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펼치기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온라인 사회적 자본이 국제 정치적 소비에 미치는 영향

        허왕(Wang Heo),서현석(Hyunsuk Suh) 중앙대학교 한국전자무역연구소 2021 전자무역연구 Vol.19 No.4

        연구목적: 본 연구는 국제정치적 소비에 영향을 미치는 선행 요인을 발견하여, 기존에 연구되지 않았던 온라인 사회적 자본이 국제정치적 소비에 미치는 영향을 규명하는데 목적이 있다. 특히 의도적 구매를 통한 보상 차원의 소비와 의도적 불매를 통한 처벌 차원의 소비 행동을 구분하여 이해하는데 의의가 있다. 논문구성/논리: 본 연구는 독립변수와 매개변수, 매개된 조절변수, 종속변수로 구성이 되었으며, 각 변수들이 종속변수에 미치는 영향을 규명한다. 종속변수인 국제정치적 소비는 범주형 명목척도로 구성되었으며, 이외 변수들은 리커트 7점 척도로 구성되었다. 이에 따라 다중회귀분석과 이항로지스틱회귀분석, SPSS Macro 4번, 14번을 활용하여 가설을 검증한다. 결과: 온라인 사회적 자본 요인인 연결적 사회자본과 결속적 사회자본은 시민참여 의도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쳤으며, 연결적 사회자본은 국제정치적 소비 요인인 의도적 구매와 의도적 불매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쳤다. 반면 결속적 사회자본은 국제정치적 소비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이에 연결적 사회자본은 국제정치적 소비에 영향을 미치는데 있어 시민참여 의도는 부분매개 효과를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결속적 사회자본은 국제정치적 소비에 영향을 미치는데 있어 시민참여 의도는 완전매개 효과를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온라인 사회적 자본이 시민참여 의도를 매개하여 국제정치적 소비(의도적 구매)에 간접적으로 영향을 미칠 때, 자아존중감은 시민참여 의도와 국제정치적 소비사이에 양(+)적인 조절된 매개효과를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독창성/가치: 국제정치적 소비 행동 연구의 필요성은 해외 학자들로부터 꾸준히 제기되어 왔지만, 이와 관련한 국내 연구는 굉장히 미흡하다. 특히 국내에서 진행된 국제정치적 소비 행동 연구는 인구 통계적 요인이나 측정 문항 개발 수준이다. 이에 본 연구는 국제정치적 소비에 영향을 미치는 동기 요인을 추가하고, 특히 행정학, 사회학 등에서 주로 다루는 개념과 경영학에서 주로 다루는 소비행동의 관계성을 파악했다는데 가치가 있다. Purpose: This study aims to determine the preceding factors affecting international political consumerism and investigate the effect of online social capital on international political consumerism, which has not been studied previously. Mainly, it aims to understand consumption behavior at the reward level through intentional purchase and punishment through intentional boycott. Composition/Logic: The effect of each variable on the dependent variable is investigated. International political consumerism, a dependent variable, comprised a categorical nominal scale, and other variables were composed of a 7-point Likert scale. Accordingly, hypotheses are verified using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and SPSS Macro No. 4, 14. Findings: It was found that citizen participation is partially mediated when the bridging social capital, a component of online social capital, affects buycott as a political consumerism. However, when bonding social capital affects buycott political consumerism, the citizen participation intention has a complete mediating effect. The results of measuring the moderated mediating effect are as follows. When online social capital indirectly influences political consumerism(buycott) by mediating citizen participation intention, self-esteem positively(+) controls the mediating effect by facilitating citizen participation intention and political consumerism(buycott). Originality/Value: The need for study on political consumerism has been steadily raised by overseas scholars, Nevertheless, studies on domestic political consumerism are very insufficient. This study expands the study of motivational factors affecting political consumerism behavior and is expected to supplement domestic studies. Mainly, it is valuable in understanding the relationship between concepts in public administration and sociology and consumption behavior in business administration.

      • KCI등재

        소비자 불매운동에 대한 인식유형과 참여의도와의 관련성

        전향란 ( Hyang Ran Jeon ),서정희 ( Jeong Hee Seo ) 대한가정학회 2015 Human Ecology Research(HER) Vol.53 No.2

        This study analyzed domestic consumers’ perceptions of and participation in consumer boycotts and its relation to ethical consumerism by surveying 1,000 people aged 20 or more with an on-line questionnair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in terms of frequency, factor analyses, cluster analysis, c2, and one-way analysis of variance. The research findings a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consumers had an average (or higher) perception level of consumer boycotts and were categorized into consumer boycott groups of pursuit of self-realization, achievement of results, and pursuit of rationality according to perception patterns of consumer boycotts. Second, the consumer boycott group of self-realization exhibited a high intention for participation in economic and ethical consumer boycotts and was active in all aspects compared to other groups; in addition, the consumer boycott group of results achievement was in the lowest level of ethical consumerism with a low intention for participation in consumer boycotts and ethical consumer boycotts along with the lowest perception level for consumer boycotts as ethical consumption. The consumer boycott group of rational pursuit was comparatively skeptical about the influence of consumer boycotts and with a low level of deontological ethical consumerism. They had additional doubts about the effectiveness of consumer boycotts despite being active participants. The study contributes to the establishment of an ethical consumer behavior theory by investigating connections between the perception patterns of and participation in consumer boycotts as well as ethical consumerism as consumer boycotts conceptually expand as a form of ethical consumption.

      • KCI등재

        미국 신여성(플래퍼)의 재현 양상과 소비자본주의

        박현숙(Hyun Sook Park) 한국여성학회 2007 한국여성학 Vol.23 No.1

        본 연구는 미국 신여성(플래퍼)의 한국적 수용 양상을 고찰하기 위한 예비적 단계로 미국의 플래퍼를 연구하였다. 19세기 말과 20세기 초의 신여성 등장은 전 지구적인 현상이라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근대화 단계에 있는 대부분의 국가에서 신여성이 등장한 것은 신여성의 등장과 근대화 및 소비자본주의의 발달과 떼어놓고 생각할 수 없음을 시사한다. 플래퍼로 알려진 미국 신여성의 등장은 1차 세계 대전 전으로 추정하고 있다. 그러나 이들이 일반에게 확산되기 시작한 것은 1차 대전 종전 직후부터 1920년대로 추정되며 절정기는 1920년대 중반으로 추정되고 있다. 1920년대는 미국 역사에서 여러 모로 의미있는 시기라고 할 수 있다. 1920년대는 1차 대전 후 이상주의에 대한 환상이 깨어진 잃어버린 세대의 시대였으며, 이상주의의 상실로 인해 새로운 가치 추구의 징후가 나타난 시기였다. 대다수의 미국인들은 가치관의 혼란과 미래에 대한 신념의 상실로 관심사를 물질적인 것으로 돌렸고, 그러한 경향은 경제적 번영과 맞물려서 소비문화의 확산이라는 현상을 낳게 되었고, 동시에 즐거움의 추구가 시대의 복음이 되었다. 바로 이 시기에 당시로는 파격적이라고 할 만큼 과감한 모습의 플래퍼가 등장하였다. 플래퍼는 등장 직후부터 보수주의자들과 기득권층의 신랄한 비판을 받았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플래퍼의 모습은 많은 여성들에게 확산되었다. 이러한 플래퍼의 확산은 당시대인들을 비롯해 많은 연구자들의 관심을 끌었고, 이들에 대한 연구는 여성의 공적 영역으로의 진출 그리고 여성 해방과 어떠한 상관관계를 갖고 있는가 하는 점에서 시작되었다. 이러한 연구의 결과 플래퍼에 대한 평가는 긍정적인 평가와 부정적인 평가 둘로 나누어졌고, 이들이 여성의 정치적 권익 향상에 기여하였는가를 기준으로 부정적인 평가가 나오거나, 이들이 여성의 영역에서 변화를 주도하고 있다는 점과 남성들이 강요한 도덕성에 항거하였다는 점을 근거로 긍정적인 평가가 나오기도 하였다. 그러나 당시는 자본주의적 소비문화가 발달한 시기였고, 플래퍼에 대한 평가는 단순히 정치적 권익향상과 같은 공적 영역에서의 기여를 기준으로 평가하기보다는 보다 종합적인 접근이 필요하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소비자본주의라는 큰 틀안에서 여성의 역할 변화와 소비문화의 주체로서의 그들의 역할을 중점적으로 연구하였다. 즉 플래퍼가 모더니티의 상징으로서 탈 전통적이고 자유로우며 대중적인 새로운 문화적 행위자로서 어떤 역할을 하였는지 조명하였다. 이러한 연구를 위해 1장에서는 당시 널리 확산된 플래퍼의 모습과 행동 양식을 전반적으로 다루었고, 이들의 확산 정도와 양상을 검토하였다. 2장에서는 당시의 경제적 상황, 특히 소비자본주의의 발달이 여성에게 미치는 영향, 미혼 혹은 기혼의 중간계층 여성들의 생활 방식, 직장 여성들의 경제 활동 상황, 자유로운 성 담론의 확산 등을 살펴보았다. 이러한 전반적인 시대배경에 관한 연구를 토대로 3장에서는 플래퍼의 출현과 소비자본주의가 어떠한 상관관계를 갖고 있는지 의상, 화장품, 단발을 중심으로 검토하였다. 이러한 연구를 통해서 소비자본주의의 발달이 플래퍼적 패션을 확산시키고 대중화하는데 기여한 것은 사실이나 이러한 변화는 여성들의 의식 변화와 그러한 의상을 통해 자신의 욕구를 표현하고자 하는 여성들의 욕구와 부합하여 가능하였다는 결론에 도달하였다. 즉 플래퍼는 자본주의의 발달에 따른 소비주의의 물결에 휩쓸렸다기보다는 소비문화의 적극적 수용자로서의 입장을 취하였고, 소비문화의 수동적인 소비자가 아니라 주도적인 위치에서 자신을 표현하고자 하는 능동적 소비자였다는 결론에 도달하였다. 즉 플래퍼는 모더니티의 상징이었으며 모더니티의 추진자였던 것이다. This paper is to study American new woman(flapper) as a preliminary study to examine how Korean new woman accepted American new women's way of life. At the end of 19th century and the beginning of 20th century there appeared new woman all over the country like a globalized phenomenon. As new woman appeared in most of the countries at the stage of modernization and consumerism it seemed as if there is some relationship among modernization, new woman and consumerism. In America new woman known as flapper was presumed to appear before the First World War. Their appearance seemed to spread to many women between after the First World War and 1920s, and the climax of its proliferation seemed to be in the middle of 1920s. Right after they appeared they were criticized bitterly by conservatives and many ordinary people. Nevertheless, their appearance spreaded to many women widely. This phenomenon interested many scholars including their contemporaries, with the result of the affirmative and negative evalution. The reason for the negative evaluation was that flappers did not contribute to the improvement of women's political right and for the affirmative evaluation hey brought about a change in the women's sphere and they protested against the morals enforced by men. However, it is more important to examine flappers in a synthetic approach instead of evaluating flappers in a limit to the contribution of public sphere. At that time it was economically prosperous and consumerism was blooming it is necessary to examine their change of role and their role as an active consumer in the grand frame of consumerism and capitalism. In other words it is necessary to focus on flappers as a symbol of modernity free from tradition and a popular role model as an active participant in a society of consumerism. In the first chapter, I examined flappers' appearance and their way of life and behaviors and the degree of their spread. In the second chapter, I focused on 1920s' economic situation and the influence of development of consumerism to women, economic activity of married or unmarried middle class women and discourse of sex. In the third chapter, I examined a correlation of flappers and consumerism focusing on flappers' clothes, cosmetics and short hair. As a result I concluded that consumerism contributed spreading and popularizing flappers' fashion but it could not be possible unless women were ready to accept flappers' fashion and flappers' way of life. In other words, as flappers' fashion conformed women's desire it could be spreaded widely. Therefore, I could safely say that flappers were not only the symbol of modernity but also the launchers of modernity.

      • KCI등재

        7차교육과정의 학교소비자 교육 내용 분석 : 중학교 1,2학년 「기술ㆍ가정」을 중심으로 Focused on "Home Economics & Technology" for 7th, 8th Grade

        이승신,김민경,조정자 대한가정학회 2003 Family and Environment Research Vol.41 No.1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analyze 'consumer education system in middle school', whether it is suitably organized to help students make the right decision is their daily life as a rational consumer in this fast changing "the Informational Society". We divided the consumereducation of "the Informational Society" into 4 fields of studies(consumer information technique, decision makint on purchasing, consumer financial management, and consumerism) and made specific analysis for this research. The "Technology & Home Economics" textbook which follows ;The 7th curriculum' conducted by "Korean Educational Board" Ministry of Education & Human Resources Development for first and second grade in middle school were used for this analysis. The results founded are as follows: First, for the curriculum analysis according to the 4 fields of consumer education, both the first and the second grade students' textbook had consumer information technique as the major portion of th consumer education. Second, as a result of the comparison between the two grade levels showed that the second grade level has higher portion of consumer education in "Home economics & Technology" textbook than the first grade level. Third, the present statrs of consumer education showed that the first grade level's consumer education was only limited in consumer information technique, but thesecond grade level's xonsurner education was ranging evenly throughout the 3 fields of consumer education: consumer information technique, decision making on purchasing and consumerism. These results of this study contribute to the development of an efficient and desirable curriculum for the adolescents' consumer education, specially for school consumer education, in "the Informational Society".

      • KCI등재

        집단분쟁해결제도와 보험산업과의 관계연구

        남원식(Won Sik Nam) 한국보험법학회 2007 보험법연구 Vol.1 No.2

        □ 1980년에 제정된 소비자보호법이 2006.9.27자로 소비자기본법으로 개정되어 2007.3.28부터 시행됨 □ 이번 소비자기본법령을 전부 개정하게 된 배경은 종래와 같이 소비자를 일방적 보호의 대상으로 생각하는 것이 아니라, 자주적 권리를 실현하는 주체(소비자 주권) 라는 인식을 가지고 ㅇ 소비자의 의식과 지위 향상, 급격한 소비환경 변화 등에 따른 법 개정수요에 부응하기 위함임 □ 소비자기본법 및 동법 시행령 개정의 주요 핵심내용은 소액 다수 소비자피해의 구제를 위한 소비자단체소송과 집단분쟁조정제도의 도입이라 할 수 있음 ㅇ 소비자단체소송제도는 일정 요건을 갖춘 단체가 소비자의 생명ㆍ신체 또는 재산상의 권익을 침해하는 사업자의 위법행위에 대해 그 행위의 금지 또는 중지를 구하는 제도이며, ㅇ 집단분쟁조정제도는 단체소송으로는 소비자의 금전적피해 구제가 불가능하므로 한국소비자원에 설치된 소비자분쟁조정위원회에서 금전적 보상을 포함한 집단분쟁을 조정할수있도록하여단체소송제도의법적ㆍ제도적미비점 을 보완하게 됨 □ 소비자기본법의 집단분쟁해결제도가 아직 시행초기(집단분쟁조정제도) 또는미시행상태(소비자단체소송)로그성공여부를 예단할순없지만, ㅇ 소비자단체소송의 신청적격단체가 너무 많고 성격에 맞지 않는 단체가 포함된 점, 손해배상을 굳이 배제할 실익이 없다고 보이는 점, 변호사강제주의를 원고대리의 경우에만 국한한 점과 ㅇ 집단분쟁조정제도의 신청적격단체에서 소비자단체를 한정 하지 않은 점, 심판의 주재자인 한국소비자원이 신청인 되는 점, 절차개시와 공고때까지 사업자와 소비자간에 사전에 협의할 절차가 마련되지 못한 법제상 미비점 등에 대한 보완은 필요할 것임 □ 한편, 과장광고, 불완전판매 등에 따른 민원급증 및 보험사 소송남용 등으로 보험산업에 대한 소비자의 불만과 부정적보도가 확대되어 보험산업 전반에 불신이 초래되고 있는데, ㅇ 감독기구와 보험사가 이러한 잘못된 보험관행을 극복하기 위해서는 소비자의 눈높이에 맞는 상품과 서비스를 제공하고 불완전판매를 일소하여 소비자불만이 집단분쟁화되는 것을 사전에 예방하는 것이 보험산업의 과제이자 필자가 이번 논문을 통해 강조하고자 하는 점임 1980 Consumer Protection Act was amended into Consumer Primary Act on 27 Sept 2006 and its enforcement started on March 28 2007. This overall amendment of Consumer Law was raised considering the change of the notion of consumer itself. Notion of consumer has changed from the party to be protected to the party to utilize his right as a consumer. Self-consciousness and status of consumer today have improved with the change of consumer environment. Core of Consumer Primary Act and Enforcement decree of the Consumer Primary Act would be an introduction of Consumer Class Action and Alternative Dispute Resolution in the purpose of protecting Consumer damage. Consumer Class Action System is defined as a system where a class with certain qualification can claim prohibition and stop of company's action when the action is causing damage to consumer's life, body and property. Alternative Dispute Resolution is created to complement Class Action by providing the method to recover consumer's monetary loss and to settle amicably through Consumer Dispute Resolution Committee in Korea Consumer Agency. While it would be premature to decide the success of these two systems at this early stage, it seems to be necessary to complement a certain area of the system later on. For example, there are too many consumer organisations involved and some of them are nor suitable for this kind of action. Korea Consumer Agency became both a claimer and a decision maker (judge). There is no benefit for excluding liability of damage. Compulsory requirement of legal counsel is confined to plaintiff. There is no procedure to settle before official announcement and start of the process. Recent overstatement in the commercials and incomplete sales are increasing consumer complaints. Overflow of legal proceedings by insurers are increasing consumer complaints. In addition negative public media toward insurance industry are increasing. All these factors are causing disbelief on the overall insurance industry. In order to improve such insurance market Regulatory Office and insurance company should provide insurance products and services that meet consumer needs with the complete sales. Their ultimate goal would be protecting consumer complaints from being developed into class action. These missions are the ones that I would like to point out in this thesis.

      • KCI등재

        장애인복지 소비자주의에 대한 사회복지전문직의 주관적 개념화 분석

        박경수(Park Kyung-Su) 한국사회복지학회 2006 한국사회복지학 Vol.58 No.4

        본 연구의 목적은 장애인 복지의 제공자 중심의 서비스를 극복하기 위해 새로운 대안으로 부상하고 있는 소비자주의에 대한 사회복지사들의 주관적 개념화를 파악하기 위한 것이다. Q 방법론을 통해 사회복지사들의 소비자주의에 대한 주관적 개념은 임파워먼트형, 시장기제형, 다중개방형, 전통가치형등 4가지 유형으로 도출되었다. 이들은 각각 소비자주의에 대한 특정적·확장적 차원에 의해, 전통적·개혁적 차원에 의해, 수단적·목적적 차원에 의해 인식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본 연구의 결과는 우리 사회에서 모호하게 이해되고 있는 소비자주의 개념을 구체화함으로써 소비자 친화적인 정책 및 실천 프로그램과 전문가 교육 프로그램 개발에, 그리고 소비자주의를 지향하는 장애인복지의 정책, 실천현장, 이론, 운동 등 제 영역들 간의 명확한 의사소통을 원활히 하는데 기여할 것이다. As social work practice for the disabled is still centered in provider's perspective in Korea, this study started with concerns for consumerism that is emerging as an alternative for the social work practice for the disabled. Consumerism is rooted in organization process of the disability rights movement, and considered as an ideology that protects actively the rights and influence of consumers. However, consumerism is not operating as an accomplished ideology yet, but as a type of the practical discourse. Consumerism is interpreted in multiaxial meanings and the conscituents of consumerism is used ambiguously in practice. This is because theoretical reviews on the conceptual thinking of consumerism are scant and empirical inquiries into conceptual cognition of social workers who uses this concept as a professional are scarce. After analyzing the data using Q methodology, the result shows that social workers' major cognitive types on consumerism perspective consists of four types; Empowerment type, Market-mechanism type, Multi-opening type and Traditional-value type. These types are classified by the dimension of 'specific/extended', 'traditional/reformative' and 'instrumental/autotelic'. This result will attribute to develop consumer-intimate policy, practice program and professional training program and to give facilities for lucid communication among policy, practice field, theory and movement in social welfare for disabled as it materializes the explicit conception of consumerism that is understood ambiguously in Korea.

      • KCI등재

        로고가 된 로고스: 소비주의적 기독교 종교성에 대한 고찰

        차명호 한국실천신학회 2019 신학과 실천 Vol.0 No.67

        The economic skeleton of neoliberalism has emerged in the guise of culture. For a long time, Christianity tried to keep a distance from neoliberalism. However nowadays church has showed intimate point of view on the consumerism of the postmodern culture. Consumerism made an appearance on the basis of amalgam of two factors: the exploiting economic ideology of neoliberalism and the image-centered culture of postmodernism. There are three devastating elements of consumerism on Christianity: first, consumerism turns God's graceful gift into merchandise for exchange, second, consumerism gets rid of communal ethics and instills speculative values in life-style, third, it manipulates churches as markets. When churches become markets, Jesus is degraded as a brand, and worship and pastoral programs of church are distorted as marketing strategies. In consumerist churches, Gospel turns into goods, preaching becomes an advertising method, and worship changes into a spectacular event. In addition, as pastoral ministry is stuck in the frame of marketing, congregation are forced to be servants for other consumers instead of the Kingdom of God. However consumer-christians generously and instinctively understand the consumerist context of church. There are not conceptual conflicts between a Jesus brand and a designer product in consumer- christians' spiritual life. To satisfy consumer-worshipers' religious feeling, churches prepare comfortable chairs and cozy places and provide worshipers with splendid or serene worship ambience. In the consumerist culture, Churches seem to lose any critical view against commercial spirituality since the grand discourse of the consumerist culture has consumed Gospel and set consumers with purchasing power on the throne. 신자유주의의 경제 체제는 문화의 옷을 입고 소비주의로 등장한다. 기독교는 비판자의 관점에서 그 동안 신자유주의와 거리를 두고 바라보았지만, 현대의 문화적 틀 안에서는 소비주의와 밀착하고 있다. 소비주의는 신자유주의의 착취적인 경제 이데올로기와 포스트모더니즘의 이미지 중심의 문화가 결합하여 나타난다. 기독교에 미치는 소비주의의 폐해는 세 가지로 나눌 수 있다. 소비주의는 하나님의 은혜의 선물을 교환의 대상으로 만들고, 삶의 가치관에 공동체적 윤리에 의한 건전한 노동 대신 투기성을 주입하며, 소비자-기독교인들로 하여금 교회를 시장으로 만든다. 교회가 시장이 될 때 예수는 하나의 브랜드로 전락하고, 교회의 예배와 목회프로그램들도 마케팅 전술로 바뀐다. 소비주의 교회 안에서 복음은 상품이 되고, 설교는 광고가 되며, 예배는 상업적 이벤트가 된다. 또한 목회가 상품 생산과 마케팅의 틀 안에 갇히면, 회중들은 하나님 나라가 아닌 다른 구매자들을 모집하기 위한 ‘섬김’을 강요받지만 소비자-예배자들은 이 본질을 본능적으로 수용하며 너그럽게 이해한다. 교회 마케팅의 한 품목인 예수라는 브랜드는 사치스러운 명품 가방과 아무런 갈등을 유발하지 않는다. 소비자-예배자들은 종교적 소비를 통해 ‘좋은 느낌’을 얻는 것으로 만족하기 때문에 교회는 화려한 이벤트들을 마련하고, 웅장하거나 안락한 하드웨어를 준비하며, 스펙타클한 예배와 예식들을 선보인다. 소비주의 문화 안에서 교회는 상업적 요소들을 거부할 비판적 역량도 잃어버린다. 왜냐하면 소비주의 문화의 거대 담론은 이미 모든 것들을 소비자를 왕으로 만들었고, 하나님을 폐위하고 구매력을 가진 자만이 그 권력을 누리도록 만들었기 때문이다.

      • KCI등재

        The Embedded Hybridity of Ethical Consumerism: At the Nexus of Consumer Justice Movements and Social Economies in South Korea

        김태균 한국학중앙연구원 한국학중앙연구원 2023 Korea Journal Vol.63 No.3

        This study sets out to review South Korea’s ethical consumerism, whose main landscape can be characterized as embedded hybridity at the nexus of consumer justice movements and social economies. By emphasizing the analytical utility of institutional complementarity between consumer movements and social economies in contentious politics, this study pursues its expeditionary verification of the historical evolution of Korean ethical consumerism as a logical consequence of the anti-capitalist civic engagements against unjust and commercialized market systems. Taking Hansalim as a classic case of the Korean ethical cooperative enriches our understanding of the hybrid portfolio embedded in ethical consumerism. The Hansalim case addresses an interesting observation that the vaguer the status between consumers and citizens, the more positive embedded hybridity turns out to be. Accordingly, the politics of embedded hybridity relates to the magnitude of the grey zones, rather than a clear rift between black and white.

      • KCI등재

        가상공동체의 소비자주의 활성화를 위한 탐색적 연구

        김정은(Kim, Jung-Eun) 한국소비문화학회 2013 소비문화연구 Vol.16 No.3

        가상공동체를 통한 소비자주의 활성화는 커뮤니티 리더십을 통해 실현될 수 있는데 이는 가상공동체의 참여자 간 교육적 체험을 극대화한다. 모든 구성원들은 상호 합의하에 집단의 도덕적 사회가치를 공유하고 이를 바탕으로 확고한 행동의 비전을 설립한다. 사려 깊고, 믿음이 가며 협력하고 조직적인, 동시에 감동이 있는 소비자운동으로의 TRUST 비전은 소비자참여(CP)와 소비자협력(CC)을 강화하며 궁극적으로 다시금 신뢰라는 집단의 사회적 자본을 강화하는 선순환의 형태를 나타낸다. 가상공동체 리더십은 신뢰와 몰입, 임파워먼트를 성장의 토대로 하지만, 결국 다시 집단 내 신뢰를 강화하고 비판적 몰입을 유도하는, 그리고 집단의 임파워먼트를 극대화하여 상승효과를 이끌어내는 순환적 모형의 독립변수이자 종속변수이다. 가상공동체 리더십은 새로운 정보 네트워크 시대의 대안적 생활원리로서, 소비자주의의 일상적 실천을 위한 사회협력의 한 방안이다. 그러나 향후 소비자운동의 구체적인 철학과 더불어 가상공동체 리더십의 교육과 훈련을 위한 다양한 방안들이 논의되어야하며, 실증적으로 이를 적용하고 개발할 수 있는 교육 프로그램의 개발이 필요하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conceptualize the model of consumerism in the virtual community. Community leadership is the leadership of consumer in the virtual community that can maximize the educational experience of the members. Community leadership is based on the trust, commitment, and empowerment. However, this model is the circulating system, leading to the exchange between the independent variable and the dependent variable. The conceptualization of community leadership points to alternative lifestyle and the sort of social cooperation for the standard practice of the consumer participation. Virtual community is the major passage for the consumer education in this information age. The consumer-to consumer communications in the virtual community reinforce the independent educational competences of consumer citizens. Although the present study offered an initial contribution to the conceptualization of the consumerism in the virtual community, more research is needed to develop the specific strategies for consumer education. A further point needs to be made with regard to the guidelines for community leadership education. These conclusions await further refinement and practical application in the light of further research. Further studies should be directed at determining how these elements can be developed through the scales and applied for the educational practice.

      • KCI등재

        대학에서 ‘소비자-학생’ 접근에 대한 비판적 검토

        정훈 인하대학교 교육연구소 2018 교육문화연구 Vol.24 No.2

        In these days, the approach to 'consumer(or customer)-student' in university is a leading education policy of a majority of countries. Regrettably, the Korean researchers pay relatively little attention to challenging today's tendency towards conception of consumer-student. For that reason, by examining how the conception of consumer-student can affect the education in university, and by examining educational problems underlying premises of consumer-student, I hope to show what are the limits and difficulties of the approach to consumer-student. I order to achieve this purpose, in the second chapter, I explored the social and political background of the approach of consumer-student and the nature of consumer-student. In the third chapter, I discussed what negative consequences the approach could have. The approach results in grade inflation, populism, poor academic standards, contractual relationship between professor and student, and excessive investment in educational facilities. In the fourth chapter, I discuss in turn what wrongs is made in the logic premises that justify the approach to consumer-student. Ultimately, the spread of consumerism in university could produce 'pedagogy of discomfort', short-sighted student choice, passive learner, and a decline in educational quality. Therefore, we need to re-change the language of the market, such as consumer, to language of education in the education area. 본 연구의 목적은 소비자로 학생을 규정하는 것이 대학교육에 어떤 문화를 조장하고 있고, 어떤 문제를 야기할수 있는지를 비판적으로 검토하는데 있었다. 이를 위해 2장에서는 소비자-학생 접근 배경과 소비자-학생이 보이는태도를, 3장에서는 소비자-학생 접근이 대학사회에 어떤 문화를 조장해왔는지를 살펴보았다. 4장에서는 소비자-학생접근이 야기하는 문제가 무엇일 수 있는지를 차례로 살펴보았다. 이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소비자-학생 접근은 교육을 상품이자 개인의 소비 대상으로 규정하는 시장 논리와 총체적 품질 관리 같은경영이론을 교육에 적용하면서 대세로 등장했다. 둘째, 소비자-학생은 자신의 소비자 신분을 권력관계의 이동으로인식하는 한편, 학점, 시간표 같은 요소를 교수와의 흥정이나 타협의 대상으로 여긴다. 셋째, 소비자-학생 접근은학점 부풀리기, 인기 영합주의, 학업과 학문 기준의 저하, 계약관계의 성립, 교육 시설의 치장 같은 문화를 대학사회에 조장해왔다. 넷째, 소비자-학생 접근은 옹호자들의 기대와 달리 교육의 관점에서 다음의 문제를 불러올 수있다. 쉬운 교육은 교육의 본질에 내재된 고통, 괴로움, 불편의 미덕을 제거하며, 불편의 교육을 조장할 수 있다. 자율적인 선택은 시장의 규칙을 모르는 소비자-학생들을 선택의 홍수 속에서 길을 잃게 할 위험이 있다. 그 선택은또한 근시안적 관점에서 주로 행해진다는 점에서 항상 “옳지” 않을 수 있다. 또한 그들의 선택은 어떤 편향에 기댈수 있다. 소비자로 대접받기를 원하는 소비자-학생의 태도는 학생들의 책임감 부족을 불러오고 그들을 수동적인학습자가 되도록 만든다. 결국, 소비자-학생 개인의 이익과 요구, 선호도에 따른 선택의 결과는 대학 교육의 질 향상에기여하지 않을 수 있다. 교육의 질을 단기적인 가시적 성과에 기초하는 것은 오히려 대학 교육의 내실을 다지는데부정적으로 작용할 수 있으며, 일부 연구결과는 소비자로 학생을 비유하는 것이 오히려 교육 성과를 떨어뜨릴 수있다는 점을 보여준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