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문화콘텐츠 소재로서의 차(茶)문화 활용에 관한 연구

        김제중 한국일러스아트학회 2010 조형미디어학 Vol.13 No.2

        Korean Tea culture have a long history and tradition from the period of the Three States through the Goryeo and Joseon dynasty. However, tea was not become popular in Japan or china. Recently, tea culture have rapid growth with various space such as museum of tea culture and tea culture association, Reason for tea culture bring into vogue as symbol of well-being trend. The aim of this study is to theoretically consider the tea culture have the potential as material of cultural contents. In this study, I would like to research the characteristic of the various tea culture and applied case study of tea culture. First of all, tea culture can apply to the material of cultural contents utilized movie and soap opera. A refined and formality England tea culture appeals through the film which is based on the novel of Jane Austen. Also Korean soap opera ‘DAMO(茶母)’ is the possibility as material of storytelling about the woman's changable life related with tea. In this study, I have researched for many case studies of utilizing tea culture as material of cultural contents. To liven up the mood, tea festival, tea product take relation with friendly character, album and DVD. Development of tea culture growth with pottery and interior design, especially interior space is very important to feel their classical atmosphere and make different form by situation. Interior design apply to the various art, therefore factor in above mentioned field will be in the origin of cultural contents to make another value during the tea diffusion. Added value will be created with approaching the tea from a cultural contents angle. these will be in relation to the tea, tea house, teacup and many cultural product with tea 우리나라의 차(茶)문화는 삼국시대로부터 고려, 조선시대를 거친 오랜 역사와 전통을 가지고 있지만 일본이나 중국에 비해서는 대중화되지 못한 경향이 있었다. 그러나 최근 웰빙문화의 상징으로 차(茶)문화가 성행하여 차(茶)문화 관련 단체 및 차(茶)문화 박물관 등 다양한 차(茶)문화 공간들이 빠른 속도로 늘고 있다. 이러한 시대적 흐름은 차(茶)문화에 관한 많은 사회적 관심을 초래하였기에 본 연구에서는 다양한 차(茶)문화의 특징들과 차(茶)문화를 활용한 사례를 알아봄으로서 문화콘텐츠 소재로서의 활용 가능성을 살펴보고자 하였다. 우선, 영화 및 드라마에 활용된 문화콘텐츠 소재로서의 차(茶)문화는, 제인오스틴의 소설을 영화화한 내용을 통해 영국 차(茶)문화의 격조와 격식을, 우리나라 TV 드라마 ‘다모(茶母)’에서는 차를 다루는 여인의 변화된 삶에 관한 스토리텔링의 가능성을 살펴보았다. 차(茶)관련 축제와 차 음료의 상품에 친근감의 표현 수단으로 사용되어 온 캐릭터분야를 조사하여 정리하였고 음반 및 DVD분야에도 차와 관련한 음악을 수록하여 차를 음용하며 분위기를 높이는 문화콘텐츠 소재로서의 차(茶)문화 활용 예를 살펴보았다. 또한 차(茶)문화의 발달은 도자기 산업과 실내 공간 디자인분야를 발전시켰는데 특히 실내공간은 아주 다양한 형태로 상황에 따라 만들어지고 있었다. 또 시대적 분위기를 느낄 수 있는 중요한 공간이기에 인테리어 디자인은 매우 다양하게 전개될 수 있으며 또한 예술분야를 접할 수 있는 분야라고 판단되어지므로 앞서 제시한 다양한 분야의 요소들이 차(茶)확산과정에 또 다른 가치를 만들어 낼 수 있는 문화콘텐츠의 원천이 될 수 있다고 보아진다. 따라서 차(茶)자체를 비롯하여 보이지 않는 차(茶)관련 문화상품들과의 연관은 물론, 차(茶)를 담아내는 그릇과 차(茶)를 마시는 공간과 그곳에서 이루어지는 차(茶)와 관련된 모든 문화적 행위들이 문화콘텐츠 적 접근을 통하여 무한한 부가가치를 창출 해낼 수 있다고 판단되어 진다.

      • KCI등재

        대구차문화축제와 진다례의 차문화 콘텐츠 연구

        김길령(Gil-ryeong Kim) 국제차문화학회 2019 차문화ㆍ산업학 Vol.45 No.-

        본 연구는 대구차문화축제의 성과 및 개선방안과 진다례의 문화콘텐츠적 가치를 살펴봄으로써 한국의 차축제와 전통다례문화를 독창적인 차문화콘텐츠로 개발하는데 의의가 있었다. 문화콘텐츠(Culture Content)란 창의력, 상상력을 원천으로 ‘문화적 요소’가 체화되어 경제적 가치를 창출하는 문화상품(Cultural Commodity)을 의미한다. 대구차문화축제와 진다례를 통하여 창의성과 기술을 바탕으로 고부가가치를 창출하는 문화콘텐츠로 전환될 수 있다. 대구차문화축제는 행사내용 및 구성에 따라 차를 중심으로 한 전통 문화축제로 교육․문화․산업발전에 기여하는 종합축제 뿐만 아니라 지역민의 일체감 조성, 지역사회의 소통적 기능, 전통문화 보존의 기능을 내포하고 있는 축제였다. 대구차문화축제는 한국차는 물론 세계의 차와 관련된 문화, 교육, 산업 전반에 걸쳐 체험과 소통의 장이 되었다. 앞으로의 발전방안으로 축제와 연계한 다양한 문화콘텐츠의 상품화와 체계적인 마케팅을 통해 차별화된 경쟁력을 확보하는 것이다. 더욱이 축제와 문화콘텐츠를 연계하여 브랜드 경쟁력을 높이고 특색있는 문화프로그램 개발과 대구의 특성을 살린 체험프로그램을 강화해야 할 것이다. 대구차문화축제의 진다례는 현대의 차문화축제의 구성 중 중요한 부분을 차지한다. 백인진다례는 복잡한 절차를 대폭 간소화 하여 축제의 참가자들에게 한국차문화의 고귀함을 보여주는 의례로 재현되었다. 진다례의 원형 발굴과 현대에 적합한 의례로서의 재창조로 축제와 접목시킨 차문화콘텐츠 개발이 필요하다. This study focuses on developing Korean tea festival and traditional tea ceremony culture into unique culture contents by looking at the achievements and improvement of Daegu Tea Culture Festival with the value of Jin Da-lye. Culture content defines a cultural commodity that creates economic value by forming a cultural element as a source of creativity and imagination. In this context, Daegu Tea Culture Festival and Jin Da-lye can be converted into cultural contents that create high value based on creativity and art. Daegu Tea Culture Festival is a traditional cultural festival centered on tea and related contents. It is a festival that not only contributes to the development of education, culture and industry, but also creates a sense of unity among the local people and preserves traditional culture. Daegu Tea Culture Festival has become a venue for experience and communication throughout the culture, education and industry related to Korean teas as well as the world s ones. As a way of future development, this study supposes to secure differentiated competitiveness through the commercialization of various cultural contents linked to festivals and systematic marketing. Moreover, it is encouraged to enhance our brand competitiveness by linking cultural contents to festival and developing distinctive programs. This will lead to strengthen experiential programs of festival with characteristics of Daegu. Jin Da-lye is an important part of modern tea culture. It is reenacted as a ritual that shows the nobility of Korean tea culture to participants of the festival by drastically simplifying complicated procedures. It is necessary to develop tea cultural contents combined with festivals by excavating the prototype of Jin Da-lye and recreating it as a rite suitable for modern times.

      • KCI등재

        대학생의 차문화 교육에 대한 관심도 연구 : 대구시 4년제 대학을 중심으로

        최배영(Bae-Young Choi),장칠선(Chil-Sun Jang) 한국차학회 2008 한국차학회지 Vol.14 No.1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university student's concerns on tea culture education. The study tried to present basic materials for the facilitation of tea culture education in universities. The study results were summarized as follows: 1. The ultimate purpose of tea culture education for university students is to help students to purify their sentiments, improve physical and mental health, cultivate their characters, and behave appropriately through teaching tea culture and its etiquettes. That is, tea culture education helps students to create and maintain good relationship with people nearby. In addition, tea culture education also aimed at inheriting and developing traditional tea culture that makes harmony with modern culture. 2. Tea culture educational contents concerned by university students constituted the following 16 items, which were put in order of the students' preference for what they wanted to learn as to tea culture: tea serving, tea drinking, the method of selecting good quality tea, the method of brewing various kinds of tea, making tea snacks, ingredient and benefits of tea, Oriental tea, distinguishing various kinds of tea, manufacturing tea from tea leaves, Western tea, tea substitutes, tea utensils, the history of tea, spirits reflected in tea, exploring tea cultural site, and demonstration of appropriate tea drinking manner. This should be considered when composing tea educational contents. 3. University students concerned that tea culture education include both explanations of theories and practices using adequate tea utensils based on tea culture education experts' useful educational contents to make it easier to understand tea culture. In addition, many of the students also demanded that tea culture education related medium be provided.

      • KCI등재

        차(茶)문화의 콘텐츠화를 통한 문화콘텐츠 육성 방안 연구

        김미경(Mi-kyung Kim),곽진원(Jin-yuan Guo) 한국콘텐츠학회 2021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Vol.21 No.2

        본 연구는 국내의 차(茶)문화를 국내의 문화를 담은 하나의 문화콘텐츠로 육성하여 국내의 문화경쟁력을 높이며, 콘텐츠 시대 속 새로운 문화적 제재를 제시하기 위해 수행되었다. 콘텐츠산업의 성장세와 국내 문화의 흐름을 보아, 오늘날의 ‘한류’로 대변되는 문화콘텐츠는 현재 부재한 실정이기에 보다 한국적인 콘텐츠에 대한 개발을 통해 시대에 발맞추기 위한 움직임이 필요한 시점으로 보인다. 이에, 본 연구자는 한국 고유의 차(茶)문화를 조명했으며 차(茶)문화의 근원지로 알려진 중국의 사례를 검토하여 국내 차(茶)문화의 콘텐츠화 전략을 제시하였다. 이를 위해 가장 선행되어야 하는 일은 국내 차(茶)문화에 대한 정체성과 가치를 규명하는 일이며, 이어 차(茶)문화에 대한 교육을 확대하고 수익구조를 다각화하여 한국만의 문화콘텐츠로서의 차(茶)문화의 재발견이 이루어져야 함을 시사했다. This study was conducted to foster domestic tea (茶) culture as a single cultural content containing domestic culture, to increase domestic cultural competitiveness, and to suggest new cultural sanctions in the content era. Given the growth of the contents industry and the flow of domestic culture, cultural contents represented by the “Hallyu” of today do not exist at present, so it seems the time to move to keep pace with the times through the development of more Korean contents. Accordingly, this researcher has shed light on Korean tea (茶) culture, and reviewed the case of China, which is known as the origin of tea (茶) culture, and suggested a strategy for content creation of domestic tea (茶) culture. For this, the most prerequisite is to identify the identity and value of the domestic tea (茶) culture, and then expand education on tea (茶) culture and diversify the profit structure to serve as Korean cultural contents (茶) It suggested that the rediscovery of culture should be made.

      • KCI등재

        인천지역 다방의 정치문화사 연구를 통한 해양관광콘텐츠화 방안

        김은희,김용완,이웅규 한국도서(섬)학회 2020 韓國島嶼硏究 Vol.32 No.3

        최근 지방자치단체마다 관광을 지역경제 활성화나 지역홍보 등의 만병통치약으로 활용하고 있는 실정이다. 특히, 특정 지역의 관광이 그 본래의 기능이나 역할을 하기 보다는 시대의 흐름이나 지역 지도자에 의해 이용되면서 파편화된 형태의 관광개발, 알맹이가 없거나 베끼기 식의 재탕 지역문화축제가 난무하고 있다. 이런 상황에서 타 지역과 차별화되고 특색 있는 관광콘텐츠나 관광자원으로 관광스토리텔링화 하는 것이 필요한 시점이다. 우리나라 최초·최고의 관광콘텐츠를 지니고 있는 인천지역의 관광자원을 적극 활용할 필요성에 본 연구는 최근 각광받고 있는 커피라는 소재를 발굴하여 인천의 해양관광콘텐츠로 발굴하고자 한다. 인천지역에 파편적으로 떠돌고 있는 인천의 커피 관련 스토리(story)의 구체적인 모습들을 관광스토리텔링으로 잘 엮어준다면 개항장, 자장면과 차이나타운, 광신제면과 쫄면, 인천의 성냥공장 조선인촌회사, 영국 군함 플라잉스호에 의해 소개된 축구, 서구식 호텔 대불호텔, 서구식 공원 자유공원, 내리교회, 천일제염을 제조한 주안염전 등으로 정의되는 인천관광의 핵심 해양관광콘텐츠가 될 것이다. 이를 위해서 인천지역의 커피와 관련된 다양한 목소리와 그 문화의 기록을 꾸준히 모은다면 이는 인천이라는 지역이 가진 개항장의 한계 또는 해양도시로서의 문화적 특성을 부각시키는 계기가 될 것이다. 따라서 최근 감성 위주의 소비문화를 바탕으로 발전하고 있는 우리나라 커피문화의 유입경로였던 인천항과 커피믹스의 신화를 창조한 동서식품의 설립과 관련된 인천지역의 다방의 정치문화사를 분석함으로서 인천관광의 발전 방안 또는 더 큰 흐름을 만들어낼 가능성을 논의해 볼 시점이라고 할 수 있다. 본 연구는 감성위주의 소비문화를 바탕으로 발전하고 있는 우리니라 커피산업과 관광스토리텔링의 연관성을 통해 커피 관련 스토리텔링 기법을 활용하고자 한다. 특히 관광객이 가장 직접적으로 경험할 수 있는 인천지역의 다양한 커피문화를 해양관광콘텐츠로 발굴하는 것이 가장 필요한 시점이라고 제안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본 연구는 최근 커피산업의 급속한 성장과 더불어 카페문화가 우리 사회의 하나의 상징으로까지 발전하고 있다는 점을 기회로 삼아 커피와 관련된 역사적·정치적·사회적 의미를 지닌 사건이나 공간이 타 지역에 비해 많이 있는 인천의 다방을 중심으로 문헌고찰하였다. 이를 통해 본 연구는 인천의 정치문화적 추억을 지킨 다방의 문화적 가치의 다양성에 대한 관광콘텐츠화, 도심관광 활성화를 위한 지역의 역사나 이야기 거리가 풍부한 다방의 관광콘텐츠화, 노동·사회운동단체의 매개 장소로 사용되던 민주화 운동의 성지로서의 관광콘텐츠화, 모던다방, DJ음악다방, 믹스커피다방 재현을 통한 ‘추억과 낭만의 인천’ 관광콘텐츠화 등을 제안하였다. 이 방안은 인천지역의 다방이 지닌 정치·경제적인 요인들이 인천지역의 해양관광의 매력요인을 증대시키는 주요 요인이 될 것이기 때문에 인천관광브랜드 이미지의 확립과 지속가능한 인천관광에 중요한 역할을 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In recent years, each local government is using tourism as a panacea for revitalizing the local economy or promoting local communities. In this situation, it is necessary to make tourism storytelling with tourism contents or tourism resources that are differentiated from other regions and are unique. Therefore, in view of the necessity to actively utilize the tourism resources of the Incheon region, which has the first and best tourism contents in Korea, this study seeks to discover the material of coffee, which is recently in the spotlight, and as a marine tourism contents of Incheon. To this end, if we consistently collect various voices related to coffee in the Incheon region and records of its culture, this will serve as an opportunity to highlight the limitations of the Incheon region's open ports or cultural characteristics as a marine city. Therefore, the development plan of Incheon tourism by analyzing the political and cultural history of the coffee shops in the Incheon area related to the establishment of the Incheon Port, which was the influx of Korean coffee culture, which was the influx of Korean coffee culture, and Dongseo Foods that created the myth of coffee mix. Or, it may be time to discuss the possibility of creating a larger flow. Therefore, this study attempts to utilize the coffee-related storytelling technique through the connection between the Urinira coffee industry, which is developing based on the emotion-oriented consumption culture, and tourism storytelling. In particular, I would like to suggest that it is the most necessary time to discover various coffee cultures in Incheon that tourists can experience most directly as marine tourism contents. To this end, this study takes the fact that the recent rapid growth of the coffee industry and the fact that cafe culture is developing as a symbol of our society as an opportunity, Literature review was conducted focusing on the many cafes in Incheon. Through this, this study aims to create a tourism content for the diversity of cultural values ​​of a tea room that preserved the political and cultural memories of Incheon, to make a tea room tourism content rich in local history and storytelling to revitalize urban tourism, and a mediating place for labor and social movement groups It has been proposed as a tourism content as a sacred place for the democratization movement, a modern tea room, a DJ music tea room, and a mixed coffee tea room to make'memory and romantic Incheon' tourism contents. This will be a major factor in increasing the attractive factors of Incheon marine tourism due to the political and economic factors of the tea houses in the Incheon region. In the end, these factors are expected to play an important role in the establishment of the Incheon tourism brand image and sustainable tourism in Incheon.

      • KCI등재

        조선시대 관모를 주제로 한 도자 차(茶) 도구 디자인 연구

        하태훈 한국디자인학회 2023 Design Works Vol.6 No.2

        The interest in Korean content is increasing because of the active exchanges of information and culture worldwide. Today, when the interests and demands on Korean culture are dramatically increasing, the necessity of developing Korean products has been suggested, and in this study, an official hat from the Joseon dynasty with Korean affect attracts attention as a unique Korean characteristic. Official hats are a traditional cultural heritage that shows the lifestyle and values of our ancestors and were developed in various forms, especially among the noble class. As the official hat was highly valued under the influence of Confucianism, the ancestors regarded the hat as a means of showing dignity. Accordingly, the official hat expressed the unique forms and symbolism of our nation and the phases of the times and implied the aesthetic consciousness of the time. In addition, ‘tea culture,’ a means for our ancestors to cultivate the beauty of taste, became a psychological cultivation to reflect on the inner side of our traditional life culture. Although tea declined after the Japanese Invasion of Korea (in 1592) in the Joseon era, it is a historically important part of tea culture that led to a revival through the efforts of monks and scholars. However, due to today's egalitarian society and the simplification of attire, official hats have naturally disappeared, and it isn't easy to find the elaborate and beautiful formative beauty of official hats in modern life. Modern tea culture is also being enjoyed as a favorite drink for health and culture, while the cultural meaning of traditional rites is weakening. It is difficult for cultural heritages that contain the uniqueness of the Korean culture to retain their meaning in modern times. Therefore, to pass on the necessity of developing Korean cultural products and the beauty and meaning of Korean culture to future generations, we are trying to develop tea tools that are highly usable in the modern changed tea culture by being inspired by 'official hat' and 'tea culture'. This study examines the historical and cultural meanings of 'official hat' and 'tea culture', respectively, and based on the research contents, the formative beauty of official hat that the researcher thinks is newly interpreted as a theme and a tea utensil design will be proposed by using ceramic techniques. 전 세계적으로 정보와 문화의 활발한 교류로 인해 한국 콘텐츠에 대한 관심이 증가하고 있다. 이러한 영향으로 한국의 문화 에 대한 관심과 수요가 급증하고 있는 오늘날, 한국적 상품 개발의 필요성을 절감하였고, 본 연구자는 고유한 한국적 특색으로 우리의 정서를 가진 조선시대 관모에 주목하였다. 관모는 선조들의 생활양식과 가치관을 보여주는 전통 문화유산으로, 특히 양반 계층에서 다양한 형태로 발달하였다. 관모에는 유교의 영향으로 의관정제(衣冠 整齊)를 중요시함에 따라 선조들은 모자가 품위를 드러내는 수단이라 여겼다. 이에 관모는 우리 민족이 가진 고유한 조형성 및 상징성, 시대상이 표현되어 있고, 당시의 미의식이 함축되었다. 그리고 선조들이 풍류의 멋을 가꾸는 수단이었던 ‘차(茶) 문화’는 우리 고유의 전통 생활문화로써 내면을 성찰하는 심리적 수양의 방편이 되었다. 차(茶)는 조선시대 임진왜란 이후 쇠퇴하였으나, 승려와 선비들의 노력으로 중흥기를 끌어냈다는 점이 차 문화에서 역사적으로 중요한 부분을 차지한다. 하지만 오늘날 평등사회와 복장의 간소화로 인하여 관모는 자연스레 자취를 감추게 되었고, 현대 생활에서 관모가 가진 정교하면서 아름다운 조형미는 찾아보기 어려워졌다. 현대의 차 문화 역시 전통 차례를 위한 문화적 의미는 약해지고, 건강과 문화를 위한 기호 음료로 향유되고 있다. 우리 문화의 고유성을 담고 있는 문화유산들은 현대에 그 의미가 온전히 유지되기 어렵다. 따라서 한국 문화상품 개발의 필요성과 우리 문화의 아름다움과 의미를 후대에 계승하고자 하는 노력으로, ‘관모’와 ‘차 문화’를 차용하여 현대의 변화된 차 문화에 활용도 높은 차 도구 개발을 하려 한다. 본 연구는 각각 ‘관모’와 ‘차 문화’가 가지는 역사적, 문화적 의미에 대해 살 펴보고, 연구한 내용을 바탕으로 본 연구자가 생각하는 관모의 조형미를 주제로 새롭게 해석하여 전통 도자 기법을 이용한 차(茶) 도구 디자인을 제안하려 한다.

      • KCI등재

        선(禪)문화 콘텐츠로서의 ‘차(茶)’의 가치 탐색

        정영희 ( Jung Young-hee ) 동아시아불교문화학회 2021 동아시아불교문화 Vol.- No.46

        본 연구는 ‘차(茶)’라는 매개체를 활용한 선문화 콘텐츠 개발의 가능성을 탐색하고자 하는 것이 목적이다. 차는 선승들의 수행 보조음료이자, 청규의 수행, 화두 속의 주제어로 등장하며 선승들의 일상문화로 자리매김하는가 하면, 선수행을 하고자 하는 재가 차인들의 생활수행으로 이어졌다. 이러한 흐름 속에 차생활이 곧 선수행과 다르지 않다는 의미가 형성되며, 다선일미의 차정신이 탄생되었다. 다선일미는 선과 차의 관계를 논하는 용어로 대표되며, 오늘날 ‘선차’와 ‘차명상’이라는 키워드로 부각되고 있다. 선차라는 용어는 다양한 문화콘텐츠 요소로 활용되고 있는데, 학술용어로 사용되는가 하면, 예술성과 수행성을 표현한 현대 차 행법으로 대표되기도 한다. 또한 선차라는 이름의 차 제품이 생산 유통되고도 있다. 차명상은 이에 반해, 수행 방법으로 특성화되는 경향을 보이는데, 오늘날 명상의 대중화 흐름과 맞물려 효과적인 명상 방법으로 제안되고 있다. 선차와 차명상을 주제로 한 다양한 문화콘텐츠 개발로 선의 일상화와 대중화를 보다 기대할 수 있으며, 따라서 차를 활용한 선문화 콘텐츠 개발이 더욱 적극적으로 요구된다 할 것이다. This study aims to explore the possibility of developing Seon (Zen) culture contents using the medium of tea. As a supplementary drink for Seon monks, tea appeared as a keyword in performing the pure rules and hwadu (huatou) meditation, and established itself as the ordinary culture among Seon monks. Tea then extended to an everyday practice of laymen who desire to carry out Seon meditation. Against this background, a trend was formed in which the life of tea way is not separated from Seon practice, and the spirit of tea, daseon ilmi (tea and Seon are of one and the same taste), was born. Daseon ilmi is represented as a term defining relationship between today's Seon and tea, and today it is emerging as keywords like ‘Seon tea’ and ‘tea meditation.’ The term ‘Seon tea’ is used as an element of various cultural contents. While being used as academic terminology, the term is also represented by the method of modern tea that expresses artistry and the cultivation of Buddhist practice, and is even used as the name of a tea product that is currently produced and distributed. In comparison, tea meditation tends to be characterized as a practice method, which is proposed as an effective meditation method in gear with the popularization of meditation today. We can expect the generalization and popularization of Seon more than before through the development of various cultural contents on the subjects of Seon tea and tea meditation. Therefore, it is required more actively to develop Seon cultural contents by applying tea.

      • KCI등재

        차로 이용하는 식물의 다양화 연구

        민태영(Tae-Young Min) 국제차문화학회 2019 차문화ㆍ산업학 Vol.45 No.-

        인간이 마음 다스리는데 있어 유용한 방법 중 하나로 차의 음용을 들 수 있다. 일련의 과정을 통해 차를 마시면서 적어도 내면의 갈등 요소는 일정 부분 해소될 수도 있고 반복적인 과정을 통해 마음의 힘을 기르는데 도움이 될 수 있기 때문이다. 최근 약리적 효능을 내세운 많은 대용 차들이 선보이고 있으나 차 인구의 저변 확대로 이어진다거나 새로운 차 문화를 이끌어나가기에는 보완할 점이 적지 않다. 이에 논자는 역사성을 가미한 차식물의 탐구를 통해 단순한 음용차일 뿐 아니라 식물로 체화된 인문학 내지 차문화학의 미래적 대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본 연구는 그 첫 과정으로서 한민족의 사상과 문화, 역사와 철학 등을 망라한 󰡔삼국유사󰡕에 수록된 식물 가운데 기존의 차나무(Camellia sinensis)의 효능을 대체할 수 있는 몇 가지 식물들을 탐구 조사하였다. 이를 통해 한민족의 문화원형(文化原型)으로써 차 식물을 콘텐츠화 할 수 있는 계기를 마련하고자 한다. Drinking tea is one of the most useful ways for people to control their mind. Because through a series of processes, people may resolve some of their internal conflicts and by repeating this process, it may help people to strengthen their own mind. Recently, many alternative teas with pharmacological effects have been introduced, but it is not enough to expand the base of the tea-drinking population or lead a new tea culture. Thus, through the exploration of tea plants with historicity, I would like to suggest future alternatives not only simple drinking tea but also humanities or tea culture studies that are embodied in plants. In this study, for the first step, I explored some plants listed in the 『Samgukyusa』, which totally covers thoughts, culture, history and philosophy of Korean people that can replace the efficacy of Camellia sinensis. Through this step, I would like to prepare an opportunity to make tea plants as a contents of cultural archetype of the Korean people.

      • KCI등재

        남도 차(茶) 문화 경영의 역사성 및 현상적 재발견

        정서경 ( Seo Kyoung Chung ),조영석 ( Yeong Suk Cho ) 한국경영사학회 2013 經營史學 Vol.68 No.-

        본 연구는 경영사적 측면에서 남도 차(茶) 문화의 역사성을 분석하고 발전적 경영전략을 제시함으로써 우리나라 차 문화 및 관련 산업의 경영적 성과를 견인할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하고자 하였다. 남도의 차 문화는 지리적 조건을 갖춘 차의 재배에서 인적 네트워크로 형성된 차의 향유까지 다양한 콘텐츠를 고루 갖추고 있다. 연구의 결과, 이러한 특성을 살린 남도 차 문화의 활용 가능성은 충분하다는 사실을 발견하였다. 본 연구는 저자들이 아는 한 선행연구가 전혀 없는 가운데 경영사적 측면에서 남도 차 문화 경영의 역사성과 현상을 현대적으로 재해석하여 전략적 비전을 제시하였다는데 큰 차별성이 있다. 본 연구에서 분석된 남도 차 문화의 활성화를 위한 경영 전략적 시사점을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차의 생산, 가공, 유통의 효율성을 도모하여 경제적 활용 방안을 강구하여야 할 것이다. 둘째, 차 문화 확산을 위하여 도자기 산업과의 연관성을 적극 활용하여야 한다. 특히 우리나라에서 가장 집적화된 영산강 권역의 도자기 산업을 적극 활용하는 것이 매우 유리한 방안이 된다. 셋째, 차 문화를 지역의 고유한 문화 콘텐츠로 활용하여 관광자원으로 적극 개발하고, 수익창출 및 지역 경쟁력 강화로 연결하여야 한다. 넷째, 지역의 자원을 활용하고 일자리 창출을 늘리는 전략적 자원 활용 방안이 한층 강화되어야 한다. This paper focused on historical perspective of business management Tea-culture of Jeonnam (the Namdo Tea-culture), and developmental analysis of management strategies are presented. Also we suggested to find ways that the Korean tea culture and related industries to lead the business performances. We realized that there are many possibilities to use the characteristics of the Namdo Tea-culture. The strategic implications for the management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it should be taken economic advantages of Korean tea, while the process of production, manufacturing, distribution of Tea, and promote the efficiency of tea industry. Second, in order to spread and promote the culture of tea, we shall utilize of the integration of Youngsan-river districts of the ceramic industry. It will be very favorable. Third, the unique contents of the Namdo Tea-culture must be connected to the regional competitiveness by utilizing actively developing tourism resources. Fourth, it should be strengthened to increase regional income and better job utilizing local resources.

      • KCI등재

        다악의 문화콘텐츠적 확장성 연구 -역사성과 방향성을 중심으로

        윤혜진 ( Hyejin Yun ) 인문사회 21 2023 인문사회 21 Vol.14 No.1

        연구 목적: 본 연구는 우리나라 다악의 역사적 흐름을 이해하여 현재의 다악을 점검함으로써 다악의 현재와 앞으로의 방향성을 가늠해 보는 데에 그 의의가 있다. 연구 방법: 문헌, 의궤, 그림, 음반, 인터뷰자료 등을 참고해 우리나라 다악의 역사적 흐름을 5가지 단계로 나누어 분석한다. 이를 통해 다악의 특징을 규명하고, 현대 다악의 방향성을 가늠해본다. 연구 내용: 다악의 역사적 흐름을 5단계로 나누자면, 맹아기, 형성기, 융성기, 휴지기, 신맹아기로 분류할 수 있으며, 차문화와 구별되는 다악의 고유한 역사성과 특징에 대해 논의한다. 결론 및 제언: 첫째, 다악이란 찻자리에서 향유되는 풍류적 소리를 지닌 모든 소리를 의미한다. 둘째, 다악은 차문화, 음악문화를 동시에 갖는 전통예술 장르로서 풍류성과 명상성을 특징으로 한다. 따라서 오랜 휴지기를 지나 현대사회에 새로운 전통문화로 뿌리내리기 위해서는 역사적 흐름을 이해하여 향후 올바른 방향 설정이 필요하다. This study has significance in proposing the present and the future direction of Da-ak by understanding the historical flow of Da-ak in Korea and examining the current trends in this field. The historical flow of Da-ak in Korea is analyzed by dividing it into five stages by referring to literature, Uigwe, paintings, records, and interviews. Through this, the characteristics of Da-ak are identified, and the direction of modern Da-ak is proposed. The history of Da-ak can be classified into the budding period, the formative period, the flourishing period, the resting period, and the newly budding period. This discusses the unique historicity and characteristics of tea music that is distinct from tea culture. In conclusion, Da-ak means all the sounds with tasteful sounds that are enjoyed at a tea time. Da-ak is a traditional art genre that has tea culture and music culture at the same time, and is characterized by taste and meditation. Therefore, in order to take root as a new traditional culture in modern society after a long pause, it is necessary to understand the historical flow and set the right direction in the futur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