤, 장소, 행위, 인물이라는 사회적 상황의 세 측면 각각에 주목하여 해석을 수행하였다. 이때 해석의 개념적 도구는 대항-현행화이지만, 이 개념은 이미지에 선행하는 것이라기보다는, 이미지에 후행하는 것이다. 장소의 측면에서, 이 영화는 사랑과 평화가 있어야 할 ‘지상’의 집들조차 폭력과 균열에 물들어 있으며, 가혹한 훈육이 있어야 할 ‘지하’의 감옥조차 대항-현행화의 실천이 가능한 장소임을 보여준다. 행위의 측면에서, 이 영화는 폭력에 맞서는 폭력을 넘어서서 치유, 유대, 참회, 친밀성의 영향력 교류 등, 대항-현행화의 작은 실천들을 보여준다. 그리고 이러한 실천이 거대 권력에 의해 좌절되었을 때, 한 차원 높은 대항-현행화의 길이 있음을 보여준다. 인물의 측면에서, 이 영화는 억압된 한 여성을 등장시키되, 자신의 억압 속에 기생하는 환상적 인물로서가 아니라, 자신의 자아를 확충하는 잠재적 인물로서의 한 남성을 그녀가 만들어내고, 도피를 위한 개인적 욕망을 넘어서서 탈주를 위한 비인칭적 욕망을 품고 대항-현행화를 실천하는 모습을 보여준다. 내용적 층위에 한정하여 볼 때, <빈집>은 ‘교육영화’로 볼 수 있으며, 영화 이미지를 통해 교육의 개념을 탐구할 적절한 기회를 제공한다. According to Deleuze``s discourse on his latest work, counter-actualization faces some challenges and they are as follows: the virtuality is not of complete determination but the determinable, the aleatory point of the actuality gets at the heart of transmutation of the structure, and the virtuality and the actuality achieve equal positions in the plane of immanence. This study aims to describe the sequence of the film 3-iron and interpret the content stratum of the images that can be summarized at the concept counter-actualization. This study carries out two jobs: first it performs 1) describing the sequence of the film in full and detail, and 2) interpreting it focusing on the three aspects of social situation. The counter-actualization as the tool concept of the latter work is not prior to the film image but posterior to it. On the place aspect, the film shows that a home can be imbued with violence and crack, and jail can be a place for counter-actualization. On the act aspect, it presents on the screen little practices of the counter-actualization, for example, the healing, the union, the penitence, and the reciprocal influences of intimacy, beyond violence against violence, and does higher way of the counter-actualization when the little practices are frustrated by the enormous powers. On the character aspect, the film shows a woman tried for home violence, and makes a imaginary man, not the fantastic man who lives on in her repressive unconsciousness, but the virtual man who leads her to the expanded self. Though only approached from the content stratum, 3-iron may be an educational cinema, I think, and that it furnishes fine opportunity to investigate the concept of education based on the film image.

      • KCI등재

        이창동 작가론

        이현승(Hyun-Seung Lee),송정아(Jeang-Ah Song) 한국콘텐츠학회 2012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Vol.12 No.2

        영화작가로서 이창동은 장르적 자장 안에서 영화를 만들고 있는 한국영화계의 대다수 감독들과 구별된다. 그동안 그의 영화는 관객과의 소통을 위해 느와르, 멜로 등의 장르를 차용해왔지만 최근작 〈시〉에 이르러서는 장르적 외피를 벗어던진 것처럼 보인다. 〈초록물고기〉부터 〈시〉에 이르기까지 일관되게 남은 것은 관객의 참여를 요하는 깊은 심도와 시간의 연속을 암시하는 길게 찍은 숏들의 몽타주, 현실성을 강조한 연기 등 리얼리즘적 표현방식이다. 또한 이창동의 영화들은 환영적 동일시를 깨는 방식으로 관객들에게 성찰의 자리를 돌려준다는 측면에서 장르영화의 카운터 시네마로 파악할 수 있다. 이창동의 영화에서 볼 수 있는 ‘낯설게 하기’는 핸드헬드, 판타지, 미장아빔, 응시 되돌려 보내기 등의 영화적 장치로 구현된다. 이 장치들은 텍스트의 재현양식을 폭로함으로써 관객들이 역사적, 정치적 컨텍스트를 성찰하게 한다. 본 연구에서는 〈시〉,〈오아시스〉,〈밀양〉 등의 분석을 통해 이창동의 영화 만들기 행위는 결국 보이지 않는 ‘실재’를 상징화함으로써 ‘윤리를 창조하는 반복충동’이라고 주장할 것이다. As a film maker, Lee Chang Dong stands out from most Korean film makers who work within the trappings of genre films. To be sure, Lee has also used the trappings of genre films, such as noire and melodrama, but primarily as a tool to communicate with film audience. In his most recent film “Poetry”, Lee seems to have even stripped even the minimal trappings of genre film. Lee commands the audience to self-reflect and work towards their own conclusions by denying them the illusory identification on screen. In this way, Lee’s works are counter cinema. Lee achieves a distancing effect using such filmic apparatuses as hand-held camera, fantasy, mise en abyme, and returned gaze. Through these filmic apparatuses, Lee exposes the re-presentation of text and compels his audience to see the historical and political contexts of the text. In this study, I make the case that Lee Chang Dong’s film making is an act of repetition compulsion that cultivates ethical reflection, through symbolization of the invisible realities.

      • KCI등재

        일본영화 속의 적(敵) - 아시아태평양 전쟁기 스파이 영화를 중심으로 -

        강태웅 한국일본학회 2015 日本學報 Vol.105 No.-

        아시아 태평양 전쟁 때 만들어진 일본영화에서 적에 대한 표현보다는 일본인의 희생이 강조되어왔음은 사실이다. 그렇다고 적을 중심으로 이야기가 전개되는 스파이 영화가 만들어지지 않은 것은 아니다. 본고는 요시무라 고자부로 감독의 1942년도 영화 <간첩은 아직 죽지 않았다>를 중심으로, 적이 주인공으로 등장하는 스파이 영화를 분석함으로써 전시기 일본영화연구에 있어서 빠진 부분을 채워 넣으려고 하였다. 당시 유행하던 미국 스파이 영화와 마찬가지로 여자 스파이의 활약을 다루는 일본영화가 제작되었으나, 평가가 좋았던 요시무라 고자부로 감독의 <간첩은 아직 죽지 않았다>는 다른 방식의 내러티브를 선택하였다. 특수 장비를 사용하거나 고위 장성, 상류층을 대상으로 하는 기존의 여자 스파이와는 다르게, 이 영화 속의 남자 스파이는 일상 속에 활동하는 모습이 부각된다. 이러한 변화가 모든 일본인이 자신도 모르게 스파이가 될 수 있다는, 일상 속의 방첩을 강조하는 당국 정책에 의한 것임을 본고는 밝혀내었다. 또한 스파이 영화 속에 드러나는 일본의 적은 미국, 중국, 그리고 혼혈이라는 다양한 층위로 존재하였음을 찾아내었다. 교전국인 미국 스파이는 일본을 점령하려는 야욕을 숨김없이 드러낸다. 이는 미국의 군사적 위험에 대한 경각심을 불러일으킴과 동시에, 당시 일본이 안고 있던 물자부족, 주가하락 등의 문제도 스파이의 활동에 의한 것일지 모른다는 인식을 관객에게 심어주는 기능을 하였다. 중국의 스파이는 ‘대동아 전쟁’의 동지이자 동맹국 일원으로 인식되어 스파이다운 행위를 보이지 않고, 적에서 동지로의 변화를 보인다. 혼혈의 경우 일본인의 피가 섞이면 강력한 힘을 발휘하는 식의 표현이 행해졌음을 본고는 찾아내었다. Many researchers have pointed out the lack of otherness in the war films Japan produced during the Asia-Pacific War. In those films the tendency was to describe only the Japanese themselves and their sacrifices for the country. However, some of the films depicted enemies from other countries such as in the spy films. This article focuses on how those movies described the spies who certainly represent the otherness in wartime Japan. American espionage movies in which female agents played a femme fatale role, such as Dishonored and Mata Hari, were introduced to Japanese audiences and influenced Japanese features. However, highly praised films such as Kanchowa Imada Shisezu(The Spy Is Still Alive) did not follow the narrative of the American films. In this film, a male agent performed his duty among common Japanese people living their daily lives. This article argues that certain kinds of changes were caused by the circulation of counter-espionage ideology in that time, and finds that Japan had a variety of enemies: American, Chinese, and mixed race.

      • KCI등재

        The Aesthetics of Cuban Cinema achieved by Imperfect Technology - With focus on Post-Revolutionary Avant-garde films -

        Kim, Jaehong 한국영상제작기술학회 2019 영상기술연구 Vol.- No.30

        근대 자본주의와 산업기술의 발달에 따라 다양한 예술적 사조가 태동하였으며 일반적으로 전위(아방가르드)의 개념은 모더니즘과 동의어로 간주되었다. 서구모더니즘을 이끌었던 전위예술은 다양한 형식과 장르를 실험하는 영화예술을 추동하였다. 특히 전후 유럽의 전위영화는 할리우드에 대한 대항영화의 성격이 두드러졌고, 자기지시성과 자기반영성을 담은 예술적 미학을 추구하였다. 하지만 이러한 영화사의 인식은 기본적으로 서구사회를 중심으로 정립된 개념이다. 영화의 주류를 이끌었던 할리우드나 예술성을 강조했던 유럽영화와 달리 다양한 지역에서 다양한 방식으로 새로운 영화운동이 일어났다. 각 영화운동은 자신의 민족적, 정치적 정체성을 반영하면서 서양예술사와는 별개로 발전하였다. 산업화가 이루어진 서구와 달리 기술적으로 불완전했던 제 3세계에서는 오히려 기술의 불완전성으로 인해 자기만의 독특한 영화 미학을 창조하기도 했다. 라틴아메리카, 특히 1960년대 혁명이후의 쿠바영화는 형식과 내용, 제작 방식, 정치적 지향성 등 모든 측면에서 서구영화와 전혀 다른 영화적 성취를 이끌어 내었다. 스스로를 불완전영화로 규정하면서 픽션과 논픽션, 영화생산자와 소비자의 관계 등 규격화된 기존의 경계를 무너뜨리고, 기술의 불완전성으로 인해 오히려 새로운 영화 문법을 창조하였다. 따라서 쿠바의 불완전영화는 할리우드에 대한 적극적 대항영화라고 볼 수 있으며 개념적으로는 전위영화라고 부를 수 있다. 쿠바의 불완전영화는 옥타비오 게티노와 페르난도 솔라나스의 선언으로 구체화되었으며 대표작으로 The Other Francisco (Sergio Giral, 1975)와 Memories of Underdevelopment (Tomas Alea, 1968)를 들 수 있다. 본 논문에서는 두 편의 영화를 심층적으로 분석함으로써 쿠바 불완전영화의 생산양식과 미학, 영화사적 성취에 대해 고찰하였다. The development of modern capitalism and industrial technology brought about various artistic trends. In particular, the postwar European avant-garde films, which were characterized as anti-Hollywood, had pursued artistic experiments with self-reference and self-reflection. Unlike the artistic European films and industrial Hollywood films, new film movements took place in various regions. Each film movement had developed independently of Western art history reflecting its national and political identity. In the third world, which was technically incomplete as compared with the industrialized western world, it created a unique cinematic aesthetic due to the imperfectness of technology. Latin American cinema, especially the post-revolutionary Cuban films have achieved cinematic accomplishments that are completely different from western films in all aspects, including form, content, production method, and political orientation. Defining itself as an imperfect cinema, it undermined the existing boundaries such as fiction and nonfiction, relationship between film producers and consumers, and created a new cinematic grammar due to incompleteness of technology. Imperfect cinema was embodied in proposal of Octavio Getino and Fernando Solanas. Its works include The Other Francisco (Sergio Giral, 1975) and Memories of Underdevelopment (Tomas Alea, 1968). In this paper, I study the production style, aesthetics, and cinematic achievements of Cuban imperfect cinema by analyzing two films in depth.

      • KCI등재

        The Aesthetics of Cuban Cinema achieved by Imperfect Technology –With focus on Post-Revolutionary Avant-garde films-

        김재홍 한국영상제작기술학회 2019 영상기술연구 Vol.- No.30

        The development of modern capitalism and industrial technology brought about various artistic trends. In particular, the postwar European avant-garde films, which were characterized as anti-Hollywood, had pursued artistic experiments with self-reference and self-reflection. Unlike the artistic European films and industrial Hollywood films, new film movements took place in various regions. Each film movement had developed independently of Western art history reflecting its national and political identity. In the third world, which was technically incomplete as compared with the industrialized western world, it created a unique cinematic aesthetic due to the imperfectness of technology. Latin American cinema, especially the post-revolutionary Cuban films have achieved cinematic accomplishments that are completely different from western films in all aspects, including form, content, production method, and political orientation. Defining itself as an imperfect cinema, it undermined the existing boundaries such as fiction and nonfiction, relationship between film producers and consumers, and created a new cinematic grammar due to incompleteness of technology. Imperfect cinema was embodied in proposal of Octavio Getino and Fernando Solanas. Its works include The Other Francisco (Sergio Giral, 1975) and Memories of Underdevelopment (Tomas Alea, 1968). In this paper, I study the production style, aesthetics, and cinematic achievements of Cuban imperfect cinema by analyzing two films in depth.

      • KCI등재후보
      • KCI등재후보

        A view point for understanding Korean Experimental Film

        Choi, Jong Han(최종한) 청운대학교 방송예술연구소 2017 미디어와 공연예술연구 Vol.12 No.3

        1960년대부터 유현목, 김구림 등에 의해 본격적으로 시작됐다고 말해지는 한국 실험영화는 그 저변을 확장하며 명맥을 이어오고 있으나 관련 연구는 많이 부족한 편이다. 현재까지도 한국 실험영화란 과연 무엇인가 그리고 무슨 실험을 해오고 있는가에 대한 명확한 답을 제시하는 연구는 찾기 어렵다. 특히 그 장르의 초기 형성 과정, 과거 한국 여러 예술장르와의 연관성, 빛과 관람 방식 등에 관한 제도와 장치 변천상 그리고 예술적 존재방식에 대한 연구는 극히 부분적으로만 수행되었다. 실험이라는 대단히 추상적인 표현 속에 한국 실험영화는 모호하게 정의 또는 정의 회피되었으며 비주류, 비상업 영화적 특성으로 인해 1000만 관객시대에 걸맞지 않게 한국에서 그 연구와 창작이 외면 받아왔다. 이러한 시점에 본 연구는 한국 실험영화 장르를 이해하고 연구하기 위한 기저가 될 수 있는 관점(Viewpoint)을 질적연구를 통해 탐색해보고자 한다. 실험영화란 과연 무엇이며 여타 장르의 영화들과 어떻게 구별될 수 있는지 또한 어떠한 경로로 누구에 의해 시작되었으며, 그 형성 배경과 과정, 시간 실험의 유형과 여타 장르와의 협력관계 등에 대한 개괄적 고찰을 통해 한국 실험영화 장르를 영화연구 영역의 명확한 자리에 위치시키고, 그 고유한 실험적 원형을 규명해보고자 한다. The Korean experimental film, which is said to have begun in earnest by Yu Hyun-Mok and Kim Ku-Rim since the 1960 s, has been expanding its base, but the research is still lacking. Until now, it is hard to find a research that suggests a clear answer about what Korean experimental films are and what experiments they are doing. Particularly, the research on the system of the early formation of the Korean experimental film genre, the relation with the past Korean art genres, the system of the light screening and the way of viewing, In the highly abstract expression of experimentation, the Korean experimental film was obscurely defined or avoided by definition, and due to its non-mainstream and non-commercial cinematic characteristics, its research and creation have been ignored in Korea, At this point, this study seeks to explore the viewpoints that can be used as basis for understanding and studying Korean experimental film genres. Experimental film is what it is and how it can be distinguished from other film genres. It also gives an overview of who started by what path, the background of the process, the type of time experiment and cooperation with other genres. I would like to place the Korean experimental movie genre in a clear place in the film research area and to identify its original experimental prototype.

      • KCI등재후보

        A viewpoint for understanding Korean Experimental Film

        최종한 청운대학교 방송·예술연구소 2017 미디어와 공연예술연구 Vol.12 No.3

        The Korean experimental film, which is said to have begun in earnest by Yu Hyun-Mok and Kim Ku-Rim since the 1960's, has been expanding its base, but the research is still lacking. Until now, it is hard to find a research that suggests a clear answer about what Korean experimental films are and what experiments they are doing. Particularly, the research on the system of the early formation of the Korean experimental film genre, the relation with the past Korean art genres, the system of the light screening and the way of viewing, In the highly abstract expression of experimentation, the Korean experimental film was obscurely defined or avoided by definition, and due to its non-mainstream and non-commercial cinematic characteristics, its research and creation have been ignored in Korea, At this point, this study seeks to explore the viewpoints that can be used as basis for understanding and studying Korean experimental film genres. Experimental film is what it is and how it can be distinguished from other film genres. It also gives an overview of who started by what path, the background of the process, the type of time experiment and cooperation with other genres. I would like to place the Korean experimental movie genre in a clear place in the film research area and to identify its original experimental prototype.

      • KCI등재

        아방가르드 영화의 미학과 유희적 모더니즘

        문관규(Mun Gwan Gyu) 한국영화학회 2008 영화연구 Vol.0 No.37

        Yang Hae-hoon actively accepts a realist and avant-garde esthetics. He belongs to a group of playing modernism, which Yoon Seong-ho and Gok-sa also join in. The first characteristic of an esthetics of avant-garde film is visual narrativization. The second is a violation against a taboo. The third is an open structure to provide audience a chance of reflection. The fourth is a disobedience to continuity with non-conventional editing. Yang's The Wind achieves successfully visual narrativiztion, and My Dear Rosetta shows reversiblity of subject as a violation against a taboo by incest. The Swaying Boat, The Wind, and My Dear Rosetta open an expansion of a meaning and a chance of reflection by audience through open structures. Who That Knocking at My Door and My Dear Rosetta erase the boundary of reality and fantasy through a disobedience to continuity with non-conventional editing. Holding a side of transparent representation of reality and accepting positively a technique of avant-garde esthetics, Yang's films explore cinematic language and convey effectively his subject. Korean independent film in the 1990s intends realism of social criticism. The film in the 2000s has a modernist tendency to attack a society with experimental forms and plying methods instead of ideological criticism. The representative directors with this style are Yoon Seong-ho, Gok-sa an Yang Hae-hoon. Preserving a distance to established severe realism, they have aimed playing modernism towards criticism of the societ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